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693B1 -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 Google Patents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693B1
KR100244693B1 KR1019930015262A KR930015262A KR100244693B1 KR 100244693 B1 KR100244693 B1 KR 100244693B1 KR 1019930015262 A KR1019930015262 A KR 1019930015262A KR 930015262 A KR930015262 A KR 930015262A KR 100244693 B1 KR100244693 B1 KR 10024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ilm
particles
polyester
base laye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05543A (en
Inventor
가츠야 이토
아츠시 다가
가츠후미 구마노
야스시 사사키
도시타케 스즈키
아키코 하마노
Original Assignee
시바타 미노루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타 미노루,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타 미노루
Priority to KR101993001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693B1/en
Publication of KR9500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69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와 이 폴리에스테르와 비- 상용성인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수지의 혼합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함으로써 형성된 미세한 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주로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층(B)을 포함하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 부터 3㎛ 두께를 가지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이 8체적% 또는 그 이하이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이 10 내지 50체적% 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세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층(B)을 포함하며, 외부표면층(B)이 0.1 내지 2.0㎛ 의 평균 1차 입자크기(R₁)를 가지는 1차 입자와 R₁값의 1.05 내지 1.60 배인 평균 2차 입자크기(R₂)를 가지는 2차 입자를 포함하는 무기입자를 1 내지 30중량% 함유하며, 99% R₂값이 R₁값의 4.0배 이하이며, Rn 값이 R₁값의 5.0배 이하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도 개시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mainly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a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fine cavities formed by orienting a mixture of at least one polyester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that is no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in at least one directi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layer (B)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wherein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s 8% by volume or Less than or equal to 10 to 50% by volume of the composite film of the composite-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is disclosed. In addition, it comprises at least one outer surface layer (B)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the microcavity,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0.1 to 2.0 ㎛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R ₁) It contains 1 to 30%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including primary particles having and secondary particles having an average secondary particle size (R₂) of 1.05 to 1.60 times R 'value, and 99% R₂ value is 4.0 times R' value. Also disclosed is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having a Rn value of 5.0 times or less of an R 'value.

Description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제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void- containing composite film of polyester type)의 주요부를 그 두께방향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고,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void-containing composite film of polyester type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제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 내지 18 에서 얻은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에 관하여 외부표면층(b)의 표면부에서의 피이크 수와 피이크 높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방정식 Y = -1.3 logX +5.2 및 Y = -0.77 logX + 2.31에 해당하는 곡선들도 도시되어 있다.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number and the peak height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with respect to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Examples 16 to 18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ation Y =- Curves corresponding to 1.3 logX +5.2 and Y = -0.77 logX + 2.31 are also show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폴리에스테르기본층 1 : 필름기재a: polyester base layer 1: film base material

b : 외부표면층 2 : 미립자b: outer surface layer 2: fine particles

3 : 미세공동3: microcavity

본 발명은 다수의 미세공극을 함유하여서 라벨, 포스터, 기록용지, 포장용지등의 용도에 충분한 터프니스와 우수한 인쇄적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film containing a plurality of micropores, having a toughness and excellent printability sufficient for the use of labels, posters, recording paper, packaging paper and the like.

종이 대체물로서 합성수지로 주로 구성된 합성동이는 천연물질, 즉 천연종이와 비교할때 내수성, 수분흡착에 대한 치수안정성, 표면안정성, 인쇄의 광택성 및 선명성과 기계적 강도와 같은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최근에는 이들 장점을 이용하여 합성종이의 실제적 용도가 개발되어 왔다. 합성종이의 주원료물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들이 사용된다. 이들 가운데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가 고내열성 및 고터프니스와 같은 성질이 우수하여서 광범위하게 사용될수 있다.Synthetic copper, mainly composed of synthetic resin as a paper substitute, ha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water resistance, dimensional stability against water adsorption, surface stability, glossiness and clarity of print and mechanical strength compared to natural materials. In recent years, the practical use of synthetic paper has been developed using these advantages. As the main raw material of synthetic paper,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ester are used. Among these,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e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toughness and can be widely used.

주 원료물질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종이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를 위하여 다음 공정들;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부가 비세한 공동을 다수 함유하도록 하는 처리, 즉 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와 (2)샌드블래스팅(2-1), 화학적에칭(2-2) 또는 광택제거공정(2-3)과 같은 기술( 즉, 바인더와 함께 광택제거제(matting agent)를 적층하는 기술)에 의해 종래의 편평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명을 거칠게 하는 처리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들 공정 가운데서, 공정(1)은 필름 그 자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음 뚜렷한 인쇄 및 전사에 적당한 유연성을 줄수있는 약간의 이점이 있다.The follow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a polyester film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paper by using polyester as the main raw material; (1) treating the interior of the polyester film to contain a number of voids, i.e., preparing a polyester film containing the cavity and (2) sandblasting (2-1), chemical etching (2-2) or Treatments that roughen the manifestation of conventional flat polyester films have been proposed by techniques such as the polishing process (2-3) (i.e., laminating a matting agent together with a binder). Among these processes, process (1)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film itself. There are some advantages that can give adequate flexibility for distinct printing and transfer.

지금까지, 폴리에스테르필름의 내부에 미세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와 이 폴리에테르와 상용할 수 없는 중합체와의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는 단계; 중합체의 미립자가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본물질에 분산되는 시이트로 용융- 혼련된 물질을 압출시키는 단계; 와 미립자주위에 미세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트를 연신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공정이 제안되었다.(미국특허 제5084334호 참조). 폴리에스테르와 상용할 수 없으며 미세한 공동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비- 상용성수지(incompatible resin)라함)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일본국 특허공개 134755/1974 참조), 폴리스티렌수지(일본 특허공고 2016/1974와 29550/1979 호 참조) 와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일본 특허공고 28097/1983)와 같은 수 종류의 수지들이 제시되어 왔다. 이들 수지 가운데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 수지들을 사용하면 미세공동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저밀도이며 저단가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수지가 바람직하다.To date, melt-kneading, in an extruder, a mixture of polyester and a polymer incompatible with the polyether to form a fine cavity inside the polyester film; Extruding the melt-kneaded material into sheets in which particulates of the polymer are dispersed in the polyester film base material; A process consisting of stretching the sheet to form a fine cavity around the fine particles has been proposed (see US Pat. No. 5084334). Polymers that are incompatible with polyester and that can be used to form fine cavities (called incompatible resins) include polyolefin resins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134755/1974), polystyrene resins (Japanese Patent Publication 2016 / Several kinds of resins have been proposed, such as 1974 and 29550/1979) and polyacrylate resins (Japanese Patent Publication 28097/1983). Among these resins, these resins are preferred because the use of polypropylene and polystyrene resins can easily form microcavities and can be purchased at low density and low cost.

그러나, 이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 그 표면위에 접착제층이 구비되어 라벨등으로서 사용되어 박리되는 경우 필름 표면 가까이에 있는 미세공동은 균열로서 작용을 하여 필름표면 부분이 절단되며; (2) 그 표면의 광택이 강하여 종이 대용품으로서는 외관이 빈약하며; (3) 자외선에서의 노출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의 감화 또는 폴리 에스테르의 부산물과 그에 사용된 은폐와제로 부터 야기된 감화에 의해 필름의 백색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계의 공동함유필름에 관하여 예의연구한바 상술하 바의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점이 미세공동의 크리 및 분포를 조절함으로써 해결될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본발명을 달성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인쇄, 타자 및 복사용의 고도의 선명성 및 고내구력, 고터프니스, 쿠션성과 특히 고표면강도, 고질의 외관, 우수한 자외선에 대한 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제공하며; 그러한 복합필름은 라벨, 포스터, 기록용지, 통상의 전표, 가정배달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배달전표, 감압접착지, 복사용지, 프린터용 인쇄용지등을 위한 기재로서 적당하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polyester films are (1) when the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used as a label or the like to peel off, the microcavity near the film surface acts as a crack so that the film surface portion is cut; (2) the gloss of the surface is so strong that the paper substitute is poor in appearance; (3)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hiteness of the film is lowered by the influence of the polyester by the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or by the influence of the by-product of the polyester and the concealment agent used therei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a thorough study of the polyester-based co-containing film and have realized that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polyester film described above can be solved by adjusting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microcavity. .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having high sharpness and high durability for printing, typing and copying, high toughness, cushioning properties and particularly high surface strength, high quality appearance and excellent UV resistance; Such composite films are suitable as substrates for labels, posters, recording paper, ordinary slips, delivery slips for use in home delivery systems,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opy papers, printing papers for printer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와 이 플로이세테르와 상용(相容)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의 중합체 혼합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함으로써 얻은 미세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층(B)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부터 3㎛두께를 갖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이 8체적%도는 그 이하이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10 내지 50 체적%이다.The co-containing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cavity obtained by orienting a polymer mixture of at least one polyester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incompatible with the flowseter in at least one direction. It consists mainly of a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and consists of at least one outer surface layer (B)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where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8% by volume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탆 from the surface of the C) is less than 8%, and the average void of the composite film is 10 to 50% by volume.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미세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층(B)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외부표면층(B)은 0.1내지 2.0㎛의 평균 1차 입자크기(R₁)를 갖는 2차 입자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를 1내지 30 중량% 함유하며; 개개 입자 크기보다 작은 2차 입자의 존재에 대한 정규분포에서 99% 확률의 2차 입자의 개개입자크기는 R₁값의 4.0배 이하이며; 무기 입자들의 최단 중심간 거리의 평균값은 R₁값의 5.0배 이하이다.Another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microcavities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and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t consists of at least one outer surface layer (B), wherein the outer surface layer (B) contains 1 to 30%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consisting of secondary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R₁) of 0.1 to 2.0㎛ ; In the normal distribution for the presence of secondary particle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particle size, the individual particle size of the secondary particles with a 99% probability is not more than 4.0 times the R₁ value; The average value of the shortest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5.0 times or less of the R 'value.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본 기술에 숙지된 자는 더욱 잘 이해될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여러 목적 및 이점도 분명하게 될 것이다. 제1 도에는 본발명에 따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공동- 함유 복합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공동- 함유 복합필름은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그의 양쪽에 형성된 외부 표면층(B)으로 구성된다. 외부표면층(B)은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은 폴리에스테르로 주로 이루어지는 필름기재(1), 폴리에스테르와 상용할 수 없는 열가소성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분산된 미립자(2)와 미립자(2) 주위에 형성된 미세공동(3)을 갖추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와 이 폴리에스테르와 상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와의 중합체 혼합물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향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외부표면층(B)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구성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igure 1 discloses a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containing composite films have been disclosed in polyester based composite films. The co-containing composite film consists of a polyester base layer (A) and an outer surface layer (B)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outer surface layer (B)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As shown in FIG. 1, the polyester base layer (A) comprises a film base material (1) mainly composed of polyester, dispersed fine particles (2) and fine particles (2) composed mainly of thermoplastic resins incompatible with polyester. ) Has a microcavity (3) formed around. The polyester base layer (A) can be formed by orienting a polymer mixture of at least one polyester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i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mainly composed of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 사용될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 4-부탄디올 또는 네오펜틸글리콜과 같은 글리콜과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이다.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과의 직접반응에 의해 또는 글리콜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교환반응후 중축합하거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디글리콜에스테르의 중축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전형적 실례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가 있다.Polyesters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or esters thereof such as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or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d glycols such as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1,4-butanediol or neopentylglycol; It is polyest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Polyesters may be prepared by direct reaction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with glycols or by polycondensation after transesterification of alkyl esters of glycols with aromatic dicarboxylic acids or by polycondensation of diglycol esters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Can be. Typical examples of polyesters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2, 6-naphthalate.

원료물질 폴리에스테르는 단일중합체,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즉 공폴리에스테르 또는 단일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raw material polyester may be a homopolymer, a copolymer containing other components, ie a copolyester or a mixture of homopolymers and copolymers.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고터프니스 및 고 인장강도가 주어질 경우에 원료물질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또는 에틸렌-2, 6-프탈레이트 단위를 70 몰%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몰% 또는 그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 또는 그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고 유연성 또는 용이한 부착성이 주어질 경우에 공폴리에스테르는 단독 또는 단일 중합체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하튼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과생성 복합필름의 적용에 따라서 원료물질 폴리에스테르의 유형이 선정될 수 있다.When the polyester film is given high toughness and high tensile strength, the polyester used as raw material is 70 mol% or more of ethylene terephthalate unit, butylene terephthalate unit or ethylene-2, 6-phthalate uni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80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If high flexibility or easy adhesion is given to the polyester film, the copolyester is preferably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homopolymer. In any case, the type of raw material polyester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ant composite film.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와 상용될수 없는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대표실례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실록산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Thermoplastic resin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styrene resins, polyolefin resins, polyacrylic resins, polycarbonate resins, polysulfone resins, cellulose resins, polysiloxane resins, and silicone resins. Particularly preferred are polyolefin resins and polystyrene resins such as polymethylpentene and 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와 이와 상용할 수 없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중합체 혼합물은, 이들 수지칩이 혼합되어 수지혼합물이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된 다음 압출 및 고화되는 공정; 혼련기에서 두 수지가 혼련된 다음 압출기를 거쳐서 혼련된 혼합물이 용융압출된 후 고화되는 공정;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상용될 수 없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단계에서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며 교반되면서 그 내에서 분산되어 그후 용융- 압출되어 고화되는 칩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서 제조될수 있다. 고화후의 생성중합체 시이트(즉, 비- 연신 시이트)는 보통 배향을 하지 않거나 약간 배향된 상태가 된다. 폴리에스테르와 상용할 수 없는 열가소성 수지는 구형, 타원형 및 실모양과 같이 폴리에스테르필름 기재에 분산된 여러형태로 내재한다.Polymer mixtures of polyester and incompatible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the steps of mixing these resin chips such that the resin mixture is melt-kneaded in an extruder and then extruded and solidified; The two resins are kneaded in the kneader, and then the mixture kneaded through the extruder is melt-extruded and then solidified; Or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not compatible with polyester can be prepared by a process of forming a chip which is added to the polyester in the polymerization step of the polyester and is stirred therein and then melt-extruded to solidify. After solidification, the product polymer sheet (ie, the non-stretched sheet) is usually not oriented or left slightly oriented. Thermoplastic resins incompatible with polyester are inherent in various forms dispersed on a polyester film substrate, such as spherical, elliptical, and threaded.

특히,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은 그 표면부분에는 약간의 공동이 있으나 실제로 폴리에스테르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 사이의 경계면에는 공동이 없는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기위하여 비- 상용성 수지입자의 분산상태는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분포를 가지므로 폴리에스테르기본층(A)의 중앙부분에서 보다도 표면부분에서의 그 입자크기가 작은것이 바람직하다. 또 비- 상용성 수지입자는 층(A)와 (B)사이의 경계면에서 필름의 기계 방향으로 긴 모양(즉, 편평한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비- 상용성 수지 입자의 신장은 층(A)와 (B)사이의 경계면에 근접하여서만 발생되어야 한다. 비- 상용성수지 입자가 층(A) 및 (B)사이의 경계면에서 기다란 모양을 가지도록 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 상용성 수지입자가 작은 입자크기를 가질지라도 경계면에서 작은 공동이 형성되며 이들 작은 공동은 표면박리 발생의 원인이 된다.In particular, the polyester base layer (A) has a few voids in its surface portion but actually obtains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having no cavity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For this reason, since the dispersed state o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has a constant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is smaller at the surface portion than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have a long shape (ie, a flat shape)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film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ayers (A) and (B). In this case, the stretching o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should only occur in close proximity to the interface between layers (A) and (B). I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are not elong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layers (A) and (B), small cavities are formed at the interface even though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have small particle sizes. The cavity causes surface peeling.

상술한 바와같이 그내에 분산된 비- 상용성 수지입자를 함유하는 미- 연신 시이트를 얻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을 위한- 수지의 용융 압출에 대한 상태는 적당하게 선정되어야 한다.The conditions for melt extrusion of the resin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must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order to obtain a non-stretched sheet containing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dispersed therein as described above.

예컨대, 통상의 경우와 비교하여 압출기 다이의 슬리트에서 또는 압출기에서 압출기 다이로 연장하는 용융라인의 튜브벽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의 증가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만 편평한 모양의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비- 상용성수지입자의 분산을 얻을수 있다. 이들 상태에 더하여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중앙부분에서의 차와 비교해볼때 층(A) 및 (B)사이의 경계면에 인접하여서 폴리에스테르와 비- 상용성 수지 사이의 용융점도 차이에서의 감소는 보다 증가된 편평도를 얻을 수 있어서 경계면에 근접하여 비- 상용성 수지 입자의 모양은 더 편평하게 된다.For example, the increase in shear stresses acting on the tube wall of the melt line extending from the slits of the extruder die or from the extruder to the extruder di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ase is small in flat shape only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Dispersion of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o these states, a reduction in the melt viscosity difference between the polyester and the non-compatible resin is adjacent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layers (A) and (B) compared to the differenc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The increased flatness can be obtained so that the shape o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s becomes more flat near the interface.

일반적으로, 폴리올리핀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비교할 경우 온도에 대한 그 점도의 의존도가 낮다. 이 현상이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중앙부분에서 보다도 층(A)와 (B)사이의 경계면에 인접하여 수지온도를 더 낮도록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상대점도에 있어서의 차이 조절은 상술한 바와같이 달성될 수 있다.In general, polyolefm resins and polystyrene resins have a low dependence of viscosity on temperature when compared to polyester resins. When this phenomenon is used to adjust the resin temperature to be lower near the interface between layers (A) and (B) tha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the adjustment of the difference in relative viscosity is described above. As can be achieved.

상술한 방식으로 수지온도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수지가 압출기에서 압출기 다이로 연장하는 용융라인 또는 압출기 다이를 거쳐서 통과되는 동안에 온도 저하에 따른 제어는 공정중에 적용될 수 있는 반면, 온도 증가에 따른 제어는 통상의 용융압출에 보통 적용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distribution of the resin temperature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ile temperature is passed through an extruder die or melt line extending from the extruder to the extruder die, the control over temperature drop can be applied during the process, while the temperature increase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usual applies to conventional melt extrusion.

복합 필름이 공- 압출에 의해 얻어지는 공정에서 층(A)와 (B)에서의 수지온도의 독립제어는 비- 상용성수지의 편평한 모양의 입자를 얻는데 유효한 수단일 수 있다. 특히, 외부표면층(B)은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것보다도 낮은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들 사이의 온도차가 5내지 15。C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dependent control of the resin temperature in layers (A) and (B) in the process where the composite film is obtained by co-extrusion may be an effective means to obtain flat particles of non-compatible resin. In particular, the outer surface layer (B) preferably has a lower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more preferably ha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range of 5 to 15 ° C.

상술한 바의 중합체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서 은폐성(隱蔽性) 및 묘화성(描畵性)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무기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무기입자들의 실례로는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카오린, 지오라이트, 활석등으로 된 것을 포함하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기입자에 대신하여 적당한 유기입자도 사용될 수 있다. 무기입자는 층(A) 및 (B)중 어느하나 또는 둘다에 내포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내의 무기입자량은 1내지 20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며, 외부표면층(B)에서의 무기입자량은 0.5 내지 30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무기입자가 층(A) 및 (B) 둘다에 내포되는 경우 외부표면층(B)에서의 무기입자의 평균입자크기가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서의 무기입자의 평균입자크기보다 더 큰 상태하에서 은폐성 및 묘화성을 가지며, 또 저조한 글로스와 소광된 외관을 지닌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평균입자크기 0.3㎛이상인 무기입자가 단지 외부표면층(B)에서만 사용되는 경우 무기입자의 함량은 줄어들수 있어서 연신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연신상태를 선정할 수가 있어서 공동형성은 수월하게 달성될 수 있게 된다.The polymer mixture as described above may contain inorganic particles in order to improve concealability and drawability as necessary. 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itanium dioxide, silicon dioxide,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aluminum oxide, kaolin, zeolite, talc, and the like. Instead of the inorganic particles, suitable organic particles may also be used.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contained in either or both of layers (A) and (B). The amount of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 by weight, and the amount of inorganic particles in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30% by weight.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contained in both the layers (A) and (B),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It is possible to obtain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having concealability and drawing properties, and having a poor gloss and a matt appearance. In this case,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μm or more are used only in the outer surface layer B,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Therefore, the stretching state can be selected and the cavity formation can be easily achieved.

본 발명의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 외부표면층(B)에는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의 중간 모양을 갖는 적어도 한 종류의 입자가 내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모양을 갖는 입자의 부가로 폴리에스테르 복합필름은 복합필름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그 표면이 소광된 우수한 외관과 박리에 대한 표면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표면에 노치가 없어 불규칙하지 않은 입자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입자가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 중간형태를 가지는 것일지라도 박리에 대한 복합필름의 표면강도는 빈약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의 중간형태를 가지지 않은 입자가 사용되면 입자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할지라도 우수한 소광된 외관을 얻을 수 없다. 여하튼, 상기 요구조건을 합치하지 않는 모양의 입자가 사용되는 경우 외부표면층(B)의 두께는 충분한 소광된 외관과 박리에 대한 표면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증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합필름의 유연성은 떨어지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kind of particles having an irregular spherical or cubic shape or an intermediate shape thereof are contained in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uter surfac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ddition of particles having such a shape, the polyester composite film has excellent surface quenching and excellent surface strength against peeling while maintaining the flexibility of the composite film. When irregular particles are used because there are no notches on the surface, the surfac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lm against peeling is poor even though the particles have spherical or cubic or intermediate forms thereof. On the other hand, when particles having no spherical or cubic shape or intermediate forms thereof are used,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s notched and an excellent quenched appearance cannot be obtained even if irregular. In any case, when particles of a shape that do not meet the above requirements are used, th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must be increased to obtain sufficient matt appearance and surface strength for peeling, thereby decreasing the flexibility of the composite film.

층(A) 및 (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값이든 취할 수 있다. 복합필름에 적당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 측에 형성되는 외부표면층(B)이 복합필름의 총두께보다 1/5배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필름상의 박리에 대하여 충분한 표면강도를 부여하려면 외부표면층(B)은 0.5㎛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The thickness of the layers (A) and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value. In order to impart proper flexibility to the composite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layer (B)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has a thickness of 1/5 times or less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composite film. In order to impart sufficient surface strength to the peeling on the composite film, the outer surface layer (B)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5 µm or more.

본 발명의 복합필름에서, 외부표면층(B)에 가해지는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면으로 된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의 중간형의 모양을 가지는 입자의 작용으로 외부표면층(B)은 보다 얇은 두꼐일지라도 박리에 대한 충분한 표면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외부표면층(B)의 두께는 10㎛이하인 것이 좋고 6㎛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composit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thinner due to the action of particles having a spherical or cubic shape of irregular surface or an intermediate shape thereof being notched by the surfa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Even thick, sufficient surface strength for peeling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preferably 1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 µm or less.

그 표면에 노치된 불규칙한 면이 있으며 평균입자크기가 0.3㎛이상인 입자는 총 1중량% 이상의 비율로 외부표면층(B)에 내포된다. 평균 입자크기가 0.3㎛이하일 경우에는 충분한 소광된 외광을 얻을 수 없다. 평균입자크기는 특별히 상한을 가지지 않으나 보다 큰 평균입자 크기가 용이하게 복합필름에 표면조도를 부여하기 때문에 6㎛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술한 바의 모양을 갖는 외부표면층(B)에 부가되는 입자의 총량이 외부표면층(B)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충분히 소광된 외관을 얻을수 없다. 외부표면층(B)에 부가되는 상기 입자의 양은 특별히 상한이 있는 것이 아니라 복합필름의 표면강도 및 유연성을 떨어지게 하지 않으려면 50중량% 이라가 좋고, 특히 30 중량% 이라가 더 좋다.There are irregular surfaces notched on the surface and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or more are contained in the outer surface layer (B) in a proportion of 1% by weight or more in total.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0.3 탆 or less, sufficient quenched external light cannot be obtained. Although the average particle size does not have an upper limit in particular, 6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because larger average particle size gives surface roughness to a composite film easily. Furthermore, when the total amount of particles added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is 1%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weight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a sufficiently quenched appearance cannot be obtained. The amount of the particles added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50% by weight, particularly 30% by weight, in order not to reduce the surfac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composite film.

표면위에 노치되어 불규칙한 면이 있는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그들의 중간형태를 갖는 외부표면층(B)에 부가되는 입자는 어느 조성물에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들의 실례에는 실리카, 카오리나이트, 활석, 탄산칼슘, 지오라이트, 알루미나, 황산바륨, 카본블랙,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모양의 입자로서는 합성 지오라이트입자, 실리카 마이크로비이드의 2차 응집물, 탄산칼슘 미립자의 2차 응집물과 산화티탄 미립자의 2차 응집물이 바람직하며, 그 중 합성지오라이트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particles added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having notches on the surface and having an irregular surface, or having an intermediate shape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composition. Examples of materials constituting these partic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ilica, kaolinite, talc, calcium carbonate, zeolite, alumina, barium sulfate, carbon black, zinc oxide, titanium oxide, and the like. As the particle | grains of the above-mentioned shape, a synthetic aggregate is preferable, a secondary aggregate of a silica microbead, a secondary aggregate of a calcium carbonate fine particle, and a secondary aggregate of a titanium oxide fine particle are preferable, among which a synthetic zeolite particle is more preferable.

합성 지오라이트 입자의 경우에 열- 처리되거나 열 미처리된 물품중 어느것일 수 있으나 200℃이상의 온도에서 일단 열처리된 합성 지오라이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소결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리카 마이크로비이드의 2차 응집물의 경우 10 내지 50㎚의 1차 입자크기를 갖는 실리카 마이크로 비이드를 구형으로 응집시킨다음 적당한 상태하에서 구형 응집물을 소결함으로써 얻어진 2차 응집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ynthetic zeolite particles can be either heat-treated or non-heat treated articles, but preference is given to using synthetic zeolite particles once heat treated at temperatures above 200 ° C. Among them, sintered is most preferred. In the case of secondary agglomerates of silica microbeads, it is preferable to use secondary agglomerates obtained by agglomerating silica microbeads having a primary particle size of 10 to 50 nm in a spherical form and then sintering the spherical agglomerates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이들 입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부가성분, 예컨대 착색제, 광- 감화방해제, 형광체, 대전방지제 및 매트릭스 수지에 양호 또는 빈약한 친화도를 갖는 어느성분 등이 그 위에 흡착된 후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바의 모양을 갖는 입자이외의 추가입자가 은펴성 및 묘화성을 개성시키기 위하여 외부표면층(B)에 가해질 수 있다.These particles may be used after at least one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a colorant, a photo-inhibitor, a phosphor, an antistatic agent and any component having good or poor affinity for the matrix resin and the like is adsorbed thereon. If necessary, additional particles other than the particles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in order to improve the smoothness and the drawability.

외부표면층(B)의 표면에 관하여 외부표면층(B)의 표면부분에서의 최대 피이크수를 부여하는 피이크 높이를 기준으로한 피이크 높이(㎛)와 이 부분에서의 피이크의 수 X(㎜²) 사이의 관계가 다음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좋다.Peak height (μm) based on the peak height giving the maximum number of peaks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and the number of peaks X in this portion (mm) ²), the relationship should satisfy the following inequality:

-1.3 log X + 5.2 ≥ Y ≥ -0.77 log X +2.31 (1)-1.3 log X + 5.2 ≥ Y ≥ -0.77 log X +2.31 (1)

(식에서, X ≥ 50 이고 Y ≥ 0 이다)(Where X ≥ 50 and Y ≥ 0)

이 관계식은 복합필름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소광된 표면외광과 박리에 대한 표면강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피이크 높이(Y)가 -1.3 log X + 5.2보다 크면 박리에 대한 표면강도는 빈약하게 된다. 피이크 높이(Y)가 -0.77 log X +2.31 이하라면 우수한 소광된 외관을 얻을 수 없거나 표면이 거칠게 된다. 여하튼, 피이크높이(Y)가 부등식(1)으로 주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외부표면층(B)의 두께가 증가되어야 충분히 소광된 외관과 박리에 대한 표면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복합필름의 유연성은 떨어지게 된다.This relationship can provide a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having excellent quenched surface extraneous light and surface strength against peeling while maintaining the flexibility of the composite film. If the peak height (Y) is greater than -1.3 log X + 5.2, the surface strength for peeling is poor. If the peak height (Y) is -0.77 log X +2.31 or less, a good matt appearance cannot be obtained or the surface is rough. In any case, if the peak height (Y) is out of the range given by the inequality (1), th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must be increased to obtain a sufficiently quenched appearance and surface strength for peeling, thereby reducing the flexibility of the composite film. .

또한 본 발명은 미세한 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이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표면층(B)으로 이루어지며, 외부표면층(B)이 0.1내지 2.0㎛의 평균 1차 입자크기(R₁)를 가지는 1차 입자와 R₁값의 1.05내지 1.60배인 평균 2차입자크기(R₂)를 가지는 2차 입자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 1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며; 개개입자크기보다 작은 2차 입자의 존재에 대한 정규분포에서 99% 확률을 부여하는 2차 입자의 개개 입자크기 (이후, 99% R₂라함)가 R₁값의 4.0배 이하이며; 무기입자에 대한 최단무게중심간 거리의 평균값이 R₁값의 5.0배 이하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R₁값이 0.1㎛ 이하일 경우에는 충분한 은폐성 및 백색도를 얻을 수 없다. R₁값이 2.0㎛ 이상이면 복합필름의 표면강도는 무기입자로 부터의 공동형성으로 인해 줄어들게 된다. 더욱이, 다른 상태가 상기 요구조건을 합치시키지 못하는 경우, 즉 2차 입자가 상기 범위를 넘는 평균 2차입자크기(R₂)를 갖는 경우 99% R₂의 값은 R₁값의 4.0배 이상이며 Rn의 값은 R₁값의 5.0배 이상이 되며 무기입자의 분산상태가 저조하기 때문에 은폐효과 및 백색도에 있어서도 균일하지 못하게 된다. 은폐력(광선 투과율)의 불균제도가 그 평균치의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백색도에 있어서의 그러한 불균제도를 나타내는 복합필름은 고도의 상업적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a fine cavity and at least one surface layer (B) mainly formed of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and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norganic particles 1 to 1, wherein the outer surface layer (B) consists of primary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R₁) of 0.1 to 2.0 μm and secondary particles having an average secondary particle size (R₂) of 1.05 to 1.60 times the R₁ value. 30 weight percent; The individual particle size of the secondary part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99% R2), which gives a 99% probability in the normal distribution of the presence of secondary particle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particle size, is 4.0 times or less of the R 'value; It provides a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having an average value of the shortest center of gravity distance to the inorganic particles is 5.0 times or less of the R 'value. When the R 'value is 0.1 µm or less, sufficient concealability and whiteness cannot be obtained. If the R ₁ value is more than 2.0 μm, the surfac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lm is reduced due to the cavity formation from the inorganic particles. Moreover, if other conditions do not meet the above requirements, i.e., if the secondary particles have an average secondary particle size (R₂) over the range, the value of 99% R₂ is at least 4.0 times the R₁ value and the value of Rn Since it is 5.0 times or more of R 'value and the dispersion state of inorganic particles is low, it becomes uneven even in a concealment effect and white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ant of hiding power (light transmittance) is 10% or less of the average value, and the composite film exhibiting such disintegrating agent in whiteness has a high commercial advantage.

여기에 사용된 바의 "평균 1차 입자크기(average primary particle size)"의 용어는 무기입자를 형성하는 원에 상당하는 직경의 평균값( 즉, 각각 해당 무기입자의 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참원의 직경들의 평균값)을 말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 refers to an average value of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circles forming the inorganic particles (i.e., each having the same area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organic particle). Average value of the diameters of the circle).

여기에 사용된 바의 "평균 2차 입자크기"의 용어는 이들 무기입자가 개개형태(즉, 1차 입자로서)로 내재할때의 무기입자 또는 적어도 두 무기입자가 응집물을 형성(즉, 2차 입자로서)할때의 무기입자의 응집물을 형성하는 원에 상당하는 직경의 평균값을 말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average secondary particle size " means that the inorganic particles or at least two inorganic particles form aggregates when these inorganic particles are embedded in individual forms (i.e. as primary particles). Refers to an average value of diameters corresponding to a circle forming aggregates of inorganic particles.

또한, 명세서중의 "1차 입자(primary particle)"은 전자 현미경으로 구체 또는 타원체로 관찰되는 단일 결정 또는 결정들로 구성된 입자를 말한다.In addition, " primary particle "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particle composed of a single crystal or crystals observed as a sphere or ellipsoid by an electron microscope.

또, 명세서중의 "2차 입자(secondary particle)"은 전자 현미경으로 각각의 구체 또는 타원체의 응집물로서 분명하게 관찰되는 유사- 입자를 말한다.In the specification, " secondary particles " refer to pseudo-particles which are clearly observed as aggregates of respective spheres or ellipsoid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명세서중의 "최단 중심간 거리"란 용어는 한 입자의 중심과 바로 이웃하는 입자의 중심사이의 거리를 말한다.The term " shortest center distance "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one particle and the center of the immediately neighboring particle.

본 발명에 따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의 표면조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이하의 표면조도를 갖는다. 표면조도가 1.0㎛ 이상이면 복합필름이 프린터등의 인쇄에 사용될 경우 인쇄에 있어서 실패가 자주 일어난다.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surface roughness of 0.1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3 μm or less. If the surface roughness is 1.0 μm or more, failure occurs in printing when the composite film is used for printing a printer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용 은폐제 또는 흰색안료로서 사용된 이산화티탄은 루틸형(rutile type)의 결정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틸형의 이산화티탄의 입자는 산화알루미늅, 실리카, 아연, 실리콘- 계수지, 폴리실록산- 계 수지, 플루오로카본- 계 수지, 실란 커플링제 또는 티타네이트 커플링제, 폴리올수지, 폴리비닐피리딘 수지 등으로 표면처리된 것들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중 산화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된 루틸형 이산화티탄의 입자가 가장 바람직하다.Titanium dioxide used as a masking agent or white pigment for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rutile type. The particles of rutile titanium dioxide include aluminium oxide, silica, zinc, silicon-counter paper, polysiloxane-based resin, fluorocarbon-based resin, silane coupling agent or titanate coupling agent, polyol resin, polyvinylpyridine resin, and the like. More preferably those surface-treated. Of these, particles of rutile titanium dioxide surface-treated with aluminum oxide are most preferred.

이산화티탄 입자를 부가하면 은폐효과와 백색도를 충분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루틸형 이산화티탄입자의 부가는 에너테이스형(anatase- type)이산화 티탄과 비교하여 루틸형 이산화티탄이 우수한 은폐력과 저 활성도를 갖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고도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부산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Adding titanium dioxide particles can provide sufficient concealment effect and whiteness.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rutile titanium dioxide particles can achieve a high degree of stability to the polyester and the formation of by-products, because rutile titanium dioxide has excellent hiding power and low activity compared to the anetase-type titanium dioxid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suppress.

산화 알루미늄으로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입자의 표면처리는 이 처리에 의해 입자의 표면적을 확대시키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사이의 경계면에 부적당하나 공동 형성을 억제하고 어느 폴리에스테르에도 산화 알루미늄이 잘 밀착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부분과 산화 알루미늄 부분사이의 경계면이 연신시에 거의 분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활용함으로써 박리에 대한 복합필름의 표면강도를 개선시키며; 이산화티탄입자가 폴리에스테르에 보다 안정한 형태로 내재될 수 있도록 산화 알루미늄으로 활성 이산화티탄의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백색도의 감소를 가속시키는 부산물의 형성을 억제시킨다.Surface treatment of the rutile titanium dioxide particles with aluminum oxide enlarges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by this treatment; It is inappropriate for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but it suppresses the formation of the cavity and the aluminum oxide adheres well to any polyester. Utilizing the fact that they do not separate improves the surfac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lm against peeling;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active titanium dioxide with aluminum oxide so that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can be embedded in polyester in a more stable form, the formation of by-products that accelerate the reduction in whiteness is suppressed.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루틸형 이산화티탄입자, 특히 은폐제로서 산화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면 은폐력이 아주 우수하며 박리에 대한 표면강도와 내후성도 우수한 공동을 함유하는 백색의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hite polyester composite film containing rutile type titanium dioxide particles, especially a surface treatment with aluminum oxide as a hiding agent, which contains a cavity having excellent hiding power and excellent surface strength and weather resistance against peeling. It was found that it can be manufactured.

중합체 혼합물에 복합체 필름의 적용에 따라서 착색제, 내광제, 형광제 및 대전 방지제와 같은 기타 다른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Other components, such as colorants, light agents, fluorescent agents, and antistatic agents, may be added to the polymer mixtur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composite film.

결과 생성된 중합체 시이트는 예컨대 다음 공정절차중 어느것에 의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향하게 된다.The resulting polymer sheet is orien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or example by any of the following process procedures.

(i) 시이트를 연신시키기 위해 각기 다른 회전속도를 갖고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로울사이에 시이트를 통과하는 공정( 로울 연신방법 );(i) passing the sheet between two or more rolls having different rotational speeds to draw the sheet (roll stretching method);

(ii) 시이트의 단부를 둘 또는 그 이상의 글립으로 고정시킨다음 시이트를 연장하는 공정 ( 즉, 텐터 연신방법 ); 및(ii) securing the end of the sheet with two or more grips and then extending the sheet (ie, tenter stretching method); And

(iii) 기압하에서 시이트를 연신시키는 공정( 즉, 인플레이션 연신방법 ), 이때 폴리에스테르필름 기본물질에 분산된 폴리에스테르와 비- 상용성인 열가소성 미립자가 변형되며 열가소성 수지의 미립자와 폴리에스테르 기본물질사이의 경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나서 미립자주위에 공동이 형성된다.(iii) drawing the sheet under atmospheric pressure (i.e., inflation drawing method), wherein the thermoplastic particles that are i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dispersed in the polyester film base material are deformed and between the particulat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 polyester base material Separation occurs at the interface, forming a cavity around the particulate.

그래서,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는 비- 상용성 수지의 양은 소정수의 공동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중합체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3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5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3중량% 이하의 양은 공동수를 증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소정의 유연성, 경량성 및 묘화성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한편 40중량% 이상의 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고유의 내열성 및 강도, 특히 터프니스가 크게 손상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Thus, the amount of non-compatible resin mixed with the polyes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cavities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40% by weight, preferably 8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mixture. An amount of 3% or less by weigh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cavities so that the desired flexibility, light weight and drawability cannot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40% by weight or more is unsuitable because the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inherent in the polyester film, particularly toughness, are greatly damaged.

또한, 피복층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잉크 및 피복제에 대한 부착성 및 습윤성을 개선시킨다. 피복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부탁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종래 수지가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mproves adhesion and wettability to the ink and the coating agent. 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composed mainly of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urethane resins, polyester urethane resins and acrylic resins, although conventional resins may be used to improve the favorability of the polyester film.

피복층의 형성을 위해 그래뷰어코팅법, 키스코팅법, 딥방법, 스프레이 코팅법, 커턴코팅법, 에어나이프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및 리버스로울팅법과 같은 종래 공정 정차가 사용될 수 있다.Conventional process stops such as a grabber coating method, a key coating method, a dip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curtain coating method, an air knife coating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nd a reverse rolling method may be used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피복층은 (i) 배향단계전에 중합체 시이트의 표면에; (ii) 다른 방향으로 직각으로 배향하기전에 일방향으로 배향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표면에; 또는 (iii) 배향완료후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표면위에 형성된다.The coating layer comprises (i) at the surface of the polymer sheet before the orientation step; (ii) on the surface of the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oriented in one direction before being oriented at right angles in the other direction; Or (iii)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fter orientation completion.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 (B)은 복합필름으로 적층되어야 한다. 적층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정, 즉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에 대응하는 이축으로 배향되는 두개의 개개 필름이 각각 상호 밀착되는 방법; 과 외부표면층(B)에 대응하는 미연신 시이트성분이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대응하는 일방향으로 배향되는 필름의 표면에 밀착되어 다른 방향으로 직각으로 또 배향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조면에서 볼 때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 용의 각각의 물질이 개별 압출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압출되어 이 압출물이 단일 다이로 진행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형성한다음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하게 되는 공압출 기술에 의해 적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should be laminated with a composite film. The lamination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conventional process, that is, a method in which two individual films oriented biaxially corresponding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method in which the unstretched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lm oriented in on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is also oriented perpendicularly and in another direction. From a manufacturing point of view, the respective materials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are extruded independently from the individual extruders so that the extrudate proceeds to a single die to form an unstretched sheet and at least in one direction. Most preferably, they are laminated by coextrusion techniques that are oriented.

미연신 시이트의 배향을 위한 상태는 우수한 터프니스를 가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의 제조측면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연속 2축 연신공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다음 조건이 제안된다. 중합체 혼합물의 연속시이트가 보울연신법에 의해 그 길이방향( 즉, 기계방향(MD))으로 연신된 다음 텐터연신법에 의해 그 폭방향( 즉, 횡단방향TD))으로 연신되는 경우, 로울연신공정( 또는 MD연신) 에서의 온도 및 연신비는 다수의 공동 형성을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30℃ 이하와 2.0 내지 5.0이 바람직하며, 텐터연신공정( 또는 TD 연신)에서의 온도 및 연신비는 절단없는 복합필름의 안정한 제조를 위하여 100내지 150℃및 2.8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ition for the orientation of the unstretched sheet is important in terms of producing a hollow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having excellent toughness. For example, when the continuous biaxial stretching process commonly used in the art is applied,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proposed. When the continuous sheet of the polymer mixture is draw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achine direction (MD)) by the bowl drawing method and then in its width direction (ie, transverse direction TD) by the tenter drawing method, roll drawing The temperature and draw ratio in the process (or MD draw) are preferably at or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 30 ° C. and 2.0 to 5.0 for forming a plurality of cavities, and the temperature and draw ratio in the tenter draw process (or TD draw) are It is preferably 100 to 150 ° C. and 2.8 to 5 for stable production of the composite film without cutting.

또, 연신된 공동함유필름은 200℃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2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이상의 온도에서 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처리는 3% 내지 8%의 비율의 완화를 수반해야 한다. 열처리가 200℃이하의 온도 또는 3% 비율의 완화와 더불어 처리되는 경우 150℃에서의 열수축률 2%,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를 갖는 공동 함유 복합필름을 얻을 수 없다.In addition, the stretched cavity-containing film is preferably heat-treated at a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preferably 220 ° C or higher, more preferably 230 ° C or higher. At this time, the heat treatment should involve relaxation of the ratio of 3% to 8%. When the heat treatment is treated with a temperature of 200 ° C. or lower or a 3% ratio relaxation,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having a heat shrinkage of 2%, preferably 1.7%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at 150 ° C. .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에 관하여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부터 3㎛두께를 갖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8체적% 이하이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10내지 50체적%, 바람직하게는 10내지 40체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체적% 이다.With respect to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µm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was 8 vol% or less,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10 to 50 vol%. It is preferably 10 to 40% by volume and more preferably 10 to 35% by volume.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부터 3㎛두께를 갖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이 8체적% 이상이라면 만족스러운 표면강도를 지니는 공동함유 복합필름을 얻을 수 없다. 또, 8체적% 이하 공동률을 지닌는 표면부분이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부터 두께가 3㎛이하라면 결과 생성된 복합필름은 박리에 견딜정도의 충분한 표면강도를 갖지 못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약간의 필요조건, 즉 그 중앙부분에 비하여 소량의 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이 3㎛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 표면으로부터 3㎛ 두꼐를 가지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이 8체적% 이하이며; 복합필름의 편균공동률이 10 내지 50체적% 이어야 하는 필요조건이 있다. 평균공동률이 10체적% 이하라면 결과 생성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충분한 유연성과 묘화성 및 큐션성을 가지지 못하는 반면, 복합필름이 연신공정동안에 간혹 절단되기 때문에 50체적% 이상의 평균공동률을 가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얻어진 결과생성 복합필름은 그 불충분한 표면강도 및 인장강도때문에 부적당하다.If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µm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s 8 vol% or more, a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having satisfactory surface strength cannot be obtained. In addition, i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void ratio of 8% by volume or less has a thickness of 3 m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the resulting composite film does not have sufficient surface strength to withstand peeling.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a slight requirement, i.e., a small amount of cavity compared with the central portion thereof, has a thickness of 3 mu m or more;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s 8% by volume or less; There is a requirement that the uniformity ratio of the composite film should be 10 to 50% by volume. If the average void ratio is 10 vol% or less,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does not have sufficient flexibility, drawability and curability, while the average void ratio of 50 vol% or more is because the composite film is sometimes cut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having a. The resulting composite film obtained is inadequate because of its insufficient surface and tensile strengths.

본 발명에 따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우수한 터프니스를 가지며 초기 모듈리스를 300㎏/㎟ 또는 그 이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모듈리스가 300㎏/㎟이하인 경우 생성 복합필름은 낮은 터프니스를 갖는다.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toughness and preferably has an initial modulus of 300 kg / mm 2 or more. The resulting composite film has low toughness when the initial modulus is 300 kg / mm 2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공동발생제로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종래의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에 비하여 표면강도에 있어서 특히 우수하여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surface streng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produced by using polystyrene or polypropylene as a co-generating agent, so that the polyester base layer (A) Layer separa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layer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does not occur.

본 발명에 따른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라벨, 스티커, 포스터, 카드, 기록용지, 포장재료, 비디오 영상 프린터용 인쇄용지, 바코드라벨, 바코드 프린터용 인쇄용지, 감열기록용지, 승화전사용 기록용지, 잉크- 분사전사용 기록용지, 오프셋 인쇄용지, 발포인쇄용지, 지도, 무진지(dust-free paper), 디스플레이보드, 서화용 백색관, 전자복사 시스템으로 장비된 서화용 백색판, 사진인쇄용지, 장식용지, 벽지, 건축자재, 지폐, 이형지, 봉서지, 칼렌더, 자기카드, 트레싱지, 전표(傳票), 배달전표, 감압기록지, 복사용지, 임상검사지, 퍼레벌러 안테나용 반사판, 표시반사판등을 위한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bel, sticker, poster, card, recording paper, packaging material, printing paper for video image printer, bar code label, printing paper for bar code printer, thermal recording paper, pre-sublimation record Paper, ink-jet recording paper, offset printing paper, foamed printing paper, maps, dust-free paper, display boards, white tubes for calligraphic paintings, white plates for calligraphy equipped with electronic copying systems, photo printing Paper, decorative paper, wallpaper, construction materials, banknotes, release paper, envelopes, calendars, magnetic cards, tresing papers, slips, delivery slips, pressure-sensitive recording papers, copy papers, clinical examination papers, reflector plates for antennas, display reflectors, etc. It can be used as a substrate for.

본 발명에서, 결과 생성된 공동 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이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만족스럽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는 필름기재로서 사용된다. 그래서 폴리에스테르는 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와 상용할 수 없는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된다. 이 공정절차에 의해 열가소성수지의 미립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기재에 분산된다. 분산된 미립자로 인하여 배향 또는 연신공정 동안에 폴리에스테르필름 기재로부터 분리가 일어나서 미립자 주위에 공동을 형성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polyester is used as the film substrate because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is satisfactory in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The polyester is then mixed with a thermoplastic resin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to produce a polymer mixture. By this process procedure, the fine partic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are dispersed in the polyester film base material. The dispersed particulates cause separation from the polyester film substrate during the orientation or stretching process to form cavities around the particulates.

중합체 혼합물의 미연신 시이트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되어서 최종 복합필름에 미세한 공동이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된 미세 공동으로 복합필름은 경량화될 수 있으며 작업성이 양호하고 면적당 가격도 저렴하게 된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유연성이 증가되어서 선명한 인쇄 또는 전사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광선은폐성과 백색도가 만족스럽다. 또, 열가소성수지로부터 유도된 다수의 피이크가 외부표면층(B)에 형성되므로 연필 또는 볼펜에 의한 필기가 가능하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e polymer mixture is orien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orming a large number of fine cavities in the final composite film. Therefore, the composite film can be reduced in weight with the formed microcavity and the workability is good and the price per area is low.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has increased flexibility, which enables clear printing or transfer. Moreover, the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has satisfactory light concealment and whiteness.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peaks derived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layer B, writing by a pencil or a ballpoint pen is possible.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 표면으로 부터 3㎛두께 가지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표면강도가 특별히 증가되기 때문에 8체적%또는 그 이하로 되는 반면,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적당한 묘화성 및 큐션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10 내지 50체적%가 된다.The porosity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becomes 8 vol% or less because the surface strength is particularly increased, while the average co-periodity of the composite film is appropriate drawing and curability. Since it is obtained, it becomes 10 to 50 volume%.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공동발생계로 부터 형성될 수 있는 공동의 실질적인 부재는 그러한 공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표면박리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렇게하여 얻은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포스터, 라벨, 통상전표, 배달전표, 바코드라벨과 여러 기록용지, 예컨대 감압기록용지등에 사용하는데 필요한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Substantial absence of cavities that may form from the cavitation system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prevents the occurrence of surface peeling that may be caused by such cavities.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thus obtained has sufficient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for use in posters, labels, trade slips, delivery slips, bar code labels and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pressure-sensitive recording media.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측정 및 평가는 아래에 기술한다:The measurements and evaluations used in thi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described below: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1) intrinsic viscosity of polyester

페놀(6중량부)과 테트라클로로에탄(4중량부)의 혼합용제에 폴리에스테르를 용해시켰다. 이 폴리에스테르 용액의 고유점도를 30℃에서 측정하였다.Polyester was dissolved in the mixed solvent of phenol (6 weight part) and tetrachloroethane (4 weight part).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is polyester solution was measured at 30 degreeC.

(2) 폴리스티렌계수지의 멜트플로우인덱스(2) Melt Flow Index of Polystyrene Resin

폴리스티렌계수지의 멜트플로우인덱스를 JIS K-7210의 공정절차에 따라서 200℃, 5㎏ 하중하에서 측정하였다.The melt flow index of the polystyrene resin was measured under a load of 200 ° C. and 5 kg according to the process procedure of JIS K-7210.

(3) 필름의 겉보기 비중(3)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the film

필름을 5.00㎝×5.00㎝ 정사각형 샘플로 절단하였다. 샘플의 두께를 50군데에서 측정하여서 샘플의 평균두께 t(㎛)를 얻었다. 그래서, 샘플의 중량 W(g)을 0.1㎎까지 측정하여 필름의 겉보기 비중을 다음식에 의해 산출하였다.The film was cut into 5.00 cm x 5.00 cm square samples. The thickness of the sample was measured at 50 places to obtain an average thickness t (µm) of the sample. Therefore, the weight W (g) of the sample was measured to 0.1 mg, and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the film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겉보기 비중 = W/(5 × 5 × t ×10000)Apparent specific gravity = W / (5 × 5 × t × 10000)

(4) 필름의 평균 공동률(4)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film

복합필름의 평균 공동률을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평균공동률 ( 체적% ) = 100 × (1- 참비용적/ 겉보기 비용적)Average void rate (% by volume) = 100 × (1- true / apparent cost)

식에서: 비용적 = x₁/d₁+ x₂/d₂ + x₃/d₃+...+xi / di + .... 이고 겉보기 비용적= 1/필름의 겉보기 비중이며, 식에서 xi 는 i 성분의 중량분율이고 di 는 i성분의 참비중이다. 실시예중 계상에 사용된 참비중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1.40, 일반용 폴리스티렌수지는 1.05, 에너테이스형 이산화티탄은 3.90, 루틸형 이산화티탄은 4.20, 탄산칼슘은 2.70, 지오라이트는 2.20이다.In the formula: Cost = x₁ / d₁ + x₂ / d₂ + x₃ / d₃ + ... + xi / di + ... and apparent cost = 1 /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the film, where xi is the weight fraction of component i And di are true weights of component i. The true specific gravity value used in the system in the examples is 1.40 f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1.05 for general-purpose polystyrene resin, 3.90 for enanthate type titanium dioxide, 4.20 for rutile type titanium dioxide, 2.70 for calcium carbonate, and 2.20 for zeolite.

(5) 폴리에스테르 기본층의 표면부분의 공동률(5)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복합필름을 후에 경화되는 에폭시수지에 파묻었으며, 파묻힌 필름을 마이크로톰으로 절단하여 필름의 길이방향에 평행하여 필름표면에 수직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였다. 이때 마이크로톰으로 절단하는 방향은 필름의 길이방향에 평행한다. 경화한 후 이 절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2000 배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표면에 가까운 필름의 단면도사진을 주사전자현미경(모델 S-510, 히다찌)으로 얻었다. 그 다음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 부터 3㎛두께를 갖는 표면부분에 내재하는 공동의 모든 화상을 트레이싱 필름으로 투사하여 칠을 하여서 얻은 도면을 화상해석장치(Luzec IID, Nireco)로 분석하여서 공동률(체적%)을 산출하였다.The composite film was embedded in an epoxy resin which was subsequently cured, and the embedded film was cut with a microtome to form a cu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t this time, the direction cut into the microtome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fter curing, the cut surface was magnified 2000 time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a film close to the surface was obtain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odel S-510, Hitachi). Then, a drawing obtained by projecting and painting all of the cavities inherent in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μm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with a tracing film was analyzed by an image analyzer (Luzec IID, Nireco). The void ratio (volume%) was calculated.

(6) 폴리에스테르 기본층의 중앙부의 공동률(6) Cavity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폴리에스테르 기본층의 중앙에 약 20㎛두께를 갖는 중앙부분의 공동률을 상기 (5)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측정하였다.The porosity of the central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μm at the center of the polyester base layer was measur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5) above.

(7)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사이의 경계면의 정의 및 외부표면층(B)의 두께(7) Defini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상기 (5)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샘플링하였다. 절단면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을 향하여 외부표면층(B)의 표면으로부터 관찰하였으며 비- 상용성수지중 분산입자가 먼저 발견되는 지점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사이의 경계면으로 규정하였다. 외부표면층(B)의 두께를 그 표면에서 이 경계면 까지의 거리로 규정하였다.Sampling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5) above. The cut surface was observed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towards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at the point where the dispersed particles were first found in the non-compatible resin. As prescribed. Th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to this interface.

(8)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사이의 경계면에서의 공동크기 및 공동의 존재(8) cavity size and presence of cavity at the interface between polyester base layer (A) and outer surface layer (B)

상기 (7)에 규정된 바의 경계면과 폴리에스테르 필름기재에서의 비- 상용성수지 입자의 한계에 대하여 마이크로톰의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으로 비- 상용성수지 입자의 맞은편 측에서 관찰된 보다 긴 직경의 공동을 1㎛단위로 측정하였다. 1㎛ 이하까지의 보다 긴 직경의 측정은 절단시의 필름의 변형측면에서는 별의미가 없다. 이 방법으로 측정될 수 없는 공동이 다수 있을 지라도 이들 공동은 너무 미세하여 박리에 대한 복합필름의 표면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방법으로 공동이 관측되지 않을 경우는 실제로 공동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였다.Longer diameter observ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lades of the microtome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as defined in (7) above and the limit of the non-compatible resin particle on the polyester film substrate. The cavity of was measured in units of 1 μm. Longer diameter measurements up to 1 μm or less have little significance in terms of deformation of the film during cutting.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cavities that cannot be measured in this way, these cavities are so fine that they do not affect the surfac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lm against peeling. Therefore, if no cavity is observed in this way, it is specified that no cavity exists.

(9) 초기 탄성률(9) initial modulus

ASTM D-882-81 (방법 A)의 절차에 따라서 초기 탄성률을 측정하였다.Initial modulu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ASTM D-882-81 (Method A).

(10) 열 수축률(10) heat shrinkage

필름을 10㎜ 폭, 250㎜ 길이의 샘플로 절단하였다. 200㎜ 거리에서 샘플에 한쌍의 표시를 하였다. 그 다음 샘플을 일정장력 5g하에서 고정하여 표시 사이의 거리(A)를 측정하였다. 그 후 샘플을 150℃애서 30분 동안 무장력하에서 오븐에 넣어서 표시 사이의 거리(B)를 측정하였다. 열 수축률을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The film was cut into 10 mm wide, 250 mm long samples. A pair of marks were given to the sample at a distance of 200 mm. The sample was then fixed under constant tension 5 g to measure the distance A between the marks. The sample was then placed in an oven under tension for 30 minutes at 150 ° C. to determine the distance (B) between the marks. Heat shrinkag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열 수축률 (%) = (A-B)/A × 100Heat Shrinkage (%) = (A-B) / A × 100

(11) 광선투과율(11) light transmittance

필름의 광선투과율을 JIS-K6714에 준하여 포익 적분구식 H.T.R. 미터 (일본정밀 광학제)로 측정하였다. 광선투과율의 값이 작을 수록 은폐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ilm wa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JIS-K6714 by a pore integrating sphere type H.T.R. It measured with the meter (made by Nippon Precision Co., Ltd.).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light transmittance, the higher the hiding power.

(12) 박리에 대한 필름의 표면강도(12) the surface strength of the film against peeling

필름의 표면강도를 두 종류의 접착 셀로판테이프 (각각 18㎜, 9㎜ 폭; Nichiban)로 박리시험하여 평가하였다. 보다 작은 폭의 접착 셀로판테이프를 사용하면 단위면적당 보다 큰 힘이 미치게 되어서 수월하게 박리가 일어나게 된다. 접착제 셀로판 테이프는 필름에 들러 붙은 다음 약 150˚각도의 방향으로 박리되고 필름은 편평하게 유지된다.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박리표면부분의 면적에 따라서 필름의 표면강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The surface strength of the film was evaluated by peel test with two kinds of adhesive cellophane tape (18 mm, 9 mm width; Nichiban, respectively). The use of smaller width adhesive cellophane tape results in greater force per unit area, resulting in easier peeling. The adhesive cellophane tape sticks to the film and then peels in a direction of about 150 ° angle and the film remains flat. The surface strength of the film was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peeled surface portion of the composite-containing composite film.

클라스 5 : 표면부분 전체가 박리되었다.Class 5: The entire surface portion was peeled off.

클라스 4 : 표면부분 거의가 박리되었다.Class 4: Almost the surface portion was peeled off.

클라스 3 : 표면부분 반정도가 박리되었다.Class 3: Half of the surface portion was peeled off.

클라스 2 : 표면부분 거의가 박리되지 않았다.Class 2: Almost no surface portion was peeled off.

클라스 1 : 표면부분이 전혀 박리되지 않았다.Class 1: The surface part did not peel at all.

(13) 적층- 필기성(Stack-writing Property)(13) Stack-writing Property

10개 필름을 층으로 놓아서 볼펜을 사용하여 힘을 가하여 최상부 필름에 어떤 글자를 썼다. 글자의 어떤 표시가 최하부 필름에서 보이면 필름의 적층- 필기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표시가 없으면 적층- 필기성은 "불량"한 것으로 평가 하였다.Ten films were laid out in layers and applied with a ballpoint pen to write a letter on the top film. When a mark of letters was seen on the lowermost film, the lamination-writing performance of the film was evaluated as " good ", and when there was no indication, the lamination-writ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as " bad ".

(14) 백색도(14) whiteness

JIS-L1015-1981의 방법 B에 준하여 색차계(모델 N1001, 일본전색공업사제)를 사용하여 백색도를 측정하였다.According to the method B of JIS-L1015-1981, the whiteness was measured using the color difference meter (model N1001, the Nippon Denki Kogyo Co., Ltd. make).

(15) 표면조도(15) Surface roughness

JIS-B0601-1982 절차에 준하여 촉침반경 2㎛, 접촉압 30㎎, 절단장 0.8㎜으로 하여 표면조도 측정기(수르프콘 모델(Surfcom model) 300A : 동경정밀계)로 평균조도를 측정하였다. 필름의 표면조도를 이 평균조도에 의해 평가하였다.According to the JIS-B0601-1982 procedure, the average roughness was measured using a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urfcom model 300A: Tokyo Precision Co., Ltd.) with a needle diameter of 2 µm, a contact pressure of 30 mg, and a cutting length of 0.8 mm.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lm was evaluated by this average roughness.

(16) 무기입자의 평균입자크기(16) Average particle size of inorganic particles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의 중간형을 가진 입자에 대하여 주사전자형미경(모델 S-510, 히다찌사제)을 사용하여 10000배 확대하여 필름의 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얻은 임의의 입자 100개의 입자크기로 부터 그 평균입자크기를 산출하였다. 기타 다른 모양을 갖는 입자에 대하여 분말을 고속교반으로 EG 슬러리에 잘 분산시켜서 슬러리내 입자크기 분포를 원심침강법(모델 SA-CP3, 시마쯔)에 의하여 입자크기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침투형태의 장치에 의해 50% 적분법으로 측정하였다.From the particle size of 100 arbitrary particles obtained by observ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lm at a magnification of 10000 time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odel S-510, manufactured by Hitachi, Inc.) for particles having spherical or cubic or intermediate forms thereof.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calculated. Penetration type device to measur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centrifugal sedimentation method (model SA-CP3, Shimatsu) by dispersing the powder in EG slurry at high speed for the particles having other shapes. It was measured by the 50% integration method.

(17) 표면글로스(17) Surface Gloss

글로스 측정기( 모델 VGS-1001DP, 일본전색공업사제)를 사용하여 60℃에 있어서의 글로스, 즉 광태( 이후, G1 60 이라함)을 측정하여 광택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The gloss at 60 ° C., namely, the appearance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1 60) was measured using a gloss measuring instrument (model VGS-1001DP, manufactured by Nippon Denki Kogyo Co., Ltd.) to evaluate glossiness as follows.

G1 60, 100-70 ... 불량G1 60, 100-70 ... bad

69-45 ... 양호69-45 ... good

44-20 ... 우수44-20 ... Excellent

19-10 ... 매우 우수19-10 ... very good

광선투과도, 표면광택도 및 백색도를 평균으로 부터 절대값에서 보다 큰 차를 갖는 최대치 또는 최소치인 이들 값을 분산하면서 임의의 30군데에서의 측정값의 평균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Light transmittance, surface glossiness, and whiteness are shown using the average of the measured values in any 30 places while dispersing these values, which are the maximum or minimum with a greater difference from the absolute to the average.

(18) 황변율(18) yellowing rate

필름을 100시간 동안 Q-UV 자외선 노출장치(Q- 파넬회사제)로 처리하여 자외선 노출 전후의 백색필름의 색상치(b) 사이의 차(△b)에 의해 황변율(yellowing factor)을 평가하였다. Q-UV 장치에서의 수분응축 사이클과 노출주기는 둘다 4기간 이었다. 색상치(b)를 JIS-L1015-1981 (두- 파장법)의 방법 B에 준하여 비색계(모델 Z-1001, 일본전색공업사제)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필름의 색상치(b)가 작을 수록 필름은 강한 플루틴트와 우수한 백색도를 갖는다. 필름의 색상치(b)가 클수록 강한 황색틴트와 불량한 백색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자외선 노출전후의 필름의 색상치(b)사이의 차(△b)가 클수록 필름의 백색도는 보다 크게 줄어든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film was treated with a Q-UV UV exposure apparatus (manufactured by Q-Panel Company) for 100 hours to evaluate the yellowing factor by the difference (Δb) between the color values (b) of the white film before and after UV exposure. It was. The moisture condensation cycle and exposure cycle in the Q-UV device were both four periods. The color value (b) was measured by the colorimeter (model Z-1001, the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according to the method B of JIS-L1015-1981 (two-wavelength method). The smaller the color value (b) of the film, the stronger the flutine and excellent whiteness. The larger the color value (b) of the film, the stronger the yellow tint and the poorer the whiteness. Therefore, the larger the difference Δb between the color values b of the film before and after ultraviolet exposure, the greater the decrease in the whiteness of the film.

[실시예 1]Example 1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을 위한 원료물질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5중량% 와 멜트플로우인덱스 2.0g/10 분의 일반용 폴리스티렌 2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외부표면층(B)을 위한 원료물질로서는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 와 0.3㎛ 평균입자크기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295℃의 최대온도에서 다른 이축압출기에서 독립적으로 용융하였으며 1.0㎜ 슬리트를 갖는 T-다이로부터 평균 유동속도 8.8m/sec로 290℃에서 용융압출하였다.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 polymer mixture of 75 w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25 w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 flow index of 2.0 g / 10 min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 mean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These mixtures were melted independently in another twin screw extruder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95 ° C. and melt-extruded at 290 ° C. from a T-die with 1.0 mm slits with an average flow rate of 8.8 m / sec.

압출물을 정전기력에 의하여 냉각로울의 표면에 밀착하여 고화하여서 각기 30㎛두께를 가지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되는 440㎛두꼐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n unstretched sheet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0 μm inserted into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by solidifying the extrudate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oling roll by electrostatic force. Got it.

그 다음, 미연신 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으로 4.0 연신비로 로울연신기에의해 83℃에서 연신한 다음 그 폭방향(즉, TD방향)으로 연신비 3.5에서 텐터에 의해 130℃에서 또 연신하여서 4% 비율로 시이트를 완화하면서 235℃에서 열처리를 하여서 각기 3㎛의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44㎛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 (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형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리적 성질을 표1 및 표2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7체적% 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 공동률은 37체적%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꼐는 약 3㎛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얻은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표면강도가 우수하였으며 적층- 필기성도 좋았다.The unstretched sheet is then drawn at 83 ° C. by a roll stretching machine at a 4.0 draw ratio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D direction) and then at 130 ° C. by tenter at a draw ratio 3.5 in its width direction (ie TD direction). Cavity containing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μm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μm by heat treatment at 235 ° C. while stretching to relax the sheet at 4%.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was prepared. Therefo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rmed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i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7%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37% by volum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μm. In addition,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this Example was excellent in surface strength and good lamination-writing.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했을 때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6.5㎛이었고 폴리에스트레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1.2㎛이었다.When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measur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6.5 탆 in the center portion and 1.2 탆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2]Example 2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을 위한 원료물질로서 0.62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0중량%와 멜트플로운인덱스 2.0g/ 10분을 갖는 일반용 폴리스티렌 15중량%와 에너테이스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외부표면층(B)을 위한 원료물질로서는 고유점도 0.62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를 갖는 루틸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295℃의 최대온도에서 다른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독립적으로 용융한 다음 또 290℃에서 평균 유동속도 8.8m/sec로 1.0㎜ 슬리트를 갖는 T-다이로 부터 용융압출하였다. 압출물을 정전기력에 의하여 냉각로울의 표면에 밀착하여 고화하여서 각기 30㎛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두께 440㎛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80 w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15 w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flop index of 2.0 g / 10 minutes, and 5 wt% of an energetic titanium dioxide 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 polymer mixture of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 polymer mixture of 95 w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w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μm was used. These mixtures were melted independently in another twin screw extruder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95 ° C. and then melt-extruded from a T-die with 1.0 mm slits at 290 ° C. with an average flow rate of 8.8 m / sec. The extrudate wa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ooling roll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solidified to obtain an unstretched sheet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0 μm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

그 다음, 미연신 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에서 연신비 3.5로 로울 연신기에 의해 83℃에서 연신한 다음 또 그 폭방향(즉, TD방향)에서 연신비 3.5로 텐터에 의해 130℃에서 또 연신하여서 4% 비율로 시이트를 완화하면서 235℃에서 열처리를하여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두꼐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 unstretched sheet is then drawn at 83 ° C. with a drawer at a draw ratio of 3.5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D direction) and then at 130 ° C. with a tenter at a draw ratio of 3.5 in its width direction (ie, TD direction). In addition, the joint-containing polyester system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44 μm thickness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μm by heat treatment at 235 ° C. while stretching the sheet at 4%. A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1 및 표 2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 (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 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심부분에서는 5.0㎛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When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0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3]Example 3

폴리에스테르 기본층(B)을 위한 원료물질로서의 중합체 혼합물을 292℃의 최대온도에서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하는 것을 제와하고는 500㎛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하에 의하여 얻었다.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5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polymer mixture 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B) was melted in a twin screw extruder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92 ° C. Got by devaluation.

그 다음, 미연신 시이트를 실시예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3㎛두께를 갖는 하나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44㎛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1 및 표2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1체적%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5.0㎛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Then,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2, and the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μm wa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μm. A hollow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1%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0 µm in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4]Example 4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을 위한 원료물질로서의 중합체 혼합물을 290℃ 최대온도로 각기 다른 2축 압출기에서 독립적으로 용융한 것을 제외하고는 500㎛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두께 44㎛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1 및 표2 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 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 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Example of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500 μm except that the polymer mixture 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independently melted in different twin screw extruders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90 ° C. A joint-containing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µm inserted and annealed by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having a thickness of 3 µm, respectively,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2). Got i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하였으때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심부분에서는 5.0㎛ 이었으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When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0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5]Example 5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용 원료물질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5중량%와 멜트플로우인덱스 2.0g/ 10분을 가지는 일반용 폴리스티렌 2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압출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냉각로울의 표면에 밀착하여 고화시켜서 각기 30㎛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두께 440㎛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 polymer mixture of 7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25% by weigh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 flow index of 2.0 g / 10 minutes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An unstretched sheet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0 μm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by solidifying the extrudate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oling roll by electrostatic force. Got it.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용융압출에 대한 2축- 스크류압출기의 온도는 원료물질 공급구역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는 250℃이었고 용융구역에서는 295℃의 최대온도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용융구역에서 중합체 혼합물을 약 10분 동안 혼련하였으며 스크류 팁의 온도는 290℃이었다. 그후, 용융라인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내려가서 T-다이의 최종온도는 280℃이었다.The temperature of the twin screw-extruder for the melt extrusion of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was 250 ° C. in the closest part to the raw material feed zone and gradually increased to the maximum temperature of 295 ° C. in the melting zone. . The polymer mixture was kneaded for about 10 minutes in the melting zone and the screw tip temperature was 290 ° C.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melting line gradually lowered so that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T-die was 280 ° C.

한 쌍의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용융압출에 대한 2축-스크류 압출기의 온도는 원료물질 공급구역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는 250℃이었으며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최대온도 285℃로 하였다. 용융구역에서 중합체 혼합물을 약 1분 동안 혼련하였고 스크류 팁에서의 온도는 280℃이었다. 그 후, 그 온도를 유지하면서 원료물질을 용융라인으로 공급하였으며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각 측에 부착하였다. 적층 시이트 성분을 그 자체로 T-다이로 공급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twin screw-screw extruder for the melt extrusion of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was 250 ° C. at the portion closest to the raw material supply zone, and gradually increased to a maximum temperature of 285 ° C. The polymer mixture was kneaded for about 1 minute in the melting zone and the temperature at the screw tip was 280 ° C. Thereafter, the raw materials were supplied to the melting line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attached to each side of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The laminated sheet component was fed by itself into the T-die.

그 다음, 미연신 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으로 연신비 4.0으로 로울연신기에의해 83℃에서 연신한 다음 그 폭방향(즉, TD방향)으로 연신비 3.5로 텐터에 의해 130℃에서 연신하고 시이트를 4%비율로 완화시키면서 235℃에서 열처리 하여서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44㎛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1 및 표 2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7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 공동률은 37체적% 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Then, the unstretched sheet is stretched at 83 ° C. by a drawer at a draw ratio of 4.0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D direction) and then drawn at 130 ° C. by tenter at a draw ratio of 3.5 in its width direction (ie, TD direction). And the shee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composed of a 44-micrometer-thick polyester base layer (A)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3-micrometer thickness by heat-treating at 235 ° C while relaxing the sheet at a 4% ratio. A film was ob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7%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37% by volum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했을때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그 중앙부분에서는 6.5㎛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1.0㎛이었다.When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6.5 mu m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1.0 mu m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1내지 5에서 얻은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에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 사이의 경계면에 존재하는 폴리스티렌 입자의 굵기에 대한 길리의 비율은 10 이상이었다. 2000배 확대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도 경계면에 있는 폴리스티렌 입자로부터 형성된 공동은 없었다. 그러므로, 이들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표면강도가 우수하였고 층분리가 없었으며 적층- 필기성도 우수하였다.In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Examples 1 to 5,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thickness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pres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10 or more. When observed under an electron microscope at 2000 times magnification, no cavity was formed from the polystyrene particles at the interface. Therefore, these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s had excellent surface strength, no layer separation, and good lamination-writing performance.

[실시예 6]Example 6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0중량%, 멜트플로우인덱스 2.0g/10분을 가지는 일반용 폴리스티렌 15중량%와 에너테이스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용의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5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두께 500㎛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그 다음, 미연신 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으로 3.5연신비로 로울연신기에 의해 83℃에서 연신한 후 그 폭방향(즉, TD방향)으로 3.5연신비로 텐터에 의해 130℃에서 연신하여 각기 두께 3㎛을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두께 44㎛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1 및 표2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 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is a polymer mixture of 80%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15% by weigh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 flow index of 2.0 g / 10 minutes, and 5% by weight of enetaceous type titanium dioxide. A no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500 mu m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5 except that it was used as. Then,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t 83 ° C by a roll stretching machine at 3.5 draw ratio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D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at 130 ° C by tenter at 3.5 draw ratio in its width direction (ie, TD direction). Thus,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μm was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μm.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5.0㎛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When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0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7]Example 7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을 위한 원료물질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0중량%와 멜트플로우인텍스 2.0g/ 10분을 갖는 일반용 폴리스틸렌 15중량%와 에너테이스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외부표면층(B)을 위한 원료물질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Polymer mixture of 80%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15% by weigh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 flow index of 2.0 g / 10 minutes, and 5% by weight of enetaceous titanium dioxide 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용융압출을 위하여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일렬로 연결하였다. 원료물질을 하나의 2축- 스크류압출기의 원료물질공급구역으로 부터 약 15분동안 다른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로 혼련하였다. 혼련된 원료물질을 10㎛구멍을 갖는 막을 통하여 여과시켜서 290℃ 최대온도에서 용융한 다음 T-다이로 부터 용융압출하여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을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한쌍의 시이트 성분 사이에 삽입시켰다. 압출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냉각로울의 표면에 밀착고화시켜서 약 500㎛ 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그 후 , 미연신 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으로 3.4연신비로 로울연신기에 의해 90℃에서 연신한 다음 그 폭방향(즉, TD방향)으로 3.4연신비로 텐터에 의해 135℃에서 연신하여 3% 비율로 시이트를 완화시키면서 235℃에서 열처리하여 각기 두께 4㎛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42㎛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3 및 표 4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백색도 및 은폐효과가 균일하였다.A biaxial screw extruder was connected in series for melt extrusion of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The raw material was kneaded from the raw material feed zone of one twin screw extruder to the outlet of the other twin screw extruder for about 15 minutes. The kneaded raw material was filtered through a membrane having a 10 μm hole, melted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90 ° C., and melt-extruded from a T-die to correspond to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as the outer surface layer (B). It was inserted between a pair of sheet components. The extrudate was solidifi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roll by electrostatic force to obtain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t 90 ° C by a roll stretching machine at 3.4 draw ratio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D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at 135 ° C by tenter at 3.4 draw ratio in its width direction (ie, TD direction). By releasing the sheet at a rate of 3%, an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at 235 ° C., a joint-containing polyester-based composite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2 μm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having a thickness of 4 μm, respectively. A film was ob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3 and 4.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this example had a uniform whiteness and hiding effect.

[실시예 8]Example 8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을 위한 원료물질로서의 중합체 혼합물을 310℃의 최대온도에서 2축- 스크류 압출기와 285℃ 최대온도에서 연속하여 연결된 두개의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용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그 후, 미연신 시이트를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4㎛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42㎛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2)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 polymer mixtures as raw materials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were respectively connected in a twin screw extruder at a maximum temperature of 310 ° C. and in two twin screw extruders connected in series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85 ° C. A no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7, except that it was independently melted. 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treated according to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7 to consist of a 42 탆 thick polyester base layer 2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4 탆. A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3 및 표4에 기재한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백색도 및 은폐효과에 있어서 균일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3 and 4.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this example was uniform in whiteness and hiding effect.

[실시예 9]Example 9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의 중합체 혼합물을 295℃의 최대온도에서 2축- 스크류 압출기와 285℃의 최대온도에서 두개 연달아 연결된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용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그 후,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두께 4㎛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2㎛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3 및 표 4 에 기재한다.The polymer mixtures as raw materials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 twin screw extruder connected in series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95 ° C. and a twin screw extruder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85 ° C. Except for melting,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7. 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7, and the cavity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2 탆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4 탆. The 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3 and 4.

본 실시예에서 얻은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은 백색도 및 은폐효과에 있어서 균일하였다.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this example was uniform in whiteness and hiding effect.

[실시예 10]Example 10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을 위한 원료물질으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5중량%와 멜트플로운인덱스 2.0g/10분의 일반용 폴리스티렌 2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0.3㎛ 평균입자크기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들 혼합물을 다른 2출- 스크류 압출기에서 독립적으로 용융하였고 8.8m/sec의 평균 유동속도에서 1.0㎜ 슬리트를 갖는 T-다이로 부터 용융- 압출하였다. ㅇ바출물을 정전기력에 의하여 냉각로울의 표면에 밀착고화시켜서 각기 30㎛두께를 갖는 하나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440㎛두꼐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 polymer mixture of 7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25% by weigh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floated index of 2.0 g / 10 minutes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These mixtures were melted independently in another two-screw extruder and melt-extruded from a T-die with 1.0 mm slits at an average flow rate of 8.8 m / sec. The ejected material was solidifi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roll by electrostatic force to obtain an unstretched sheet composed of a 440 µm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0 µm. .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용융압출을 위하여 2축- 스크류압출기의 온도는 원료물질공급구역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는 250℃이었고 용융구역에서는 최대온도 295℃로 점차적으로 높아졌다. 용융구역에서 중합체 혼합물을 약 10분 동안 혼련하였으며 스크류팁 온도는 290℃이었다. 그 후, 용융라인의 온도를 점차 내렸으며 T-다이에서의 최종온도는 280℃이었다.For melt extrusion of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the temperature of the twin screw-extruder was 250 ° C. in the closest part to the raw material supply zone and gradually increased to a maximum temperature of 295 ° C. in the melting zone. The polymer mixture was kneaded for about 10 minutes in the melting zone and the screw tip temperature was 290 ° C. The temperature of the melting line was then lowered gradually and the final temperature at the T-die was 280 ° C.

한쌍의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용융압출을 위하여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온도는 하나의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원료물질 공급구역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는 250℃이었으며 점차적으로 최대온도 295℃까지 올렸다. 원료물질을 하나의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원료물질 공급구역으로부터 15분 동안 다른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로 혼련하여 10㎛구멍을 가지는 막을 통하여 여과시켰다. 다른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스크류탑에서의 온도는 280℃이었다. 그 후, 그 온도를 유지하면서 원료물질을 용융라인으로 공급하였으며, T-다이로 도입하기 바로 전에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의 각 측에 밀착시켰다. 적층 시이트 성분을 그 자체 T-다이로 공급하였다.In order to melt-extrude the sheet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the temperature of the twin screw extruder was 250 ° C. at the portion closest to the raw material supply zone of one twin screw extruder, and gradually the maximum temperature was 295. Raised to ℃. The raw material was kneaded from the raw material feed zone of one twin screw extruder to the outlet of another twin screw extruder for 15 minutes and filtered through a membrane having a 10 μm hole. The temperature at the screw top of the other twin screw extruder was 280 ° C. Thereafter, the raw material was supplied to the melting line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thereof, and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polyester base layer (A)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T-die. It adhered to the side. The laminated sheet component was fed into its own T-die.

그 다음, 미연신 시이트를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으로 4.0의 연신비로 로울연신기에 의해 83℃에서 연신한 다음 그 폭방향(즉, TD방향)으로 연신비 3.5로 텐터에 의해 140℃에서 연신하여 3% 비율로 시이트를 완화시키면서 235℃에서 열처리하여서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사이에 삽입된 두께 44㎛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도시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7체적%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37체적%이었다.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구께는 약 3㎛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was then drawn at 83 ° C. with a drawer at a draw ratio of 4.0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MD direction) and then at 140 ° C. by tenter at a draw ratio 3.5 in its width direction (ie TD direction). Commonly containing polyester consisting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μm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μm by stretching and heat-treating at 235 ° C. while relaxing the sheet at a 3% ratio. A system composite film was obta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7%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37% by volume. The sphere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본 실시예에서 얻은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에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 사이의 경계면에 내재하는 폴리스티렌 입자의 굵기에 대한 길이의 비는 10이상이었다. 전자현미경으로 2000배 확대하여 관찰하였을 때도 경계면에 내재하는 폴리스티렌 입자로부터 형성된 공동은 없었다. 그러므로, 이들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우수한 표면강도를 지녔으며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았고 적층- 필기성도 우수하였다.In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obtained in this example,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thickness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inherent in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10 or more. When observed at 2000 times magnification with an electron microscope, no cavity was formed from polystyrene particles inherent in the interface. Therefore, these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s had excellent surface strength, no delamination and excellent lamination-writing performance.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6.5㎛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1.2㎛이었다.When 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6.5 mu m in the center portion and 1.2 mu m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11]Example 11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0중량%, 멜트플로우인덱스 2.0g/ 10분을 갖는 일반용 폴리스티렌 15중량%와 에너테이스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약 500㎛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그 후, 그 길이방향(즉, MD방향)으로 연신비 3.5로 로울연신기에 의해 83℃에서 연신한 다음 그 폭방향(즉, TD방향)으로 연신비 3.5로 텐터에 의해 140℃에서 연신하여 4% 비율로 완화시키면서 235℃에서 열처리를 하여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기재한다.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 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A polymer mixture of 80%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15% by weight of general-purpose polystyrene having a melt flow index of 2.0 g / 10 minutes, and 5% by weight of enanthate titanium dioxide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Except for the use, the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0. Thereafter, the film was drawn at 83 ° C. with a drawer at a draw ratio of 3.5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e, in the MD direction) and then drawn at 140 ° C. by a tenter at a draw ratio of 3.5% in its width direction (ie, in the TD direction).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235 ° C. while relaxing to obtain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44 μm thickness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3 μm thicknes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3㎛ 이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사이트를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5.0㎛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The undrawn sites of this example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find tha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0 µm in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12]Example 12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중합체 혼합물을 최대온도 285℃에서 용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 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polymer mixture was melted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85 ° C.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그후, 실시예 1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no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1, and the cavity-containing poly consisting of a 44 µm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µm. An 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나타낸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 5.0㎛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 의 표면부분에서는 0.7㎛ 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lystyrene fine particles was 5.0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13]Example 13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0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를 갖는 루틸형 이산화티탄 10중량 %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B) 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 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 polymer mixture of 90%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10%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s described in Example 12. By the procedure, an undrawn sheet of about 500 mu m thickness was obtained.

그후, 미연신 시이트를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contain a cavity compos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μm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μm. A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나타낸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5.0㎛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lystyrene fine particles was 5.0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비교실시예 1]Comparative Example 1

외부표면층(B)에 해당하는 시이트 성분이 시이트에 내포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except that the shee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not contained in the sheet.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50㎛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만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obtain a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omposed of only the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쿨성을 표 5 및 표 6에 기재한다.The coolnes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is shown in Tables 5 and 6.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 5.0㎛이었으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0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비교실시예2]Comparative Example 2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외부표면층(B)을 위한 원료물질으로서 중합체 혼합물을 다른 2축-스크류 압출기에서 독립적으로 용융하였으며 평균유동속도 4.4m/sec에서 1.0mm 슬리트를 갖는 T-다이로 부터 용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the polymer mixture was melted independently in another twin screw-screw extruder with a T-die with 1.0 mm slits at an average flow rate of 4.4 m / sec. A no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except that the melt-extrusion was performed.

원료물질을 하나의 2축-스크류 압출기의 원료물질 공급구역으로 부터 약2분 동안 다른 2축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까지 혼련하였다.The raw material was kneaded from the raw material feed zone of one twin screw extruder to the outlet of the other twin screw extruder for about 2 minutes.

그후, 실시예 11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44㎛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1, consisting of a 44-micrometer-thick polyester base layer (A)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3-micrometer thickness. A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17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17%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으 두께는 약 3㎛이었다.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thick.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5.9㎛,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5.3㎛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9 mu m in the center portion and 5.3 mu m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비교실시예 3]Comparative Example 3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에너테이스형 이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의 두께를 갖는 미연신시이트를 얻었다.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except that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an enetaceous type titanium dioxide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500 μm was obtained.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한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44㎛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subjected to heat treatment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and consisted of a 44 탆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탆. A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본 실시예에서는 공동발생제 (즉,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 미세한 공동이 없었으며 겉보기 비중이 증가하여서 경량성 측면에서 부적당하였다.In this example no co-generating agent (ie, thermoplastic resin incompatible with polyester) was used. Therefore,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had no fine voids 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was unsuitable in terms of light weight due to the increase in apparent specific gravity.

[실시예 14]Example 14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6㎛의 탄산칼슘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except that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6 µm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비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3㎛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no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form a cavity-containing poly consisting of a 44 µm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µm. An 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이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는 5.7㎛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7 mu m in the center portion and 0.7 mu m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15]Example 15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에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1㎛를 갖는 탄산칼슘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 μm was used as the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nd was subjected to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give an unorient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µm.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두께를 가지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form a cavity-containing poly consisting of a 44 µm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µm. An 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5 및 표 6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5 and 6.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 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소수의 공동을 함유하는 표면부분의 두께는 약 3㎛ 이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ortion containing a few cavities was about 3 mu m.

본 실시예의 미연신 시이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본바, 폴리스티렌의 미립자의 평균입자크기는 중앙부분에서 5.7㎛ 이었고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에서는 0.7㎛ 이었다.The unstretched sheet of this example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of polystyrene was 5.7 µm at the center portion and 0.7 µm at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실시예 16]Example 16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8중량%와 평균입자크기 1.5㎛를 가지며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 구형 지오라이트 2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2층 구조를 하는 외부표면층(B) 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 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98%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 µm, the surface of which is notched, and a polymer mixture of 2% by weight of irregular spherical zeolite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having a two-layer structure. Except for the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3㎛ 두께를 가지는 한쌍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32㎛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form a cavity-containing poly consisting of a 32 µm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µm. An 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7 및 표 8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7 and 8.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류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2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co-flow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2% by volume.

또한, 복합필름의 외부표면층(B)의 표면부분에서의 피이크수와 피이크높이 사이의 관계를 제 2도에 도시한다.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number and peak height in the surface part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of a composite film is shown in FIG.

이 도면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부등식(1)을 충족시켰다.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composite-containing composite film of this embodiment satisfied the inequality (1).

[실시예 17]Example 17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3중량% 와 평균입자크기 3.3㎛를 가지며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 구형 지오라이트 7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 (B)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Except that the polymer mixture of 93%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3 µm, and the surface thereof was notched to use an irregular spherical zeolite 7% by weight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was used.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12.

그후,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4㎛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42㎛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2 to form a cavity composed of a 42 탆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sert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4 탆. The 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7 및 표 8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7 and 8.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 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또한, 복합필름의 외부표면층(B)의 표면부분에서의 피이크수와 피이크높이 사이의 관계를 제 2도에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부등식(1)을 충족하였다.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number and peak height in the surface part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of a composite film i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composite-containing composite film of this embodiment satisfied the inequality (1).

[실시예 18]Example 18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3중량%, 평균입자크기 1.5㎛를 가지는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 입방형 지오라이트 4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3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2층 구조를 하는 외부표면층(B)용 원료 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 두께를 가지는 미연신 시이틀 얻었다.93%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its surfac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 µm were notched, thereby producing a polymer mixture of 4% by weight of irregular cubic zeolite and 3%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di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A non-drawn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except that it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an outer surface layer (B) having a layered structure.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5㎛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40㎛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drawn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0 μm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5 μm.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7 및 표 8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7 and 8.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 이었으며 복합 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3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3% by volume.

또한, 복합필름의 외부표면층(B)의 표면부분에서의 피이크수와 피이크높이 사이의 관계를 제 2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공동함유 복합필름은 부등식(1)을 충족시켰다.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number and peak height in the surface part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of a composite film i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composite-containing composite film of this embodiment satisfied the inequality (1).

[실시예 19]Example 19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의 에너테이스형 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 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The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an energetic titanium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as described in Example 12. By the procedure, an unstretched sheet of about 500 mu m thickness was obtained.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 두께를 갖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두께 44㎛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and consisted of a polyester bas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44 µm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µm. A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9 및 표 10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9 and 10.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고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실시예 20]Example 20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의 루틸형 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의 두께를 갖는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except that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rutile titanium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µm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To obtain an unstretch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그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틀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각기 3㎛ 두께를 갖는 한상의 외부표면층 사이에 삽입된 44㎛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he no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 treated to form a cavity-containing poly (44) -thick polyester base layer (A) inse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layers of the one phase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µm. An ester composite film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9 및 표 102기재한다.Table 9 and Table 10 2 show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으 공동률은 2체적%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실시예 21]Example 21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5중량%와 평균입자크기 0.3㎛의 SiO2-처리된 루틸형 산화티탄 5중량%의 중합체 혼합물을 외부표면층(B)용 원료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약 500㎛두께의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Example 12 except that a polymer mixture of 95% by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and 5% by weight of SiO 2 -treated rutile titanium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μm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outer surface layer (B).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an undrawn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0 μm was obtained.

그후, 미연신 시이트를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미연신 시이트를 연신하고 열처리하여서 각기 3㎛ 두께를 가지는 한쌍의 외부표면층(B) 사이에 삽입된 두께 44㎛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으로 이루어지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을 얻었다.Thereafter, 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in Example 12 to obtain a 44-micrometer-thick polyester base layer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outer surface layers (B) each having a thickness of 3 탆.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omprising A) was obtained.

결과 생성된 공동함유 복합필름의 물성을 표 9 및 표 10에 기재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cavity-containing composite film are shown in Tables 9 and 10.

특히, 복합필름의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부분의 공동률은 2체적%이었으며 복합필름의 평균 공동률은 21체적%이었다.In particular,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of the composite film was 2% by volume, and the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was 21% by volume.

Claims (31)

폴리에스테르와 이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수지의 중합체 혼합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하여 얻은 미세한 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주로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층(B)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표면으로 부터 3㎛ 두께를 갖는 표면부분의 공동률이 8체적% 이하이며, 복합필름의 평균공동률이 10 내지 50체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A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a fine cavity obtained by orienting a polymer mixture of polyester and a thermoplastic resin i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inly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It consists of at least one outer surface layer (B)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 void ratio of the surfac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3㎛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is 8% by volume or less, the average of the composite film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d ratio is 10 to 50% by volu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름이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와 외부표면층(B) 사이의 경계면에서는 실질적으로 공동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e film has substantially no cavity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nd the outer surface layer (B). 제 1항에 있어서, 복합필름의 평균 공동률이 10 내지 35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verage void ratio of the composite film is 10 to 35% by volume. 제 1항에 있어서, 외부표면층(B)이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layer (B) mainly consist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 1항에 있어서, 외부표면층(B)이 주로 공포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joint-containing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layer (B) mainly consists of phorea esters. 제 1항에 있어서, 외부표면층(B)이 주로 공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layer (B) mainly consists of copolyester. 제 6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이 외부표면층(B)에 내포된 무기입자의 평균입자크기 보다 작은 평균입자크기를 가지는 무기입자를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7. The polyester base layer (A)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s an inorganic partic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contained in the outer surface layer (B)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제 1항에 있어서, 피이크수가 50mm-2또는 그 이상인 경우 외부표면층(B)의 표면부분에서 최대 수의 피이크를 부여하는 피이크 높이를 기준으로 한 피이크의 높이(Y)(㎛)와 표면부분에서의 피이크수(X) (mm-2) 사이의 관계가 다음 부등식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 The height (Y) of the peak and the surface portion of the peak according to the peak height which gives the maximum number of peaks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when the peak number is 50 mm -2 or more. A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number (X) of (mm -2 ) satisfies the following inequality. -1.3 log X + 5.2 ≥ Y ≥ -0.77 log X + 2.31 (1)-1.3 log X + 5.2 ≥ Y ≥ -0.77 log X + 2.31 (1) (식에서 X ≥ 50, Y ≥ 0 )Where X ≥ 50 and Y ≥ 0 제 1항에 있어서, 외부표면층(B)이 평균입자크기가 0.3㎛ 이며 총 1중량% 또는 그 이상의 비율로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의 중간 모양을 하는 적어도 한종류의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at least one kind of the outer surface layer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3 占 퐉 and the surface notched at a ratio of 1% by weight or more in total to form an irregular spherical or cubic shape or an intermediate shape thereof. A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omprising particles. 제 9항에 있어서, 입자들이 열-처리된 합성 지오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10.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articles are made of heat-treated synthetic zeolite. 제 9항에 있어서, 입자들이 실리카 마이크로 비이드의 2차 응집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10.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articles consist of secondary aggregates of silica microbeads. 제 9항에 있어서, 입자들이 탄산칼슘 미립자의 2차 응집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10.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articles consist of secondary aggregates of calcium carbonate fine particles. 제 9항에 있어서, 입자들이 산화티탄 미립자의 2차 응집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10.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articles consist of secondary aggregates of titanium oxide fine particles. 제 6항에 있어서, 무기입자가 루틸형 이산화티탄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joint-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rutile titanium dioxide particles. 제14항에 있어서, 무기입자가 루틸형 이산화티탄의 표면-처리된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15.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surface-treated particles of rutile titanium dioxide. 제15항에 있어서, 루틸형 이산화티탄 입자는 산화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rutile titanium dioxide particles are surface-treated with aluminum oxide. 제 7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서의 무기입자가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수지에 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8.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are made of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incompatible with polyester.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에 따른 공동함유 복합필름으로 제조되는 승화전사기록, 열전사기록, 감열전사기록 또는 잉크-분사기록에 사용하기 위한 정보-기록용지.An information-recording paper for use in a sublimation transfer record, thermal transfer record, thermal transfer record or ink-jet record made of a joint-containing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에 따른 공동함유 복합필름으로 제조되는 사진 인쇄용지.Photographic printing paper made of a composite-containing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1. 미세공동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과 주로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의 적어도 한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층(B)으로 이루어지며, 외부표면층(B)이 0.1 내지 2.0㎛의 평균 1차 입자크기(R1)를 가지는 1차 입자와 (R1)값의 1.05 내지 1.60배의 평균 2차 입자크기(R2)를 가지는 2차 입자로 이루어지는 무기입자를 1 내지 30중량% 함유하며; 개개 입자크기 보다 작은 2차 입자의 존재를 위해 정규분포에서 99% 확률을 부여하는 2차입자의 개개 입자크기는 (R1)값의 4.0배 이하이며; 무기입자들에 대한 최단무게 중심간거리의 평균치가 (R1)값의 5.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A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ing microcavities and at least one outer surface layer (B) mainly composed of thermoplastic resin and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base layer (A), the outer surface layer (B) inorganic particles composed of secondary particles having a range of 0.1 to 2.0㎛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R 1) having a primary particle with (R 1) 1.05 to 1.60 times the average secondary particle size of the value (R 2) of the 1 to 30% by weight; The individual particle size of the secondary particle giving a 99% probability in the normal distribution for the presence of secondary particles smaller than the individual particle size is 4.0 times or less of the (R 1 ) value; The average content of the shortest center-to-center distance for the inorganic particles is 5.0 times or less of the (R 1 )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lyester-based composite film. 제20항에 있어서, 외부표면층(B)이 0.8㎛ 또는 그 이상의 평균입자크기를 가지며 총 1중량% 또는 그 이상의 비율로 그 표면이 노치되어 불규칙한 구형 또는 입방형, 또는 이들의 중간형을 가지는 적어도 한종류의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outer surface layer (B)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8 μm or more and at least 1% or more of the surface is notched to have an irregular spherical or cubic shape, or an intermediate thereof. A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characterized by containing one kind of particles. 제21항에 있어서, 입자가 열-처리된 합성 지오라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2.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s claimed in claim 21, wherein the particles consist of heat-treated synthetic zeolites. 제21항에 있어서, 입자가 실리카 마이크로비이드의 2차 응집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2. The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particles consist of secondary aggregates of silica microbeads. 제21항에 있어서, 입자가 탄산칼슘 미립자의 2차 응집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2.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particles are composed of secondary aggregates of calcium carbonate fine particles. 제21항에 있어서, 입자가 산화티탄 미립자의 2차 응집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2.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particles consist of secondary aggregates of titanium oxide fine particles. 제21항에 있어서, 입자가 루틸형 이산화티탄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3.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particles are rutile titanium dioxide particles. 제20항에 있어서, 루틸형 이산화티탄의 입자가 산화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1. A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particles of rutile titanium dioxide are surface-treated with aluminum oxide. 제27항에 있어서, 루틸형 이산화티탄의 입자가 산화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8. The cavity-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particles of rutile titanium dioxide are surface-treated with aluminum oxide. 제20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기본층(A)에서의 무기입자가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무기입자를 함유하며 이들 무기입자들이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수지에 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2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lyester base layer (A) contain inorganic particles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and these inorganic particles are inherent in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polyester. Co-containing polyester composite film. 특허청구의 범위 제20항에 따른 공동함유 복합필름으로 제조되는 승화전사기록, 열전사기록, 감열전사기록 또는 잉크-분사기록에 사용하기 위한 정보-기록용지.An information-recording paper for use in a sublimation transfer record, thermal transfer record, thermal transfer record or ink-jet record made from a joint-containing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0. 특허청구의 범위 제20항에 따른 공동함유 복합필름으로 제조되는 사진인쇄용지.Claims 20. Photo printing paper made from a composite-containing composite film according to claim 20.
KR1019930015262A 1993-08-06 1993-08-06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KR100244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262A KR100244693B1 (en) 1993-08-06 1993-08-06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262A KR100244693B1 (en) 1993-08-06 1993-08-06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543A KR950005543A (en) 1995-03-20
KR100244693B1 true KR100244693B1 (en) 2000-02-15

Family

ID=1936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262A KR100244693B1 (en) 1993-08-06 1993-08-06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6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169A (en) * 2012-04-23 2014-12-24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oamed stretched plastic bott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70B1 (en) * 1998-10-27 2003-02-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aper-substituted white porous polyester multilay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001118B1 (en) * 2012-12-28 2019-07-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MULTILAYERED WHITE POLYESTER FILM FOR REFLECTOR of LCD UNIT
KR102001119B1 (en) * 2012-12-28 2019-07-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Multilayered white polyester film for lcd refl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169A (en) * 2012-04-23 2014-12-24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oamed stretched plastic bottle
KR101658927B1 (en) 2012-04-23 2016-09-22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oamed stretched plastic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543A (en)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2175A (en) Void-containing composite film of polyester type
KR100360723B1 (en) Porous polyester film and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JP3296021B2 (en) Void-containing polyester film
JP3067557B2 (en) Polyester resin film or sheet containing fine cavities for sublimation transfer recording material 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material
KR100244693B1 (en) A void-containing polyester-type film
EP1114733B1 (en) Polyester film for ink image receiving substrate and ink image receiving substrate
JP3575277B2 (en) Laminated polyester resin film or sheet containing microvoids
JP2001232737A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JPH08176329A (en) Void-containing polyester resin film and sheet
JP2004050753A (en) White polyester film ro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622860B2 (en) Polyester film for delivery slips
JP2001341259A (en) Cavity-containing composite polyester film and base film for heat 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aterial
JP3296022B2 (en) White film
JP2008149480A (en) Polyester film for sublimation type thermosensitive transfer ribbon
JP3518476B2 (en) Method for producing fine void-containing film or sheet for sublimation transfer recording material 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material
JP2508615B2 (en) Cavity-containing film
JP2001071441A (en) Laminated white polyester film
JP3326033B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containing fine bubbles for photographic paper
JP3319515B2 (en) Void-containing polyester film
JP3351507B2 (en) Void-containing polyester film and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JP3316963B2 (en) Opaque composite film
JP3259833B2 (en) Thermal transfer image receiving sheet
JP2000169610A (en) Polyester film containing fine pore and image-receiving paper for video printer
JP3575552B2 (en) Polyester film
JP3314455B2 (en) Void-containing polyester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