KR100250229B1 -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229B1
KR100250229B1 KR1019970071718A KR19970071718A KR100250229B1 KR 100250229 B1 KR100250229 B1 KR 100250229B1 KR 1019970071718 A KR1019970071718 A KR 1019970071718A KR 19970071718 A KR19970071718 A KR 19970071718A KR 100250229 B1 KR100250229 B1 KR 10025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composition
dielectric
mol
manufactur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261A (ko
Inventor
배재욱
오이상
Original Assignee
김충환
한국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한국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7007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2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4Drying;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티탄산마그네슘(1.3MgO·TiO2), 티탄산칼슘(CaTiO3) 및 티탄산네오디뮴(Nd2O3·2TiO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지금까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유전율 29∼103이고 -25∼85℃의 온도범위에서 20℃ 기준으로 +110∼-750ppm/℃ 용량변화 범위를 만족하는 JIS 규격에 적합한 온도특성을 가지며, 품질계수(Q값)가 2000이상인 전기적 성능을 만족하는 유전체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용 유전체 필터의 원료로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유전체 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콘덴서는 비유전율(比誘電率)이 큰 산화티탄의 자기를 유전체에 사용한 콘덴서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국내 세라믹 콘덴서 제조업체에서 생산되고 있는 유전체 중 유전율이 29∼103 수준이면서 -25∼85℃의 온도범위에서 20℃ 기준으로 +110∼-750ppm/℃의 용량변화 범위를 만족하는 JIS 규격의 온도특성을 만족시키고, Q값이 2000이상인 전기적 성능을 만족하는 유전체 원료는 전량 일본 등에서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까지 전량 수입되고 있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는 유전체 원료의 수입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은 티탄산마그네슘(1.3MgO·TiO2) 4∼61 몰%, 티탄산칼슘(CaTiO3) 6.5∼86 몰% 및 티탄산네오디뮴(Nd2O3·2TiO2) 7∼33 몰%로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유전체 조성물을 습식혼합하고 건조 분쇄하여 유전체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 바인더를 첨가하여 그래뉼을 제조하는 공정, 일축 압축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공정, 및 1,320∼1,390℃에서 2∼4시간 동안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의 제조방법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티탄산마그네슘은 탄산마그네슘(MgCO3)과 산화티탄(TiO2)을 1.3:1몰비로 배합하고, 광화제로서 점토(clay)를 0.2 중량% 첨가하여 혼합한 후, 분쇄 및 건조한 다음 1,190℃에서 2.5시간 가소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같은 티탄산마그네슘은 포지티브 온도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그 함량은 전체 유전체 조성물 중 4∼61 몰%이다.
만일, 티탄산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유전율이 저하하거나 목적하는 바의 온도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티탄산칼슘은 탄산칼슘(CaCO3)과 산화티탄(TiO2)을 1:1 몰비로 배합하고 광화제로서 점토(clay)를 0.2 중량%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분쇄 및 건조한 후 1,100℃에서 2.5시간 가소하여 제조된 것이다.
티탄산칼슘은 네가티브 온도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그 함량은 전체 유전체 조성물 중 6.5∼86 몰%로서, 만일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전율이 저하되거나 목적하는 온도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그리고, 티탄산네오디뮴은 산화네오디뮴(Nd2O3)과 산화티탄을 1:2몰비로 배합하고, 광화제로서 점토를 0.25 중량% 첨가하여 혼합한 후, 분쇄 및 건조한 다음 1,200℃에서 2.5시간 동안 가소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같은 티탄산네오디뮴은 전체 유전체 조성물 중 7∼33 몰% 되도록 첨가하며, 만일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온도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정된 자기치밀화를 얻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바, 부성분으로는 산화티탄, 산화비스무스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산화티탄의 함량은 상기 유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비스무스의 함량은 0.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조성으로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각각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칼슘 및 티탄산네오디뮴을 제조하고 여기에 부성분을 조합하고, 습식 분쇄 및 건조하여 유전체 분말을 제조한다.
여기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그래뉼을 제작하고, 압력을 인가하고 일축 성형하여 1,320∼1,390℃로 2∼4시간 동안 소성하여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를 제조한다.
이와같이 제조된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은 통신용 유전체 필터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7
공업용(순도 99.0%이하) 기초원료인 탄산마그네슘,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및 산화네오디뮴을 일정 몰(mol)비로 배합하고 하소(calcination)하여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칼슘 및 티탄산네오디뮴의 이성분계를 제작하였다.
이를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부성분과 함께 첨가하고 2차 조합하고, 습식분쇄 및 건조하여 유전체 미분말(powder)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바인더(binder)를 1.5 중량% 첨가하여 그래뉼(granul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그래뉼을 사용하여 1ton/㎠의 압력을 인가하여 직경 15ψ, 두께 2.0mm로 일축성형하여 유전체를 제작하였다.
성형 후 1,320∼1,390℃ 온도로 3시간 동안 소성하고 여기에 은(Ag)전극을 도포하여 전기적 성능을 측정하여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주 성 분(몰%) TiO2(중량부) Bi2O3(중량부) 유전율 Q(분) 온도특성(ppm/℃)
1.3MgO·TiO2 CaTiO3 Nd2O3·2TiO2 -25℃ 85℃
1 60.5 6.5 33 - - 29 2,000 +110 +100
2 61.0 9.0 30 - - 31 2,800 +90 +90
3 61.0 12.0 27 - - 33 2,100 +60 +50
4 61.0 14.0 25 - - 35 2,000 +10 +5
5 61.0 16.0 23 - - 33 2,100 +4 +2
6 56.0 20.0 24 - - 39 2,000 -26 -31
7 56.0 24.0 20 - - 37 3,300 -20 -16
8 54.0 26.0 20 - - 38 3,400 -18 -9
9 54.0 24.0 22 - - 38 3,000 -34 -35
10 50.0 30.0 20 - - 42 4,600 -41 -38
11 46.0 24.0 30 - - 48 3,900 -97 -94
12 45.0 38.0 17 - - 45 5,500 -73 -69
13 30.0 44.0 26 - - 55 2,000 -130 -125
14 30.0 44.0 26 1.5 0.5 57 2,000 -130 -130
15 19.0 64.0 17 - - 67 3,500 -280 -230
16 16.0 64.0 20 2.0 0.5 67 3,400 -260 -220
17 13.0 64.0 23 2.0 0.5 68 2,700 -230 -210
18 11.0 73.0 16 - - 78 3,700 -333 -313
19 11.0 73.0 16 1.5 0.5 79 2,000 -311 -338
20 12.0 74.0 14 - 1.0 81 2,000 -396 -380
21 5.5 81.0 13.5 - - 84 3,000 -419 -410
22 5.5 81.0 13.5 1.5 0.5 84 2,800 -417 -396
23 4.0 84.0 12 - - 85 6,800 -465 -433
24 8.0 82.0 10 - - 86 4,900 -531 -475
25 8.0 82.5 9.5 - - 91 6,800 -571 -480
26 8.5 82.5 9 - - 91 5,300 -531 -498
27 7 86 7 2.0 - 103 4,600 -705 -616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은 유전율이 29∼103이고, Q값이 2,000 이상일 뿐만 아니라 -25∼85℃의 온도범위에서 20℃ 기준으로 +110∼-750ppm/℃의 용량변화 범위를 만족하는 JIS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온도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은 유전율이 29∼103이고, Q값이 2,000 이상일 뿐만 아니라 -25∼85℃의 온도범위에서 20℃ 기준으로 +110∼-750ppm/℃의 용량변화 범위를 만족하는 JIS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온도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이로써 전량 수입되던 상기 조건의 유전체 조성물을 대체할 수 있다.

Claims (4)

  1. 티탄산마그네슘(1.3MgO·TiO2) 4∼61 몰%, 티탄산칼슘(CaTiO3) 6.5∼86 몰% 및 티탄산네오디뮴(Nd2O3·2TiO2) 7∼33 몰%로 이루어진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은 산화티탄을 상기 유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 중량부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은 산화비스무스를 상기 유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 중량부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4. 제 1 항의 유전체 조성물을 습식혼합하고 건조 분쇄하여 유전체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
    바인더를 첨가하여 그래뉼을 제조하는 공정,
    일축 압축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공정, 및
    1,320∼1,390℃에서 2∼4시간 동안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의 제조방법.
KR1019970071718A 1997-12-22 1997-12-22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5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718A KR100250229B1 (ko) 1997-12-22 1997-12-22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718A KR100250229B1 (ko) 1997-12-22 1997-12-22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261A KR19990052261A (ko) 1999-07-05
KR100250229B1 true KR100250229B1 (ko) 2000-04-01

Family

ID=1952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718A KR100250229B1 (ko) 1997-12-22 1997-12-22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2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26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327B1 (ko)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4861736A (en) Semiconductive ceramic composition
JPH0332164B2 (ko)
KR100250229B1 (ko)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118283B2 (ko)
KR100250228B1 (ko)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1100051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KR100415561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의 제조방법
KR100262458B1 (ko) 세라믹콘덴서용유전체조성물
JP3243874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571538B2 (ko)
KR100262459B1 (ko) 세라믹콘덴서용유전체조성물
JPH07114824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KR100236521B1 (ko)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742165B2 (ja) マイクロ波誘電体セラミックス
JPH08268757A (ja) 磁器組成物
JPH0785363B2 (ja) マイクロ波用誘電体セラミツクス
JPH04265269A (ja) マイクロ波用誘電体セラミックス
JPH05213666A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25620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S6049151B2 (ja) 誘電体磁気組成物の製造方法
JP2620102B2 (ja) 高誘電率系磁器組成物
JPH02255554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510764B2 (ko)
JPH02255553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