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301B1 -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301B1
KR100241301B1 KR1019940006679A KR19940006679A KR100241301B1 KR 100241301 B1 KR100241301 B1 KR 100241301B1 KR 1019940006679 A KR1019940006679 A KR 1019940006679A KR 19940006679 A KR19940006679 A KR 19940006679A KR 100241301 B1 KR100241301 B1 KR 10024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housing
connector
contac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조 오다
아키라 나가미네
신지 아메미야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1615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962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191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322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의 다수의 콘택트를 배열할 수 있고 안내부재의 랫칭아암들에 손상을 줄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안내부재를 가지는 전기 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콘넥터(10,30´)는 그 하우징(12,40´)에서 이동가능하게 랫치되는 안내부재(70,60´)를 가진다. 안내부재(70,60´)는 숫형콘택트들의 콘택트부분들을 안내하고 정렬시키는 데 사용된다. 안내부재(70,60´)는 숫형콘택트들이 관통할 다수의 관통공들(84)이 형성된 플레이트(72)를 갖는다. 특히, 안내부재(70)에는 거기에 수직한 플레이트(72)의 양 측면들에 측면플레이트들(78)이 형성되어 있다. 랫칭 아암들(92,94,96)은 측면플레이트들(78)의 자유종단들로 부터 형성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콘넥터 하우징(12)의 내부벽상의 각각의 돌기들(100,102,104)과 맞물리는 랫칭아암들(92,94,96)의 길이를 최소화 하게 된다.

Description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일 실시예의 전개 사시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각기 평면도, 제2(a)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정면도, 및 제2(b)도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안내부재를 갖는 암형콘넥터의 단면도.
제4도는 조립된 암형콘넥터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콘넥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캡 및 플러그 하우징의 결합전의 단면도.
제6도는 부분적으로 결합된 캡 및 플러그 하우징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보다 더 결합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8도는 안내부재의 일시정지 위치까지 결합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9도는 더 결합되었으나 안내부재는 아직 일시정지 위치에 있는 콘넥터의 단면도.
제10도는 플러그 콘넥터가 안내부재에 접하는 상태의 콘넥터의 단면도.
제11도는 완전히 결합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12도는 안내부재가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을 때의 결합과정의 콘넥터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상태로부터 더 결합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14도는 더 결합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15도는 완전히 결합된 콘넥터의 단면도.
제16도는 분리된 상태의 종래의 콘넥터의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종래의 콘넥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18(a)도와 제18(b)도는 각기 분리된 및 결합된 종래의 콘넥터들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숫형콘넥터 12 : 절연하우징
18 : 공동부 20,22 : 측면
24 : 잠금부재 26,28 : 경사면
40 : 암형콘넥터 42 : 절연하우징
44 : 공동부 48,50,52,54 : 측벽
60 : 잠금부재 61 : 경사면
64 : 슬리브 부재 66 : 지주
70 : 안내부재 72 : 안내플레이트
74,76 : 모서리 78 : 측면플레이트
80 : 정면 82 : 배면
84 : 구멍 92,94,96 : 아암
100 : 제1돌기 102 : 제2돌기
104 : 제3돌기 110 : 보울트
120 : 보울트보유하우징 130 : 전선커버
40´ : 캡하우징 50´ : 플러그하우징
60´ : 안내부재 60a´ : 레그
본 발명의 콘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숫형콘택트들의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에 배치된 숫형콘택트들의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제공된 콘넥터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콘넥터들의 하나가,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 63(1988)-116985로 공표되어 있으며 이하 제16도와 제17도로 설명된다.
제16도에는 결합전의 암형 및 숫형콘넥터들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17도는 결합된 상태의 양 콘넥터들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암형콘넥터(210)의 하우징(212)에는 복수개의 숫형콘택트들(214)이 배치되어 있다. 각 숫형콘택트(214)의 선단부(214a)는 하우징(212)에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부재(216)의 요부(216a)에 랫칭적으로 수용되는 돌기(212a)의 수단으로 일시적으로 하우징(212)내에 보유되는 안내부재(216)의 개개의 관통공을 통해 연장된다. 암형콘넥터(210)와 숫형콘넥터(220)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안내부재(216)는 숫형콘넥터(220)에 밀려져서 숫형콘택트들(214)의 후방종단부분으로 이동하여,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숫형콘택트들(214)과 개개의 리셉터클 또는 암형 콘택트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숫형콘택트들의 선단부들을 안내부재가 제공된 콘넥터의 안내부재의 개개의 관통공들로 삽입하게 되면 숫형콘택트들의 굽힘이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한편, 숫형 및 암형 양자의 콘넥터들이 결합됨에 따라, 안내부재는 숫형콘넥터에 의해 밀려져서 숫형콘택트들의 후방종단부분들 쪽으로 움직인다.
양 콘넥터들(210,220)이 한번이상 결합되고 분리되는 경우들이 있다. 안내부재(216)가 콘넥터들을 분리시킨 후 후방종단부분에 머무르게 되면, 숫형콘택트 또는 콘택트 핀들(214)은 보호되지 않으며 다시 결합가능한 콘넥터의 결합되기 전에 거기에 작용된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전의 콘넥터에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부가적인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양 콘넥터들(210,220)이 결합되었을 때, 안내부재(216)의 종단벽(218)의 결합구멍(230)에 결합되도록 숫형콘넥터(220)에 랫칭아암(234)이 제공되어 있다. 숫형콘넥터(220)를 분리할 때, 안내부재(216)는, 제18(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그 최초의 위치로 재차 잡아다녀진다. 랫칭아암(234)은 양 콘넥터들이 결합되었을 때, 안내플레이트부분(217)을 통해 연장되는 하향지지 플레이트(232)에 접하게 되어 결합구멍(230)과의 확실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하향지지 플레이트(232), 랫칭아암(234) 및 결합구멍(230)은 서로 협력하여 안내부재(216)가 최초의 위치에 머무르면서 암형콘넥터(210)가 결합콘넥터와 분리되어 있는 한 효과적으로 콘택트 핀들(214)을 보호한다.
숫형콘택트들의 선단부들이, 숫형 및 암형 콘넥터들이 결합될 때까지 구부러지는 것을 막고 적절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를 약한 힘으로 일시적으로 하우징에 보유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이유는 보유력이 너무크면, 양 콘넥터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안내부재를 갖는 종래의 콘넥터들은 안내부재들이 콘넥터의 수송 중 진동이나 다른 물체에 우연히 건드려짐으로써 걸려진 전방위치로부터 숫형콘넥트들의 후방종단부분쪽으로 우발적으로 움직인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종전의 콘넥터들의 하향지지 플레이트(212)와 랫칭아암(234)의 사용은 하우징에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콘택트들의 고밀도설치를 제한하게 된다. 더욱이, 랫칭아암(234)은 별개로 취급할 때나 콘넥터들을 결합하지 않은 채 내버려둘 때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안내부재(220)로 부터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숫형 및 암형콘넥터들이 결합될 때까지 안내부재가 진동이나 다른 힘에 의해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자리게 견고히 보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콘넥터들을 결합할 때, 한편으론, 안내부재의 일시적 보유는 콘넥터들의 부드러운 결합을 위해 쉽게 풀릴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되었을 때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는 숫형콘택트들용의 울퉁불퉁한 안내부재를 가진 고밀도의 콘택트를 가진 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콘넥터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에 배열되고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콘넥터; 제1하우징과 결합할 제2하우징을 갖는 제2콘넥터; 및 숫형콘택트들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콘넥터들을 결합할 때 제2콘넥터에 의해 숫형콘택트들의 후방종단들로 밀려지는 안내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1) 숫형콘택트들의 선단부 보다 전방위치의 내부벽에 돌기부를 갖는 제1하우징;
(2)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스프링부분들과 돌기들과 맞물려서 숫형콘택트들의 후방종단부분들로의 안내부재의 움직임을 금지시키는 후크부분들이 형성된 레그(leg)들을 갖는 안내부재; 및
(3) 후크부분들을 밀어 제1 및 제2하우징을 결합할 때 스프링부분들을 휘게함으로서 레그들과 돌기들의 맞물림을 풀도록 푸싱돌기들을 갖는 제2하우징.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코넥터는 그안에 숫형콘넥터를 수용하는 요부를 가진 암형절연하우징과 숫형콘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요부에서 움직이며 요부에서 연장되는 숫형콘택트들의 콘택트부분들을 안내하는 복수의 개구들과 숫형콘텍터와 맞물리는 랫칭아암들이 형성된 안내플레이트부분을 갖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안내부재가 안내플레이트부분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들을 가지며 랫칭아암들이 측면플레이트들의 자유종단들로부터 측면플레이트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제, 첨부도면을, 특히 제1도 내지 제15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일 실시예의 전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 (a) 내지 제2도 (d)는 제1도의 콘넥터에 사용된 안내부재의 상이한 도면들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안내부재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전기콘넥터는 숫형콘넥터(10)에 설치된 너트(nut, 도시하지 않음)와 암형콘넥터(40)의 보울트(10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는 숫형콘넥터(10)와 암형콘넥터(40)로 구성된다. 숫형콘넥터(10)는 그 안에 암형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해 그 콘택트삽입면(14)으로부터 반대쪽의 결합면(16)까지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공동부들(18, 단지 일부의 공동부들만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음)이 제공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인 절연하우징(12)을 가지고 있다. 잠금부재들(24,25)은 암형콘택트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향된 측면들(20,22)로부터 절연하우징(12)으로 삽입된다. 암형콘택트들은 공동부들(18)에 설치되어 있으며 잠금부재(24)로 이중으로 잠겨진 통상의 하우징 란스들(도시하지 않음)로 보유된다. 잠금부재(24)의 일 코너에는 경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잠금부재(25)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거울상이 되는 위치에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상이한 위치들의 두 개의 잠금부재들(24,25)의 경사면들(26,28)은 편극(polarization)을 제공한다. 이런 방법으로, 잠금부재(24)는 반대쪽 측면(22)의 잠금부재삽입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는 삽입될 수 없으며, 마찬가지로 다른 잠금부재(25)는 측면(22)의 잠금부재삽입구멍(30)으로 삽입될 수 없다. 편극은 경사면만이 아니라 L자형 구멍, 원호형면 등과 같은 다른 형태들로도 성취될 수도 있다.
암형콘넥터(40)는 다수의 공동부들(44)에서 탭(숫형)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암형 절연하우징(42)을 가진다. 절연하우징(42)에는 네 개의 측벽들(48,50,52,54)로 형성된 결합요부(46)가 제공되어 있다. 절연하우징(42)의 대향된 측면들(56,58)에는 탭 콘택트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부재들을 (60,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 수용하기 위한 잠금부재 삽입구멍들(62, 단지 하나의 구멍만이 도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60)에는 잠금부재(24)와 유사한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60)가 잠금부재(24)와 상이한 크기를 가지므로, 잠금부재(60)가 숫형콘넥터 하우징(12)의 잠금부재 삽입구멍(30)으로는 작업자가 시도한다해도 끼워지지 않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조립에러를 방지하게 된다.
이것은 암형콘넥터하우징(42)의 잠금부재삽입구멍(62)으로 삽입된다 해도 맞지 않는 잠금부재(2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콘넥터들(10,40)이 대칭이므로, 결합방향이나 위치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나, 칼라코드를 표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잠금부재(24,60)는 검정으로 하고 잠금부재(24,60) 반대쪽의 잠금부재들은 노랑으로 한다.
암형콘넥터하우징(42)의 요부(46)에서 그 바닥면으로부터 슬리브 부재(64)와 복수의 지주들(66, 도시된 실시예에는 4개의 지주)이 연장되어 있다. 슬리브 부재(64)는 보울트(110)의 나사부분(112)을 덮어서 보호한다. 또한, 슬리브 부재(64)와 지주들(66)은 요부(46)의 바닥면으로 부터 연장되는 탭 콘택트들의 콘택트부분들(도시하지 않음)보다 길어서, 탭콘택트들의 콘택트 부분들이 숫형콘넥터(10)를 잠그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내부재(70)는 요부(46)를 형성하는 측별들(46,48,50,52)을 따라 미끄러지는 방법으로 절연하우징(42)의 요부(46)에 수용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안내부재(7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안내플레이트(72)와 안내플레이트(72)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대향된 두 개의 모서리들(74,76)로 부터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들(78,78)을 갖는다. 안내플레이트부분(72)에는 절연하우징(42)의 공동부들(44)에 대응하는 수와 위치에 정면(80)으로부터 배면(82)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구멍들(84)(단지 일부의 구멍들만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들(84)은 탭 콘택트들의 콘택트부분들(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고 종래의 방식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안내플레이트부분(72)에는 슬리브삽입공(86)과 지주삽입공들(88)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플레이트부분(72)의 배면(82)의 중앙에는, 두 개의 모서리들(74,76)사이에 제2도 (a)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된 립들(ribs, 90)은 형성되어 있다. 안내플레이트부분(72)을 횡단하는 립들(90)은 안내플레이트부분(72)에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그 굽힘이나 비틀림을 감소시킨다.
안내부재(70)의 측면플레이트들(78,78)은 대향된 두 개의 모서리들(74,76)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도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안내플레이트부분(72)과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들(78,78)로 형성된 일반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립들(90)과 이러한 구성이 안내플레이트부분(72)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안내플레이트부분(72)의 굽힘과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복수개의 가요성 아암들(92,94,96)은 각 측면플레이트(78)의 자유종단으로부터 측면플레이트들(78)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가요성 아암들(92,94,96)은 캔티레버의 형태로, 그 고정단은 안내플레이트부분(72)의 모서리들(74,78)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플레이트들(78)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플레이트부분(72)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아암들(92,94,96)과 비교하여, 안내플레이트부분(72)의 표면(80)으로부터 아암들의 분명한 길이는 측면플레이트들(78)의 길이만큼 짧다. 이것이 암형콘넥터(40)(제1도)의 분리된 상태나 안내부재(70)를 개별적으로(콘넥터(40)와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취급될 때 아암들(92,94)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더욱이, 아암들(92,94,96)은 측면플레이트들(78)의 종단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공동부들의 수를 회생할 필요가 없으며 아암들은 절연하우징(42)에 수용된 측벽들(48,52)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아암들(92,94,96)은 약간 가요성을 가진 측면플레이트들(78)을 통해 안내플레이트부분(72)에 결합되므로, 안내플레이트부분(72)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아암들과 비교하여 휠 수 있는 길이를 증가시키며, 아암들(92,94,96)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아암들(92,94,96)의 내구성을 개선한다. 안내지주들(98)은 그 양 측면종단들에 인접한 측면플레이트들(78)과 일체로 형성된다. 안내지주들(98)은 안내부재(70)가 탭콘택트들의 콘택트부분들(도시되지 않음)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돕는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안내부재(70)의 최초의 위치에서, U자형의 제3아암들(96)의 선단부들은 절연하우징(42)의 측벽(48)(52)의 제3돌기들(104)에 접하므로, 안내부재(70)가 절연하우징(42)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L자형의 제1아암들(92)의 쌍의 내부부분(92a)이 측벽(48)(52)의 제1돌기들(100)의 선단부분들(100a)에 접촉하므로 안내부재(70)가 요부(46)의 내부로 (제3도의 아래방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아암들(92)에는 각 1돌기들(100)의 선단부분들(100a)에서 각각의 경사면(100b)에 접하는 내부부분들(92a)에 경사면들(92b)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아암들(92)이 절연하우징(42)의 측벽(48)(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아암(92)의 내부부분들(92a)이 연장되는 방향은 측벽(50)의 표면에 수직하지 않고, 정면판넬(72)에 약간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1돌기(100)의 선단부분들(100a)은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다. 경사진 내부부분들(92a)과 선반부분들(100a)은 제1아암들(92)의 외부종단부분들(92c)이 숫형콘넥터(10)의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형의 돌기들(32)과 맞물리지 않으면 제1돌기들(100)과의 맞물림을 유지한다.
숫형콘넥터(10)가 암형콘넥터(40)의 홈(46)을 통과함에 따라, 한쌍의 제1아암(92)이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형의 돌기(32)와 제1아암들(92)의 외부부분들(93c)사이의 결합에 의해 벌려져서 제1아암들(92)을 제1돌기(100)으로부터 분리한다. 동시에, 숫형콘넥터(10)의 측면들(20,22)상의 돌기들(34)과 암형콘넥터(40)의 측벽들(50,54)내부의 홈들(105)내의 돌기들사이의 결합은 양콘넥터들(10,40)의 일시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양 콘넥터들(10,40)의 일시적인 지지에서, 들어오는 암형콘넥터(40)에 접하는 안내부재(70)의 관성이 단지 안내부재(70)를 리셉터클(또는 암형)콘택트들을 가진 숫형콘넥터(10)의 탭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과 정식으로 결합하기전에 후퇴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탭콘택트들은 리셉터클 콘택트들이나 숫형콘넥터의 결합면(16)에 충돌하므로 충분히 지지되거나 안내되지 않는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안내부재(70)의 일반적으로 U자형의 제2아암들(94)이 측벽(48)상의 제2돌기들(102)의 날카로운 경사면(102a)에 접하여, 안내부재(70)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아암들(92)과 제1돌기들(100)이 숫형콘넥터(10)의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형의 돌기들(32)에 의해 분리될 때, 안내부재(70)는 제3도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후퇴하거나 이동해서 제2아암들(94)이 제2돌기들(102)의 날카로운 경사면들(102a)에 접함으로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어서, 숫형콘넥터(10)가 볼트(100)와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조임으로서 제2아암들(94)과 제2돌기들(102)사이의 맞물림에 대해 진행함에 따라, 제2아암들(94)은 제2돌기들(102)위에 놓여 안내부재(70)가 요부(46)의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안내부재(70)의 최초의 위치로 부터 떨어진 위치로의 이동은 아암들(92,94,96)과 측벽들(48,52)사이의 슬라이딩과 안내지주들(98)과 암형콘넥터(40)의 지주안내부분들(108)의 결합에 의해 부드럽다. 양 콘넥터들(10,40)의 일시적인 지지에 있어서, 제1아암들(92)은 숫형콘넥터(10)의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형의 돌기들(32)위에 놓여, 그 경사면들(32a)(제1도)과 맞물려서, 숫형콘넥터(10)가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제거될 때 안내부재(70)가 전진(제3도의 화살표 F의 방향)할 수 있게 한다.
보울트(110)가 숫형콘넥터(10)를 암형콘넥터(4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내부재(70)는 제1아암들(92)과 각각의 돌기들(32)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숫형콘넥터(10)를 따르도록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아암들(92)과 제2아암들(94)이 제1 및 제2돌기들(100,102)의 상대적으로 둔한경사부들(100c,102b)과 각기 맞물려 제1 및 제2돌기들(100,102)을 넘어가기 때문에 안내부재(70)는 상대적으로 쉽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안내부재(70)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최초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안내부재(70)는 제3아암들(96)이 제3돌기들(104)에 접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금지되므로, 제1아암(92)을 숫형콘넥터(10)의 돌기들(32)로 부터 분리시켜 숫형콘넥터(10)를 암형콘넥터(40)로 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복수의아암들과 돌기들의 그러한 협동작용으로 안내부재(70)는 최초의 위치에 보유되고, 전방으로 움직여 빠지는 것이 중단된다. 안내부재(70)와 제3아암들(96)의 선단들과 제3돌기들(104)에 인접한 위치들에서 공구통로 홈들(97,107)을 형성함으로써 암형콘넥터(40)로 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조립된 암혐콘넥터의 부분단면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암형콘넥터(40)는 또한 보울트지지하우징(120)과, 원한다면, 또한 전선커버(130)를 포함한다. 보울트지지하우징(120)은 보울트(110)를, 탄성아암들(124)과 보울트(110)의 제1계단부분(또는 턱)(114)사이를 맞물리게 하여 그 통로(122)에서 보유한다.보울트(110)는 암형콘넥터하우징(42)의 슬리브부분(64)의 개구(64a)(제1도)와 소통하는 보울트수용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다. 보울트(110)와 보울트지지하우징(120)은 하우징(42)에 매설된 금속고정구(도시하지 않음)를 보울트(110)의 제2계단부분(116)과 맞물리게 해서 하우징(42)에 설치된다. 보울트지지하우징(120)에는 공지의 별도의 지시기(124)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울트(110)의 나사부분(112)과 하우징(12,42)이 보울트(110)를 과도하게 회전시키거나 조임으로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선커버(130)는 암형콘넥터하우징(42)의 전선삽입면(68)으로 부터 정해진 방향으로 전선들(도시하지 않음)을 연장시키는데 사용된다. 전선커버(130)에는 암형콘넥터하우징(42)의 측면들(56,58)에서 네 개의 결합돌기들(69)(단지 두 개의 돌기들만이 제14도에 도시되어 있음)과 맞물리게 하여 암형콘넥터하우징(42)에 조여지게되는 네 개의 클로(claw, 134)가 제공되어 있다. 전선커버(130)에는 또한 그 중간위치에 하향원통형부분(136)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부분(136)은 전선커버(130)가 암형콘넥터하우징(42)에 설치될 때 보울트지지하우징(120)의 원통형플랜지(126)와 겹쳐지는 직경을 가진다. 원통형부분(136)과 원통형플랜지(126)의 겹침은 전선삽입면(68)으로부터의 어떠한 전선들(도시하지 않음)을 원통형부분(136)의 개구(138)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울트(110)의 헤드부분(118)을 회전시키는 충격렌치나 다른공구(도시하지 않음)가 엉킨 전선들로 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이하, 안내부재를 갖는 콘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제5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 내지 제11도는 콘넥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는 플러그 하우징의 외곽선과 안내부재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5도를 참조한다.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30´)는 서로 결합할 캡하우징(40´)과 플러그 하우징(50´)으로 구성된다. 캡하우징(40´)에는 다수의 숫형콘택트들(42´)이 있다. 또한 캡하우징(40)에는 캡하우징(40´)의 결합면에 평행한 플레이트형 안내부재(60´)가 수용되어 있다. 안내부재(60´)에는 복수의 숫형콘택트들(42´)이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공들(6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방향에 수직한 표면들(43a´)를 갖는 한쌍의 돌기들(44a´)이 캡하우징(40´)의 바닥벽(44´)에 형성되어 있어서 돌기들(44a´)은 결합방향에 수직인 면들(63a)을 갖는 안내부재(60´)에 형성된 한쌍의 L자형 레그들(60a´)에 맞물리게 된다. 그러한 맞물림은 결합방향에 수직인 두면들(43a´,63a´)의 접촉에 의해 수립되어, 안내부재(60´)가 진동이나 다른 힘에 의해 숫형콘택트들(42´)의 후방종단들로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44a´)의 상면에는 중심에서 후방부분들로 향하는 하향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콘넥터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캡하우징(40´)의 바닥벽(44´)에는 두 개의 돌기들(44b´)이 형성되어 있어서 안내부재(60´)의 스토퍼레그(60b´)는 돌기emf(44b´)에 접하여 안내부재(60´)가 캡하우징(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하우징(40´)에는 상면에 중심부분으로부터 전후방향들로 하향경사부들을 갖는 바닥벽에 두 개의 돌기들(44c´)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돌기들(44c´)은 플러그 하우징(50´)이 캡하우징(40´)과 약간 결합했을 때 안내부재(60´)의 일시정지 레그들(60c´)에 맞물리게되어 플러그하우징(50´)이 안내부재(60´)의 기준면(62´)에 접할 때까지 돌기들(44c´)이 일시적으로 안내부재(6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배열은 캡하우징(40´)의 숫형콘택트들(42´)과 플러그하우징(50´)의 암형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사이의 충돌을 피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콘택트들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결합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캡하우징(40´)의 바닥벽상에는 두 개의 돌기들(44d´)이 있어서 L자형의 레그들(60d´)을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된다. 44a 내지 44d(도시하지 않음)의 돌기들은 캡하우징(40´)의 상부벽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플러그하우징(50´)에는 L자형의 레그들(60d´)사이에서 움직여 그들을 서로 이격되도록 휘게하여 L자형의 레그들(60d´)과 돌기들(44a´)사이의 맞물림을 푸는 쐐기돌기들(5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들(50b´)이 숫형콘택트들(62)이 이후 설명되는 것처럼 약간 굽혀졌을 때 안내부재(60´)의 더 부드러운 운동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콘넥터(30´)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제5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이 분리된 상태하에서 돌기들(44a´)과 L자형 레그들(60a´)이 캡하우징(40´)의 돌기들(44a´)의 면들(43a´)과 L자형 레그들(60a´)의 면들(63a´)사이의 적극적인 접촉에 의해 숫형콘택트들(42)의 후방종단의 방향으로 견고히 맞물린다. 이것으로 안내부재(60´)가 숫형콘택트들(42´)의 후방종단들 쪽으로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반면, 스토퍼레그들(60´)은 캡하우징(40´)의 돌기들(44b´)에 접하여 안내부재(60´)가 캡하우징(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의 분리된 상태에서, 숫형콘택트들(42´)의 선단부들은 외부 힘으로부터 보호되는데, 이는 그들이 관통공들(61´)밖으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6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이 서로 약간 결합되었을 때, 쐐기돌기들(50a´)의 선단부들은 한쌍의 L자형 레그들(60a´)사이에서 움직인다.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이 더 결합될 때, 쐐기돌기들(50a´)이 이 돌기들(44a´) 바로 위로 한쌍의 L자형 레그들(60a´)로 더 깊숙이 움직여서, L자형 레그들의 상(60a´)을, 제7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크게 휘게 한다.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이 더 결합되었을 때, 돌기들(44a´)과 L자형 레그들(60a´)사이의 맞물림이 풀려지고 안내부재(60´)는, 제8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시정지 레그들(60c´)와 돌기드(44c´)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제9도에 일시정지 레그들(60c´)과 돌기들(44c´)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안내부재(60)가 일시적으로 정지하나 플러그하우징(50´)이 안내부재(60´)에 접근할 때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이 더 결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캡하우징(40´)과 플러그하우징(50´)이 더 결합하면, 제10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0)은 안내부재(60´)의 기초면(62´)에 접하게 된다. 숫형콘택트(42´)가 암형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려 숫형 및 암형콘택트들의 충돌들 피하는 콘택트들의 부드러운 맞물림을 제공하는 것이 이 상태이다. 플러그하우징(50´)이 안내부재(60´)에 접하고 있는 동안 결합작업이 계속될 때, 일시정지 레그들(60c´)이 돌기들(44c)을 올라타서, 제11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숫형콘택트들(42)과 암형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사이의 완전한 결합에 도달하게 된다.
숫형콘택트들(42´)과 암형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을 분리하거나 해체하기 위해서는, 플러그하우징(50´)을 결합방향에 반대의 (분리)방향으로 잡아다닌다. 그러면, 쐐기돌기들(50a´)이 L자형 레그들의 쌍(60a´)과 맞물려서 안내부재(60´)를 분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플러그하우징(50´)을 더욱 분리방향으로 잡아다닐 때, L자형 레그들의 쌍(60a´)이 돌기들(44a´)을 올라타고 일시정지 레그들(60c´)이 돌기들(44c´)을 올라탄다. 플러그하우징(50´)을 더 잡아다녀서, 돌기들이 스토퍼레그들(60b´)에 접하면 안내부재의 움직임을 정지시켜서 플러그하우징(50´)을 캡하우징(4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거나 해체하게 된다.
이제, 제12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예컨대, 숫형콘택트들(42´)(제5도 참조)이 약간 굽혀져서 관통공들(61´)과 부딪혀서, 안내부재(61´)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간섭하게 되는 경우의 콘넥터(30´)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숫형콘택트들(도시하지 않음)이 약간 굽혀져서 관통공들(61´)에 부딪혀 안내부재(60´)의 부드러운 운동을 간섭하는 경우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와 비교하면 분명하듯이, 플러그하우징(50´)은 캡하우징(40´)으로 약간 더 깊이 결합되지만 안내부재(60)의 운동은 제한된다. 제1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안내부재(60´)의 운동이 제하되면, 돌기들(50b´)은 캡하우징(40´)이 플러그하우징(50´)과 더 결합됨에 따라 안내부재(60)의 L자형 레그들(60d´)에 접한다. 더 결합되었을 때, L자형 레그들(60d´)은 제1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돌기들(50b´)에 의해 밀려져서, 안내부재(60´)를 약간 결합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숫형콘택트들(42´)의 선단들을 관통공들(61´)를 속으로 더 깊이 삽입시킨다. 결합이 더 진행됨에 따라, L자형 레그들(60d´)의 경사면들(63a´)이, 제15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하우징(40)의 내부 벽 상의 돌기들(44d´)의 경사부들(40´)에 의해 결합방향에 수직으로 밀려진다. 이로인해, 제1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돌기들(50b´)과 L자형 레그들(60d´)사이의 간섭이 제거된다. 결합작업이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계속되어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30´)가 안내부재(60´)가 부드럽게 움직여서 숫형콘택트들이 약간 구부러져서 관통공들(61´)에 부딪힌다 해도 적절한 결합을 성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레그들(60a´,60b´)은 위에서 특히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처럼 L자형인 대신에 T자형, J자형 또는 다른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제1아암들(92)은 숫형콘넥터(10)의 돌기들(32) 대신에 요부들과 맞물리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는 안내부재의 랫칭 아암들이 콘택트들과 간섭하지 않으므로 고밀도의 콘택트에 적합하다. 랫칭 아암들은 충분한 탄성을 제공하면서 측면플레이트들의 반대측으로 부터 형성하여 안내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최소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어서, 콘넥터가 분리되어 있을 때 또는 안내부재가 별도로 취급될 때 랫칭아암을 변형시키거나 아니면 파손시킬 가능성을 최소화하게 된다. 안내부재는 측면플레이트들에 의해 향상되는 비틀림이나 변형에 대해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안내작업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를 구비한 콘넥터는 안내부재의 다리들과 제1하우징의 돌기들의 적극적인 맞물림 때문에 진동이나 다른 외력에 의해 안내부재가 우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해 개선된 보호를 제공하다. 제1 및 제2하우징들을 결합할 때, 레그들과 돌기들사이의 맞물림이 제1 및 제2하우징들의 쉬운 결합을 위해 안내부재를 미는 제2하우징에 의해 쉽게 풀리게 된다.

Claims (18)

  1. 복수의 숫형 콘택트를 가진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숫형 콘택트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을 가진 섭동가능한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벽에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안내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돌기들과 맞물리는 다수의 탄성아암을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탄성아암과 상기 돌기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캠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안재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가진 플레이트 부분 및 이 플레이트 부분의 양측에 형성된 1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안내부재의 상기 탄성아암이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자유단으로 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안내부재의 상기 탄성아암의 일부는 루우프형으로 형성되며, 나머지는 대향하는 레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5. 제1하우징과 제1콘넥터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숫형 콘택트를 포함하는 제1콘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한느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콘넥터와, 상기 숫형 콘택트의 콘택트부가 관통하는 관통공들을 가지는 상기 제1하우징내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콘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상기 제2콘낵터에 의한 밀림에 의하여 상기 콘택트부의 후단을 향하여 이동가능한 콘택트 안내부재를 구비한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콘택트부의 선단보다 더 앞쪽 위치의 내부벽에 형성된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스프링부재를 갖는 레그들과 상기 콘택트부의 후단을 향한 상기 안내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들과 맞물리는 후크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간의 결합동안 상기 후크부재를 밀므로서 상기 레그들과 상기 돌기들간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밀림 돌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구비한 콘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다른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내의 상기 안내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돌기들과 맞물리는 아암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구비한 콘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또다른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외부에서 상기 안내부재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또다른 돌기들과 맞물리는 다른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안내부재를 구비한 콘넥터.
  8. 내부에 숫형 콘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가진 암형 절연 하우징과, 상기 숫형 콘넥터의 결합방향을 향하여 상기 홈내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홈내로 연장된 숫형 콘택트들의 콘택트부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를 갖는 안내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안내부재와, 상기 숫형 콘넥터와 맞물리는 랫칭 아암들을 구비한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모서리로 부터 상기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측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랫칭 아암들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측면 플레이트들의 자유단들로 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9. 내부벽상에 형성된 제1돌기들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며, 상부에 밀림 돌기들을 구비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콘택트 부들과 후단부들 및 제1돌기들을 구비하되, 콘택트들은 결합방향을 향하며 제1돌기들은 상기 콘택트들 보다 선단에 위치하는 숫형 콘택트들과, 상기 제1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결합 및 해제시 이동가능하되,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콘택트 부들을 안내하기 위환 관통공들을 갖는 안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돌기들과 맞물리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가지 이동을 방지하는 탄성 레그들과 후크부재를 구비한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과정에서 콘택트부들은 안내 플레이트상의 관통공을 통하여 안내되는 반면 밀림 돌기들은 상기 제1돌기와 레그들간의 맞물림을 해제시키고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콘택트들의 후단부를 향하여 밀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해제 과정에서 결합이 완전 해제될 때 보호된 콘택트들이 유지되도록 밀림 돌기들은 안내부재를 콘택트 부들을 향하여 끌어 다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들의 제1레그들은 L자 형태이며, 제2 및 제3레그들은 U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들은 상기 숫형형 콘택트 부들의 후단을 향한 상기 안내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들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돌기는 다이아몬드 형태이며, 상기 하우징들의 결합시 상기 밀림 돌기는 상기 제1레그들과의 맞물림으로 부터 제1레그를 밀어내며 그후 상기 밀림돌기는 제1하우징 내로 안내부재를 밀고 숫형 콘택트들의 콘택트부들을 지나치게 하기 위함과 아울러 콘넥터의 결합해재 과정에서 제1하우징의 결합면을 향하여 안내부재를 당기기 위하여 제1레그들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결합시 밀림돌기가 제1돌기들로 부터 제1아암의 맞물림이 해제됨에 반하여 상기 제2레그들과 맞물려지고 상기 안내부재가 숫형 콘택트들의 콘택트부드를 지나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돌기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들의 제1레그들은 L자 형태이고, 상기 제2레그들은 U자 형태이며 상기 제3레그들은 L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그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결합시 제3돌기들에 의하여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 거의 수직으로 밀리는 부분들을 구비하며, 그로 인하여 안내부재를 콘택트부들을 지나치게 부드럽게 밀어 최종적으로 콘택트 부들이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관통공들을 구비한 안내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플레이트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모서리로 부터 상기 숫형 콘택트들의 후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레그들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로 부터 결합방향으로 상기 안내 플레이트를 지나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은 볼트의 작용에 의하여 함께 결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관통하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구비하며, 안내부재는 상기 슬리브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1019940006679A 1993-04-01 1994-03-31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KR100241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6151 1993-04-01
JP1993016151U JP2596254Y2 (ja) 1993-04-01 1993-04-01 ガイド部材付きコネクタ
JP03191294A JP3313229B2 (ja) 1994-02-03 1994-02-03 コネクタ
JP6-31912 1994-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301B1 true KR100241301B1 (ko) 2000-02-01

Family

ID=2635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679A KR100241301B1 (ko) 1993-04-01 1994-03-31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41301B1 (ko)
CN (1) CN1097901A (ko)
GB (1) GB22767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40A3 (ko) * 2009-03-24 2010-12-09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81249A1 (en) * 1998-10-15 2001-06-19 Whitaker Corp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9212404A (ja) * 2018-06-01 2019-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226Y2 (ko) * 1987-01-26 1992-04-23
US4797116A (en) * 1987-01-26 1989-01-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vable contact guide and lance-maintaining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40A3 (ko) * 2009-03-24 2010-12-09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커넥터 조립체
US8408950B2 (en) 2009-03-24 2013-04-02 Kum Co., Ltd. Femal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76780B (en) 1997-09-03
GB9406424D0 (en) 1994-05-25
CN1097901A (zh) 1995-01-25
GB2276780A (en) 1994-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606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guide member
US5709560A (en) Connector having a pivotable connection-assistance member
US5643003A (en) Housing latch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212210B2 (ja) 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EP0344691B1 (en) Double engagement structure for terminal and connector
EP0818855B1 (en) Connector
EP1662621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553805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EP06446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e securing a terminal within a connector
KR100363636B1 (ko) 개선된 캠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102726A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JPH087982A (ja) ラ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JP3301329B2 (ja) コネクタ
CA212397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nsertion and extraction slide
EP0503947B1 (en) An electric connector
JPH0728288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H09330757A (ja) コネクタ
US6149473A (e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and coupling mechanism
JPH066469Y2 (ja) コネクタキット
US5558526A (en) Connector with a contact-aligning device
KR100241301B1 (ko) 콘택트 안내부재를 가진 콘넥터
EP0591972B1 (en) Connector
JP2007026762A (ja) コネクタ
US5928014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air of connector housings
JP331322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