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720B1 -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720B1
KR100240720B1 KR1019950066572A KR19950066572A KR100240720B1 KR 100240720 B1 KR100240720 B1 KR 100240720B1 KR 1019950066572 A KR1019950066572 A KR 1019950066572A KR 19950066572 A KR19950066572 A KR 19950066572A KR 100240720 B1 KR100240720 B1 KR 10024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battery connection
electric vehic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344A (ko
Inventor
이성범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720B1/ko
Publication of KR97003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가 충돌하거나 또는 물에 침수될 시에 차체에 전기가 통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코자 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베터리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에 있어서, 3 ~ 4개의 베터리 단위로 하여 각 단위간 감전 방지 수단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제1도는 종래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팩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팩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10-3, …, 10-26 : 베터리
20 : 전선케이블 30 : 퓨즈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가 충돌하거나 물에 침수될 시에 차체에 전기가 통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코자 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가솔린 등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대체용으로 태양열 자동차의 전기 자동차의 급속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베터리 팩이 12볼트의 베터리(10-1, 10-2, 10-3, …, 10-26) 24 ~26개를 일반적인 전기 케이블(20)로 직결 연결하여 최고 324 볼트의 고전압으로 개발되어 있는 바, 베터리 전원이 차체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감전 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 베터리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운전자와 탑승자의 감전을 방지코자 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는, 복수개의 베터리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에 있어서, 3 ~ 4개의 베터리 단위로 하여 각 단위간 감전 방지 수단을 채용한 데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를 위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팩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터리 팩은 26개의 베터리(10-1, 10-2, 10-3, …, 10-26)가 전선 케이블(20)로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각 4개의 베터리 단위로 하여 각 단위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케이블(20)에 감전 방지 수단으로 퓨즈(3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베터리(10-4)와 베터리(10-5), 베터리(10-8)와 베타리(10-9), 베터리(10-12)와 베터리(10-13), 베터리(10-16)와 베터리(10-17) 및 베터리(10-20)와 베터리(10-21) 사이에는 퓨즈(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감전 방지 수단으로 채용된 퓨즈(30)는 그 용량을 별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상기 퓨즈(30)를 대신하여 베터리 팩의 정경용량에 베터리 쇼트시 전류용량을 감안하여 산정한 정격 용량을 갖는 다른 전선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는 3 ~4개의 베터리 단위로하여 가 단위간 감전 방지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쇼트시 베터리 전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탑승자나 운전자의 충돌시 또는 차체 누전시 감전 사고를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서 안전에 절대 필요한 감전 방지 수단을 채용한 베터리 팩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3)

  1. 복수개의 베터리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한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에 있어서, 3 ~ 4개의 베터리 단위로 하여 각 단위간 감전 방지 수단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 방지 수단은 퓨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 방지 수단은 베터리 팩의 정격용량에 쇼트시의 전류용량을 고려하여 설계한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구조.
KR1019950066572A 1995-12-29 1995-12-29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KR10024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572A KR100240720B1 (ko) 1995-12-29 1995-12-29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572A KR100240720B1 (ko) 1995-12-29 1995-12-29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44A KR970036344A (ko) 1997-07-22
KR100240720B1 true KR100240720B1 (ko) 2000-01-15

Family

ID=1944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572A KR100240720B1 (ko) 1995-12-29 1995-12-29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04B1 (ko) * 2008-11-12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침수 시 부품 단락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04B1 (ko) * 2008-11-12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침수 시 부품 단락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44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98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limiting the starting current and for discharging the DC voltage intermediate circuit
KR100214193B1 (ko) 전기차량의전기시스템
CN100408382C (zh) 交通工具电气保护装置及利用该装置的系统
ES2214560T3 (es) Red a bordo para vehiculos.
DE102012020019B4 (de) Entladevorrichtung zum aktiven Entladen eines Hochvolt-Zwischenkreises in einem Hochvolt-Netz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Entladevorrichtung
US20130136974A1 (en) Safety structure for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US20030111971A1 (en) Electric motor vehicle
CN108602438A (zh) 带有烟火隔离装置的高压电气系统和运行高压电气系统的方法
US11225168B2 (en) HV energy storage device
KR102454579B1 (ko) 전기적 온보드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이러한 온보드 전력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CN104025369A (zh) 蓄电池系统和机动车
US6133645A (en) Electronic device disconnect circuit
CN111152658A (zh) 用于机动车的电能系统
US10217595B2 (en) Device for switching an electrical circuit
US11850958B2 (en) Connector unit for a plug-in electrical vehicle
KR102531176B1 (ko) 전기자동차의 전력 분배 장치
KR100240720B1 (ko) 전기 자동차용 베터리 연결 구조
KR19980013259U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별 전원차단장치
JP6229668B2 (ja) 蓄電システム
KR20230128115A (ko)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KR0164337B1 (ko)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KR102589023B1 (ko)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9185141A1 (en) Vehicle electrical starter circuit protection
KR102668851B1 (ko)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차단 시스템
KR102468604B1 (ko)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