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998B1 -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998B1
KR100248998B1 KR1019960027496A KR19960027496A KR100248998B1 KR 100248998 B1 KR100248998 B1 KR 100248998B1 KR 1019960027496 A KR1019960027496 A KR 1019960027496A KR 19960027496 A KR19960027496 A KR 19960027496A KR 100248998 B1 KR100248998 B1 KR 10024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grid
image
coun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413A (ko
Inventor
천승문
박광훈
문주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50037919A external-priority patent/KR970025172A/ko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2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998B1/ko
Publication of KR97000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4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the transform being applied to non rectangular imag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27Global motion vector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7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 H04N19/54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using feature points or mes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그리드를 이동시켜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게 하며, 상기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부호화하고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그리드로 구획하고, 그리드의 위치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부호화 정보량 및 움직임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으며,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로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정보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판별하고, 판별한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정보량이 최소로 되게 하며,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판별하고, 판별한 상기 단위 영역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정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 및 신호 정보로 그리드의 위치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제1도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형성되는 그리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형성되는 그리드 패턴을 보인 도면.
(b)는 (a)에서 하나의 단위 영역을 8×8개의 화소로 표시하여 보인 도면.
제2도의 (a)~(d)는 단위 영역의 여러 가지 모양을 보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모양 적응형 이산 코사인 변환 과정을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의 어드레스 발생기의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6도는 제4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대상물의 영상을 어드레스 발생기가 출력하는 X축 및 Y축 어드레스에 따라 구분하여 출력하는 순서롤 예로 들어 보인 도면.
제7도는 제4도의 영역 수 카운터의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일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
제9도의 (a)~(f)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하나의 대상물의 영상을 추출하고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위치를 찾아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
제12도의 (a)(b)는 제11도의 신호 흐름도에 따라 X축 및 Y축 그리드를 지그재그로 이동시켜 단위 영역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보인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종래 및 본 발명에 의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킨 결과를 보인 도표로서,
제15도는 '젊은 미국인 여성'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킨 결과를 보인 도표.
제16도는 '할머니'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킨 결과를 보인 도표.
제17도는 본 발명의 움직임 추정/부호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18도의 (a)~(c)는 본 발명의 움직임 추정 방법에 따라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에서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아 재구성하여 보인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움직임 추정/부호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20도는 영상 프레임의 시간적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X축 그리드 13 : Y축 그리드
15,17 : 경사 그리드 21 : 단위 영역
23 : 단위 화소 31 : 어드레스 발생 제어기
33 : 어드레스 발생기 35 : 메모리
37 : 영역 수 카운터 39 :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기
41,51 : 영상신호 입력부 43 : 그리드 이동부
47 : 움직임 추정부 45,57 : 부호화부
53 : 영상 분리부 55,59 : 제1 및 제2 그리드 이동부
331 : X축 크기 결정부 333 : Y축 크기 결정부
335 : 영역 어드레스 발생기 371 : 단위 영역 카운터
373 : 판단부 375 : 가산기
본 발명은 모양 정보(shape information)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소정의 물체나 영역 등을 비롯한 각종 대상물(object)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형성한 그리드를 이동시켜, 부호화 및 움직임을 추정할 경우에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키면서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로 그리드를 재형성시키고, 재형성한 그리드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분리하여 부호화하며, 움직임을 추정하는 대상물 여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은 데이터 양이 매우 많으므로 기록 매체에 저장할 경우에 저장 용량이 매우 커야 되고, 전송할 경우에는 많은 전송 시간이 소요되어 실시간(real time) 전송이 어렵다.
그러므로 대상물의 영상은 부호화하고, 움직임을 추정하여 정보량을 줄인 후 기록 매체에 저장하며,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할 경우에는 벡터 양자화 또는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 이하 'DCT'라고 약칭함)이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약 적응형 DCT(Shape Adaptive DCT : 이하, 'SADCT'라고 약칭함)가 대상물 중심의 부호화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SADCT는 영상 프레임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대상물의 영상을 동일한 크기 및 소정의 모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단위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한 단위 영역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SADCT는 단위 영역이 부호화할 영상으로 모두 채워지면, 2차원 영역 DCT와 부호화 효율이 동일하게 된다. 단위 영역이 부호화할 영상으로 모두 채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화소(pixel)를 X축으로 1차원 DCT하고, X축으로 1차원 DCT를 수행한 결과를 다시 Y축으로 1차원 DCT하여 최종 결과 값을 얻는 것이다.
또한 SADCT는 DCT 부호화 이득을 고려할 경우에 대상물의 영상이 여러 개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것보다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줄이고, 단위 영역의 내부에는 대상물의 영상이 가능한 많이 채워지게 한 후 부호화 하는 것이 변환 계수들의 부호화(compaction) 효율을 높이게 된다.
그러므로 SADCT를 수행할 경우에는 단위 영역에 부호화할 대상물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채우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SADCT를 제1도 내지 제3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그리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의 프레임은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P×Q개의 X축 및 Y축 그리드(11)(13)에 의해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다수의 단위 영역(21)으로 구획되어 X축으로 단위 영역의 행을 형성하고, Y축으로 단위 영역의 열을 형성한다.
여기서, 단위 영역(21)은 여러 가지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X축 및 Y축 그리드(11)(13)에 의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그리드(11)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15)(17)를 이용하여 삼각형으로 형성하거나,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그리드(13)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15)(17)를 이용하여 삼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영역(21)은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15)(17)를 이용하여 마름모형으로 형성하거나 제2도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프레임을 일정 주기로 동일하게 구획할 수 있는 2가지 이상의 서로 상이한 모양을 가지는 단위 영역(21)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도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형 및 마름모형의 단위 영역(21)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균등하게 구획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 영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단위 영역(21)을 X축 그리드(11) 및 Y축 그리드(13)만을 이용하여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위 영역(21)은 제1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및 Y축으로 M×N개의 단위 화소(23)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하나의 단위 영역(21)은 8×8개의 단위 화소(23)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16×16개의 단위 화소(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위 영역(21)은 존재하는 단위 화소(23)의 수에 따라 M×N 블록으로 불리는 것으로서 제1도의 (b)에 도시된 단위 영역(21)은 8×8 블록이 된다.
제3도는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21)을 SADCT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의 (a)는 8×8개의 단위 화소(23)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 영역(21)내에 소정의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빗금친 부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SADCT하기 위하여 먼저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21)의 위쪽 경계에 채워 넣고, 수직 방향인 Y축으로 1차원 DCT를 수행한다.
제3도의 (c)에서 검은 원은 Y축 방향으로 1차원 DCT한 이산 코사인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도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1차원 DCT를 완료한다.
Y축 1차원 DCT가 완료되면, 제3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영역(21)의 왼쪽 경계에 채워 넣고, 수평 방향인 X축으로 1차원 DCT를 수행한다.
X축으로 1차원 DCT가 완료되면, 제3도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및 X축으로의 SADCT가 완료된다.
SADCT가 완료된 최종 형태인 제3도의 (f)를 가지고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맨 왼쪽 및 맨 위의 영역부터 맨 오른쪽 및 맨 아래의 영역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스캔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SADCT는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변환하지 않고, SADCT를 수행하였다.
그러므로 프레임당 비트 율이 높고, 대상물이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많아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한 부호화 정보량과, 움직임을 추정한 움직임 정보량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다른 일반적인 DCT나 벡터 양자화로 부호화할 경우에도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SADCT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당 비트 율이 높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많아 부호화 정보량 및 움직임 정보량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 중에서 움직임이 있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할 경우에는 대상물 중심의 움직임 영상 부호화(Object-based Moving Image Coding)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상물 중심의 움직임 영상 부호화 방법은 대상물의 영상을 움직이지 않는 배경(background)과, 대상물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된 변화 영역(changed region)으로 분할(segmentation)한다.
그리고 변화 영역의 움직임 대상물은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과 이동 보상이 가능할 경우에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motion compensable object)로 분리하고, 움직임 추정과 이동 보상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motion compensable failed object)로 분리한다.
여기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은 3차원 공간상의 대상물을 2차원 대상물의 영상으로 변환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 회전 이동 및 선형 이동 등의 일정한 원칙을 가지고 움직이는 대상물을 자칭한다. 그리고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은 상기한 일정한 원칙들이 적용되지 않는 대상물을 지칭한다.
대상물의 영상을 전송 및 저장할 경우에 상기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은 영상의 움직임 정보만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나 드러난 대상물의 영상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부호화하여 정보량을 최소로 줄인 후 전송 및 저장해야 된다.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정보량은 전체 전송량의 약 60~70% 정도로 매우 많으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줄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움직임 추정은 움직임 영상의 이동 부위를 이전 프레임의 화면에서 구분한 후 추정하여 움직임 정보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동되는 대상물의 변수는 다양하므로 대상물의 움직임에 순간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전송 및 저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은 적은 양의 정보로 고선명도의 화상 정보를 전송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임 추정의 표준화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켜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정보량을 줄일 수 있도록 그리드를 이동시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줄이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이동시킨 그리드에 의해 재구획되는 단위 영역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정보량을 감소시키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영상신호 부호화장치 및 부호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이동시킨 그리드에 의해 재구획되는 단위 영역 중에서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부호화하여 정보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및 부호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보상 가능 물체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이동시킨 그리드에 의해 재구획되는 단위 영역 중에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움직임 정보를 추정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및 방법에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그리드로 구획하고, 상기 그리드를 X축 및/또는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으며,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로 그리드를 이동시킨다.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정보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판별하고, 판별한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여 정보량이 최소로 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판별하고, 판별한 상기 단위 영역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정한다.
이하, 첨부된 제4도 내지 제20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부호 31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어드레스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키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기이고, 부호 33은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기(31)가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X축 및 Y축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기이며, 부호 35는 입력되는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33)가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단위 영역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메모리이다.
어드레스 발생기(33)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 정보에 따라 X축 크기 결정부(331)가 단위 영역의 X축 크기를 결정하고, Y축 크기 결정부(333)가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는 하나의 크기 결정부만을 사용하여 단위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33)에서 영역 어드레스 발생기(335)는 상기 X축 크기결정부(331) 및 Y축 크기 결정부(332)가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기(31)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메모리(35)에 저장되어 있는 대상물의 영상의 단위 영역에 대한 X축 및 Y축 어드레스를 구분하며,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영역 어드레스 발생기(333)가 순차적으로 발생한 X축 및 Y축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메모리(35)는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단위 영역별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영역의 대상물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다음 단위 영역의 대상물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부호 37은 메모리(35)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터이다.
상기 영역 수 카운터(37)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신호를 단위 영역 카운터(371)가 카운트하여 단위 영역을 구분한다. 판단부(373)는 상기 메모리(35)에서 출력되는 대상물의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단위 영역 카운터(371)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부(373)의 판단신호를 가산기(375)가 가산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한다.
부호 39는 상기 영역 수 카운터(37)가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기이다.
상기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기(39)는 상기 영역 수 카운터(37)의 카운트가 완료될 경우에 카운트 값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기(31)를 제어하여 X축 및 Y축 어드레스의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켜 발생하게 제어한다.
즉, 상기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기(39)는 X축 및 Y축 어드레스의 시작위치를 이동시킨 후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동작이 완료될 경우에 어드레스 발생 제어기(31)를 제어하여 X축 및 Y축 어드레스의 시작 위치를 이동시키게 하는 것을 반복한다.
그리고 X축 및 Y축 어드레스의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동작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상기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기(39)는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 어드레스의 시작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X축 및 Y축 어드레스의 시작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일 실시예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11)에서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최소로 되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기 위하여 X축 및 Y축그리도 시작 위치(XM)(YN)를 초기화시킨다.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의 초기값은 추출한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단위 영역중에서 왼쪽 최상부에 위치하는 최초의 단위 영역의 초기 위치인 XM=0, YN=0으로 주어진다.
제9도는 다수의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다수의 대상물(a,b,c,d)의 영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하나의 대상물(a)의 영상을 추출하여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도록 그리드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제9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대상물(a,b,c,d)의 영상을 포함하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제9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로 표시하고, 대상물의 영상을 추출한다.
대상물의 영상을 추출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대상물(a,b,c,d)의 영상을 하나의 영역안에 하나만 존재하도록 분리하여 추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상물(a,b,c,d)의 영상을 2개 이상 다수 개를 하나의 영역안에 포함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제9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상물(a)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대상물(a)의 영상의 최소의 단위 영역(33)에 존재할 수 있도록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추출한 대상물(a)의 영상은 제9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된다.
대상물(a)의 영상이 추출되면, 단계(S12)에서는 상기 단계(S11)에서 초기화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A)를 기준으로 하여 대상물(a)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 수를 카운트한다.
제9도의 (c)를 참조하면, 추출한 대상물(a)의 영상에 대한 단위 영역들중에서 가장 왼쪽 상단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이 최초의 단위 영역이다.
그리고 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단위 영역이 X축 및 Y축으로 각기 8×8개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에 하나의 단위 영역에는 64개의 화소가 존재하게 되고, 16×16개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에 하나의 단위 영역에는 256개의 화소가 존재하게 된다.
최초의 단위 영역에서 초기 위치인 XM=0, YN=0인 위치가 그리드의 시작 위치(A)이다.
제9도의 (c)에서 대상물(a)의 영상은 14개의 단위 영역에 존재한다.
대상물(a)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단계(S13)에서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14)에서는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최초의 단위 영역에서 X축으로 일정 간격(K)만큼 이동시켜 그리드를 재구성한다.
즉, Y축 그리드 전체를 X축으로 일정 간격(K)만큼 이동시킨다.
단계(S15)에서는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단위 영역의 크기 이상으로 이동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15)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상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의 단계(S12~S15)를 수행하여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이동하고, 대상물(a)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15)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상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16)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로 결정한다.
단계(S17)에서는 결정한 상기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와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0)로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대상물(a)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영역의 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단계(S17)에서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단계(S18)에서는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19)에서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킨다.
즉, X축 그리드 전체를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킨다.
단계(S20)에서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단위 영역의 크기 이상으로 이동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N번이상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S17~S20)를 수행하여,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를 기준으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일정 간격(L)씩 Y축으로 이동시키고, 대상물(a)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모두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일정 간격(L)씩 N번 이상 이동되면, 단계(S21)에서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그리드 시작위치(XM)를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로 결정하고, 상기 단계(S16)(S21)에서 결정한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M번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위치(XOM)로 결정한다. 상기 결정한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를 기준으로 하여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N번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로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및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체 그리드를 X축으로 M번 이동시키고, Y축으로 N번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M+N번 이동시키면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YON)를 찾아 출력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부호화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31)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최소로 되는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YON)를 찾기 위하여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XM=0, YN=0으로 초기화한다.
단계(S32)에서는 상기 단계(S31)에서 초기화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0, YN=0)를 기준으로 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고, 단계(S33)에서는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34)에서는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X축으로 일정 간격(K)만큼 이동시키고, 단계(S35)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X축으로 M번 이상 이동하여 단위 영역의 크기 이상으로 이동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35)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상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S32~S35)를 수행하여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이동하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35)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상 이동되면, 단계(S36)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S37)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N번 이상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S32~S37)를 수행하여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이동시킨 후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X축으로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K)씩 이동시키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37)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N번 이상 이동되며, 단계(S38)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로 결정하고, 결정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YO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즉, 제10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체 그리드를 X축으로 일정간격(K)씩 M번 이동시킨 후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키고, 다시 전체 그리드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M번 이동시킨 후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고,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0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X축 및 Y축으로 일정 간격(K)(L)씩 M×N번 이동시키면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8도 및 제10도의 실시예에서는 그리드 시작 위치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이동시킨 후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이동시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YON)를 찾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8도 및 제10도의 도면에서 괄호 안에 표시한 바와 같이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이동시킨 후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이동시키면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YON)를 찾아 정보량 감소위치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41)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위치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최소로 되는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YON)를 찾기 위하여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YN)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
다음 단계(S42)에서는 초기화한 상기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YN)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고, 단계(S43)에서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44)에서는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동되고,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N번 이동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44)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동되지 않았거나 또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N번 이상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S45)에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단위 영역의 크기이내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일정 간격(K)(L)씩 이동하고, 단계(S42~S45)를 수행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고, 저장하며,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한다.
여기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일정 간격(K)(L)씩 이동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제12도의 (a)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제12도의 (b)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4)에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가 X축으로 M번 이동되고,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N번 이동되면, 단계(S46)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로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즉, 제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체 그리드를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러므로 제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일정 간격(K)(L)씩 전체적으로 M×N번 이동시키면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제8도, 제10도 및 제11도의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정보량 감소 위치로 그리드를 재형성한 예가 제9도의 (d)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대상물(a)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인 최적의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는 5이고,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M)는 6이다.
그리고 대상물(a)의 영상 위치에 따라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YON)를 이동시킨 결과 대상물(a)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는 14개에서 7개로 줄어들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단위 영역을 X축 및 Y축 그리드에 의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단위 영역을 여러 가지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마름모형 또는 육각형 등과 같이 영상 프레임을 동일한 크기로 연속하여 구획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모양으로 단위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상이한 모양을 가지고 영상 프레임을 일정한 주기 간격으로 구획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단위 영역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51)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최소로 되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기 위하여 먼저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YN)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
단계(S52)에서는, 상기 단계(S51)에서 초기화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0, YN=0)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모두 카운트하고, 다음 단계(S53)에서는 상기 단계(S52)에서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54)에서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키고, 단계(S55)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N번 이상 이동시켰는 지를 판단한다.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N번 이상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S52~S55)를 수행하여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이동하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55)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N번 이상 이동되면, 다음 단계(S56)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로 결정한다.
상기 단계(S56)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가 결정되면, 단계(S57)에서는 결정한 상기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를 기준으로 하여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단계(S58)에서 현재 X축 단위 영역의 행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다.
즉, 제9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으로 첫 번째 행인 X(1)행의 단위 영역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다.
다음 단계(S59)에서는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60)에서 X(1)행의 Y축 그리드를 X축으로 일정 간격(K)만큼 이동시킨다.
즉, X축 그리드에 의해 구획되는 X(1)행의 단위 영역 내에 존재하는 Y축 그리드(이하, "Y축 분할 그리드"라고 약칭함)를 X축으로 일정 간격(K)만큼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S61)에서는 상기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M번 이상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61)에서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가 X축으로 M번 이상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S58~S61)를 수행하여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이동하고, X(1)행의 단위 영역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61)에서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가 일정 간격(K)씩 M번 이상 이동되면, 단계(S62)에서 현재까지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1)행의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최적의 X(1)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로 결정한다.
다음 단계(S63)에서는 X축으로 마지막 행인지를 판단하고, X축으로 마지막 행이 아닐 경우에 단계(S64)에서 X축의 다음 행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계(S58~S64)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X축의 행을 X(1), X(2), X(3), X(4) 및 X(5)행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1), X(2), X(3), X(4) 및 X(5)행의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최적의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로 결정한다.
상기 단계(S64)에서 X축으로 마지막 행일 경우에 다음 단계(S65)에서 상기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와 X(1), X(2), X(3), X(4) 및 X(5)행의 최적의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그리드 이동방법에 따라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71)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최소로 되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기 위하여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YN)를 '0'으로 초기화한다.
다음 단계(S72)에서는 현재 X축 행의 단위 영역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다. 즉, X(1)행의 단위 영역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검출하여 카운트한다.
상기 단계(S72)에서 단위 영역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단계(S73)에서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74)에서는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X축으로 일정 간격(K)만큼 이동시키고, 단계(S75)에서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일정 간격(K)씩 M번 이상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75)에서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일정 간격(K)씩 M번 이상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S72~S75)를 수행하여 X(1)행의 분할 그리드를 일정 간격(K)씩 이동하고,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75)에서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가 X축으로 일정 간격(K)씩 M번 이상 이동되면, 단계(S76)에서 현재까지 카운트한 X(1)행의 단위 영역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1)행의 Y축 분할 그리드의 위치를 최적의 X(1)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로 결정한다.
다음 단계(S77)에서는 X축으로 마지막 행인지를 판단하고, X축으로 마지막 행이 아닐 경우에 단계(S78)에서 X축의 다음 행 즉, X(2), X(3), X(4) 및 X(5)행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 후 상기 단계(S72~S78)를 수행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2), X(3), X(4) 및 X(5)행의 Y축 분할 그리드의 위치를 최적의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로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반복한다.
상기 단계(S77)에서 X축으로 마지막 행일 경우에는 단계(S79)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N번 이상 이동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79)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N번 이상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S80)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키고, 단계(S72~S80)를 반복 수행한다.
즉,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Y축으로 일정 간격(L)만큼 이동시키고,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이동된 각각의 위치에서 X(1), X(2), X(3), X(4) 및 X(5)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K)씩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며,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최적의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로 순차적으로 결정한다.
상기 단계(S80)에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가 Y축으로 일정 간격(L)씩 N번 이상 이동되면, 다음 단계(S81)에서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이동시킨 각각의 위치에서 각기 결정된 최적의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를 판단하고, 판단한 최적의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에서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를 모두 합산한다.
다음 단계(S82)에서는 합산 결과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로 결정한다. 상기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상기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를 최적의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로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최적의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ON) 및 상기 최적의 X(1), X(2), X(3), X(4) 및 X(5)행 그리드 시작 위치(X1M,X2M,…)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상기 제13도 및 제14도의 실시예에서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한 결과를 살펴보면, 제9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이동시킨 후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를 이동시켜 최적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찾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제13도 및 제14도에 괄호 안에 기재된 바와 같이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서로 바꾸어 대상물의 영상이 최소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을 수도 있다.
상기 X축 그리드 시작 위치(XM)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YN)를 서로 바꾸어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로 그리드를 재구성한 결과를 살펴보면, 제9도의 (f)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단위 영역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단위 영역을 X축 각각의 행 또는 Y축 각각의 열을 구분하여 이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마름모형 등과 같이 경사 그리드로 구획하여 경사진 열을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 모양의 단위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축 각각의 행의 단위 영역을 X축으로 이동시키면서 정보량 감소위치를 찾을 경우에는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그리드(11)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15)(17)를 이용하여 단위 영역을 삼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Y축 각각의 열의 단위 영역을 X축으로 이동시키면서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을 경우에는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그리드(13)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15)(17)를 이용하여 단위 영역을 삼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영역을 경사지게 이동시키면서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을 경우에는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15)(17)를 이용하여 단위 영역을 마름모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대상물(a)의 영상을 추출하여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33)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대상물(a,b,c,d)의 영상을 2개 이상 다수 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대상물(a,b,c,d)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을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및 Y축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일정 간격(K)(L)은 단위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소의 수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위치(XM)(YN)를 단위 화소의 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영상신호에서 색신호에 대한 정보는 휘도 신호에 대한 정보의 1/2이므로 색신호 및 휘도신호에 대한 정보를 고려할 경우에 X축 및 Y축 그리드의 이동 간격(K)(L)은 2개의 단위 화소 간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정보량 감소 위치는 하나 이상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정보량 감소 위치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에 단위 영역을 M/2×N/2의 크기를 가지는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한 서브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그리드를 일정 간격(K)(L)씩 이동시키며,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를 찾아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단위 영역의 크기가 16×16 화소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경우에 8×8 화소를 가지는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8×8 화소로 세분화한 서브 영역의 화소수 이내에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YN)를 일정 간격(K)(L)씩 이동시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가 가장 적은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그리고 단위 영역을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하여도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는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하여도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OM, YON)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에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된다.
이 때, 선택하는 하나의 정보량 감소 위치는, 초기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XM=0, YN=0)에 근접될수록 움직임 벡터의 값이 적어 정보량이 줄어들고, 또한 움직임을 추정할 경우에 예측 에러의 발생률이 낮게 되므로 초기 그리드 시작 위치(XM=0, YN=0)를 기준으로 하여 직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X축 및 Y축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부호화하여 제15도 및 제16도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용된 대상물의 영상은 '젊은 미국인 여성'의 영상과, '할머니(Grand Mother)'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각각 50개의 영상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을 'SADCT 방법'이라고 약칭하고, 상기한 제8도, 제10도 및 제11도의 실시예에 따라 X축 및 Y축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한 후 부호화하는 것을 'FBG(Fixed Block Grid)-SADCT 방법'이라고 약칭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3도의 실시예에서 X축 그리드 및 Y축 그리드에 따라 X축 및 Y축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한 후 부호화하는 것은 'VBG)Variable block Grid)- SADCT 1-X 방법' 및 'VBG-SADCT 1-Y 방법'이라고 약칭하며, 상기한 제14도의 실시예에서 X축 그리드 및 Y축 그리드에 따라 X축 및 Y축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한 후 부호화하는 것은 'VBG-SADCT 2-X 방법' 및 'VBG- SADCT 2-Y 방법'이라고 약칭하며, 대상물의 영상을 각기 분리하여 추출한 후 상기한 제14도의 실시예에서 X축 그리드에 따라 부호화하는 것은 'VBG-SADCT 2-X 방법(대상물별)'이라고 약칭한다.
본 실험에서 먼저 전제되어야 할 요건은 원래 영상의 N-1 프레임과, N 프레임의 사이에서 대상물의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영상에서 X축 및 Y축 그리드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SADCT를 실행하는 종래의 부호화 방법과 본 발명의 부호화 방법에 따라서 부호화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방법은 객관적 화질 평가 기준인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과 동일한 대상물의 화소일 경우에 얼마만한 전송 비트율이 생기는 지를 프레임당 발생 BPP(Bits Per Pixel) 및 프레임당 영역의 수로 판단하였다.
제15도는 '젊은 미국인 여성'의 영상에 대하여 50프레임으로 실험하여 평균값을 구한 결과이다.
제15도의 도표를 살펴보면, X축 및 Y축 그리드를 변화시키지 않고, SADCT를 수행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평균 PSNR 값이 36.46dB이고, 평균 발생 비트수가 751이며, 평균 BPP가 1.21이며, 평균 단위 영역의 수가 20.71로 되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라서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게 이동시킨 X축 및 Y축 그리드를 기준으로 하여 그리드를 재구성한 후 FBG-SADCT를 수행한 것은 평균 PSNR 값이 36.37dB이고, 평균 발생 비트수가 719이며, 평균 BPP가 1.16이며, 평균 단위 영역의 수가 18.65로 되었다.
객관적인 PSNR이 비슷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FBG-SADCT가 종래의 SADCT보다 평균 발생 비트수가 32비트, BPP가 0.05, 평균 단위 영역의 수가 2.06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대상물의 영상을 각기 분리하여 추출한 후 X축 및 Y축 그리드를 이동할 경우에 좀 더 좋은 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호화하는 결과로 나타내었다.
VBG-SADCT 2-X 방법에서 대상물의 영상 별로 각기 수행한 것은 평균 PSNR 값이 36.3dB이고, 평균 발생 비트수가 694이며, 평균 BPP가 1.12이며, 평균 영역수가 16.82로 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SADCT를 수행하는 것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한 후 각각의 대상물의 영상별로 VBG-SADCT를 수행하는 것이 평균 발생 비트율은 57비트정도 감소하고, 평균 BPP는 0.09정도 감소하며, 평균 단위 영역의 수는 3.89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제16도는 '할머니'의 영상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에 대하여 종래와 같이 그리드를 변화시키지 않고, SADCT를 한 결과와, 본 발명의 부호화방법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변화시킨 후 FBG-SADCT 및 VBG-SADCT를 수행한 결과를 보인 도표이다.
전체적으로 VBG-SADCT 2-X를 수행하는 것이 대상물의 영상 별로 SADCT를 수행하는 것보다 비트량이 약 8~10%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7도는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 대하여 상기한 그리드 이동장치와 같이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고,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한 후 부호화 및 움직임을 추정하는 본 발명의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41은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신호 입력부이다. 부호 43은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41)가 입력한 상기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X축 및 Y축 그리드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아 출력하는 그리드 이동부이다.
그리드 이동부(43)는, 상기 제4도에 도시된 그리드 이동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영상신호 입력부(41)가 입력한 대상물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저장한 대상물의 영상에 대한 그리드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시킨 그리드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출력하는 상기 단위 영역의 영상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판별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한다.
부호 45는 상기 그리드 이동부(43)에서 출력되는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X축 및 Y축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이다.
부호화부(45)는, 상기 그리드 이동장치 및/또는 그리드 이동방법에서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대상물의 영상이 가정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그리드에 따른 단위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부호화한다.
부호화부(45)가 단위 영역의 대상물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SADCT, DCT 또는 벡터 양자화 등으로 부호화한다.
부호 47은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부이다. 움직임 추정부(27)는, 상기 그리드 이동장치 및 그리드 이동방법에서 찾은 정보량 감소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그리드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구획하며, 구획한 단위 영역의 변화량을 추정하여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제18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의 영상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상기 주어진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하여 제18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를 표시할 경우에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는 3, 5, 4, 4, 4, 5, 7, 8로서 모두 48개의 단위 영역에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대상물의 영상에 본 발명은 상기 그리드 이동장치 및 그리드 이동방법에서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제18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를 재구성하여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이다.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한 결과를 살펴 보면,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은 3, 4, 4, 3, 3, 5, 7, 7, 8개로서 모두 44개의 단위 영역으로 감소되게 됨을 알수 있고, 상기 감소된 단위 영역으로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움직임 정보량을 줄일 수 있다.
제19도는 모양 정보 및 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먼저 이동보상 가능 대상물 및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로 구분하고, 구분한 상기 이동보상 불가능 대상물은 부호화하며, 상기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은 움직임을 추정하는 본 발명의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51은 부호화할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 입력부이다.
부호 53은 영상 분리부로서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51)가 입력한 영상신호를 움직임이 없는 배경 화면(background image)의 영상과, 움직임이 있는 대상물(moving object)의 영상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움직임 대상물의 영상은 이전에 입력된 영상과 현재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변화된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제20도는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시간적 변화를 보인 도면으로 이전에 입력된 영상의 프레임(Pα)과 현재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Pβ)사이에는 다수 개의 중간 영상 프레임(Bi, …, Bj)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움직임 대상물의 영상은 이전 영상의 프레임(Pα)에서 중간 영상의 프레임(Bi)을 추정하는 순방향 움직임 추정방법(forward motion estimation)과, 현재 영상의 프레임(Pβ)에서 중간 영상의 프레임(Bj)을 추정하는 역방향 움직임 추정방법(backward motion estimation)이 있다.
상기 영상 분리부(53)에서 추정된 움직임 대상물의 영상은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움직임 정보와,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와,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신호 정보와,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부호 55는 상기 영상 분리부(53)에서 분리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모양 정보 및/또는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량 감소 위치를 찾는 제1 그리드 이동부이다.
제1 그리드 이동부(55)는 상기 그리드 이동부(43)와 마찬가지로 제4도의 그리드 이동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그리드 이동부(55)는 영상 분리부(53)에서 분리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 위치를 조절하고,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부호 57은 상기 부호화부(45)와 마찬가지로 제1 그리드 이동부(55)에서 출력되는 정보량 감소 위치 신호 또는 상기한 그리드 이동방법에서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이다.
부호화부(57)는, 정보량 감소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리드를 재구성 하고, 재구성한 그리드의 단위 영역에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 하는 단위 영역의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SADCT, DCT 또는 벡터 양자화 등으로 부호화 한다.
부호 59는 상기 제4도의 그리드 이동장치, 그리드 이동부(43) 및 제1 그리드 이동부(5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그리드 이동부(55)는 상기 영상 분리부(53)에서 분리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부호 61은 상기 제2 그리드 이동부(59)에서 출력하는 정보량 감소 위치 신호 또는 상기한 그리드 이동방법에서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그리드에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구획하며, 구획한 단위 영역의 변화량으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프레임의 데이터를 기억 매체 등에 저장하고, 전송할 경우에 영상 프레임 내의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게 하고,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에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함과 아울러 움직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부호화율이 향상되고, 움직임 정보량이 감소되어 저장 및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Claims (82)

  1.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와; 상기 그리드를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단계와; 상기 그리드를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여 정보량을 감소시키는 위치를 찾아 출력하는 이동 및 카운트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그리드 전체를 X축 및 Y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정보량이 감소되는 위치를 찾아 출력하는 출력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전체 그리드를 X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위치를 최적의 X축 그리드 위치로 설정하는 제1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최적의 X축 그리드 위치로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그리드를 Y축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위치를 최적의 Y축 그리드 위치로 설정하는 제2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전체 그리드를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위치를 최적의 Y축 그리드 위치로 설정하는 제1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최적의 Y축 그리드 위치로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그리드를 X축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위치를 최적의 X축 그리드 위치로 설정하는 제2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최적의 Y축 및 X축 그리드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X축을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카운트 단계에서 X축 이동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Y축을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킨 후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에서 X축 및 Y축 이동이 모두 완료되었을 경우에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Y축을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카운트 단계에서 Y축 이동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X축을 따라 그리드를 이동시킨 후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1 이동 및 카운트 단계와 제2 이동 및 카운트 단계에서 X축 이동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최적의 X축 및 Y축 그리드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그리드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는 이동 카운트 단계와; 상기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부호화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그리드 전체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각각의 위치에서 각각의 행 또는 열의 X축 또는 Y축 그리드를 이동시키면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이 감소되는 위치를 찾아 출력하는 출력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그리드를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는 제1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1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Y축 위치로 설정하는 제1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Y축 위치에서 X축 각각의 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X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위치되는 X축 각각의 행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2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X축 각각의 행의 위치로 설정하는 제2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단계 및 제2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Y축 위치 및 X축 각각의 행위 위치를 정보량 및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그리드를 X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는 제1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1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X축 위치로 설정하는 제1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X축 위치에서 Y축 각각으 열의 X축 분할 그리드를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위치되는 Y축 각각의 열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트 단계와; 상기 제2 카운트 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Y축 각각의 열의 위치로 설정하는 제2 설정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단계 및 제2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X축 위치 및 Y축 각각의 열의 위치를 부호화 정보량 및 움직임 정보량 감소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X축 각각의 행의 Y축 분할 그리드를 X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각기 카운트하고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X축 각각의 행의 위치로 결정하는 X축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X축 위치 결정 단계에서 카운트가 완료될 경우에 전체 그리드를 Y축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X축 위치 결정 단계를 반복하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Y축 이동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상기 X축의 위치 결정 단계에서 결정한 X축 각각의 행위 위치에서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고 합산한 값이 가장 적은 Y축 위치를 결정하는 Y축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Y축 위치 결정 단계에서 결정한 Y축 위치 및 그 결정한 Y축 위치에서 가장 적은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각각의 행의 위치를 부호화 정보량 및 움직임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카운트 단계는, Y축 각각의 열의X축 분할 그리드를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각기 카운트하고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위치를 Y축 각각의 열의 위치로 설정하는 Y축 위치 설정 단계와; 상기 Y축 위치 설정 단계에서 카운트가 완료될 경우에 전체 그리드를 X축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Y축 위치 결정 단계를 반복하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X축 이동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상기 Y축 위치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Y축 각각의 열의 위치에서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고 합산한 값이 가장 적은 X축 위치를 설정하는 X축 위치 설정 단계와; 상기 X축 위치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X축 위치 및 그 설정한 X축 위치에서 가장 적은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Y축 각각의 열의 위치를 부호화 정보량 및 움직임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정보량이 최소인 위치를 찾아 정보량 감소 위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을 X축 그리드 및 Y축 그리드에 의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5. 제1항 내지 제9항과 제11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은 X축 그리드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에 의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6. 제1항 내지 제8항과 제10항 및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은 Y축 그리드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 그리드에 의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7.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은 마름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은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19.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은 팔각형 및 마름모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0.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그리드의 이동 범위는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1.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그리드의 이동 범위는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이고, 단위 화소 간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2.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그리드의 이동 범위는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 이내이고, 2개의 단위 화소 간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정보량의 감소 위치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에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각기 1/2로 구획한 후 정보량의 감소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각기 1/2로 구획한 후 찾은 정보량 감소 위치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에 X축 및 Y축 그리드 시작 위치에서 가장 근접된 위치를 정보량 감소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25.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형성한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서치 단계와; 상기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그리드에 의해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와; 상기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단위 영역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SADCT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벡터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DC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29.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형성한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서치 단계와; 상기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그리드에 의해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SADCT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벡터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DC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33.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형성한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서치 단계와; 상기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그리드에 의한 단위 영역 중에서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방법.
  34.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 및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분리 단계에서 분리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단계와; 상기 제1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와;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제1 서치 단계와; 상기 제1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형성하고 상기 재형성한 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단위 영역 중에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와; 상기 분리 단계에서 분리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단계와; 상기 제2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와;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제2 서치 단계와; 상기 제2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형성하고 상기 재형성한 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단위 영역 중에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이전의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현재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현재의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이전의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SADCT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벡터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DCT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40.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분리 단계에서 분리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이
    *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서치 단계와; 상기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형성하고 상기 재형성한 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단위 영역 중에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이전의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현재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현재의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이전의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SADCT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44. 제40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벡터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45. 제40항에 있어서, 부호화 단계는 DC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46.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분리 단계에서 분리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에 그리드를 형성하여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그리드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이동 단계에서 그리드를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보량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치를 찾는 서치 단계와; 상기 서치 단계에서 찾은 상기 정보량 감소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재형성하고 상기 재형성한 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단위 영역 중에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이전의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현재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는 현재의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이전의 대상물의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방법.
  49.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수 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장치.
  52. 제49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장치.
  53. 영상신호 입력수단이 입력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단위 영역의 움직임으로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그리드 이동 수단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55. 제54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 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57. 제54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 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58. 영상신호 입력수단이 입력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그리드 이동 수단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에서 출력도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62. 제59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63. 영상신호 입력수단이 입력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단위 영역의 움직임으로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그리드 이동 수단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67. 제64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 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68.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움직임에 따라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 및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수단과; 상기 영상 부리 수단에서 분리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제1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제1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영상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이동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제2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제2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이동 보상 가능물체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그리드 이동 수단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 수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 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 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72. 제69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된느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장치.
  73.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움직임에 따라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부리 수단과; 상기 영상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이동 보상 불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단위 영역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74. (정정) 제73항에 있어서, 그리드 이동 수단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 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76. 제75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할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77. 제74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부호화장치.
  78.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에서 움직임에 따라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 수단과; 상기 영상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 위치에 따라 그리드를 조절하여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감소시키는 그리드 이동 수단과; 상기 그리드 이동 수단에서 감소시킨 이동 보상 가능 물체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으로 이동 보상 가능 대상물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79. (정정) 제78항에 있어서, 그리드 이동 수단은, 어드레스를 발생할 시작 위치를 단위 영역의 크기 이내에서 일정 간격씩 이동시켜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이 출력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을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수단과; 입력되는 모양 정보를 가지는 대상물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에 따라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카운트하는 영역 수 카운트 수단과; 상기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이 카운트한 단위 영역의 수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단위 영역을 카운트한 X축 및 Y축의 그리드 시작 위치를 선택하는 최소 단위 영역 그리드 선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입력되는 대상물 영상의 크기 정보에 따라 단위 영역의 X축 크기 및 단위 영역의 Y축 크기를 각기 결정하는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과; 어드레스 발생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시작 위치부터 상기 X축 크기 결정 수단 및 Y축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의 크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에 따른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 어드레스 발생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 하나의 크기 결정 수단으로 단위 영역의 X축 및 Y축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82. 제79항에 있어서, 영역 수 카운트 수단은,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단위영역을 구분하는 영역 카운트 수단과; 메모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위 영역을 상기 영역 카운트 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분하고 대상물의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과; 상기 모양 정보 존재 판단 수단의 판단신호를 카운트하여 대상물의 영상이 존재하는 단위 영역의 수를 출력하는 영역 수 가산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장치.
KR1019960027496A 1995-07-10 1996-07-08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KR10024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496A KR100248998B1 (ko) 1995-07-10 1996-07-08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5-20198 1995-07-10
KR1019950020199 1995-07-10
KR1019950020198 1995-07-10
KR19950020198 1995-07-10
KR95-20199 1995-07-10
KR19950020199 1995-07-10
KR1019950037919 1995-10-26
KR1019950037919A KR970025172A (ko) 1995-10-26 1995-10-26 모양 적응형 물체 분할방식에 의한 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KR95-37919 1995-10-26
KR96-6465 1996-03-12
KR1019960006465A KR970009394A (ko) 1995-07-10 1996-03-12 영상신호 압축장치 및 압축방법
KR1019960006465 1996-03-12
KR1019960027496A KR100248998B1 (ko) 1995-07-10 1996-07-08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13A KR970009413A (ko) 1997-02-24
KR100248998B1 true KR100248998B1 (ko) 2000-03-15

Family

ID=274830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465A KR970009394A (ko) 1995-07-10 1996-03-12 영상신호 압축장치 및 압축방법
KR1019960011367A KR100205850B1 (ko) 1995-07-10 1996-04-16 물체의 모양적응 영역 분할방법
KR1019960027496A KR100248998B1 (ko) 1995-07-10 1996-07-08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465A KR970009394A (ko) 1995-07-10 1996-03-12 영상신호 압축장치 및 압축방법
KR1019960011367A KR100205850B1 (ko) 1995-07-10 1996-04-16 물체의 모양적응 영역 분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9700093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998B1 (ko) * 1997-07-02 2005-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영상부호화시영상크기정보표현/부호화방법
KR20030032355A (ko) * 2001-10-17 2003-04-26 이호석 움직임 객체 에지를 이용한 브이오피 추출방법
EP3011645B1 (en) 2013-06-18 2019-03-13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95A (ko) 1997-02-24
KR100205850B1 (ko) 1999-07-01
KR970009413A (ko) 1997-02-24
KR970009394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501A (en) Grid moving method for minimizing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US6738424B1 (en) Scene model generation from video for use in video processing
US6075875A (en) Segmentation of image features using hierarchical analysis of multi-valued image data and weighted averaging of segmentation results
CN101536528B (zh) 用于分解视频序列帧的方法
US5692063A (en) Method and system for unrestricted motion estimation for video
EP1016286B1 (en) Method for generating sprites for object-based coding systems using masks and rounding average
JP2000507413A (ja) 一般的な任意の形状の表示および符号化
CN103765884A (zh) 使用非对称插值滤波器的图像插值的方法及其设备
CN112750201B (zh) 三维重建方法及相关装置、设备
US20040190616A1 (en) Segmented motion estimation with no search for smalll block sizes
KR100209885B1 (ko) 적응적 제어점제거에 근거한 영상의 불규칙 삼각형메쉬 표현을 위한 방법
CN115118977B (zh) 针对360度视频的帧内预测编码方法、系统及介质
EP0809404A2 (en) Apparatus for coding an object region of a video signal by using a rearranged block-based technique
CN110166770B (zh) 视频编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0248998B1 (ko) 대상물 영상의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호화/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CN114079792A (zh) 视频编码参考块的压缩方法、编码方法和装置
CN111970512B (zh) 编码方法、设备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KR100239291B1 (ko) 선택적인 화소 탐색을 이용한 그리드 이동방법 및 장치
WO2001049028A1 (en) Scene model generation from video for use in video processing
Karthik Ganesh et al. RETRACTED ARTICLE: Development of video compression using EWNS linear transformation and un-repetition simulated contrary based resurgence procedure
KR100417132B1 (ko) 대상물영상의부호화방법및부호화장치
KR100420471B1 (ko) 대상물영상의부호화방법및부호화장치
KR100424684B1 (ko) 대상물영상의부호화방법및부호화장치
Zan et al. Multiplicationless Burt and Adelson's pyramids for motion estimation
KR100417137B1 (ko) 대상물영상의부호화방법및부호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