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150B1 - 구동력 전달기구 - Google Patents

구동력 전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150B1
KR100245150B1 KR1019910012299A KR910012299A KR100245150B1 KR 100245150 B1 KR100245150 B1 KR 100245150B1 KR 1019910012299 A KR1019910012299 A KR 1019910012299A KR 910012299 A KR910012299 A KR 910012299A KR 100245150 B1 KR100245150 B1 KR 10024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force transmission
die
drive shaf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280A (ko
Inventor
구니오 가끼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0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5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a continuous strip, spring, or the like engaging the coupling parts at a number of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 역회전되고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구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기 다이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력 전달부재 사이를 탄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시킴과 함께, 구동력 전달부재의 회전기 다이에 대한 회전 위치를 규제하는 회전 위치 규제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정속 구동시에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탄성 연결부재를 거쳐서 구동력 전달 부재에 전달하여, 구동축측에 발생하는 토르크 리풀등이 피 구동부측에 절달되지 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고속회전 구동시에는 회전기 다이에 대해 구동력 전달부재를 일체화하여 안정된 피 구동부재의 고속 회전 구동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구동력 전달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력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기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기구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
제4도는 구동축이 정방향으로 정속 회전 구동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횡단면도.
제5도는 역방향으로 정속 회전 구동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횡단면도.
제6도는 구동축이 정방향으로 고속 회전 구동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횡단면도.
제7도는 역방항으로 고속 회전 구동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축 3 : 회전기 다이
4 : 구동력 전달부재 13 : 토션 코일 스프링
18 : 기어 24 : 접촉편
25 : 접촉 걸림돌기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의 릴다이 장치를 회전 구동시키는 릴 모터와 같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릴다이 장치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구동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기 다이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력 전달부재 사이를 탄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시킴과 함께, 구동력 전달부재의 회전기 다이에 대한 회전 위치를 규제하는 회전 위치 규제부재를 설치하므로써, 정속 구동시에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탄성 연결부재를 거쳐서 구동력 전달 부재에 전달하여, 구동축측에 박생하는 토크 리플 등이 피 구동부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고속회전 구동시에는 회전기 다이에 대해 구동력 전달부재를 일체화하여 안정된 피 구동부재의 고속 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릴다이 구동장치에서는, 한쌍의 릴다이 사이에 릴다이 구동전용의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주행 조작 모드에 따라 한쌍의 릴다이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릴다이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 지지점을 갖는 요동 레버를 설치하여, 요동 레버 위에 한쌍의 릴다이의 회전기어에 선택적으로 이가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를 설치하여 구성된 구동력 전달 절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구동력 전달 절환기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어느 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요동 레버가 회전되어, 요동 레버 위의 아이들 기어가 어떤 회전 기어의 톱니와 맞물려, 상기 한쌍의 릴다이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릴다이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아이들 기어와 같은 구동력 전달기어를 거쳐서 릴다이의 회전 기어에 직접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구동 모터가 갖는 토크 리플 등의 회전 구동력의 외란(外亂) 요인이 릴다이의 회전 기어에 직접 전달되어 버린다. 토크 리플 등이 릴다이의 회전 기어에 전달되면, 릴다이의 안정된 회전 구동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릴다이에 걸어 맞추어진 테이프 릴을 거쳐서 감겨 조작되는 자기테이프의 테이프 장력에 악영향을 주어, 주행 조작되는 자기테이프에 와우(wow) 또는 플러터(flutter)를 발생시켜 양호한 기록 재생특성을 얻을 수가 없다.
거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릴다이 구동장치는 기록 재생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급송 로작 모드 혹은 되감기 조작 모드시에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릴다이의 고속 회전구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록 재생 모드와 같이 자기테이프를 정속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회전 구동력이 아이들 기어등을 거쳐서 직접 전달되는 릴다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사용하는 일이 없이 릴다이의 구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릴다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캡스턴 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릴다이 사이를 고무벨트 등을 사용한 벨트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하여, 이 벨트 연결기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토크 리플을 흡수하여 릴다이의 회전 구동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릴다이 구동장치는, 릴다이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어떤 것의 릴다이에 전달시키는 구동력 전달 절환기구의 간소화가 달성되고 장치 자체의 간소화도 달성할 수 있으며, 테이프 레코더의 소형화에도 유효하다.
그러나, 상기 릴다이 구동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토크 리플 등이 회전 구동되는 릴다이에 직접 전달되어, 릴다이를 거쳐서 감겨 조작되는 자기테이프에 와우 또는 플러터를 발생시킨다. 그로 인하여, 릴다이 구동장치는 자기테이프의 정속 주행을 행하는 기록 재생 모드시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릴다이의 회전 구동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기구의 간소화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로 구동모터가 구비하는 토크 리플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테이프 레코더의 릴다이 구동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자기테이프의 급송 조작 모드 및 되감기 조작 모드시 뿐만아니라, 기록 재생을 하는 정속 주행 조작 모드시에 있어서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 전달기구는 정방향으로 정속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정속 회전 속도 보다 큰 고속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축에 의해서 지지된 회전기 다이와, 상기 회전기 다이에 의해서 지지되고 테이프 권취릴 블록과 결합하기 위해 말단 단부에서 구동력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관형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에 무관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기 다이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기 다이에 제공되고, 직경방향으로 서로 정반대의 위치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걸림 돌출편을 갖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한 걸림 돌출편은 상기 회전기 다이와 결합하고 다른 걸림 돌출편은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회전기 다이와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 사이를 상기 구동푹의 회전의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 부재와, 상기 회전기 다이의 상부면 상에 배열된 접촉편과 상기 회전기 다이에 대해서 구동력 절달 부재의 회전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내면 상에 배열된 접촉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 위치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정속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기 다이와 탄성 연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고속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기 다이에 부착된 상기 접촉편과,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에 부착된 상기 접촉 걸림 돌기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력 전달기구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또한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구동축이 정속 구동될 때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이 탄성 연결부재를 거쳐서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력 전달 부재에 전달되어서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 구동이 행해진다. 그래서, 구동축측에 구동모터의 토크 리플 등에 기인하는 회전 구동력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변동에 따라 상기 탄성 연결부재가 탄성 변위하여 상기 회전 구동력의 변동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이 고속 회전 구동시에는, 회전기 다이측에 탄성 연결부재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부여되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재가 크게 탄성 변위되어, 구동력 전달 부재가 회전 위치 규제 부재에 의해 회전 위치가 규제되어져 회전기 다이와 일체로 회전 구동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력 전달기구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구동축(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1)은 정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회전 구동함과 함께 그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구동모터(2)의 출력축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나, 출력축에서 직접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거쳐서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도록 된 것이라도 좋다.
그래서, 상기 구동축(1)에는, 이 구동축(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 지된 회전기 다이(3)와, 상기 구동축(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력 전달 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기 다이(3)는 중심부에 구동축(1)이 꼭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끼워 맞춤 구멍(6)을 지나는 축 끼워맞춤통(7)이 세워지고, 이 축 끼워맞춤통(7)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에 꼭끼워 지지함으로써, 이 구동축(1)의 기단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1)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기 다이(3)의 기단부측에는, 상기 구동축(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력 전달부재(4)를 지지하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지지판(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8)의 외주위에는 입상 주위벽(9)이 형성되며, 입상 주위벽(9) 부분에는, 입상 주위벽(9)의 일부를 잘라낸 것 같이 하여 지지판(8)의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위가능한 걸림 걸이편(10, 11)이 한쌍 설치되어져 있다. 이들 걸림 걸이편(10, 11)은 상기 구동축(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력 전달부재(4)의 기단측 외부주위에 돌출 설치된 링형상의 걸림 플랜지부(12)에 선단의 걸이부(10a, 11a)를 걸리게 하여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4)의 구동축(1)으로부터의 빠짐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8)의 상면측에는, 회전기 다이(3)와 구동력 전달부재(4)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1)의 회전 구동력을 구동력 전달부재(4)에 전달하는 탄성 연결부재인 토션 코일 스프링(13)의 일 단부측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편(14)이 끼워맞춤통(7)과 동심원 형상으로 입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력 전달부재(4)는 걸림 플랜지부(12)가 형성되는 기단부측에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이 끼워맞추어지는 큰 직경 스프링 끼워맞춤부(15)가 형성되며, 이 스프링 끼워맞춤부(15)의 상단측에는 스프링 끼워맞춤부(15)보다 가느다란 직경으로 된 회전기 다이(3)의 축 끼워맞춤통(7)이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통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통부(16)의 중심부에는, 구동축(1)이 끼워지는 축 삽입용 관통구멍(17)이 뚫려져 있다. 이 축삽입용 관과통구멍(17)은, 구동력 전달부재(4)를 구동축(1)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동축(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래서, 끼워맞춤통부(16)의 상단측 외주면에는, 구동축(1)의 회전 구동력을 피구동부측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로서의 기어(1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기구를 릴다이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기어(18)가 요동 레버상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 등과 맞물린다.
그래서, 구동력 전달부재(4)는 끼워맞춤통부(16)에 뚫어진 축삽입용 관통구멍(17)을 거쳐서 구동축(1)에 끼워 통과되어, 회전기 다이(3) 상에 놓여지도록 지지된다. 이때, 구동력 전달부재(4)는 회전기 다이(3)측에 밀어넣듯이 끼워통과시키므로써,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측의 걸림 플랜지부(12)가 걸림 걸이편(10, 11)에 의해 걸려져 구동축(1)으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회전기 다이(3)와 구동력 전달부재(4)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재로서의 토션 코일 스프링(13)에는, 하단측과 상단측에 각각 회전기 다이(3) 및 구동력 전달부재(4)에 걸어 맞추어지는 한쌍의 걸림 돌출편(20, 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 다이(3)에 설치한 위치 결정편(14)의 내주측에 하단측을 걸어 맞추어짐과 함께 구동력 전달부재(4)의 스프링 끼워맞춤부(15)에 내포되도록 하여 회전기 다이(3)의 축끼워맞춤통(7)에 끼워 장치된다. 그래서,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하단측에 위치하는 한편의 걸림 돌출편(20)을 회전기 다이(3)의 입상 주위벽(9)에 축방향을 따라서 뚫은 끼워맞춤홈(22)에 끼워 맞추어서, 상단측에 위치하는 다른편의 걸림 돌출편(21)을 구동력 전달부재(4)의 스프링 끼워맞춤부(15)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끼워맞춤홈(23)에 끼워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각 걸림 돌출편(20, 21)을 회전기 다이(3) 및 구동력 전달부재(4)에 각각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회전기 다이(3)의 회전 구동력을 구동력 전달부재(4)에 전달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구동축(1)이 정속 회전 구동하는 경우의 회전 구동력에 거의 균형있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회전기 다이(3)와 구동력 전달부재(4) 사이에는, 구동축(1)이 고속 회전 구동되어, 상기 회전기 다이(3)측에 토션 코일 스프링(13)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부여되어서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이 크게 탄성 변위되어, 구동력 전달부재(4)가 회전기 다이(3)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의 회전력을 받아서 회전될때, 상기 회전기 다이(3)에 대한 회전 위치를 규제하는 회전 위치 규제부재를 구성하는 접촉편(24) 및 접촉 걸림돌기(25)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편(24)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 다이(3)의 끼워맞춤통(7)의 상단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접촉 걸림돌기(25)는 구동력 전달부재(4)의 끼워맞춤통부(16)의 내주면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24) 및 접촉 걸림돌기(25)는 구동축(1)이 정속 구동될 때에는, 이 구동축(1)의 구동력이 토션 코일 스프링(13)만을 거쳐서 구동 전달부재(4)에 전달되도록 하기 때문에, 정지상태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떨어진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접촉편(24)의 상단면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력 전달부재(4)의 구동축(1)에 대한 설치 높이의 위치를 규제하는 높이 규제면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동력 전달기구에 있어서는, 구동력 전달부재(4)의 기어(18)에 테이프 레코더의 릴다이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요동 레버에 설치한 아이들 기어가 맞물리도록 하여, 구동축(1)이 제4도의 화살표 X 방향으로 정속 회전 구동을 개시하여 정속회전 상태에 이르면, 축끼워맞춤통(7)에 끼워 장치되어서 회전기 다이(3)와 구동력 전달부재(4) 사이에 개재된 토션 코일 스프링(13)에 대해 구동축(1)의 회전 구동방향의 가압력이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4)측에서 부여되어,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같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된다. 그래서,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탄성 변위력을 가지고 회전기 다이(3)와 구동력 전달부재(4)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축(1)과 일체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기 다이(3)에 따라 구동력 전달부재(4)의 회전 조작을 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거의 균일한 탄성력을 갖는 토션 코일 스프링(13)이 사용되므로써, 구동력 전달부재(4)의 회전기 다이(3)에 대한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접촉편(24) 및 접촉 걸림돌기(25)의 상호 끼워맞춤이 도모해지는 일이 없고, 토션 코일 스프링(13)만을 거쳐서 회전기 다이(3)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부재(4)에 전달된다. 그로 인하여. 구동축(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토크 리플 등이 생겨 회전 구동력에 변동이 생긴 경우에는,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의 탄성 변위량이 가변되므로써 토크 리플 등에 기인하는 회전 구동력의 변동이 흡수되어, 구동력 전달부재(4)는 일정한 회전 구동력으로서 회전 구동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4)에 아이들 기어 등을 거쳐서 연결되는 릴다이는 일정한 회전 구동력을 가지고 안정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되어, 상기 릴다이를 거쳐서 감기 조작되는 자기 테이프의 장력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고, 자기 테이프의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보증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1)이 제4도에 도시된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5도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정속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의 회전 구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어, 탄성 변위력으로서 상기 회전기 다이(3)와 구동력 전달부재(4)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축(1)과 일체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기 다이(3)에 따르는 구동력 전달부재(4)의 회전 조작을 행한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구동축(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에 토크 리플등이 생겨 회전 구동력에 변동이 생긴 경우에는,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의 탄성 변위량이 가변되므로써 상기 토크 리플 등에 기인하는 회전 구동력의 변동이 흡수되어 구동력 전달부재(4)는 일정한 회전 구동력을 각고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구동력 전달기구는 구동축(1)의 정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의 정속 회전 구동상태에 있어서, 구동모터가 갖는 토크 리플 등의 회전 구동력의 변동 요인을 흡수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축(1)이 제4도에 도시된 경우와 같은 방향의 제6도의 화살표 X 방향으로 고속 회전 구동되면, 토션 코일 스프링(13)에 대해 토션 코일 스프링(13)의 탄성력을 초과한 큰 가압력이 구동력 전달부재(4)측에서 부여되어,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13)은 구동축(1)의 회전 구동방향으로 크케 탄성 변위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부재(4)에 설치한 접촉 걸림돌기(25)가 회전기 다이(3)에 설치한 접촉편(24)에 접촉하여, 구동력 전달부재(4)의 회전기 다이(3)에 대한 회전 위치가 규제되며, 구동력 전달부재(4)는 회전기 다이(3)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제6도의 화살표 X 방향으로 고속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축(1)이 제5도에 도시된 경우와 같은 방향의 제7도의 화살표 Y 방향으로 고속회전 구동되면, 제6도에 도시된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토션 코일 스프링(13)이 크게 탄성 변위하고,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부재(4)에 설치된 접촉 걸림돌기(25)가 회전기 다이(3)에 설치된 접촉편(24)에 접촉하고, 상기 제6도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력 전달부재(4)는 회전기 다이(3)와 일체된 상태에서 제7도의 화살표 Y 방향으로 고속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축의 정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에 있어서 정속 구동시에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탄성 연결 부재만을 거쳐서 구동력 전달 부재에 전달하도록 형성되므로써, 구동축의 정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의 어느 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상태에 있어서도, 구동축측에 발생하는 토크 리플 등을 탄성연결부재로 흡수하여, 피구동부측에 전달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가 구비하는 토크 리플 등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피구동부의 안정된 회전 구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이 정방향 및 역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고속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는, 회전기 다이에 대해 구동력 전달 부재가 일체화되어서 구동되는 상태로 되므로, 피구동부를 확실하게 안정된 상태에서도 고속 회전 조작할 수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력 전달기구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다이 구동 장치에 적용하므로써, 정속 주행되는 기록 재생 모드 상태에 있는 자기테이프의 와우나 플러터의 원인이 되는 테이프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여,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보증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력 전달기구는, 구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회전기 다이와 구동력 전달부재를 일체화한 상태에서의 고속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기 테이프가 고속 주행되는 급송 및 되감기 조작 모드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 전달 기구를 사용하므로써, 릴다이 구동장치의 간소화가 달성되어, 테이프 레코더 자체의 소형화에 유효해진다.

Claims (3)

  1. 회전 구동력을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권취릴 블록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에 있어서, 정방향으로 정속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정속 회전 속도 보다 큰 고속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이리체로 회전하도록 구동축에 의해서 지지된 회전기 다이와, 상기 회전기 다이에 의해서 지지되고 테이프 권취릴 블록과 결합하기 위해 말단 단부에서 구동력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관형 형상을 구비하며, 상이 구동축에 무관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기 다이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회전기 다이에 제공되고, 직경방향으로 서로 정반대의 위치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걸림 돌출편을 갖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한 걸림 돌출편은 상기 회전기 다이와 결합하고 다른 걸림 돌출편은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회전기 다이와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 사이를 상기 구동축의 회전의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 부재와 상기 회전기 다이의 상부면 상에 배열된 접촉편과 상기 회전기 다이에 대해서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내면 상에 배열된 접촉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 위치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정속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기 다이와 탄성 연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고속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기 다이에 부착된 상기 접촉편과,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에 부착된 상기 접촉 걸림 돌기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에 전달되는 구동력 전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 다이에는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가 구동축의 축선방향으로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걸림 부분이 형성되는 구동력 전달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전기 모터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
KR1019910012299A 1990-07-20 1991-07-19 구동력 전달기구 KR100245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77276U JPH0435233U (ko) 1990-07-20 1990-07-20
JP77276 1990-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280A KR920003280A (ko) 1992-02-29
KR100245150B1 true KR100245150B1 (ko) 2000-02-15

Family

ID=1362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299A KR100245150B1 (ko) 1990-07-20 1991-07-19 구동력 전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89040A (ko)
JP (1) JPH0435233U (ko)
KR (1) KR100245150B1 (ko)
MY (1) MY1086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041B2 (ja) * 1995-12-06 2006-03-29 アスモ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
GB2312730B (en) * 1996-05-04 1999-11-03 Philip Charles Shephard Seat adjusting mechanism
US6032548A (en) * 1997-08-08 2000-03-07 Del Castillo; Leonardo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ovement utilizing a servo mechanism with a self-aligning clutch
US6003193A (en) * 1997-10-09 1999-12-21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functional apparatus having flexible clutch
JP3592941B2 (ja) * 1998-11-24 2004-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6557659B1 (en) 2000-09-14 2003-05-06 Meritor Heavy Vehicle Technology, Llc Driveline assembly with vibration dampener
US6431340B1 (en) * 2000-11-07 2002-08-1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oft stop mechanism and method
DE10261479B4 (de) * 2002-12-23 2007-02-22 Robert Bosch Gmbh Elastische Drehmoment-Übertragungs- und Begrenzungs-Kupplung
FR2870903B1 (fr) * 2004-05-27 2006-08-11 Renault Sas Moteur thermique alternatif comportant des arbres d'equilibrage entraines en rotation par le vilebrequin
JP4167679B2 (ja) * 2005-09-01 2008-10-15 株式会社共立 振動吸収継手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型刈払機
US20070278063A1 (en) * 2006-05-31 2007-12-06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Unidirectional clutch
EP1953404B1 (de) * 2007-02-05 2014-07-02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Kupplungsvorrichtung mit Schenkelfeder
DE102020115862B3 (de) * 2020-05-15 2021-05-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lt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0751A (en) * 1985-07-12 1988-08-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otary driving mechanism
US4944278A (en) * 1989-04-14 1990-07-31 Eaton Corporation Torsion damping mechanism for a super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6274A (en) * 1947-02-20 1952-11-04 Landrum Porter Power coupling
US3146756A (en) * 1962-05-01 1964-09-01 Outboard Marine Corp Coupling
US3235208A (en) * 1963-07-11 1966-02-15 Dale Electronics Panel mounting means for trimmer potentiometers and the like
US3930380A (en) * 1974-08-19 1976-0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Ice dispenser container coupling
AT395489B (de) * 1988-07-05 1993-01-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
JPH02296014A (ja) * 1989-05-09 1990-12-06 Fumito Komatsu 定トルクスプリングクラ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0751A (en) * 1985-07-12 1988-08-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otary driving mechanism
US4944278A (en) * 1989-04-14 1990-07-31 Eaton Corporation Torsion damping mechanism for a super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280A (ko) 1992-02-29
US5389040A (en) 1995-02-14
MY108607A (en) 1996-10-31
JPH0435233U (ko) 199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150B1 (ko) 구동력 전달기구
KR880002575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릴 구동장치
US5003418A (en) Reel-driving clutch assembly for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273229A (en) Fixed torque spring clutch
US4009846A (en) Tape recorder drive system
US5064137A (en) Fixed torque spring clutch and a winder having the same
US5499777A (en) Reel disc driving device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JPS5919138Y2 (ja) 調整自在ねじりばねクラツチ
JPH0350142B2 (ko)
US4123015A (en) Automatic stopping device for tape recorder
US4114831A (en) Concentric reel drive for a tape cassette
US5289989A (en) Tape hub driving system with mechanism to prevent tape slackening during mode change
US5884858A (en) Reel table driving mechanism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KR10038597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브레이크장치
KR900003391Y1 (ko) 원심력을 이용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클러치 절환장치
JPH0435174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14233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클러치 변환장치
JP2548414Y2 (ja) リール駆動機構
KR920000441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릴 구동장치
KR970005565Y1 (ko) 릴 구동장치
KR011790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클러치장치
KR10038597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브레이크장치
JPH045076Y2 (ko)
KR930010477B1 (ko) 비디오 데크업 릴의 일방향 클러치장치
GB1590302A (en) Rotational speed changeo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