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446B1 -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 - Google Patents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446B1
KR100248446B1 KR1019970704935A KR19970704935A KR100248446B1 KR 100248446 B1 KR100248446 B1 KR 100248446B1 KR 1019970704935 A KR1019970704935 A KR 1019970704935A KR 19970704935 A KR19970704935 A KR 19970704935A KR 100248446 B1 KR100248446 B1 KR 10024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upright
suitcase
whee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1544A (ko
Inventor
찰스 이. 제이알. 와델
앤드류 지온츠
윌리암 엘. 킹
롤랜드 이. 몬기우
데이비드 에이. 컴린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레오나르드
삼소나이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636,595 external-priority patent/US5630521A/en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레오나르드, 삼소나이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토마스 레오나르드
Publication of KR1998070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안정되고 균형이 잡힌 자세로 가방이 직립하여 있을 수 있는 바퀴들(50, 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지지면을 따라 밀거나 끌 수 있도록 핸들(4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행용가방은 네 바퀴 내지 두 바퀴로 밀거나 끌려질수 있는데, 네 바퀴가 사용될때에는 가방과 내용물의 전체 중량이 바퀴에 가해지며, 가방의 중량의 일부를 사용자의 팔이 감당하지 않아도 되도록 되어 있다. 가방의 본체는 수직으로부터 특정한 기울기각을 갖는 전방면(36)과 후방면(34)이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쪽으로 가방의 본체를 기울임으로써 지지면을 따라 바퀴로 이동될 때 안정성이 향상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본체의 형상과 미는 핸들 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
최근 수십년 동안 바퀴가 부착된 여행용가방은 급속도로 성장해온바, 19세기 후반에 이미 목재활주로나 짐대에 장착된 소형 금속바퀴를 구비한 대형목재 트렁크가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수년동안 수평 주축을 구비하고 둘 또는 네 개의 바퀴를 갖춘 종래의 가방이 산업상에 있어서 표준으로 통용되었다, “풀맨(Pullman)”가방으로 알려진 이 가방들은 가방의 바닥면에 부착된 바퀴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방의 상부모서리 부근에 부착된 끈이나 핸들로 끌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바퀴가 부착된 풀맨가방은 바닥에 2개의 고정축 바퀴를 구비하고 있는바, 이 바퀴들은 후방 끝부분에 비교적 협소한 폭을 따라 상호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다리바퀴 형태의 바퀴들은 가방의 전방끝부분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소 좁고 높은 짐수레처럼 상기 네 바퀴로 가방을 끌게 되어있다. “카트휠(cartweel)” 상표로 알려져 있는 샘소나이트사(Samsonite.co)의 또 다른 형태의 풀맨 가방제품은 가방의 바닥면의 하부 후방끝부분에 2개의 고정축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전방끝 부근의 바닥면에 작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지주로 된 한 쌍의 활주대가 부착되어 있으며, 신장된 손잡이가 전방면의 상단부에 있는 피봇축에 장착되어 있고, 손잡이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통상 상기한 전방면에 대해 동일 평면상에 있다. 축장착대는 받침대를 구비하는바, 핸들이 보관위치로부터 선회될 때 가방의 외부에서 핸들을 고정하는 최외부 위치로 선회되는데, 이때 이 핸들의 피봇끝단이 지지된다. 이러한 보관위치에서 사용자는 가방의 전방을 끌어올리게 되고 활주대가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가방이 후방휠로 굴려질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형태의 바퀴가 부착된 수직의 여행가방은 하부면(lower face)의 긴 선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한 쌍의 고정축바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바퀴들은 가방이 폭 방향으로 구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가방의 상부면(upper face)에는 상기 두 바퀴로 균형을 잡도록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예로서, 샘소나이트사의 “피지백(piggyback)이란 상표를 달고 보급된 가방을 들 수 있는데, 수화물 카트(1uggage cart)기능을 상기한 두 바퀴 가방에 결합시킨 것으로 구동 핸들은 가방의 위쪽으로 편리한 위치까지 미끄러지도록 단일 로드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에 달린 끈으로 보조 가방을 매달면서 바퀴가 부착된 방향으로 기울이도록 되어있다.
티베츠(Tibbetts)의 미합중국 특허 제1,757,490호에 가방을 운반하는 데 사용한 바퀴가 부착된 손수레가 나오지만, 지면과 접지한 네 바퀴가 구를 때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위해 손수레의 프레임을 기울이는 방안이 제안되지 않았다.
매킨타이어(Mclntyre)등이 획득한 미합중국 특허 제2,596,578호에는 수직 위치에서 사용자가 운반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한 쌍의 바퀴가 부착된 가방이 제안되어 있지만 가방이 독립적으로 직립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지지하고 균형을 잡아주어야만 하였다.
고울드(Gould)의 미합중국 특허 제3,861,703호를 보면 지면을 구르도록 수직가방의 하부면에 네 개의 바퀴가 장착된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동중에 기울일 수가 없으며, 위크먼(Wickman)의 미합중국 특허 제4,679,670호에 기재된 바퀴가 부착된 직립가방은 주축이 지면에 수직하여 동적 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세인하베(Seynhaeve)의 미합중국 특허 제5,044,476호에 기재된 직립한 자세로 구를 수 있는 가방은 바람직한 특정 경사각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구를 때 사용자가 팔에 응력을 초래하면서 일정하게 수동으로 지지할 필요없이 안정적인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이 요구되어 왔다.
본 출원은 그 기술이 본 출원에 병합된 1995년 11월 22일자의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601,007,454호와, 1996년 3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 제601,013,06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된 주축을 갖고 직립하여 지면을 구를 수 있도록 되어 사용자의 팔에 걸리는 피로를 감소시키도록 된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는바, 본 발명의 한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배면도.
제4도는 사용자에 의해 지지면을 따라 밀려지고 있는 제1도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제5(a)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5(b)도는 당김식 핸들부의 일부 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절단면을 보여주는 제1도의 실시예의 측면의 부분확대도.
제6도는 당김식 핸들부의 일부 부재들을 나타내기 위한 절단면을 보여주는 제1도의 실시예의 정면의 부분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제1도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치수적 특성을 설명하는 제1도의 실시예의 개념적인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당김식 핸들부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실시예의 세부 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해 약 90° 로 회전된 제9도의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제11도는 제10도의 실시예의 한 구성부재의 측면의 확대도.
제12도는 당김식 핸들부의 또 다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본 발명의 측면의 부분 개략도.
제13도는 제12도의 실시예의 상단부분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3실시예의 치수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개념적인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실시예의 저면도.
제17도는 당김식 핸들부의 조정상태를 설명하는 제15도의 실시예의 부분 배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실시예의 일부분의 확대도.
제19도는 제17도의 실시예의 19-19선 부분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립자세로 지지면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여행용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평행육면체인 본체의 깊이(폭과 높이에 직각인 방향의 크기)나 폭이 높이 보다는 작으며, 적어도 한쌍의 바퀴가 폭 방향으로 길게 이격되어 본체의 하부면 후방모서리 부분을 따라 위치하며, 당김핸들이 본체 상부면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가방이 바퀴로 지지면을 따라 이동되고, 본체의 대략 기하학적 중심에 무게중심이 위치하고 있는데, 개선된 발명에는 상기 한 쌍의 바퀴의 전방에 깊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본체의 하부면에 적어도 또 하나의 다른 바퀴가 부착되며, 이 다른 바퀴는 본체가 한 쌍의 바퀴와 또 다른바퀴로 지지되어 있을 때 본체의 주축이 수직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되되, 무게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은 한 쌍의 바퀴와 또 다른 바퀴들 사이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가방은 바퀴위에 다른 지지력없이 혼자서 서있을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의 바퀴들에 의존하여 핸들을 사용하여 밀거나 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부터 약 9° 내지 12° 이며, 핸들은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손잡이는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장된 로드에 부착된다. 상기 신장된 로드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부터 40°~45°의 각으로 본체로부터 신장되며, 본체의 주축에 평행하게 신장되도록 부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주축이 수직으로부터 가장 바람직한 약 10°의 각으로 기울어질 때 수직으로부터 대략 42°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사용위치로 선택적으로 선회되도록 본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핸들과 본체의 형태에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에 최소한의 하중이 걸리도록 하면서 지지면을 따라 직립위치에서 구를 수 있도록 된 바퀴가 장착된 직립 여행용가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면을 따라 이동할 때 안정적이면서 지지면을 따라 밀어서 이동되도록 된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장점은 사용자가 손으로 가방을 지지하여 안정화시킬 필요없이 지지면을 따라 직립 여행용가방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수동으로 기울일 필요없이 통상 바퀴로 굴려 이동할 수 있는 위치를 가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사용자의 팔목과 팔꿈치 및 어깨에 걸리는 가방의 하중을 최소화하며, 사용자의 팔이 불편하거나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방이 이동되는 것이고, 지지면을 따라 이동할 때 동적 안정성이 제공된다는 데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과 효과 그리고 새로운 특징들과 적용범위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언급될 것이며, 당해 전문가라면 후술하는 고찰에 의거하여 실시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는 첨부된 청구항에 설명된 수단과 조합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행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여행가방은 기본적으로 6개의 면과 핸들을 구비한 평행육면체의 본체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직립”이란 바퀴가 부착된 여행가방이 지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표준적인 위치에 있을 때, 그 주축이 거의 수직(수직으로부터 대략 45° 이하의 각도) 으로 정향된 것을 의미하며, 가방 본체의 “주축”은 본체의 무게중심을 통과하고 2개의 가장 폭넓게 분리된 마주보는 양면으로 분할하되, 양면을 분할하는 평균거리와 대체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통상 주축은 대칭축으로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부근을 가로지르게 되므로, 상기 직립 여행용가방은 지지면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중에도 주축이 땅이나 마루 혹은 지지면과 대체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는 바퀴가 장착된 여행용가방과는 상이하다. 예컨대, 이러한 정의에 따르자면 종래의 “풀맨(pullman)” 여행가방은 2개의 바퀴로 이동되든 4개의 바퀴로 이동되든 “직립”여행용가방이 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하나 이상의 자세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면 이상에 핸들 및/또는 바퀴를 구비한 가방류에서처럼 본 직립 여행용가방도 반드시 직립 위치로만 이동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수직위치로 끌려 이동하는 바퀴달린 가방에서 실현되지만 반드시 이렇게 운송될 필요는 없다.
지금까지의 여행용가방의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바퀴가 장착된 직립 가방들은 사용자가 불편하다거나 불안정하다는 두가지 문제중 한가지를 안고 있었는데, 통상적으로 바퀴가 부착된 직립 가방들은 수직으로부터 기울어 져서 두 개의 바퀴로 견인되어야 하는바, 직립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지지해 주어야 하며 사용자의 팔에 불편과 피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종래의 직립 여행용가방은 전형적으로 수축/신장가능하면서 한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의 가방을 끄는 데 사용되는 당김식 핸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두 개의 바퀴는 통상 가방의 하부면 한쪽에 부착되고 가방은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 져서 견인 자세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뒤로 뻗은 팔에 걸리는 상당한 하중을 감내하면서 가방이 기울어져 견인되는 자세를 유치하도록 계속 지지하여야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바퀴로 구획된 바퀴 부착면 위에 가방의 무게중심을 위치시킴으로써 직립 구동 자세를 유지하기위해 사용자가 가방의 하중을 감내할 필요성이 없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적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종래의 바퀴가 부착된 직립 가방들, 예컨대 위크먼(Wickman)의 미국 특허 제4,679,670호는 사용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두 개이상의 바퀴가 사용되고 있지만 매우 불안정하고 이동중 조종이 어려웠다. 이와같은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이동중에, 특히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바퀴들이 지지면에서 균열이나 자갈같은 불균일물과 접하게 될 때 가방이 과도하게 기울어지려 한다는 것인데, 바퀴가 균열이나 자갈을 접했을 때 표면의 불균일물은 지속적인 구름회전을 방해하며 바퀴아래에서 “굄목(chock)”처럼 작용하는데 두꺼운 직물이나 거친 카페트도 이와 유사한 바람직하지 못한 굄목현상을 일으킨다. 그리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바퀴의 회전이 방해를 받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가방에 전해지는 이동력은 굄목현상이 일어난 바퀴의 축에 대하여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되며, 만일 이 바퀴가 신속히 이 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면 상기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가방이 바퀴축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가방은 구르지 못하고 전복되고 만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사용자가 가방을 당길 때보다 밀어서 이동하려는 경우에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가방의 이동에 관련된 힘들에 대해 특별하게 가방의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굄목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제거되거나 개선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 제5(a)도 및 제7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가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하고자 한다. 상기 여행용가방은 개인용품과 기타 다른 것들을 보호하고 운반할 수 있도록 실어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33)을 둘러싼 본체(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30)는 단단한 표면(예컨대 열가소성물질로 제조된)이나 부드러운 표면(예컨대 직물)으로 되어있다. 통상적으로 본체(30)는 상부면(31)과 하부면(32), 후방면(34), 전방면(36), 그리고 두 개의 측면(37, 39)을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면들은 수납공간(33)을 둘러싸고 구획하는 대체로 평평한 판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중 임의의 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켓 혹은 운반핸들, 장식, 가장자리 장식과 같은 것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평행육면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하부면(32)과 상부면(31)을 구성하는 평면들은 거의 평행하고 측면(37, 39)들을 구성하는 평면들은 일반적으로 평행하며 후방면(34)과 전방면(36) 역시 서로 평행하다.
상기 평행육면체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체(30) 전반에 걸쳐 완전하게 그 외형이 유지되는 것은 아닌바, 예컨대 상부면(31)보다 하부면(32)이 다소 크도록 설계되어 후방면(34)과 전방면(36) 혹은 양측면(37, 39)이 본체(30)의 상부면(31) 방향으로 약간 수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로 가능한 실시예에서 양측면(37, 39)이 하부면(32)에서부터 다소 협소한 상부면(31) 방향으로 약간 수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심미적이며 가방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동적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제1도에서 제5도까지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면(34)과 전방면(36)이 직각으로 상부면(31)과 하부면(32)을 교차하지는 않고, 오히려 상부면(31)과 하부면(32)은 지지면과 대체로 평행하지만, 후방면(34)과 전방면(36)은 지지면과 수직을 이루지는 않고 각 C(제8도에 도시됨)만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결국, 상부면(31)은 후방면(34)과 전방면(36)을 일정한 경사각으로 교차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하부면(32)은 일정한 경사각으로 후방면(34)과 전방면(36)을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제4도, 제5(a)도와 제8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는 일반적으로 장사방형(長斜方形)을 나타내는바, 제8도에 의거하여 가방의 주축(MA)은 바람직하게는 후방면(34) 혹은 전방면(36)과 평행하거나 양방면에 대해 평행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주축(MA)은 상부면(31)과 하부면(32)을 경사각으로 교차한다. 상기 본체(30)의 바람직한 형상은 후술될 실용성과 안정성에 있어서 이점이 있음을 나타낸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또한 외형과 수용력 그리고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면 이상의 면에 변형을 가한 것인데, 예컨대 또 다른 실시예는 종래의 외형을 갖는 본체(30)를 특징으로 하는바, 본체(30)의 측면은 일반적으로 장사방형보다는 직사각형을 이룬다. 상기 또다른 제3실시예에서 하부면(32)을 매우 큰 둔각으로, 혹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모서리로 나누어지는 두 개의 다른 평면부분으로 분할되도록하여 하부면(32)이 단일 평면판이 되지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적어도 세 개의 바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후방휠(50, 50′)과 두 개의 전방휠(52, 52′)로 된 네 개의 바퀴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네 바퀴 모두 가방의 하부면(32)에 부착되어 있는데 후방휠(50, 50′)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축 바퀴들로서 대체로 이동방향에 평행한 고정된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되어있으며, 전방휠(52, 52′)은 바람직하게는 “다리바퀴”형태로서 바퀴의 회전축이 지지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유지되지만 바퀴들은 수직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다리바퀴는 바퀴들이 전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방의 방향을 전환하는 일을 수월하게 해주는 것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다.
후방휠(50, 50′)들은 하부면(32)의 바로 밑에 고정되게 부착되되, 측면(37, 39)방향으로 위치가 설정되며, 이상적으로는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양측면(37, 39)에 근접하도록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제4도와 제5(a)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휠(50, 50′)들은 특히 가방의 후방면(34)에 관하여 위치가 설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면(34)과 하부면(32)의 교차선은 뒷바퀴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있지 않으며, 후방휠(50, 50′)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가방의 후방면(34)에서 뻗은 가상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쪽으로 약간 편향되어 후방휠들이 후방면(34)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두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바퀴들 자체가 일반적으로 후방 선단 부근에서 하부면(32)에 부착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하더라도 후방휠(50, 50′) 축들은 바람직하게는 본체(30)의 하부면 선단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는 바, 상기 후방휠들의 위치는 가방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계단을 이동할 때 편의를 제공하고, 제5도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휠(50, 50′)은 하부면(32)에 연결되어 있을뿐 아니라 움직이지 않도록 후방면(34)에 대해서도 고정되어야 한다.
캐스터(caster) 형식의 전방휠(52, 52′)은 하부면(32)과 전방면(36)의 교차선 근처의 하부면(32)에 결합된다. 전방휠(52, 52′)은 본체(30)의 전방면(36)에 인접하여 부착되지만 본체(30)가 장사방형이고, 미관과 캐스터를 보호할 필요성으로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향하여 전방면(36)의 약간 안쪽으로 설정되도록 제안되는데, 상기와 같이 완전히 본체(30)의 하부에 설정하여도 본 발명의 실용성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리바퀴(caster) 형태의 바퀴와 고정축 바퀴들을 역으로 장착할 수가 있는데 후방휠(50, 50′)에 다리바퀴를 사용하고 전방휠(52, 52′)의 위치에 고정축 바퀴들을 부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식으로 바퀴들을 역으로 장착하려면 바퀴간 거리(D+D′)(제8도에 도시됨)의 크기를 신중히 고려하여 조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 세 개의 바퀴가 부착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다리바퀴 형태의 전방휠을 구비하는 바, 상기 단일 전방휠은 양측면(37, 39)으로부터 등거리로 위치하며 전방면(36)에 인접하여 하부면(32)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장치가 이동방향으로 제시된 제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네바퀴로 밀려서 이동되는 것을 위주로 하나, 본 장치가 사용자의 뒤로 끌리거나 견인되어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견인될 때는 본체가 네바퀴 모두로 구동되거나 사용자쪽으로 더 기울어져 뒷바퀴들(50, 50′)로만 구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도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31)과 후방면(34)이 교차함으로 해서 생성되는 모서리 부근에 본체(30)와 연결되는 핸들부(40)가 구비되는바, 상기 핸들부(40)의 구성부재는 본체(30)로부터 신장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42, 42′)를 구비하며, 이 로드(42, 42′)에는 손잡이(44)가 부착되어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드(42, 42′)는 한 쌍의 곧고 평행한 강철 튜브로 되어 있다. 또 다르게는, 중심부에 위치한 단일 로드나 신장된 평판이 장착되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
손잡이(44)는 로드(42, 42′)위에 양측면(37, 39)방향으로 확장되고 사용자가 한손 혹은 양손으로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본체(30)를 밀거나 당겨 지지면을 따라 바퀴들(50, 50′, 52, 52′)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중심적인 특징은 중력에 대해 장치의 형태나 배치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5(a)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주축(MA)은 지지면에 관하여 기울어져 있다. 본 설명을 위해서 지지면은 항상 대체로 수평으로 가정되지만 이 가정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체(30)는 하부면(32)보다 상부면(31)이 사용자에게 더 근접하여 사용자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결국 제4도에서 처럼 본 장치가 지지면을 따라 밀려 이동되면 본체(30)는 이동방향으로부터 기울게되며, 기울어진 정도는 제8도에 도시된 각 Y이며 상기 각 Y는 본체(30)의 주축(MA)의 교선과 지지면에 수직한 직선사이의 각으로 정해지며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측정된다.
제8도는 본체(30)의 측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인 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힘 벡터 P와 W(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것은 아니다.)를 설명하고자 한다. 벡터 P는 손잡이(44)로 밀 때 사용자에 의해 본체(30)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며, 이 벡터 P의 방향과 크기는 여행용 가방 자체의 기하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지지면의 표면 상태라든지 사용자의 신장 등을 포함하는 이용 요소들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가 되고, 일반적으로 하중P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지지면에 평행하도록, 의도한 이동방향으로 주성분을 가진다. 또한 하중 P는 손잡이(44)에 손을 의지하고, 가방의 방향전환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밀어 내리려는 사용자의 본질적인 경향으로 인해 수직 하방으로, 실질적이지만 비교적 작은 성분을 가진다.
벡터 W는 여행용 가방의 총중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벡터 W의 크기는 여행용 가방의 중량과 본체(30)가 수용할 수 있는 짐의 양, 그리고 내용물의 무게 등에 따라 좌우된다. 본 설명을 위해 벡터 W는 본체(30)의 무게중심(CG)을 지나고 지지면에 수직한 직선에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입체 기하학의 원리에서 주지되다시피, 본체(30)의 무게중심(CG)의 공간상의 위치는 주로 물체의 3차원적 형태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설명에서 하중을 받는 가방의 무게중심(CG)은 실제로 그 위치가 본체(30)의 내용물과 하중을 받는 방식에 따라 다소 변하기는 하지만 기하학적 해석에 의해 위치가 설정될 수 있는 고정점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게중심(CG)의 위치는 가방의 본체의 설계된 형상에 의거하여 예측되고 설정될 수 있다.
벡터 P와 W는 특정한 시간의 수납된 가방의 중량과 사용자의 미는 힘 혹은 끄는 힘과의 합성에 의해 특정되는 단일 벡터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 합성벡터와 더불어 바퀴들(50, 50′, 52, 52′)를 통해 본체(30)에 작용하는 동일한 반력에 의해 가방 전체가 동적 평형상태에 있는지가 결정된다. 가방은 지지면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네 바퀴들이 구를 때 동적 평형이 되도록 기울어지지만 지지면에 평행한 어떠한 축에 대해서도 회전하지 않는바, 지지면에 평행한 어떤 축에 대한 회전은 가방이 기울어지는 동적 불안정성을 의미하며 이미 설명했듯이 이러한 문제점이 종래의 가방에서 흔히 발견된다.
가방의 동적 안정성은 벡터 P와 W의 합성벡터가 후방휠(50, 50′)의 축들과 전방휠(52, 52′)의 축들 사이에 있는 한 점에서 하부면(32)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따라 방향이 정해질 때 향상된다.(또한, 하중을 받는 가방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이 하부면(32)을 통과하지 못하면 가방은 바람직한 정적 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 즉,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 서있을 때 그 자중에 의해 넘어질 것이다.)
한편, 각 Y는 하부면(32)에 관하여 무게중심(CG)의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각으로 설정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더욱 간단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중인 당김식 핸들의 로드(42, 42′)는 본체(30)의 주축에 대체로 평행하며, 또한 각 Y의 크기는 미는 힘벡터 P의 작용점을 결정한다.
지금까지, 본 여행용가방의 심미적 외형을 유지하면서 전반적인 안정성이 최적화되도록 하는 각 Y의 값의 범위가 존재함을 결정한바, 상기 서된바와 같이 무게중심(CG)의 위치는 미는 힘벡터 P와 함께 가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특히 굄목현상의 동적 상태하에서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이다. 무게중심의 위치와 미는 힘벡터 P의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은 각 Y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각 Y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6° 내지 25° 정도의 범위이며 각 Y가 약 25° 보다 크게되면 본체(30)는 정적 불안정성의 징후가 나타난다. 즉, 본체(30)는 그 자중에 의해서 기울어진 방향인 후방으로 넘어지려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하중을 받는 경우에 심하게 나타나는데, 안정성을 위해 더 바람직한 각 Y의 범위는 약 9° 내지 12° 이며,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동적 안정성과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면 각 Y는 약 10°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1도 내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가방으로부터 완전히 신장될 수 있고, 제5(b)도와 같이 본체(30) 안으로 수축될 수도 있는 바,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로드(42, 42′)는 본체(30)의 내부에 들어 가게되며 손잡이(44)는 본체(30)의 외부에서 상부면(31)이나 하부면(32)에 인접하게 되고, 로드(42, 42′)가 수축되면서 가방은 차 트렁크에 적재하거나 공항 세관 검사를 할 때 등에 알맞은 형태가 된다. 상기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제4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가방을 끌거나 밀도록 완전히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는 가방이 이동될 수 있는 자세로 될 때 본체(30)로부터 신장된 핸들로드(42, 42′)에 대한 것으로 제5(a)도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겠지만 핸들부(40)는 본체(3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드(42, 42′)이동시에 수직에 관하여 각 X로 구획되고, 각 X는 제8도를 참조하면 손잡이(44)로부터 로드(42, 42′)가 본체(30)에 연결된 점까지 연장된 선과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지지면에 수직한 선사이의 각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손잡이(44)는 로드(42, 42′)와 동일 평면상에 있으므로 각 X는 이동방향과 평행한 평면의 수직선과 로드(42, 42′) 사이에서 간단하게 측정될 수 있다.
로드(42, 42′)의 길이와 각 X의 크기는 사용자가 손잡이(44)에 가하는 미는 힘의 위치에서 결정되는데, 선회시에 벡터 P의 방향(수평성분과 수직성분)에 현저한 영향을 주며, 벡터 P는 선회시에 하나 혹은 그이상의 바퀴에 굄목현상이 일어나면 본체(30)가 회전하면서 전복을 일으키는 과도회전 모멘트의 크기에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충분한 폭을 갖고 쉽게 손에 잡히는 높이로 사용자쪽으로 밀어올려지며 심미안적으로 안정된 위치를 갖는 핸들이 구비되어야 할 필요성뿐만 아니라 동적 안정성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부여되는 한계내에서 각 X의 크기가 최적화되어야한다.
한편, 본체의 경사각인 각 Y가 약 6° 내지 25°의 범위에 있을 때, 각 X는 10° 내지 48°의 범위가 되는데, 핸들각 X가 더 커지면 비례적으로 각 Y는 작아지며 그 역으로도 가능하다. 각 X가 약 48°를 초과하게되면 동적 안정성은 극도로 저하되며, 또한 각 X가 약 10°이하일 때도 안정성뿐만 아니라 심미적 관점 및 편의성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각각의 범위의 결합과 각 X와 Y의 특정한 크기로 안정성과 외형 및 편의성이 최적화됨이 결정되었는데, 본체(30)의 경사각 Y는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12°이며, 이에 따른 핸들의 경사각 X는 약 40° 내지 45°인데, 본체의 경사각 X가 증가함에 따라 핸들의 경사각 Y는 감소하게 된다. 사용자의 편의성과 용이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약 42°의 각 X에 대하여 각 Y가 약 10°의 각을 가지며, 본체(30)와 로드(42, 42′)가 상기와 같이 설치된 경우 본 발명은 사용상에 있어서 이상적인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심미성 뿐만 아니라 안정성 역시 본체(30)의 치수와 관련된 부분의 기능인바, 본체(30)는 지지면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상부면(31)과 하부면(32) 사이의 거리인 높이와 일반적으로 이동방향으로 지지면과 평행한 선을 따라 측정되는 전방면(36)과 후방면(34) 사이의 거리인 깊이 및 지지면에 평행하지만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양측면(37, 39)사이의 거리인 폭의 세 개의 주요한 치수를 갖는다.
바퀴가 부착된 여행용 가방들에 나타나는 문제는 심미성과 소비자취향 및 짐을 꾸리는데 있어서의 편의성등과 같은 안정성과 관련없는 요소들이 여행용 가방의 적절한 깊이를 제한하면서 동적 안정성은 길이방향 바퀴간 거리(제8도에 도시된 길이 D+D′)가 증가되도록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얇은 가방에 한 쌍의 바퀴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되었지만, 가방의 외부로 예컨대, 지지면에 평행하고 인접한 가방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스윙아웃 보조 프레임이나 래크에 또 다른 바퀴를 부착함으로써 바퀴간 거리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본체(30)의 주축을 바람직한 범위의 각으로 기울임으로써 본체의 깊이를 적절한 한계 내로 내릴 수 있으며 또한 모든 바퀴들이 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복잡하고 볼품없는 신장되고 선회가능한 보조바퀴프레임 등이 필요없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 본체(30)의 주축(MA)을 바람직한 각으로 기울임으로써 무게중심(CG)이 바퀴간 거리의 중심선으로부터 후방휠(50, 50′)쪽으로 미소거리(S) 만큼 이동된다. 바퀴간 거리의 중심선은 거리D와 D′가 같아지는 점이다. 또한, 자중벡터(W)가 바퀴간 거리의 중심선과 뒷바퀴(50, 50′)사이에서 하방으로 작용하도록 본체(30)를 기울임으로써 본체(30)는 견인되고 제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성이 저해되지 않고서 본체(30)의 깊이는 높이와 폭에 관하여 적절하게 비율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어진 깊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는 깊이의 약 220% 내지 230% 정도이며 폭은 깊이의 약 170% 내지 180% 정도이다. 이런 연관된 비율을 적용함으로써, 본체(30)의 충분한 내부부피를 유지하면서도 바람직하게 깊이가 제한됨(예컨대, 대략 28cm)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형상이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방면(36)과 후방면(34)이 주축(MA)과 평행하게 기울어지고 상부면(31)과 하부면(32)이 지지면과 평행한 장사방형의 측면이 상부면(31)과 하부면(32)이 직각으로 전방면(36)과 후방면(34)을 교차하는 직사각형 측면을 가진 종래가방의 형상에 비하여 가방의 전반적인 무게중심을 낮추는 부가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직사각형 실시예에 비해서, 본체(30)의 장사방형 실시예는 가방의 최상단부에서 최하단부까지의 내부 부피를 효과적으로 지지면 가까이 이동시킴으로써 지면과 “밀착되는”것이다.
한편,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제5(a)도와 제8도에 점선으로 도시되는 “상부” 혹은 “보관”위치와 상기 도면에서 실선으로 그려진 “하부”혹은 “사용” 위치인 두 개의 주요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바,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제5(a)도에 도시된 최단방사상 위치중 하나에까지 각 B(제8도에 도시될)사이에서 앞뒤로 조종가능하도록 선회될 수 있으며,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이하 기술될 멈춤쇠 장치에 의해 이 두 위치중 한 위치에서 잠기고 지지되는데, 로드(42, 42′)와 손잡이(44)가 도 제5(a)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사용위치에 오면,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본체(30)를 밀거나 당길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 것이다. 상기 손잡이(44)에 가해지는 강한 상향 압력은 핸들로드(42, 42′)가 보관위치까지 제5(a)도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인 방사상으로 움직이도록 멈춤쇠 장치를 풀게 되는데, 상기 멈춤쇠는 더 이상의 회전운동을 못하도록 핸들부(40)를 구속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보관위치에서는 로드(42, 42′)는 대체로 후방면(34)을 포함하는 가상면에 동일하거나 평행에 가깝게 본체(30)로부터 신장되는데,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위치에 있을 때 로드(42, 42′)는 수직으로부터 각 A로 규정되는바, 본 발명의 간단한 실시예에서, 전방면(36)과 후방면(34)을 포함하는 평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평행하므로 각 A는 대체로 각 C와 동일하며, 상기 상부 혹은 보관위치로부터 로드(42, 42′)는 제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한 저장을 위해 본체(30)안으로 내려간다. 제5(b), 6, 9, 10, 11도는 핸들부(40)의 세부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로드(42, 42′)가 본체(30)에 관하여 선회하고 또한 본체(30)로부터 신장되고 수축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핸들부(40)는 대체로 견고한 장착부재(60)를 구비하는바, 한 쌍의 래치트블록(ratchet block, 62, 62′)과 상기 래치트 블록(62, 62′)의 각각과 마주보는 한 쌍의 회전칼러(rotator collars, 64, 64′) 및 한 쌍의 붙임판(78, 78′)을 구비하는데, 상기 래치트 블록(62, 62′)과 회전칼러(64, 64′)는 내구성과 내분쇄성이 강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단일부재이며 상호 결합하는 다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핸들부(40)의 다양한 부재들을 둘러싸고 지탱하기 위해서 특별한 모양을 갖도록 주입식으로 주조된 프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60)는 특별한 형상으로 되어있지만 좌우대칭으로 되어있어 한쪽면만을 설명함으로써 전체가 설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체결캡(43, 43′)과 스프링(45,45′), 로드슬리브(77, 77′) 등 핸들부의 또 다른 부재들이 유사한 쌍으로 나타나는데, 역시 이들 부재들중 한쪽만을 설명해도 양쪽 모두를 설명하는 것과 같다.
장착부재(60)의 양끝단은 일반적으로 아치형의 플랜지(65, 65′)로 구성되어 있는바, 제5(b)도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65, 65′)는 동일한 모형을 가진 상단프레임부재(70, 70′)와 후방프레임부재(72′)에 나사나 리벳을 매개로하여 부착되며, 이 프레임부재들(70, 72)은 부드러운 측면을 가진 실시예의 본체(30)의 주요한 구조적 부재들이다. 본 도면은 상기 프레임부재들(70, 72)을 분리된 부재로서 설명하는 반면, 각 측면 프레임(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가 구비됨)은 양측면(37, 39)을 지지하기위한 적절한 장사방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셋 혹은 네 군데에서 굽어지고 끝단과 끝단이 결합된 전체적으로 사출된 레일이 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장착부재(60)는 주조되어 단단한 측면을 가진 가방의 외측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착부재(60)는 본체(30)에 핸들부(40)를 구조적으로 연결시키는 주요장치로서 작용한다. 장착부재(60)는 제5(b)도, 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면(31)과 후방면(34)의 교차선에 혹은 부근에 있는 프레임이나 표면에 부착되어 핸들부(40)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제9도는 핸들부(40) 전체의 다양한 부재들에 대한 전반적인 위치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장착부재(60)는 단 한쪽만 도시된 프레임부재들(70, 72)에 부착되며, 회전칼러(64, 64′)는 래치트(62, 62′)와 마주보며 장착되고, 스프링(45, 45′)은 래치트블록(62, 62′)의 각각에 스프링샤프트(80, 제10도에 도시됨)에 축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래치트블록(62, 62′)과 회전칼러(64, 64′) 및 스프링(45, 45′)은 장착부재(60)에 있는 원통형 공동안에 장착된다. 로드(42, 42′)는 각각 장착부재(60)에 있는 분리된 동일한 로드홈(87, 제10도에 도시됨)을 관통하여 회전칼러(64, 64′)에 있는 로드삽입구(63, 63′)에 완전히 삽입되되, 각각의 로드삽입구(63, 63′)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각각의 로드홈(87)에 정렬되고, 로드삽입구(63)로부터 나온 로드(42, 42′)의 원주 끝단들 각각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체결캡(43, 43′)을 매개로 하여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붙임판(78, 78′)은 장착부재(60) 내에 장착된 스프링(45, 45′)과 회전칼러(64, 64′) 및 래치트블록(62, 62′)을 지지하도록 장착부재(60)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로드슬리브(77, 77′)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붙임판(78)에 부착된다. 제10도는 장착부재(60)의 한 편을 도시하며, 다른 편은 상대적인 위치는 반대지만 대체로 동일한데, 상기 장착부재(60)는 선회 가능한 핸들부(40)의 작동부재들을 안내하고 지지하며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바, 장착부재(60)의 각 면은 두 개의 인접하고 특별한 구획인 블록실린더(82)와 칼러실린더(84)를 구비하도록 고안되고, 상기 블록실린더(82)와 칼러실린더(84)는 각각 래치트 블록(62)과 회전칼러(64)를 수용하고 보호하도록 적용된 반원통형 공동이며, 양실린더는 각각 래치트블록(62)과 회전칼러(64)와 크기와 모양이 거의 같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60)는 로드홈(87)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홈(87)은 본체(30)의 상부면(31)과 후방면(34)의 교선부근이나 교선상에 위치하도록 장착부재(60)내에 위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2, 42′)는 본체(30)로부터 사용자쪽인 상부 외곽으로 신장되며, 로드홈(87)은 로드(42)의 단면크기보다 다소 큰 단면을 가지도록 되어있어 이하 설명되겠지만 로드(42)가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선회하기 위한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조립되어 작용되는 핸들부(40)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회전칼러(64)는 그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칼러실린더(84) 내에 설치되는바, 상기 회전으로 인해 연관된 로드(42)의 축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칼러실린더(84)의 길이는 회전칼러(64)가 래치트블록(62)과 칼러벽(88)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을 때, 길이방향으로 어떠한 심각한 이동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회전칼러(64)를 구속한다. 또한, 래치트블록(62)은 블록실린더(82) 내에 설치되는바, 상기 블록실린더는 칼러실린더(84)와 축을 공유하지만 반경은 더 작다. 래치트블록(62)은 블록실린더(82)에서 일치하는 홈이나 열쇠구멍과 연동하는 하나이상의 리지(ridge)나 열쇠를 구비하는바, 상기 연동으로 래치트블록(62)은 축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블록실린더(82)의 길이는 래치트블록(62)의 길이를 다소 연장시켜 래치트블록(62)은 장착부재(60)의 회전칼러(64)와 래치트블록벽(89) 부분사이에서 앞뒤로 미끄러져 이동한다. 따라서, 래치트블록(62)은 블록실린더(82) 내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지 않지만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유도를 갖는다. 역으로, 회전칼러(64)는 칼러실린더(84) 내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지만, 종 방향으로 움직일 수는 없다. 회전칼러(64)와 래치트블록(62) 양쪽 모두 붙임판(78, 78′)에 의해 상호간 일치하는 실린더(84, 82) 내에 장착되고 지지되며, 상기 붙임판은 장착부재(6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압축 스프링(45)은 래치트블록(62)에 있는 스프링 샤프트(80)에 설치되며, 회전칼러(64)에 대해 래치트블록(62)이 지속적으로 치우치고, 이어서 회전칼러(64)가 칼러벽(88)에 대해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45)이 래치트블록벽(89)과 래치트블록(62)사이에서 압축된다. 회전칼러(64)는 래치트블록(62)에 관하여 미끄러져 회전한다.
회전칼러(64, 64′)는 로드삽입구(63, 63′)에 의해 각각의 지름을 따라 완전히 관통되며, 상기 로드삽입구(63, 63′)를 통해 상응하는 로드(42, 42′)가 미끄러져 장착된다. 삽입구(63, 63′) 내에서 로드(42, 42′)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로드(42, 42′)가 본체(30) 내로 수축될 수 있다. 각 로드(42)의 원주끝단은 회전칼러(64)안으로부터 밀려올라간다. 즉, 로드체결캡(43)은 로드(42)가 삽입구(63) 밖으로 완전히 밀려나지 않도록 로드(42)의 원주 끝부분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9도에서 제11도는 각각의 회전칼러(64, 64′)의 내부끝단은 한 쌍의 방사상으로 편향된 캠그루브(66, 66′)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절단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인바, 캠그루브(66, 66′)는 일반적으로 지름방향으로 래치트블록(62)의 외부끝단을 가로질러 밀어올리는 캠리지(cam ridge, 61)와 상응하며, 래치트블록(62)의 외부끝단과 회전칼러(64)의 내부끝단은 스프링(45)의 편향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캠리지(61)는 캠그루브(66, 66′)들중 어느 하나와 상응하며 체결된다. 회전칼러(64)와 래치트블록(62)간의 상호작용과 캠리지(61)가 캠그루브(66, 66′)들중 어느 하나와 체결됨으로써 발생하는 해제가능한 잠금기능으로 핸들부(40)가 각 B를 따라 선회하며, 제5(a)도에 도시된 위치들중 어느 하나에서 해제가능하도록 잠긴다.
제11도에 주지된 바와 같이, 캠그루브(66, 66′)는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 B만큼 방사상으로 편향되며, 예컨대 캠리지(61)가 캠그루브(66) 내에 체결되면 로드(42)는 제5(a)도에 도시된 주요위치들중 어느하나, 예를 들면 점선으로 도시된 상부 보관위치에서 구속된다. 스프링(45)은 회전칼러(64)와 캠그루브(66)내의 캠리지(61)에 대하여 래치트블록(62)을 지탱하도록 칼러벽(89)으로부터 편중되고, 래치트블록(62)은 그 축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으므로 회전칼러(64) 또한 회전을 못하도록 해제가능하도록 구속되어 있으며, 로드(42)는 저장을 위해 본체(30) 내로 미끄러질 수 있는 보관위치에서 구속된다.
핸들부(40)로 인해 사용자는 보관위치로부터 제5(a)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사용 위치로 로드(42)가 선회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데, 사용자는 단순히 손잡이(44)에 순간적으로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캠리지(61)와 캠그루브(66)간의 체결이 해제되고, 계속 손잡이(44)를 하향으로 밀어 제5(a)도에 도시된 각 B를 따라 로드(42)가 선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드(42)의 운동으로 인해 회전칼러(64)는 동일한 각 B를 따라 회전하게된다. 회전칼러(64)는 그 축에 대하여 회전을 하지만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래치트블록(62)이 블록실린더(82)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칼러(64)는 래치트블록(62)에 관하여 회전하며,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은 스프링(45)의 압축력에 대하여 블록벽(82)쪽으로 약간 래치트블록(62)을 밀어내면서 캠리지(61)가 캠그루브(66)의 외곽과 측면으로 상승하듯이 캠리지(61)가 캠그루브(66)로부터 외곽으로 유도된다.
한편, 로드(42)의 지속적인 선회와 이로인해 초래되는 회전칼러(64)의 회전은 캠리지(61)와 또 다른 캠그루브(66')가 정렬되도록하는데, 스프링(45)에 의해 발생하는 편향력으로 인해 래치트블록(62)이 회전칼러(64) 쪽으로 미소거리만큼 후퇴하여 이동되며, 캠리지(61)가 다른 캠그루브(66') 내로 체결되어 다시 회전칼러(64)와 래치트블록(62)이 해제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의 체결위치에서 회전칼러(64)는 제5(a)도에 도시된 하부위치에서 로드(42)를 지탱하고 핸들부(40)는 가방을 밀거나 끌 수 있는 사용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칼러(64)가 칼러실린더(84)내에서 동일한 각으로 회전할 때 로드(42)가 또 다른식으로 제5(a)도에 도시된 두 위치사이에서 전후로 선회될 수 있는바, 래치트블록(62)이 각각의 주요위치들중 어느 하나에서 로드(42)가 구속되기 위하여 캠리지(61)가 캠그루브(66, 66')들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축상에서 전후로 왕복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로드(42, 42')는 제5(b)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본체(30)내로 수축될 수 있는데, 로드(42, 42')의 수축은 제5(a)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상부보관위치에서, 즉 수직으로부터의 각 A(제8도에 도시됨)에 있을 때만 발생한다. 로드(42, 42')와 손잡이를 수축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로드(42, 42')와 평행하게 손잡이(44)를 하향으로 밀면 된다. 로드(42, 42′)의 또 다른 위치에서, 로드(42, 42′)가 각 A보다는 크지만 각 X보다는 작거나 같은 각으로 한정될 때, 손잡이(44)에 발생하는 힘은 지지면을 따라 가방이 이동하는 운동으로 변화되고, 상기 선택적 사항은 체결캡(43, 43′)과 붙임판(78, 78′)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제10도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개별의 로드(42)는 압축되는 멈춤쇠(41)가 삽입되어 있는바, 상기 멈춤쇠(41)는 로드(42)의 원주끝단에서 미소거리만큼 밀려나와 있으며, 멈춤쇠(41)와 상응하는 그루브(68)는 로드삽입구(63)의 표면 안쪽을 따라 나있는데(제11도에 도시됨), 로드(42)가 로드삽입구(63)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때 로드삽입구(63)내에서 축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멈춤쇠(41)가 그루브(68)내에서 미끄러지도록 되고, 로드삽입구(63) 내에서 그루브(68)를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멈춤쇠(41)가 삽입되는 오목한 함몰부(67)가 있으며, 상기 함몰부(67)는 핸들로드(42)가 본체(30)로부터 완전히 밀려나오고 체결캡(43)이 회전칼러(64)에 대응하여 끌려올라갈 때 체결소리가 들리도록 회전칼러(64)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멈춤쇠(41)와 함몰부(67)의 해제가능한 체결로서 사용자는 로드(42, 42′)가 사용위치까지 연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로드(42)가 그 자중하에 로드삽입구(63)를 따라 미끄러져 다시 본체(30)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드(42)의 원주끝단은 회전칼러(64)에 있는 로드삽입구(63)로부터 나오는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로드(42, 42′)의 원주끝단에 한쌍의 체결캡(43, 43′)이 부착되고, 상기 체결캡(43, 43′)은 로드삽입구(63)보다 큰 반경으로 되어있으므로 로드(42, 42′)가 회전칼러(64, 64′)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드(42, 42′)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신장된 위치까지 나오도록 손잡이(44)를 본체(30)로부터 끌어올릴수 있게 되며 그때 로드(42, 42′)가 더 이상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로드체결캡(43)이 회전칼러(64, 64′)와 맞부딪치게 된다.
로드(42, 42′)가 사용위치에서 체결되도록 하는 회전칼러(64, 64′)가 방사상 위치로 회전하면, 체결캡(43, 43′) 또한 각각의 회전칼러(64, 64′)와 붙임판(78, 78′) 사이의 중간위치로 회전되는데, 이 위치에서 로드(42, 42′)는 체결캡(43, 43′)과 붙임판(78, 78′)간의 접촉에 의해 신장된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로드(42, 42′)가 보관위치에 오도록 회전칼러(64, 64′)가 회전되면, 각각의 체결캡(43)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60)에 있는 상응하는 로드홈통(86)과 마주보도록 선회되고, 함몰부(67, 제11도에 도시됨)로부터 멈춤쇠(41)가 해제되자마자 로드(42)는 회전칼러(64)를 따라 자유롭게 미끄러지며 로드홈통(86)을 따라 빠져나오게 되므로 장착부재(60)와 붙임판(78)사이를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42)는 제5(b)도에 도시된 수축위치로 하강한다.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관을 위해 로드(42, 42′)와 손잡이(44)를 수축시키고자 할 때(예컨대 공항에서 여행용 가방을 검색받고자 할 때), 사용자는 맨처음 핸들이 완전히 직립 보관위치로 오도록 각 B를 따라 로드(42, 42′)를 회전시키며, 그후 손잡이(44)를 하향으로 강하게 두드리거나 밀면서 로드(42)가 회전칼러(64)를 따라 본체(30) 내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함몰부(67)로부터 멈춤쇠(41)가 해제되도록 한다.
제5(b)도와 제6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슬리브(77, 77′)는 로드(42, 42′)가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보호할 수 있도록 부가적으로 장착되는바, 상기 로드슬리브(77, 77′)는 붙임판(78, 78′)에 부착되며 또한 본체(30)나 그 프레임에도 부착될 수 있는데, 본체(30)의 수납공간(33)의 내용물로 부터 수축된 로드(42, 42′)가 분리되도록 한다.
제5(b)도와 제6도는 완전히 설치되었을 때, 핸들부(60)의 대부분이 수납공간(33)내에 내장되고 따라서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게된 것인 바, 로드삽입구(63, 63′)내에서의 왕복운동에 의해 로드(42, 42′)는 본체(30)내로 거의 완전히 수축될 수 있으나 손잡이(44)는 항상 내부공간(33)의 외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선회가능한 핸들부(40)를 제공함으로써 파손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인데, 본체(30)가 사용자쪽으로 완전히 과도하게 기울어서 지면에 떨어지게되면 후방면(34)이 지면과 충돌하기전에 손잡이(44)와 로드(42, 42′)가 먼저 지면과 충돌하게되며, 손잡이(44)가 지면과 충돌하게 되면 사용위치에서 로드(42, 42′)와 손잡이(44)를 체결하던 멈춤쇠(41)가 풀리게 되고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분절되거나 휘어지지 않고 보관위치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은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제5(b)도에 도시된 형상으로, 즉 수축가능한 형상을 가진 핸들부를 구비함으로써, 차트렁크나 공항의 가방 회전운반대가 굳이 필요없게 된다. 이때에, 각각의 래치트블록(62)에 있는 캠리지(61)는 회전칼러(64)에 있는 첫 번째 캠그루브(66)와 체결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모든 네 바퀴(50, 50′, 52, 52′)가 지지면에 접촉하도록 지지면위에 본체(30)를 놓고, 손잡이(44)를 파지하여 상부외곽으로 잡아당기면 각 로드(42)는 각각의 로드슬리브(77) 내에서 밖으로 미끄러져 로드홈통(86)을 경유하여 붙임판(78)과 장착부재(60)사이를 통과하며, 멈춤쇠(41)가 회전칼러(64) 내에 있는 함몰부내로 삽입될 때까지 회전칼러(64)를 따라 끌려오게 되고, 상기 로드(42, 42′)는 체결캡(43)이 회전칼러(64)와 접촉함으로써 더 신장되지 못하도록 잠겨지며, 따라서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최대한으로 신장된다. 사용자가 손잡이(44)를 하향으로 강하게 밀게되면, 각각의 회전칼러(64)가 회전하게되고 캠리지(61)가 각각의 첫 번째 캠그루브(66)의 상단 외부로 이동하고, 캠리지(61)가 두 번째 캠그루브(66′) 내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까지 로드(42, 42′)는 각 B를 따라 하방으로 선회하며, 따라서 상기 로드(42, 42′)와 손잡이(44)는 사용위치로 해제가능하도록 잠겨진다. 사용위치에서, 체결캡(43, 43′)은 각각의 붙임판(78, 78′)의 내부 표면과 접촉 내지는 거의 접촉하도록 이동되고, 그리고나서 사용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용 가방이 지지면을 따라 굴러서 이동되도록 손잡이(44)를 밀거나 당기게 되는데, 사용자가 미는 힘은 맨처음 체결캡(43, 43′)으로, 그 다음엔 붙임판(78, 78′)으로, 그 다음엔 장착부재(60)와 슬리브(77, 77′)를 따라서 가방의 프레임으로 하향이동되어, 지지면을 따라 편안하고 용이하게 구르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다.
핸들부(60)를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의 과정을 역순으로 반복하면 되는데, 로드(42, 42′)는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캠리지(61)가 두 번째 캠그루브(66′)의 외부에 부딪치고 스프링(45)에 의해 첫 번째 캠그루브(66)로 밀려갈 때까지 각 B를 따라 상방으로 선회되고, 그리고나서 사용자는 로드(42, 42′)에 평행한 방향으로 손잡이(44)를 밀게되면 멈춤쇠(41)는 각각의 함몰부(67)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각각의 체결캡(43, 43′)은 붙임판(78, 78′)으로부터 자유로와지며 사용자가 계속 하향으로 미는 힘을 가함으로써 제5(b)도에 점선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손잡이(44)가 본체에 대하여 정돈된 위치에 오고 로드(42, 42′)가 로드슬리브(77, 77′)내에 수축될 때까지 회전칼러(64, 64′)와 로드홈통(86, 86′)을 따라 미끄러진다.
또 다른 핸들부들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설계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작되는 또 다른 핸들부를 설명하고 있는데, 상기 핸들부는 매우 일반적인 “U”자형 핸들을 구비하는바, 넓은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며 그 원주끝단이 횡방향의 그립바(grip bar, 90)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핸들바(92, 92′)로 구성되어 있다. 제12도와 제13도를 참조하면 그립바(90) 자체는 핸들바(92, 92′)를 포함하는 평면과 일정한 각이 형성된 넓고 얇은 “U”자형 바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핸들바(92, 92′)에 관한 그립바(90)의 각이진 위치는 핸들부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지지면 위로 바람직한 높이에, 예를 들어 약94cm 정도에 그립바(90)가 위치하지만 핸들부가 제12도에 점선으로 가상화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정상에 평평한 보관위치로 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2도는 핸들바(92, 92′)와 그립바(90)로 구성된 핸들부의 형상이 비록 직각은 아니지만 “L"자 형상을 이루며 핸들부가 보관위치로 선회될 때 핸들바(92, 92′)가 상부면(31)에 평행하여 상부면(31)과 접촉하도록 접히게되며, 그립바(90)는 전방면(36)에 대해 안정되게 놓이도록 전방면(36)과 상부면(31)의 교선을 감싸게된다. 상기 보관위치에서, 핸들부는 가방이 항공기나 버스 등의 짐칸에 적재될 때 보호될 수 있다.
핸들바(92, 92′)는 본체(30)의 상단부에 선회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데, 선회가능한 연결부는 상기 핸들바(92, 92′)의 끝단에 근접하여 본체 혹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에 탑재된 피봇브래킷(94, 94′)을 구비한 피봇핀부재(95, 95′)의 결속으로 실현된다. 핸들바(92, 92′)가 본체(30)에 결속되기는 하지만 제12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사용을 위한 위치와 점선으로 표시된 보관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핀들은 피봇핀부재(95, 95′)로부터 피봇브래킷(94, 94′) 내의 소켓으로 수직으로 신장된다.
선회가능한 핸들부가 보관위치에 있을 때 제13도와 제14도에 도시된 스트랩(96)에 의해 결속될 수 있는데, 이 스트랩(96)에는 상부면(31) 혹은 전방면(36)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한 끝단이 있으며, 그립바(90)가 본체(30)에 접하게되면 유연한 스트랩(96)이 그립바(90)를 감싸고 그 자유단은 버클에 채워지거나 잠겨지거나 그렇지않으면 저장된 핸들부를 지지하도록 상부면(31)에 결속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과 이점은 상기의 또 다른 핸들부로써 얻어지는데, 무게중심(CG)과 경사각(Y)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상기 그립바(90)가 제12도에 도시된 또 다른 형상과 같이 동일한 평면내에 있지 않으면, 핸들각(X)은 그립바(90)로부터 핸들바(92, 92′)가 본체(30)에 연결된 점으로 연장된 가상선(핸들바(92, 92′)와 동일선상이 아닌 선이다)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획되고, 상기 그립바(90)와 핸들바(92, 92′)가 제12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대기(ready) 혹은 사용위치로 선회되면, 그립바(90)로부터 피봇핀부재(95, 95′)에 까지 이르는 선과 수직선 사이의 바람직한 각 X는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주축의 경사각 Y가 약 6° 에서 25°의 범위에 있을 때 약 10°에서 48°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핸들부는 수직에서부터 약 40°에서 45°사이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 Y가 약 10°일 때 42°로 각 X가 한정되도록 본체(30)의 상단부로부터 상향 이동한다. 본 발명의 많은 심미적인 실시예에서 경사각 Y는 핸들부의 형태에 상관없이 제8도에 도시된 전방면(36)과 후방면(34)의 경사각인 각 C와 동일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볼스프링 멈춤쇠와 같은 스프링방식 멈춤쇠는 사용위치에서 핸들바(92, 92′)를 해제가능하게 잠겨지도록 피봇브래킷(94, 94′)과 피봇핀부재(95, 95′)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게 되고, 피봇브래킷(94, 94′)내의 볼은 핸들바(92, 92′)가 사용위치로 밀려올라갈 때 볼과 함몰부가 정렬되듯이 피봇핀부재(95, 95′)에서 상응하는 모서리가 둥그런 함몰부로 삽입된 스프링이다. 함몰부에서 볼이 구속됨으로써 가방이 그립바(90)에 의해 밀려지거나 끌려가도록 사용위치에서 핸들바(92, 92′)가 잠겨지고, 그립바(90)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볼들이 함몰부에서 밖으로 밀려나가 핸들부가 잠김상태에서 해제되고 보관위치로 선회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바, 단순성과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또 다른 제3실시예에서, 상부면(31)과 하부면(32)은 전방면(36)과 후방면(34)에 거의 직각으로 설정되어 있어 본체(30)의 측면도는 제작이 용이하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행육면체이며, 본 제3실시예의 가방의 주요 기하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은 무게중심(CG)의 위치와 주축(MA)의 위치를 포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8도에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중요한 것은 무게중심(CG)이 전방휠(52, 52′)과 후방휠(50, 50′)사이를 관통하는 수직선상에 위치한다는 것이며, 제15도의 실시예에서 가방의 주축(MA)은 상부면(31)과 하부면(32)에 거의 수직이다.
로드(42, 42′)는 항상 후방면(34)과 평행하며(혹은 동일평면상에 있다),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쉽게 조절되는 간단하고 저렴한 핸들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높이를 갖도록 조정되는 것 이외에도 또한 조정가능한 핸들은 “미는” 혹은 “끄는” 운동모드로 가방의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며, 가방이 끌릴 때보다 밀려서 이동될 때 손잡이(44)가 약간 더 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전술된바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로드(42, 42′)는 어떠한 수평축에 대해서도 선회하지 않고 또 선회할 필요도 없지만 후방면(34)에 인접한 보관위치와 사용을 위해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상기 로드(42, 42′)와 후방면(34)은 수직으로부터 같은 각도로 기울어져있다. 제15도에서, 손잡이(44)로부터 핸들로드(42, 42′)가 본체(30)를 교차하는 점으로 이어진 선과 수직선 사이의 각은 각 Y′로 표시되며, 본체(30)의 후방면(34)이 주축(MA)과 대체로 평행할 때, 각 Y′는 대략 각 Y와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했듯이 각 Y는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한계로 인해 약 25°와 같거나 그 이하이므로 제15도에 도시된 각 Y′ 역시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바람직한 각 X의 크기(제8도에서 약 42°) 보다도 훨씬 작은 각으로 상기 또 다른 제3실시예에서 제한되고, 따라서 상기 또 다른 제3실시예에서 각 Y′는 약 25°를 넘어설 수 없다. 경험적인 조사와 다른 평가로써, 바람직한 본체의 경사각 Y와 같은 핸들각 Y′를 갖도록 된 실시예에서, 각 Y′와 Y는 모두 약 12° 내지 25°의 범위에 있어야 하며, 각 Y와 Y′가 약 20°일 때 가장 최적의 성능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또 다른 제2실시예의 높이, 깊이, 폭사이의 비례관계가 직사각형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다소 변경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다도 깊이와 높이 사이의 비례와 깊이와 폭사이의 비례에 대해 심미적인 관점은 제한이 덜하지만 안정성의 관점이 다소 더 제한을 받는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높이는 깊이의 약 215% 내지 260%사이이며, 폭은 깊이의 약 155% 내지 175%사이이다.
본체(30)의 형상과 수직으로부터 출발로 인해 제15도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휠브래킷(100, 100′)과 전방의 휠장착대(102)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는데, 하부면(32)은 지지면과 평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휠브래킷(100, 100′)과 휠장착대(102)의 형상은 모든 바퀴들(50, 50′, 52, 52′)이 지지면과 접촉하고 있을 때 주축이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정한다. 특히 전방의 휠장착대(102)는 본체(30)의 낮은 전방코너에 바람직한 각 Y를 제공하며, 다리바퀴의 전방휠(52, 52′)들이 대략 수직축에 대해 선회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양만큼 상승시키도록 설계된다.
제16도에서 휠장착대(102)가 또 다른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내구성이 강한 열가소성수지로 된 상기 휠장착대(102)는 바람직하게는 선회하는 다리바퀴인 각각의 전방휠(52, 52′) 주변에 원형휠벽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휠장착대(102)는 오목한 그립영역(104)이 설정되도록 주조되는데, 상기 그립영역(104)은 수평위치에서 가방을 들어올려 차트렁크 등에 싣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요구되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휠(52, 52′)이 후방휠(50, 50′)보다도 상호간의 거리가 더 근접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30)의 기울어진 형상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32)과 후방면(34)을 변경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하부면(32)과 후방면(34)은 일반적으로 평면이지만 연결코너부(101)을 제공하도록 단축되며, 상기 연결코너부(101)는 가방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방면과 교차되고, 또한 연결코너부끝점(103)에서 하부면(32)파 교차하는데, 상기 연결코너부(101)는 대부분 평평하거나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럽게 만곡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모든 바퀴들(50, 50′, 52, 52′)이 지지면과 접촉하여 있을 때, 하부면(32)이 전방면(36) 쪽으로 상방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 연결코너부(101)가 연결코너부끝점(103)으로부터 후방면(34) 쪽으로 상승하면서, 연결코너부끝점(103)은 본체의 최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본체(30)의 경사각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형상은 일반적으로 가방의 외형 및 수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제20도에서 하부면(32)을 포함하는 A-A로 표시된 하부면에서 확장된 가상면의 위치가 도시되고 또한 본 발명의 대부분의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면(34)에 평행하며 평면 A-A에 수직한 가상면 B-B가 도시되어있는바, 후방면(34)의 배후에 고정적으로 후방휠(50, 50′)이 위치하도록 휠브래킷(100, 100′)은 연결코너부(101)에 고정되게 부착되며, 가상면 B-B는 후방휠(50, 50′)의 표면에 접선방향이며 후방면(34)과 평행하다. 따라서 가상면 B-B는 후방면(34)으로부터 거리 w′만큼 떨어져 있으며, 이 거리는 후방면(34)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후방휠(50, 50′)의 표면사이의 거리이다.
모든 휠들(50, 50′, 52, 52′)이 지지면과 접촉해 있을 때 후방휠(50, 50′)이 완전히 가상면 A-A 위쪽에 위치하도록 휠브래킷(100, 100′)은 연결코너부(101)에 고정되게 탑재된다. 제20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상면 A-A와 평행하고 후방휠(50′)에 접하는 평면으로부터 가상면 A-A 사이의 거리인 w는 본체(30)의 하부면(32)으로 부터 후방휠(50, 50′)의 편차이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코너부(101)상에 휠브래킷(100, 100′)을 부착함으로써 부가적인 이점이 얻어지는데, 상기의 부가적인 이점은 오직 두바퀴 형식에서 사용자가 가방을 밀거나 견인할 때, 즉 가방이 오직 후방휠(50, 50′)로만 이동될 때 얻어진다. 후방휠(50, 50′)을 가상면 A-A 위로 거리 w만큼, 그리고 후방면(34) 뒤로 거리 w′만큼 편향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팔에 전달되는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가방의 본체(30)는 네바퀴운동모드에서 두바퀴운동모드로 쉽게 전환된다. 전방휠(52, 52′)에 의해 발생해서 사용자의 팔에 전달되는 중량의 감소는 본체(30)에 대해 후방휠(50, 50′)의 위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최적화는 후방휠(50, 50′)이 돌출되지 않고 쉽게 가방을 보관시킬 필요성에 의한 한계를 고려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형태의 목적은 두바퀴를 사용하기위해 가방이 사용자쪽으로 기울어질 때 무게중심(CG)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제15도에 도시됨)과 후방휠(50, 50′)사이의 거리를 최적화시킴으로써, 가방과 그 내용물의 중량이 중량을 지탱하는 후방휠(50, 50′) 상에서 균형을 이루거나 거의 그렇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휠브래킷(100, 100′)은 움직이지 않고 선회되지 않도록 본체(30)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방휠(50, 50′)의 회전축들은 휠브래킷(100, 100′)에 관하여 고정되어있으므로 편향거리 w와 w′는 특별한 경우에는 불변이며, 제작 단계에서 고정되고 최적화된다. 높이가 68.5±3.0cm인 가방에 대해 거리 w는 약 1.0cm와 2.0cm 사이에 있어야한다. 또한 두바퀴 운동모드에서 최적의 사용자편의성은 후방휠(50, 50′)과 연결코너부(101)사이의 구조적인 틈새가 가방에 실제 짐을 적재하고 저장할 때 방해받을 만큼 크지않고 거리 w′가 필요한 만큼만 최소로 될 때 얻게되는데, 높이가 68.5±3.0cm인 가방에 대한 거리 w′의 최적거리는 약 6.0cm로 분석된다.
제17도에 상기 실시예의 손잡이(44)와 로드(42, 42′)사이의 치수관계와 위치관계가 도시되어 있는바, 종래기술의 당김식 핸들은 전형적으로 바퀴가 부착된 가방을 밀기보다는 끌기위해 주로 한손을 사용하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여행용 가방의 핸들은 통상적으로 두손을 사용하기에는 너무나 작게되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당김식핸들은 종종 바퀴가 부착된 가방이 사용자의 뒤를 따라가도록 고안되어, 가방의 한 점에서 당기는 힘이 집중되는 핸들로 방향을 전환해야했다.
제17도에서 제19도에 도시된 핸들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여행용 가방의 디자인 기술에 유익한, 본 발명에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4)는 로드(42, 42′)를 분리하는 길이 M(예컨대 약 13cm)보다 훨씬 더 큰 M+2×m(예컨대, 약 33cm)의 길이를 가지며, 손잡이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로드(42, 42′)를 넘어서서 로드(42, 42′)에 수직으로 대칭하여 신장됨과 더불어, 미는 힘은 로드(42, 42′)를 경유하여 두 개의 분리된 위치에서 본체로 전달되고 밀려진 가방의 방향전환 능력이 향상되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로드(42, 42′)사이의 손잡이(44) 부분을 쥐고 편하게 가방을 끌 수 있게 된다.
평행한 두 로드(42, 42′)의 사이의 거리 M은 평균적인 인간의 손넓이 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의 대부분의 듀얼로드 핸들보다도 비교적 작으며, 로드(42, 42′)가 상호간에 관하여 서로 다른 비율이나 속도로 베젤(bezel, 106)밖이나 안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감소되며, 따라서 핸들부가 가방안으로 수축되고 있는 동안 “한쪽이 걸리거나” 구속되는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와 함께 조정가능한 핸들부를 설명하고 있다. 베젤(106)은 상부면(31)과 후방면(34)의 교선에서 본체(30)에 부착되어 있으며, 핸들부의 여러 가지 부재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도록 상부면(31)과 후방면(34) 주위를 감싸고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06)의 상부표면의 구멍들은 로드(42, 42′)의 상하 미끄럼운동을 안내하며 베젤(106)의 배후표면은 핸들풀림장치(108, 109)와 그 관련부재들을 안내하고 지지하도록 설계되어있다.
샤프트(112, 112′)가 로드(42, 42′)의 내부측면을 따라 주기적으로 배치된 벌어진 틈새(114′, 114″, 114″′, 114″″)로 수축가능하게 구속됨으로써 지지면 위에서 손잡이의 높이가 조정되는데, 상기 쌍으로된 틈새(114′와 114″′, 114′와 114″″)는 샤프트(112, 112′)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제17도에 점선과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4)는 다양하게 조정된 높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틈새(114′, 114″, 114″′, 114″″)는 상응하는 로드(42, 42′)의 길이의 중요부분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로드(42′)가 베젤(106)을 통과해 본체(30) 외부로 신장되는 길이는 틈새(114′, 114″)들 간의 분리된 간격에 직접 관련하여 증가되게 조정된다. 틈새들은 샤프트(112, 112′)가 상응하는 쌍의 틈새(114′, 114″″)로 상호작용하여 구속하도록 지지면 위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상응하는 쌍과 연결되는데, 예컨대 좌측틈새(114″′)와 우측 틈새(114′)가 서로 연결된다. 샤프트(112, 112′)의 끝단이 틈새(114′, 114″″)로 삽입된채로, 로드(42, 42′)는 희망하는 특정 높이에서 손잡이(44)가 유지되도록 이동이 방지된다.
샤프트(112, 112′)의 왕복운동은 핸들해제장치(108, 109)의 조작에 의해 조종되는데, 상기 핸들해제장치(108, 109)는 상호간에 관하여 전후로 제한된 거리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고, 단단한 관형의 실린더(110)는 관스프링(118)이 내재되어 있으며 우측 핸들해제장치(108)로부터 좌측 핸들해제장치(109)의 개구부로 밀려들어가도록 되어있다. 각각의 핸들해제장치(108, 109)는 샤프트(112, 112′)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110)가 좌측 핸들해제장치(109)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상기 핸들해제장치(108, 109)를 서로의 방향으로 죔으로써 틈새(114′, 114″″)로부터 샤프트(112, 112′)가 빠져나오게 되며 동시에 로드(42, 42′)가 자유로와지면서 베젤(106)안에서 상하로 미끄러질수 있도록 되었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해제장치(108, 109)는 이 양단에 접촉하여 실린더(110)내에 설치된 관스프링(118)의 압축작용에 의해 상호간에 밀어내게되며, 관스프링(118)이 지속적으로 핸들해제장치(108, 109)가 분리되도록 밀어냄에 따라 그 힘이 샤프트(112, 112′)에 전달되며, 따라서 상기 샤프트(112, 112′)는 로드(42, 42′)에 대하여 밀리게되고, 이 샤프트(112, 112′)의 양끝단이 각 쌍의 틈새들과 정렬되면, 관스프링(118)은 샤프트(112, 112′)의 양끝단을 틈새안으로 밀어넣게 되므로 로드(42, 42′)는 그 위치에서 체결된다. 한편 손잡이(4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스프링력의 반대로 핸들해제장치(108, 109)를 서로의 방향으로 꼭 집어주면 되는데, 핸들해제장치(108, 109)가 서로의 방향으로 조여지게 되면, 샤프트(112, 112′)의 양끝단이 틈새(114, 114′)로부터 수축되면서 로드(42, 42′)가 미끄러져 조정되도록 해제되고, 사용자가 조였던 핸들해제장치(108, 109)를 풀게되면 관스프링(118)은 다시 샤프트(112, 112′)가 외곽으로 밀리게 되고, 샤프트(112, 112′)가 다른쌍의 틈새(114″, 114″′)와 정렬되어 그 위치에서 관스프링(118)의 힘에 구속될때까지 로드(42, 42′)는 상하로 이동된다.
제7도는 본체(30)의 수납공간(33)의 바람직한 형상을 도시하는 바, 상기 수납공간(33)은 본체(30)의 내용물의 간단한 조성과 용이한 수납을 증진시키도록 수직패널과 수평선반의 바람직한 정렬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방면(36)은 전(全)힌지나 힌지 내지는 다른 선회연결부에 의해 본체(30)에 부착되어 전방면(36)이 문과 같은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며, 또한 다르게는, 전방면(36)이 하부면(34) 부근에서 그 하부면(34)을 따라 전체적으로 힌지됨으로써 개방시에 전방면(36)이 지지면 상에 놓이도록 밖으로 접혀 내려올 수도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95)은 수납공간(33)이 수납될 수 있도록 개폐되고, 닫을 때에는 도어패널(95)이 주위의 지퍼나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다른 잠금장치에 의해 일시적으로 잠겨지게되며, 도어패널(95)에는 내부포켓이나 의복집게등이 구비될 수 있다.
수납공간(33) 내에 이동 내지 제거될 수 있는 선반이나 패널이 제공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동가능한 분할판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특별한 수납요구를 만족시키고 우선적인 것들에 먼저 접근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33)의 분할을 희망대로 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서 접하지 못한 방식으로 선반이나 수직분할판들이 장려되는데, 이것은 본발명이 종래의 가방에서 제공되지 않은 거의 수직자세의 가방에 안정성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이 비록 상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로써 같은 결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변형과 개선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명백하게 인지될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으로서 상기의 여러가지 변형과 개선의 범주를 명시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인용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참조로서 제시된다.

Claims (85)

  1. 각각 높이보다 적은 치수의 깊이와 폭을 가지며 후방면을 구비한 본체와 지지면을 따라 바퀴로 가방을 이동하게되는 본체의 상부에 장착된 핸들을 구비하고서 적어도 의류 같은 것을 수납하였을 때 본체의 기하학적 중심부근에 무게중심을 갖게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에 있어서, 적어도 한쌍의 휠이 본체의 하부면 후방에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장착되며, 상기 휠쌍들의 앞쪽으로 깊이면을 따라 거리를 두고 본체의 하부면 전방에 다른 휠이 장착되고, 여기서 깊이는 폭보다는 작으며, 본체는 상기 한쌍의 휠과 다른 휠상에 안착될 때 수직으로 부터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지고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이 한쌍의 휠과 다른휠 사이를 관통함과 더불어, 아무런 힘을 받지 않고 가방이 휠위에 서 있을 수 있으며 적어도 휠들중 일부의 휠로서 핸들에 의해 밀리거나 끌려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이 수직으로부터 6°~25°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손잡이와, 적어도 일부는 본체내에 있는 수축된 위치와 본체로부터 신장된 위치 사이에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으면서 상기 손잡이를 본체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장치 및, 이 로드장치를 본체와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장치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분리되어 있는 한쌍의 로드로 구성되며, 손잡이는 상기 간격보다 큰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필이 고정축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필이 선회가능한 다리바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이 수직으로부터 9°~12°사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이 수직으로부터 1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 후방과 하부면 전방은 후방선단과 전방선단을 구비한 하부면을 구획하며, 한쌍의 휠은 상기 후방선단에 인접하여 하부면에 부착되고 다른 휠은 상기 전방선단과 한쌍의 휠 사이에서 하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이 지지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하부면에 평행한 상부면을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면에 대한 각도를 구획하는 사용위치와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로드장치를 선회시키는 선회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장치를 신장된 위치와 사용위치에서 해제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장치가 수직으로부터 10°~48°의 각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장치가 수직으로부터 40°~45°의 각도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장치가 수직으로부터 42°정도의 각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폭이 깊이의 170%∼180% 사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높이가 깊이의 220%~230% 사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이 수직으로부터 12°~25°사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이 수직으로부터 2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의 앞면은 하부면을 구획하고, 본체 하부의 뒷면은 상기 후방면과 이 하부면을 교차하면서 그 사이에 이어진 중간모서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휠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면에서 연장된 가상면의 뒤쪽에 위치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휠이 후방면에서 연장된 가상면의 배후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휠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면에서 연장된 가상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을 포함하는 가상면이 후방면을 포함하는 가상면에 수직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하부면에 평행한 상부면을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폭이 깊이의 155%~175%인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높이가 깊이의 215%∼260%인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29. 후방면과 전방면,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구성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인적인 물품들로 채워질 때 가방의 기하학적 중심부근에 무게중심이 위치하게 되는 수하물 가방에 있어서, 가방의 후방면과 인접한 하부면에 적어도 2개의 후방휠과, 가방의 전방면과 인접한 하부면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휠 수단, 모든 휠들이 지지면과 접촉되어 있을 때 상부면과 하부면사이에서 연장되면서 수직으로부터 제1각도로 설치되는 본체의 후방면, 모든 휠들이 지지면과 접촉되어 있을 때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면서 수직으로부터 제2각도로 설치되는 본 체의 전방면 및, 지지면을 따라 가방이 바퀴들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의 후방면에 인접하여 가방의 상부끝단에 장착된 핸들장치가 구비되고, 여기서 상기한 무게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수직선이 본체의 하부면을 가로지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깊이와, 폭 및, 높이로 구성되고 여기서 폭은 깊이의 155%~175% 범위의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 깊이의 215%~260% 범위의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내부에 수평 선반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이 지지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이 하부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이 후방면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후방휠이 고정축 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휠수단이 캐스터(caster)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휠이 적어도 두 개의 캐스터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장치에 횡방향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본체에 연결함과 더불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체내의 수축된 위치와, 신장된 위치사이에서 미끄러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장치 및, 이 로드장치를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장치가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와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 모두 가방의 후방면에 평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된 한쌍의 로드로 구성되며, 손잡이가 로드의 끝단에 설치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로드의 간격보다 더 큰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의 다수의 위치에서 로드를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위치에서 로드를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이 로드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체결장치와, 또한 로드들 사이에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장치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볼트 및, 로드쪽으로 상기 볼트를 조절가능하게 편향하는 편향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다수의 규칙적인 간격을 갖는 홈으로 구성되며, 볼트는 수평으로 설치된 미끄럼가능한 샤프트로 구성되고, 조절가능한 편향수단은 샤프트들 사이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과 각각의 샤프트상에 설치된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으로부터 제1각이 12°~25°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으로부터 제2각이 12°~25°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각이 제2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각이 20°정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은, 후방면에 대한 각을 정하는 신장된 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 로드를 선회시키는 선회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으로부터의 제1각이 9°~12°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10°~48°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용위치에서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40°~45°의 각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4. 제52항에서 있어서, 상기한 수직으로부터의 제1각이 10°정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용위치에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42° 정도의 각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6.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후방면에 대한 각을 정하는 신장된 위치와 사용위치에서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한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본체에 부착된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 내에 설치된 하나의 폐쇄부재, 이 폐쇄부재와 접촉하면서 이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함과 더불어 하나의 로드가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통과하는 로드터널을 구획하는 칼러, 폐쇄부재와 칼러를 결합하는 캠장치 및, 칼러를 통해 로드의 미끄럼을 해제가능하게 억제하는 로드와 칼러상에 멈춤쇠(detent)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8. 전방면과 후방면, 상부면과 하부면 및, 양 측면으로 구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면은 전방선단과 후방선단으로 구성되며, 본체는 개인용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획하면서 그 주축이 전방면과 후방면사이에 위치하며 본체의 상부에 핸들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한편, 수하물과 개인용품이 무게중심을 갖는 내부공간내에 수납되는 수하물가방에 있어서; 후방선단에 인접한 하부면에 부착된 적어도 두 개의 후방휠과, 하부면의 전방선단과 후방휠 사이에 하부면상에 장착된 전방휠수단을 구비하고서, 상기 후방휠들과 전방휠수단이 수평의 지지면과 접촉될 때 주축은 수직으로부터 6°~25°의 각으로 기울어지며, 무게중심은 후방휠들과 전방휠수단 사이에 하부면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면을 따라 개인용품을 운반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한 핸들수단은 횡방향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본체에 연결하는 한편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체내에 수축된 위치와 본체로부터 신장된 위치사이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수단 및, 본체와 로드수단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을 위한 로드수단은 소정간격으로 분리된 한 쌍의 평행한 로드를 갖추고, 손잡이는 상기 로드의 끝단에 설치되면서 로드의 분리간격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사이의 다수의 위치에서 로드를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풀림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로드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체결장치와, 로드들 사이에 본체상에 체결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볼트 및, 로드쪽으로 볼트를 조절가능하게 편향하는 편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구비하고, 볼트장치는 수평으로 미끄러질수 있는 샤프트를 갖추며, 조절가능하게 편향하는 편향수단은 샤프트들 사이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과, 각각의 샤프트상에 설치된 풀림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이 수직으로부터 12°~25°사이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이 수직으로부터 20°정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5. 제59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면에 대한 각을 구획하는 사용위치와 후방면에 평행한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로드를 선회시키는 선회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10°~48°사이의 각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축이 수직으로부터 9°~12°정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40°~45°사이의 각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69. 제65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면에 대한 각을 구획하는 사용위치와 신장된 위치사이에 로드를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잠금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0. 제69항에 있어서, 풀림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잠금수단이 본체에 부착된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내에 설치된 하나의 블록부재, 이 블록부재와 접촉하고 또한 이 블록부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움직이면서 장착부재 내에서 회전가능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로드터널을 구획하여 로드들 중 하나가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칼러, 이 칼러와 블록부재를 결합하는 캠장치, 상기 칼러에대해 블록을 편향하는 편향수단 및 칼러를 관통하는 로드의 미끄럼이동을 해제가능하게 억제하는 로드와 칼러상에 멈춤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을 따라 바퀴로 이동되도록 가방의 상부 끝단에 장착된 핸들수단을 구비하고, 이 핸들수단은 횡방향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본체에 연결함과 더불어 상부면에 인접하며 또한 상부면에 평행한 수축된 위치와 가방으로부터 신장된 사용위치사이에서 선회가능하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수단 및, 본체에 로드를 장착하는 피봇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가 본체의 상부면에 근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이 수직으로부터 9°~12°로 기울어지며, 사용위치에 있는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40°~45° 사이의 각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4. 개인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획하면서 높이를 구획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구비되고 상부에 핸들이 장착된 본체에, 높이보다 적은 치수의 폭과 폭보다 적은 치수의 깊이와,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는 무게중심, 수직에 대한 기울기각을 구획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사이에서 연장되는 주축, 본체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후방휠 및, 상기 후방휠의 전방에 하부면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방휠이 구비되며,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이 전방휠과 후방휠 사이를 통과하며, 경사각은 6°~25°사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면을 따라 가방을 이동하는 핸들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손잡이와, 이 손잡이를 본체에 연결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체내에 수축된 위치와 본체로부터 신장된 위치사이에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변위가 가능한 한 쌍의 평행한 로드 및, 본체와 로드수단을 미끄럼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후방휠은 고정축휠로 구성되며, 각 전방휠은 선회가능한 캐스터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7.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선단과 후방선단을 갖는 하부면을 구비하며, 후방휠들이 하부면의 상기 전방선단에 인접하여 부착되고, 전방휠은 상기 전방선단과 후방휠들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울기 각이 9°~12°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이 지지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0.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면에 대한 각을 구획하는 사용위치와 신장된 위치사이에서 로드를 선회시키는 선회장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각이 9°~12°사이이며, 사용위치에서 로드가 수직으로부터 40°~45°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2.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후방면과, 하부면과 후방면 사이에 설치된 중간 모서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후방휠이 상기 중간 모서리부에 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3. 제82항 있어서, 상기 기울기각이 12°~25°사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휠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면에서 연장된 가상면의 뒤쪽에 위치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휠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면에서 연장된 가상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 가방.
KR1019970704935A 1995-11-22 1996-11-20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 KR100248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007,454 1995-11-22
US1306896P 1996-03-08 1996-03-08
US60/013,068 1996-03-08
US60/013068 1996-03-08
US8/636,595 1996-04-23
US08/636,595 US5630521A (en) 1996-04-23 1996-04-23 Ergonomic upright wheeled luggage
US8/636595 1996-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544A KR19980701544A (ko) 1998-05-15
KR100248446B1 true KR100248446B1 (ko) 2000-04-01

Family

ID=6617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935A KR100248446B1 (ko) 1995-11-22 1996-11-20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49U (ko)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지케이21글로벌 적층식 여행가방
KR20220138471A (ko) 2021-03-29 2022-10-13 이현숙 여행용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49U (ko)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지케이21글로벌 적층식 여행가방
KR20220138471A (ko) 2021-03-29 2022-10-13 이현숙 여행용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544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521A (en) Ergonomic upright wheeled luggage
EP0804105B1 (en) Ergonomic upright wheeled luggage
EP0900031B1 (en) Automatically extendable and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luggage
JP2736824B2 (ja) 格納可能な引きハンドルを有するホイール付きフライトバッグ
WO1997018726B1 (en) Ergonomic upright wheeled luggage
US5645146A (en) Suitcase with retractable pull handle
US8196938B2 (en) Modular mobile workstation with storage capacity
CA2084887A1 (en) Luggage with pull handle
US20110168507A1 (en) Steerable Carriage Apparatus
US201502456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stabilizing rollable luggage assembly
CA274788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stabilized rollable luggage assembly
GB2484797A (en) Wheeled luggage with retractable handle
US20040154889A1 (en) Center opening upright luggage case with six wheels
US20130037364A1 (en) Combination rolling cart and suitcase
AU2004313374A1 (en) Adjustable foot for luggage case with wheels
US5573089A (en) Laterally movable wheeled suitcase with improved handle
KR100248446B1 (ko) 바퀴가 부착된 직립 여행용가방
US20020105156A1 (en) Disc golf bagcart
US10779623B2 (en) Self-stabilized rollable luggage assembly and corresponding assembly method
US20040178035A1 (en) Maneuverable luggage with side handle supports
MXPA97005519A (en) Luggage with vertical wheels ergonom
CA2175019C (en) Ergonomic upright wheeled luggage
AU20152034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stabilized rollable lugga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