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905B1 -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905B1
KR100241905B1 KR1019920009175A KR920009175A KR100241905B1 KR 100241905 B1 KR100241905 B1 KR 100241905B1 KR 1019920009175 A KR1019920009175 A KR 1019920009175A KR 920009175 A KR920009175 A KR 920009175A KR 100241905 B1 KR100241905 B1 KR 10024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portable
fix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366A (ko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0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905B1/ko
Publication of KR93002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상호 메모리된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 공히 모뎀과 RF수단을 구비하여 상호 메모리된 다이알번호나 기타 정보를 RF통신을 행하여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 되도록 하여 고정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휴대장치에서 볼 수 있고 또 휴대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고정장치에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구성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 다이알 키 패드(dial key pad)가 부착되어 있고 LCD표시가 가능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상호 메모리 되어 있는 정보를 RF통신을 행하여 LCD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 메모리된 내용(예; 다이알 번호)은 각각의 장치에만 저장되어 있어 고정장치에서는 휴대장치의 메모리 내용을, 휴대장치에서는 고정장치의 메모리 내용을 확인할 수가 없고 단지 그 장치내에서만 가능했었다.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각각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데, 휴대장치에서는 휴대장치에만 기억되어 있는 자체 메모리 상태만 검출할 수 있었고 고정장치에서도 고정장치에만 기억되어 있는 자체 메모리 상태만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즉, 키입력부(41)에서 임의의 명령을 하면 중앙처리장치(42)에서는 해당 어드레스데이타를 메모리(43)로 보내어 해당 내용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로는 이스퀘어피롬(E2PROM)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2)는 바로 LCD(44)를 제어하여 상기 검출한 내용을 표시하게 되어 있었다.
이와같이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 각각의 메모리가 있어 고정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이알 번호를 휴대장치는 알 수가 없고, 단지 휴대장치에서는 휴대장치내에 기억된 메모리 내용만 알 수 있어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에 혹은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에 메모리 되어 있는 입력정보를 알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상호 메모리된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메모리된 다이알번호를 RF통신을 행하여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고정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휴대장치에서 볼 수 있고 또 휴대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고정장치에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구성도로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기하기 위하여 함께 도시한 것이므로 휴대장치쪽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임의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25)와, 상기 명령을 받아 분석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23)와, 수신된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24)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전송회선에서 전송이 적합하도록 변조하거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한 다음 복조하여 원래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모뎀(22)과, 무선통신을 위한 RF부(21)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3)의 제어를 받아 상기 수신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부(26)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확인해 보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휴대장치의 중앙처리장치(23)에서 키스캔하여 확인키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메모리 내용 전송’메세지를 고정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확인키는 임의의 기능키 혹은 복수의 키 조합에 의해 설정 가능한 것으로,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에서 서로 상대방의 기억내용을 표시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키이다. 이때까지는 송신모드이어야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메모리 내용 전송’메세지를 고정장치쪽으로 전송한 다음에는 수신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어지기를 기다린다. 이후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3)는 그 내용이 메모리(24)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표시부(26)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되는 내용은 업/다운(up/down)키로 조절하여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표시부(26)는 LCD로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송신모드로 전환하여 확인키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송에러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함으로써 확인키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쪽에서는 상기‘메모리 내용 전송’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33)에서 이를 감지하여 송신모드로 전환한 다음 메모리(34)의 내용을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독출하고 그것을 모뎀(32)을 통하여 변조한 후 RF(31)의 프리채널을 통하여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전송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수신모드로 전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동작을 하게 되는바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서 공히 상기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동작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야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가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도 RF통신을 이용하여 각 장치에서 서로의 정보를 알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임의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명령을 받아 분석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수신된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전송회선에서 전송이 적합하도록 변조하거나 변조된 신호를 수신한 다음 복조하여 원래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모뎀과, 무선통신을 위한 RF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아 상기 수신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가 각각 구비하여 서로 상대방의 메모리 내용 및 기타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정보 확인회로.
  2.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고정)장치에서 확인키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메모리 내용 전송’메세지를 상기 고정(휴대)장치로 전송하고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고정(휴대)장치에서 상기‘메모리 내용 전송’메세지를 수신하면 송신모드로 전환한 다음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상기 휴대(고정)장치로 전송한 후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휴대(고정)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 후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정보 확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휴대(고정)장치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전송에러발생’메세지를 고정(휴대)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정보 확인방법.
  4. 제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표시 순서를 업/다운키의 감지 상태에 따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정보 확인방법.
KR1019920009175A 1992-05-28 1992-05-28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KR10024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175A KR100241905B1 (ko) 1992-05-28 1992-05-28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175A KR100241905B1 (ko) 1992-05-28 1992-05-28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66A KR930024366A (ko) 1993-12-22
KR100241905B1 true KR100241905B1 (ko) 2000-02-01

Family

ID=1933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175A KR100241905B1 (ko) 1992-05-28 1992-05-28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9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66A (ko)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405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bbreviated dialing numbers
KR0185613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KR1003093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송 방법
JPH09322245A (ja) 地域情報提供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241905B1 (ko) 메모리 정보 확인 회로 및 방법
JPH08163639A (ja) 番号自動設定方式及びその装置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45156A (ko) 핸드폰의 전화번호 송수신장치
KR1002829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 메시지 검색 및 표시 방법
KR100444236B1 (ko) 무선 팩시밀리에서 자국의 전화번호를 등록/변경하는 방법
JP2537097B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KR970007670B1 (ko) 단말기의 버튼기능 변환 기능을 갖는 키폰시스템 및 그 방법
KR0154460B1 (ko) 통화중인 다른 키폰 전화기의 내선번호 표시방법
KR0122588B1 (ko) 무선전화기의 전화번호 다이얼링 방법
JPH0618900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付ファクシミリ装置
KR980007284A (ko) 휴대장치에서 현재시간 표시 가능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214798B2 (ja) 無線通信装置
KR970006911B1 (ko) 구내무선전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0145441B1 (ko) 팩시밀리 장치의 다중 송신 터미널 식별 신호 등록 및 전송 방법
KR100256611B1 (ko) 자동응답무선팩시밀리장치와그제어방법
KR100241898B1 (ko) 전화기의 비밀번호 노출 방지 장치 및 방법
KR960027432A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국선전환시 호출신호 송출방법
KR890001902B1 (ko) 무선송수신기용 고유번호 발생장치
KR920001544B1 (ko) 무선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알링 방법
KR980013025A (ko) 셀룰라폰에서 전화번호 발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