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756B1 -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756B1
KR100246756B1 KR1019940020812A KR19940020812A KR100246756B1 KR 100246756 B1 KR100246756 B1 KR 100246756B1 KR 1019940020812 A KR1019940020812 A KR 1019940020812A KR 19940020812 A KR19940020812 A KR 19940020812A KR 100246756 B1 KR100246756 B1 KR 10024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indow
signal
transi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503A (ko
Inventor
이흥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4002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756B1/ko
Publication of KR96000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54Setting of search window, i.e. range of code offsets to be sear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04B2201/70709Efficiency-related aspects with discontinuous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일정 길이로 수신되는 프레임 데이터에서 특정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윈도우 신호 발생 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현재의 특정 데이터 위치에서 다음 프레임의 특정 데이터 위치를 예측하여 이를 윈도우신호로 발생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데이터 클럭을 카운트하여 데이터구간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현재 데이터구간의 피크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데이터로 저장하는 수단과,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구간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천이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를 연산하는 수단과, 제1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시작되고 제2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종료되는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일정 형태로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특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현재 VGMEP임의 피크 데이터 위치로부터 다음 데이터의 피크 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하는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므로서, 데이터 처리시 신뢰성을 향상시킴.

Description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 발생회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1 : 카운터 212 : 래치
213 : 윈도우구간연산기 214,216,218,219 : 비교기
215,217 : 멀티플렉서 220 : 오아게이트
본 발명은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 구간을 갖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 데이터를 연산하여 데이터구간의 중앙에서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윈도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역확산(spread sprectru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변조된 데이터는 특정 수의 비트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대역 확산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서는 이를 역화산시켜 본래의 데이터로 복조하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 데이터구간에서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에 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에서 변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는 원래 신호의 대역(base band)으로 변환된 후 디지털 변환하는 과정에서 수배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된다. 상기 디지털 변환 데이터는 실수(real) 값과 허수(imaginary) 값을 갖는 대역 신호로서 준비된 PN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다. 이때 복조 과정에서는 자기 성분의 PN코드에서 피크 값을 검출하고, 이 피크 데이터의 위치 및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역확산된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때 역확산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크 값의 검출한 후 이 피크 데이터의 위치 값을 사용하여 데이터을 복조하는 경우, 피크 출력에 에러가 발생되면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를 복조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에러율(bit error rate:BER)이 높아지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 데이터구간을 갖는 데이터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현재의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로부터 다음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윈도우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도우신호 발생시 데이터구간 내에 윈도우신호가 위치될 수 있도록 윈도우신호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제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역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모뎀 장치에서 현재 데이터구간의 피크 데이터 위치로부터 분석하여 다음 데이터구간의 피크 데이터 위치를 예측하여 윈도우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윈도우신호 발생 장치는, 데이터 클럭을 카운트하여 데이터구간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현재 데이터구간의 피크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데이터로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구간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천이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를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제1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윈도우가 시작되고 상기 제2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윈도가 종료되는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윈도우신호를 다음 데이터의 피크 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하는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데이터구간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비트수, 윈도우신호의 시작 및 종료 위치를 제한하는 기준데이터의 값, 클럭 주사수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데이터구간”이라는 용어는 일정 크기를 갖는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고,“위치데이터PKD”는 상기 데이터구간에서 피크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카운트데이터CNT”는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에서 윈도우신호의 구간을 결정하기 위한 비교데이터로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제1윈도우데이터WD1”은 윈도우구간연산기에서 윈도우신호의 시작위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제2윈도우데이터WD2”는 상기 윈도우연산기에서 윈도우신호의 종료 위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제1기준데이터RFD1”은 윈도우신호가 상기 데이터구간의 시작위치 이후에 발생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데이터이며, “제2기준데이터RFD2”는 윈도우신호가 상기 데이터구간의 종료위치 이전에 발생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데이터이다. “제1천이데이터TD1”은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WD1과 제1기준데이터RFD1의 비교에 의해 윈도우신호의 시작 위치로 결정된 데이터를 나타내며,“제2천이데이터TD2”는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와 제2기준데이터RFD2의 비교에 의해 윈도우신호의 종료위치로 결정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제1도는 대역확산 방식을 사용하는 모뎀 장치의 구성도로서, I신호 및 Q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저역필터111 및 121은 각각 수신되는 신호를 원래의 신호 대역으로 여파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2 및 112는 상기 저역필터111 및 112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오버 샘플링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역확산기(Digital Matched Filter:DMF)113 및 123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2 및 113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대역 확산된 디지털 데이터를 역확산하여 출력한다. 데이터정형기(SQUARE)114 및 124는 상기 역확산기113 및 123으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역확산 데이터를 정형하여 데이터의 논리를 정확하게 결정한다. 가산기131은 상기 데이터정형기114 및 12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피크검출부132는 상기 가산기131로부터 출력되는 가산데이터를 수신하여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데이터PKD를 분석하여 다음 데이터구간의 윈도우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복조부133은 상기 역확산기113 및 123으로 부터 역확산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피크검출부132로부터 윈도우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133은 상기 윈도우신호 주기에 수신되는 역확산 데이터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대역확산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측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PN코드로 1차 변조한 후, 캐리어 주파수에 실어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측은 상기 캐리어신호에 실려 수신되는 RF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원신호의 대역신호로 변환한다. 그러면 저역필터111 및 121은 각각 수신되는 주파수변환신호를 베이스밴드 대역으로 여파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2 및 122는 오버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오버 샘플링 주파수는 22MHz이다. 상기 디지털 변환데이터는 역환산기113 및 123에 인가되어 상관도(correlation)가 계산되고, 데이터 정형기114 및 124는 이 상관도의 엔벨로프 진폭을 크게하기 위해 실수부와 허수부의 신호를 정형화한다. 상기 데이터정형기114 및 124의 출력은 가산기 131에서 가산된 후 피크검출부132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피크 검출부132는 윈도우(window) 기법에 의해 피크 값을 검출하기 위하여 피크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며, 이 위치 값을 이용하여 다음 데이터구간의 윈도우신호를 발생한 후 이를 복조부133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복조부133은 상기 윈도우신호를 이용하여 역확산데이터를 QPSK 또는 BPSK 방식으로 복조한다.
이때 상기 역확산기113 및 123의 출력은 1프레임 당 22개의 피크 값이 출력되는데, 이중에서 가장 큰 피크 값을 해당 프레임의 중간부에 오도록 의도적으로 제어한 후, 이 지점에서 상기 역확산데이터가 복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대역 확산 방식을 사용하는 모뎀 장치에서 역확산된 데이터의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로서, 카운터211은 데이터구간 주기신호, 데이터 클럭 및 리세트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카운터211은 상기 주기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클럭을 계수하여 카운트데이터CNT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리세트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다음 상태로 대기한다. 래치212는 피크검출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데이터PKD를 수신하고, 상기 주기신호 및 리세트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래치212는 상기 주기신호 발생시 상기 위치데이터PKD를 래치하여 저장하며, 상기 리세트신호에 의해 초기화된다.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은 상기 래치212의 출력을 수신한다. 상기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은 상기 위치데이터PKD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위치데이터PKD의 시작 위치인 제1윈도우데이터WD1 및 종료 위치인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비교기 214는 상기 래치212의 출력 및 제1기준데이터RFD1을 수신한다. 상기 비교기214는 상기 위치데이터PKD 및 제1기준데이터RFD1을 수신하여 비교하며, 상기 위치데이터PKD가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 보다 클시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WD1을 선택하기 위한 제1비교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위치데이터PKD가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보다 작을시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을 선택하기 위한 제2비교신호를 발생한다. 멀티플렉서215는 상기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의 제1윈도우데이터WD1 및 제1기준데이터RFD1을 수신하며, 상기 비교기214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한다. 상기 멀티플렉서215는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WD1을 선택하여 제1천이데이터TD1로 출력하고 제2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을 선택하여 제2천이데이터TD2로 출력한다.
비교기216은 상기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의 제2윈도우데이터WD2 및 제2기준데이터RFD2를 입력한다. 상기 비교기 216은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 및 제2기준데이터RFD2를 수신하여 비교하며,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가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보다 작을시 상기 윈도우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2비교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 및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RFD2 보다 클시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를 선택하기 위한 제1비교신호를 발생한다. 멀티플렉서217은 상기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의 제2윈도우데이터WD2 및 제2기준데이터RFD2를 수신하며, 상기 비교기216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한다. 상기 멀티플렉서217은 상기 제2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선택하여 제2천이데이터TD2로 출력하고, 상기 제2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를 선택하여 제2천이데이터TD2로 출력한다.
비교기218은 상기 카운터211의 출력 및 상기 멀티플렉서215의 출력을 수신하여 비교한다. 상기 비교기218은 카운트데이터CNT가 상기 2제1천이데이터TD1 보다 커지는 시점에서 제1윈도우신호WS1를 발생한다. 비교기219는 상기 카운터211의 출력 및 상기 멀티플렉서217의 출력을 수신하여 비교한다. 상기 비교기219는 상기 제2천이데이터TD2가 상기 카운트데이터CNT보다 작아지는 시점에서 제2윈도우신호WS2를 발생한다. 오아게이트220은 상기 비교기218 및 219의 출력을 수신하여 논리합한다. 상기 오아게이트220은 상기 제1윈도우신호WS1 및 제2윈도우신호WS2를 논리합하여 다음 데이터구간의 윈도우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면, 카운터211은 주기클럭을 인에이블 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주기클럭 수신시 클럭을 카운트하여 윈도우신호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카운트데이터CNT를 발생한다. 그리고 리세트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카운트데이터CNT의 발생을 중단한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211은 프레임 데이터의 길이를 갖는 데이터의구간 동안 카운트데이터CNT를 발생하게 된다. 래치212는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수단으로부터 위치데이터PDK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212는 상기 주기클럭에 의해 현재 프레임의 피크 값을 갖는 위치데이터PKD를 수신하여 래치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212는 상기 리세트신호에 의해 현재 프레임의 위치데이터PDK를 초기화시키고 다음 프레임에 대비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212는 1프레임의 데이터구간 동안 해당 프레임의 위치데이터PKD를 래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대역 확산 방식의 모뎀에서는 1프레임 당 22개의 피크 값이 출력되므로, 상기 위치데이터PKD는 22개의 피크 값 중 가장 큰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정보가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데이터PKD는 5비트의 데이터가 되며, 상기 카운터211도 22진 카운터가 된다.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은 상기 래치212로부터 출력되는 위치데이터PKD를 분석하여 윈도우신호의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1윈도우데이터WD1 및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연산한다. 상기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은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가 해당 프레임의 중간부에 오도록 의도적으로 제1윈도우데이터WD1 및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발생한다.
예를들어 현재의 위치데이터PKD가 22개의 데이터 중 10번째 데이터 위치에서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채널 상의 문제가 없는한 다음 프레임의 위치데이터PKD도 10번째 데이터 부근에서 발견된다. 그러므로 10을 기준으로 ±1 또는 ±2의 윈도우 신호를 만들어 적용하면, 규칙적으로 해당하는 프레임에서 가장 큰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구간연산기213은 상기 위치데이터PKD의 값을 분석하며, 분석결과 윈도우 구간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위치데이터PKD가 아니면 해당하는 위치데이터PKD를 ±1 또는 ±2하여 위치데이터PKD를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제1윈도우데이터WD1 및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발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 위치데이터PKD가 윈도우 구간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산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위치 데이터PKD로부터 제1윈도우 데이터WD1 및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WD1은 윈도우신호가 시작되는 위치의 값이 되며, 제2윈도우신호가 종료되는 위치의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현 위치데이터PKD로부터 제1윈도우데이터WD1 및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발생하면 설사 채널에 문제가 발생되어 의외의 지점에서 위치데이터PKD가 검출되더라도 미리 예측한 곳의 윈도우 구간 내의 피크값 중에서 제일 큰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가 선택되고, 설정된 윈도우 구간 이외에서 가장 큰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가 검출되더라도 이는 에러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무시된다. 그러므로 윈도우 구간의 피크 값을 갖는 역확산 데이터로 복조하면 에러에 의한 복조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비교기214는 상기 위치데이터PKD와 제1기준데이터RFD1을 수신하여 비교한다.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은 윈도우신호의 시작 위치를 제한하는 데이터이다. 즉 상기 윈도우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 구간은 1에서 22 사이이다. 따라서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의 값을 1이상의 소정 값으로 설정하면 상기 윈도우신호의 시작은 항상 제1기준데이터RFD1에 의해 설정된 값 이후에서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을“1”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214는 상기 위치데이터PKD가 1이상의 값을 갖는가 검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21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215의 선택신호로 인가된다. 상기 멀티플렉서215는 제1입력단자로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을 수신하고 제2입력단자로 제1윈도우데이터WD1보다 큰 값을 가지면 상기 멀티플렉서215는 상기 위치데이터PKD가 제1기준데이터RFD1보다 큰 값을 가지면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WD1을 제1천이데이터TD1로 선택출력하고, 상기 위치데이터PKD가 제1기준데이터RFD1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기준데이터RFD1을 제1천이데이터TD1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비교기216은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와 제1기준데이터RFD1을 수신하여 비교한다.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은 윈도우신호의 종료 위치를 제한하는 데이터이다.
즉, 상기 윈도우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 구간은 1에서 22사이이다. 따라서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의 값을 22이하의 소정 값으로 설정하면 상기 윈도우신호의 종료는 항상 제2기준데이터RFD2에 의해 설정된 값 이전에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를 “22”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216은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가 22이상의 값을 갖는가 검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216의 출력은 멀티플렉서217의 선택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멀티플렉서217은 제1입력단자로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를 수신하고 제2입력단자로 제2기준데이터RFD2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플렉서217은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가 제2기준데이터RFD2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WD2을 제2천이데이터TD2로 선택출력하고, 상기 윈도우데이터가 제2기준데이터RFD2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기준데이터RFD2을 제2천이데이터TD2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천이데이터TD1 및 제2천이데이터TD2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윈도우신호의 시작 및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이 윈도우신호는 다음 프레임에서 가장 큰 피크 값을 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하는 신호가 된다.
비교기218은 상기 제1천이데이터TD1 및 카운터211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데어터CNT를 수신하여 비교한다. 이대 상기 비교기218은 상기 제1천이데이터TD1의 값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CNT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트리거되는 제1윈도우신호WS1를 발생한다. 비교기219는 상기 제2천이데이터TD2 및 카운터211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데이터CNT를 수신하여 비교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219는 상기 제2천이데이터TD2의 값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CNT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트리거되는 제2윈도우신호WS2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218은 윈도우신호의 시작위치에서 하이 논리에서 로우 논리로 트리거되는 시작 윈도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교기219는 윈도우신호의 종류 위치에서 로우 논리에서 하이 논리로 트리거되는 종료 윈도우신호를 발생한다. 오아게이트220은 상기 비교기218로부터 출력되는 제1윈도우신호WS1 및 상기 비교기219로부터 출력되는 제2윈도우신호WS2를 수신하여 논리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오아게이트220은 상기 제2윈도우신호WS1 및 제2윈도우신호SWS2의 주기에 대응되는 윈도우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윈도우신호는 복조수단에 다음 데이터구간에서 가장 큰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윈도우신호는 현재의 역확산된 데이터 프레임에서 발생된 피크 데이터 위치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의 피크 데이터 위치를 예측한 윈도우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 프레임 데이터에서 미리 예측한 윈도우 구간을 벗어나는 데이터구간에서 에러에 의한 피크 값이 검출되더라도 실제의 피크 데이터로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 장치에서 피크 데이터의 윈도우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클럭을 카운트하여 데이터구간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를 발생하는 카운터 수단과, 현재 데이터구간의 피크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데이터로 래치하는 래치 수단과, 상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를 중앙으로 소정 크기의 윈도우 신호에 대응하는 제1윈도우데이터 및 제2윈도우데이터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 및 제2윈도우데이터 값과 데이터구간의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을 수신하여 비교하고, 상기 제1 및 제2윈도우 신호가 상기 데이터구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윈도우 신호를 제1천이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윈도우 신호가 상기 데이터구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구간 신호를 제1천이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로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카운트 데이터, 상기 제1 및 제2천이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윈도우가 시작되고 상기 제2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윈도우가 종료되는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신호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윈도우신호를 다음 데이터구간의 피크 데이터 위치로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값에 따라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신호 발생 장치.
  2. N비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현재 피크 데이터의 위치로부터 다음 피크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클럭을 카운트하여 N비트의 데이터구간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를 발생하는 래치 수단과, 현재 데이터구간에서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의 위치데이터를 검출하여 래치하는 래치 수단과, 상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 윈도우신호가 상기 데이터 구간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윈도우데이터 및 제2윈도우데이터를 연산하여 각각 출력하는 연산 수단과, 윈도우신호의 시작 및 마지막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제1기준데이터 및 제2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들과 상기 제1 및 제2윈도우데이터를 비교하고 제1천이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를 각각 발생하는 천이데이터 발생 수단과, 상기 카운트데이터, 제1천이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윈도우가 시작되고 상기 제2천이데이터와 일치하는 카운트데이터에서 윈도우가 종료되는 상기 윈도우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윈도우신호 출력 수단과, 상기 윈도우신호를 다음 데이터구간의 피크 데이터 위치로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값에 따라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신호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천이데이터 발생 수단이, 상기 윈도우신호의 시작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제1기준데이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위치데이터 및 제1기준데이터를 수신하며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기준데이터가 작을시 제1비교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기준데이터가 클시 제2비교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기준데이터 및 제1윈도우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2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1기준데이터를 선택하여 제1천이데이터로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윈도우신호의 마지막 위치를 제외하기 위한 제2기준데이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 및 제2기준데이터를 수신하며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2기준데이터가 클시 제1비교신호로 발생하고 상기 제2기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2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제2기준데이터를 선택하여 제2천이데이터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신호 발생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윈도우신호 출력 수단이, 상기 카운트데이터 및 제1천이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천이데이터 시점에서 제1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카운트데이터 및 제2천이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두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2천이데이터 시점에서 제2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윈도우신호 및 제2윈도우신호를 논리조합하여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신호 발생 장치.
  5. 데이터구간에 대응되는 카운트데이터를 발생하는 카운터 수단과, 현재 데이터구간의 피크데이터의 위치를 래치 수단과, 상기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윈도우데이터 및 제2윈도우데이터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윈도우데이터와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천이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천이데이터를 이용하여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신호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진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 장치를 이용하여 N비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현재 피크 데이터의 위치로부터 다음 피크 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데이터구간에서 피크 값 데이터의 위치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래치 수단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래치 수단에 저장된 상기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 데이터 구간에서 윈도우 신호의 시작위치를 연산하여 제1윈도우데이터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를 시작 위치 제한 값인 제1기준데이터와 비교하며, 상기 제1기준데이터를 초과할시 상기 제1윈도우데이터를 윈도우구간의 시작신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래치 수단에 저장된 상기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 데이터 구간에서 윈도우 구간의 마지막 위치를 연산하여 제2윈도우데이터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를 종료 위치 제한 값인 제2기준데이터와 비교하며, 상기 제2기준데이터 이내일 시 상기 제2윈도우데이터를 윈도우구간의 종료신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윈도우신호를 논리조합하여 다음 데이터구간에서 윈도우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신호 발생 방법.
  6.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 장치에 있어서, 대역 확산 제1신호 제2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역 확산하여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로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가산하는 수단과, 피크 값을 갖는 윈도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산데이터로부터 현재데이터구간에서 피크 값을 갖는 데이터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위치 데이터를 데이터 윈도우 구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윈도우 구간을 연산한 후 다음 데이터구간에서 상기 연산된 윈도우구간에 따른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윈도우신호 수신시 상기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의 모뎀 장치.
KR1019940020812A 1994-08-23 1994-08-23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24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812A KR100246756B1 (ko) 1994-08-23 1994-08-23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812A KR100246756B1 (ko) 1994-08-23 1994-08-23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03A KR960008503A (ko) 1996-03-22
KR100246756B1 true KR100246756B1 (ko) 2000-03-15

Family

ID=1939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812A KR100246756B1 (ko) 1994-08-23 1994-08-23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17B1 (ko) 2006-01-2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신호에서의 피크 특징 추출이 가능한 윈도우를정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17B1 (ko) 2006-01-2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신호에서의 피크 특징 추출이 가능한 윈도우를정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8103512B2 (en) 2006-01-24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windows to extract peak feature from a voic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03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0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s system
CA2162417C (en) Data rate detector for terminal station receiver
US5239496A (en) Digital parallel correlator
US6434185B1 (en) Correlation system for use in wirele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stems
US91063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channel is busy
EP0723720B1 (en) Digital communications equipment using differential quaternary frequency shift keying
CA2171719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ellular digital packet data (cdpd)
US58126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ideband data in a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818868A (en) Direct-sequence spread-spectrum receiver including code acquisition and detection using an autoadaptive threshold
US7889664B2 (en) User equipment for detecting short codes
EP0148198A1 (en) DATA DETECTOR USING PROBABILISTIC INFORMATION IN RECEIVED SIGNALS.
EP0538456A4 (en) Receiver with signal classifier
US5654991A (en) Fast acquisition bit timing loop method and apparatus
KR101012509B1 (ko) 동기 데이터 검출 장치 및 방법
US7103089B2 (en) Multibit spread spectrum signaling
KR100197352B1 (ko) 기준 정합여파기를 이용한 병렬포착시스템
US5204879A (en) High speed data detection and clock recovery in a received multi-level data signal
EP3258609A1 (en) Clear channel assessment
KR100246756B1 (ko) 윈도우신호의 발생장치 및 방법
US5539783A (en) Non-coherent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US7221696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pseudonoise codes or carrier signals under conditions of relatively large chip rate uncertainty
US5206887A (en) Unique word detection apparatus
US5663981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7521728A (ja) バーカーコード検出器
JPH11340873A (ja) ピーク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