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35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358B1
KR100245358B1 KR1019960703549A KR19960703549A KR100245358B1 KR 100245358 B1 KR100245358 B1 KR 100245358B1 KR 1019960703549 A KR1019960703549 A KR 1019960703549A KR 19960703549 A KR19960703549 A KR 19960703549A KR 100245358 B1 KR100245358 B1 KR 10024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device characterized
transfer means
refl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티누스 하케르트 뢰로프
Original Assignee
마르티누스 하케르트 뢰로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9400001A external-priority patent/NL9400001A/nl
Application filed by 마르티누스 하케르트 뢰로프 filed Critical 마르티누스 하케르트 뢰로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6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Toy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적어도 광원 및 영상-전달 수단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영상-전달 수단은 광-투과 플라스틱 재질의 시이트를 구비하며, 영상-전달 수단의 정면에서 영상이 관측될 수 있으며, 광원은 후방으로부터 영상-전달 수단에 조사될 수 있으며, 반사 시이트 수단이 광원의 뒤쪽에 영상-전달 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US-A-3101564로부터 알 수 있다.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체가 채워진 투명 재질의 탱크와 광원을 구비한다. 탱크에는 구멍이 있는 도관이 배치되며 여기에는 탱크의 외부에 위치한 압력하의 가스 공급원이 연결된다. 탱크의 상부에는 가스가 탱크의 상부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버블의 형태로 액체를 통과하게 하는 제거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은 광선 빔이 버블 스트림의 운동 평면에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우징이 밀폐징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타입의 거품 효과 발생기는 유지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드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는 미네랄을 제거한 물을 포함하는데, 이렇게 하면 특히 조류(aigae)가 성장하여 거품 효과 발생기가 혼탁하게 되는 것을 간단한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가지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890101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한 측면에 광원이 조사되고 다른 측면에는 심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될 심볼에 대응하는 개구가 만들어져 있는 광-차단층이 제공된 유백광 프라스틱 재질의 시이트를 구비한다.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치수가 크다는, 특히 두께면에서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은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원이 영상-전달 수단과 너무 근접하여 배치될 때 발생하는 소위 "빨래판 효과"(washboard effect)를 없애기 위해 광원과 영상-전달 수단 사이에 유지되어야 하는 거리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제 사용시 공간을 줄이기 위해 벽에 설치하고 있지만, 그러면 설치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광원 및 영상-전달 수단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영상-전달(image carrying) 수단은 사용동안 액체와 가스로 충전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투과성인 물질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갖춘 거품효과 발생기를 포함하며 이 거품효과 발생기는 또한 기체 버블을 형성시키면서 액체 및/또는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해 상기 발생기에 연결된 펌프 수단과 호스형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선 III-III을 따라 자른 길이 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실시예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거품 효과 발생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거품 효과 발생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가지 구체예에서는 반사 시이트 수단이 광원 뒤에서 영상-전달 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시이트 수단을 사용하므로 광원이 더욱 효율적인 광 출력을 가지며, 그 결과 예를 들어 형광등과 같은 표준형 광원을 사용하여도 어두운 곳이나 밝은 곳 모두에서 훌륭한 광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특별한 광 효과를 얻기 위해 값비싼 UV등(소위 "블랙 라이트")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밝게 디스플레이되어 통행인의 시선을 끌므로 특히 광고용으로 적합하다.
적어도 광원과 영상-전달 수단을 구비하며, 반사 시이트 수단이 광원의 뒤쪽에 영상-전달 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DE-8809904로부터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 시이트 수단은 광원의 옆에 영상-전달 수단과 교차하여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 출력은 간단하면서도 유익한 방법으로 더 한층 증가되고 광이 양호하게 분산되며, 따라서 전술한 효과도 증대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반사 시이트 수단은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acrylate)를 기본으로 한 플라스틱 재료의 시이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와 인공 광원의 조합에 따른 놀라운 효과로 매우 밝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광원은 하나 이상의 형광등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초크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불리한 그림자 효과를 제거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형광등이 여러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형광등의 수와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광 효과를 간단한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전달 수단은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대응하는 개구가 제공된 광-차단층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간단하고 제조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영상-전달 수단은 제1거울의 정면에 배치되는 제2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하는 거울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깊이 효과(depth effect)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전달 수단은 형광 재료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온 광원이 제공되어 있는 유사한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비견할 만한 품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하지만 그 제조 비용은 상당히 저렴하다. 또한, 이 실시예는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색상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영상-전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복잡한 영상일지라도 상기 실시예의 도움으로 비교적 저렴한 방법으로 밝고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한 거품 효과 발생기를 추가한 결과, 영상이 흘러가는 움직임을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법으로 저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흘러가는 움직임을 전술한 바와 같은 영상의 선명한 디스플레이와 조합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통행인의 주목을 더욱 강력하게 끌어낼 수 있고, 그 결과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효과가 더 증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거품 효과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에 부착하기 적합하도록 그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광원은 4개의 형광등(2)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그림자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관련 초크(3)는 형광등(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영상-전달 수단은 광-투과 플라스틱 시이트 수단(4)을 구비하는데, 시이트 수단은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며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형광 색상을 가진다. 영상에서 의도한 색상 효과에 대응하는 다르게 채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형광 재료(5)를 시이트 수단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형광재료로는 예를 들어 형광 페이스트, 형광 필름, 펄스펙스(perspex)알갱이 또는 형광 펄스펙스 시이트 등이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한 플라스틱 재료(펄스펙스)는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색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영상-전달 수단은 뒷면에 광 차단층(7)이 제공되는 제1거울(6)을 더 구비한다. 광 차단층(7)에는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대응하는 개구(7)가 만들어진다. 개구(8)는 예를 들어 모래-분사(sand-blasting)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래-분사된 부분에 깨끗한 래커, 바람직하게는 수성 래커를 코팅함으로써, 광원(2)으로부터의 광이 방해받지 않고 그곳을 통과할 수 있다. 고도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광 출력을 얻기 위해 반사 시이트 수단(9)이 형광등(2) 뒤에 배치된다. 원래 후방으로 향하던 광이 반사 시이트 수단에 의해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4)로 반사되며, 그 결과 광 출력이 상당히 증가된다. 광 출력을 더 한층 증가시키고 분산시키기 위해, 또 다른 반사 시이트 수단(비도시)을 형광등의 옆에 영상-전달 수단과 교차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반사 시이트 수단은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 또는 거울 유리를 구비할 수 있다. 광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제2거울(10)이 제1거울(6)의 정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거울에 의해 영상의 반복적인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에 깊이 효과(depth effect)가 도입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영상이 반복되는 횟수는 사용되는 재료의 형광도에 따라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형광 재료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15 내지 20번 영상이 반복될 수 있다. 반복되는 영상들 사이의 간격은 제1거울(6)과 제2거울(10)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거리는 반복되는 영상이 서로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거리 보다 짧은 거리가 선택되는 경우, 반복되는 영상들 간의 간격은 줄어들며, 그 결과 영상들이 중첩되기 시작한다. 이와 반대로, 더 긴 거리가 선택되면, 반복되는 영상 간의 거리가 증가한다. 이 경우 거울(6)과 거울(10) 사이에 물체를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물체도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거리가 약 7cm라면, 적절한 재료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약 2미터의 시각적 깊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반복되지 않는 영상 부분들도, 예를 들어 그 부분에 대응하는 절단부를 가진 블랙 필름을 제1거울(6)의 정면에 인가함으로써 소망에 따라 커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프레임(11)이 제공되며, 프레임은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재, 금속 또는 거울 유리와 같은 재료도 적합하다. 제2거울(10)은 자체 프레임을 가진 착탈가능한 모듈로써 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모듈은 프레임(1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울(10)을 제외하면 약 5cm, 거울(10)을 포함하면 약 12cm의 두께를 갖는다. 도 1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도 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는 그 스케일이 표현되어 있지만 길이는 그렇지 않다.
스페이서(12)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전기적 장치들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반사 플레이트 수단(9) 및 후방 플레이트(13)에는 냉각 목적의 에어 호울(14) 및 그릴(15)이 만들어진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가 수직으로 배치되면 자연적인 공기 흐름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에서 선 III-III을 따라서 본 정면도이다. 도시된 프레임(16)에는 하나 이상의 형광등(2)이 여러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18와트인 4개의 형광등이 있다). 프레임(16)에는 모든 종류의 형광등이 장착될 수 있는 범용 램프 조립용구(17)가 제공된다. 프레임(16)에는 초크(3)가 부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16)은 4mm 두께의 강철 스트립을 구성되며, 여기에는 장착 호울(18)이 만들어져 있어서 강철 호울에 의해 프레임(11)이 프레임(6)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실시예(20)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제2실시예(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 수단이 제공되는 프레임(16)을 구비한다. 영상-전달 수단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4)를 구비하며, 또한 거품 효과 발생기(22), 슬라이트 플레이트(23), 보호 수단(24)을 구비한다. 거품 효과 발생기(22)는 예를 들어 영상-전달 수단의 도움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탄산음료의 활동상태 등을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3)는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형광 재료(5), 모래-분사된 거울(6), 부분적인 광-투과 거울(10)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3)의 도움으로 모든 종류의 임의의 물체가 간단한 방법으로 더욱 상세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3)의 재료는 햇빛에 노출되어도 색상 품질이 유지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를 보호하기 위해,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3)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수단(24)이 영상-전달 수단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수단은 예를 들어 매트 유리(matt glass),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한 비-반사 플라스틱, 또는 거울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서 거품 효과 발생기의 거품 효과가 보여지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거품 효과가 보여져야 할 슬라이드 플레이트(23)의 위치(26)에 대응하는 위치의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4)에 개구(25)를 만들 수 있다. 반사 시이트 수단(27)을 거품 효과 발생기(22)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하면 상기 거품 효과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정면에서 두번 보여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거품 효과 발생기(22)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거품 효과 발생기는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밀폐가능한 하우징(28)을 구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사용시, 하우징(28)에는 액체 및 가스가 채워지며, 이들은 하우징(28)내에 제공된 펌핑 수단(29) 및 호스형 수단(30)의 도움으로 순환 펌핑되어 가스 버블(31)을 형성시킬 수 있다. 거품 효과 발생기(22)는 개방형(비도시) 또는 폐쇄형 구조로 될 수 있다. 개방형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8)은 사용시 개방되는 폐쇄가능한 조절너트(비도시)를 구비한다. 개방형 시스템은 액체가 증발하므로 일정 시간 후 다시 보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폐쇄형 시스템의 거품 효과 발생기(22)를 사용함는 것이 유지 비용이 더 적으므로 바람직하다. 공지되어 있는 물속의 펌핑 수단(29)의 도움으로 가스 및/또는 액체가 호스 수단(30)을 거쳐 펌핑될 수 있으며, 도 5의 호스 수단(30)은 기공 구조를 갖고 있어서 가스가 그 곳을 통해 빠져나와 버블(3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버블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8)를 통해 상방으로 움직인다.
거품 효과 발생기(22)의 제2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는 호스형 수단(32)이 다르다. 제2실시예의 호스형 수단은 상당히 짧으며 그 결과 가스 및/또는 액체가 더 힘차게 뿜어질 수 있어서 소용돌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망에 따라 여러 가지 물을 이용한 효과를 조합할 수 있다.
거품 효과 발생기(22)에는 조류가 자라지 못하도록 미네랄을 제거한 물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한 실시예로써 상기 가스를 공기로 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가지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무색 또는 유색의) 여러 가지 액체 및/또는 가스를 조합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광-투자 및/또는 광-반사 재료를 액체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소망에 따라 하우징(28)은 유색 및/또는 형광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타입의 유색 및/또는 형광 재료를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영상-전달 수단들의 조합 또는 영상-전달 수단과 거품 효과 발생기의 조합 등 각종의 조합에까지 확장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한 모듈이 부분적인 광-투과 거울을 포함하고 있는 것에 덧붙여서, 예를 들어 거품 효과 발생기를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모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거품 효과 발생기(22)는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영상-전달 수단(도 2참조)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보호 수단(24)은 도 2에 도시된 모래-분사된 거울(6)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인 광-투과 거울(10)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공지된 여러 가지 수단을 영상-전달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4)

  1. 적어도 광원 및 영상-전달 수단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전달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의 하우징(28)이 제공된 거품 효과 발생기(22)를 구비하며, 하우징에는 사용시 액체 및 가스가 채워지며, 거품 효과 발생기는 액체 및/또는 가스가 순환하도록 펌핑시켜 가스 버블을 형성시키기 위한 펌핑 수단(29) 및 호스형 수단(30; 32)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거품 효과 발생기(22)의 하우징이 밀폐형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펌핑 수단(29) 및 호스형 수단(30; 32)이 하우징(28)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투과 재료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는 미네랄이 제거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액체는 미네랄이 제거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2항, 5항이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뒤쪽에서 영상-전달 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뒤쪽에서 영상-전달 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뒤쪽에서 영상-전달 수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 2항, 5항, 7항,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옆에 영상-전달 수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옆에 영상-전달 수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옆에 영상-전달 수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이 본질적으로 광원(2)의 옆에 영상-전달 수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시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시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7항, 8항, 10항, 11항,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플라스틱재료의 시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거울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거울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7항,8항,10항,11항,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시이트 수단(9)이 거울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항, 2항, 5항, 7항, 8항, 10항 내지 14항, 16항,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3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4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6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9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광원이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하나 이상의 형광등(2)과 연관되어 반사 시이트 수단(9)의 평면 바깥쪽에 배치되는 초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형광등(2)이 여러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20항 내지 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형광등(2)이 여러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1항, 2항, 5항, 7항, 8항, 10항 내지 14항, 16항, 17항, 20항 내지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3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4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6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15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1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1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27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개구(8)가 제공된 광-차단층(7)을 한 측면에 가진 제1거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2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제1거울(7)의 정면면에 배치되는 제2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하는 거울(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29항 내지 3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제1거울(7)의 정면에 배치되는 제2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투과하는 거울(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1항, 2항, 5항, 7항, 8항, 10항 내지 14항, 16항, 17항, 20항 내지 26항, 29항 내지 3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3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4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6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15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1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6. 제1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7. 제27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8. 제2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9. 제3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형광 재료(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0. 제1항, 2항, 5항, 7항, 8항, 10항 내지 14항, 16항, 17항, 20항 내지 26항, 29항 내지 37항, 40항 내지 4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1. 제3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2. 제4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3. 제6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4. 제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5. 제15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6. 제1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7. 제1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8. 제27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9. 제2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0. 제38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1. 제39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2. 제50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슬라이드(23)의 정면에 배치되는 보호 시이트 수단(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3. 제51 내지 6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전달 수단이 슬라이드(23)의 정면에 배치되는 보호 시이트 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4. 선행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거품 효과 발생기.
KR1019960703549A 1994-01-03 1994-12-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45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400001A NL9400001A (nl) 1994-01-03 1994-01-03 Fluorescerend spiegelschilderij.
NL9400001 1994-01-03
NL9402005 1994-11-29
NL9402004 1994-11-29
NL9402004 1994-11-29
NL9402005 1994-11-29
PCT/NL1994/000328 WO1995019026A2 (en) 1994-01-03 1994-12-30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5358B1 true KR100245358B1 (ko) 2000-02-15

Family

ID=2735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549A KR100245358B1 (ko) 1994-01-03 1994-12-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819452A (ko)
EP (1) EP0738413B1 (ko)
JP (1) JPH09507585A (ko)
KR (1) KR100245358B1 (ko)
CN (1) CN1141094A (ko)
AT (1) ATE155918T1 (ko)
AU (1) AU691232B2 (ko)
BR (1) BR9408471A (ko)
CA (1) CA2180107A1 (ko)
DE (1) DE69404481T2 (ko)
DK (1) DK0738413T3 (ko)
ES (1) ES2104474T3 (ko)
GR (1) GR3024882T3 (ko)
NZ (1) NZ277565A (ko)
WO (1) WO19950190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9299B1 (en) * 1995-04-05 1999-04-14 Roelof Martinus Hakkert Display device
BR9602442C1 (pt) * 1996-05-20 2002-01-08 Francisco Jose Duarte Vieira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veìculo de propaganda para bebidas com animação luminosa e borbulahante
AU5116599A (en) * 1998-07-21 2000-02-14 Virtual Signs Corporation Promotional display with fluid movement
US6811836B1 (en) 1998-11-20 2004-11-02 Jayson A. Johnson Display tree with bubble trunk
US7163725B2 (en) * 1998-11-20 2007-01-16 Johnson R James Display tree with bubble trunk
US6550168B1 (en) * 1999-07-20 2003-04-22 Victor Salas Campos Promotional display with fluid movement
GB2361987B (en) * 2000-05-06 2004-06-30 Paul Ross Mcgeown Display device
US6499263B1 (en) * 2001-03-23 2002-12-31 Ruth Naomi Johnson Decorative window assembly
WO2008153528A1 (en) 2007-06-14 2008-12-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Illuminated graphical and information display
WO2012142412A2 (en) 2011-04-13 2012-10-18 Mattel, Inc. Toy figure display stand
US8793909B1 (en) * 2013-08-08 2014-08-05 John A. Cole Illuminated display mirror
US9711071B2 (en) * 2015-07-07 2017-07-18 Floetic LLC Recreating natural water movement in visual ar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7285A (en) * 1931-02-19 1932-11-08 Burrell Percy Production of colored effects by lighting
US2145747A (en) * 1938-07-12 1939-01-31 Nathaniel L Askew Advertising apparatus
US3101564A (en) * 1960-11-16 1963-08-27 Stoessel Henry Kurt Display device
US3386197A (en) * 1966-01-07 1968-06-04 Philip D. Elfstrom Illuminated sign
US4144663A (en) * 1974-11-06 1979-03-20 Norlux A/S Switchable sign
US3964194A (en) * 1975-01-22 1976-06-22 Gugeler William G Changeable color display device
DE2613024A1 (de) * 1976-03-26 1977-09-29 Siemens Ag Anzeigefrontplatte fuer die optische anzeige von zeichen
CH667345A5 (de) * 1985-10-10 1988-09-30 Reto Held Lichtreklamen- und informationseinrichtung.
DE8809904U1 (ko) * 1988-08-03 1989-02-09 Wolf, Dieter, 8900 Augsburg, De
US5106660A (en) * 1990-01-02 1992-04-21 Vorel Mark S Decorative wall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04481D1 (de) 1997-09-04
ATE155918T1 (de) 1997-08-15
ES2104474T3 (es) 1997-10-01
BR9408471A (pt) 1997-08-26
DK0738413T3 (da) 1998-02-16
EP0738413B1 (en) 1997-07-23
DE69404481T2 (de) 1998-02-05
AU1284395A (en) 1995-08-01
JPH09507585A (ja) 1997-07-29
WO1995019026A2 (en) 1995-07-13
EP0738413A1 (en) 1996-10-23
WO1995019026A3 (en) 1995-08-10
US5819452A (en) 1998-10-13
GR3024882T3 (en) 1998-01-30
AU691232B2 (en) 1998-05-14
CN1141094A (zh) 1997-01-22
NZ277565A (en) 1998-02-26
CA2180107A1 (en) 199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748148B2 (en) Display sign adapted to be backlit by widely spaced light emitting diodes
US7827712B2 (en) Lighted signage using reflected light behind the signage
US7870686B2 (en) Lighted subway signage
AU571835B2 (en) Lens array
CA2217444C (en) Display device
US5791078A (en) Liquid lens
US5758442A (en) Modular window electronic sign
US2616957A (en) High-visibility traffic signal
US5600909A (en) Illuminated changeable message display
KR850000157Y1 (ko) 광고장치
WO1990003636A1 (en) Display signs
KR102243252B1 (ko) 멀티 라인 광고판
KR200236745Y1 (ko) 주.야 겸용 광고간판
KR100805213B1 (ko) 벽걸이용 수족관
GB2282308A (en) Vivarium
NL192584C (nl) Informatiezuil.
KR200399307Y1 (ko) 아파트용 광고판
KR0122267Y1 (ko) 선전용 옥외 광고판
RU23757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нелинейного проец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H0423274B2 (ko)
KR20030063562A (ko) 비디오 및 레이저 그래픽의 복합기능을 갖춘 대화면의프로젝션 tv
KR20190017172A (ko) Led 조명 소스를 가진 표시 판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WO2000005699A9 (en) Promotional display with fluid movement
LV13398B (en) Advertising stand and method based on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