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167B1 -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167B1
KR100239167B1 KR1019970705021A KR19970705021A KR100239167B1 KR 100239167 B1 KR100239167 B1 KR 100239167B1 KR 1019970705021 A KR1019970705021 A KR 1019970705021A KR 19970705021 A KR19970705021 A KR 19970705021A KR 100239167 B1 KR100239167 B1 KR 10023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put signal
digital
determi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레 위르겐
에버라인 에른스트
그릴 베른하르트
브란덴부르그 칼하인쯔
게르호이저 하인쯔
Original Assignee
슈베르트 헬무트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 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베르트 헬무트,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 에.파우. filed Critical 슈베르트 헬무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05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of digital signals

Landscapes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오디오 신호의 음조는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탈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단계와: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들의 음조 T를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kpo00006
상기 식에서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이며, F1은 첫 번째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1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이고, F2는 평탄 또는 적분 특성을 갖거나 상기 첫 번째의 미분특성보다 덜 강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2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이며, d1 - 및 d2는 필터변수에 따라 각 경우마다 필터의 지연을 보상하도록 선택되는 적분상수이다.

Description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음조(tonality)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취조절코딩(Hearing-adjusted coding) 및 오디오신호의 데이터 축소를 위한 기본은 코딩시에 발생하는 코딩에러가 스펙트럼으로 형성되어 소위 차폐청취한계(masked hearing threshold) 아래에서 코딩에러가 일어나 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오디오 신호의 코딩 시 또는 코더(coder)내에서 순간적으로 차폐청취한계가 결정되는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차폐청취한계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지각적인 모델(perceptual model)"이라고 불리는 청취모델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한편 오디오 입력신호는 "지각적인 모델" 또는 청취모델로 입력되며, 다른 한편 필터 뱅크에 의한 변환이나 블럭 기본으로 실행되는 주파수 변환 후, 청취모델 또는 지각적인 모델의 출력신호에 의해 엑세스되는 양자/코딩 단계로 입력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노이즈신호는 음조 신호 성분을 행하는 것보다 더 강한 코딩에러 차폐효과를 가지므로, 신호의 차폐 능력은 신호가 톤과 같은 신호나 톤신호인지 또는 노이즈나 비음조 신호인지에 의존한다. 이에 대해 알.피.헬만(R.P.Hellmann)은 "Asymmetry of Masking between Noise and Tone",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Vol. 11, pp. 241-246, 1972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ISO/MPEG 규격(cf. ISO/IEC 11172-3, Annex D)에서 설명한 통상적인 정신음향 모델들은 이미 음조신호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정신음향모델 1 (psychoacoustic model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만약 신호성분의 레벨이 주변 주파수라인의 레벨보다 큰 어떤 계수(7dB)라면 그 신호 성분은 "음조"로 분류된다. "정신음향모델 2 (psychoacoustic model 2)"에서 음조의 결정은 이상적인 경우 음조신호에 대한 매우 작은 예측에러를 나타내는 복합 에프티(FFT) 색인들의 예측을 기본으로 수행된다. 이렇게 하여 신호성분의 음조가 추측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두 가지 방법은 신뢰할 수 없는 음조의 검출만을 허락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시작하여, 신호의 음조 등록에 있어서 신뢰성을 높이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의 독립항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탈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화단계와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의 음조 T를 결정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k는 주파수 라인의 지수이며, F1은 첫 번째로 미분 특성을 가지는 제1디지탈 필터의 필터 함수이고, F2는 평탄 또는 적분 특성을 갖거나 상기 첫 번째의 미분 특성보다 덜 강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2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이며, d1및 d2는 필터변수에 따라 선택되어 각 경우마다 필터의 지연이 보상되는 적분상수이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단계와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들의 음조 T를 결정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T(k)=F[log[X]](k+d)
상기 식에서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이며, F는 미분특성을 갖는 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이고, d는 필터의 지연이 보상되도록 선택되는 적분상수이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탈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변환을 위한 변환수단과, 필터함수 F1, F2를 갖는 두 개의 디지탈 필터와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들의 음조 T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이며, F1은 첫 번째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1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이고, F2는 평탄(Flat) 또는 적분 특성을 갖거나 상기 첫 번째의 미분특성보다 덜 강한 미분특성을 가지느 제2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이며, d1및 d2는 필터변수에 따라 선택되어서 각 경우마다 필터의 지연이 보상되는 적분상수이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다지탈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주파수변환을 위한 변환수단과, 필터함수 F를 가지는 디지탈 필터와,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들의 음조 T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T(k)=F[log[X]](k+d)
상기 식에서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이며, F는 미분특성을 갖은 디지탈필터의 필터함수이고, d는 필터 F의 필터변수에 따라 필터의 지연이 보상되는 적분상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첫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두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디지탈 입력신호 x(n)는 블럭 기본으로 실제 양의 스펙트럼 절대값 표시(real positive-value spectral absolute value representation) X(k)로 첫 번째 변환된다. 여기서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이며, 상기 변환은 주파수변환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이산 주파수변환 및 차기 절대값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계산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에프티(DFT) 스펙트럼 진폭의 절대값 형성과는 달리, 절대값 표시(absolute value representation)는 절대값의 제곱이나, 에너지 보존, 변환 등을 사용하여 적절히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대값 표시나 주파수영역에서의 이산 입력신호의 에너지표시에서 시작하여, 본 발명은 지수 k를 갖는 주파수 라인에 대한 신호성분의 음조 T(k)를 결정하기 위해 두가지 평가 개념을 관찰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첫 번째 실시 예에서, 절대값표시 X(k)는 미분특성을 갖는 필터함수 F1을 가지는 제1필터(2)와 입력값과 동일한 출력값을 갖는 평범한 필터함수를 가지는 제2필터(3)로 입력된다.
적분상수 d1, d2를 통해 두 필터의 지연이 보상된다. 디지탈 필터설계분야에서 알려진 것처럼, 이러한 상수들은 선택된 필터계수에 의존한다.
완전한 지수장치가 스펙트럼의 값 표시X(k)와 시작하여 하기 식에 따른 k번째 신호의 음조T(k)를 구하도록, 지수형성회로 4(Quotient formation circuit)는 스펙트럼 절대값표시 X(k)로 시작하여, 완전한 계산장치가 하기 식과 같이 k번째 신호라인의 음조 T(k)를 계산하도록 지수형성을 통해 상기 두 디지탈필터(2, 3)의 출력값을 결합한다.
Figure kpo00003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필터는 에프아이알(FIR)필터, 즉 대칭펄스응답(Symmetric pulse response)의 "유한임펄스응답(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이다. 상기 제1필터는 이미 언급했듯이, 우선적으로 고주파 성분을 변환시키는 미분필터함수 F1을 갖는다.
제2필터(3)는 앞서 고려된 평범한 특성(F2[X]=1)에 추가하여, 가산 또는 적분특성을 가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제1필터(2)의 특성이 상기 제2필터(3)의 특성보다 더 강하게 미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외에도, 음조값 T(k)는 제2도에 보여진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결정되어질 수도 있다.
제2도의 블럭1은 제1도의 블럭1과 동일하며, 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이산 퓨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을 통하여 스펙트럼 절대값표시 X(k)를 형성한다.
k번째 신호성분의 음조 T(k)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장치(5)는 하기 관계식의 원리에 따라 음조를 결정한다.
T(k)=F[log[X]](k+d)
상기 식에서, 상수 d는 선택된 필터계수에 의존하는 필터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적분값은 나타낸다. 디지탈 필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대칭펄스응답을 가지는 FIR필터이다, 필터 F는 우선적으로 고주파 성분을 변환시키는 미분특성을 나타낸다.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음조값 T(k)가 익숙치 않은 것임에 틀림없다. 비록 이것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더라도, 적절한 비선형 적응함수 수단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정신음향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값이다. 입력신호의 차폐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상술한 음조값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 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탈 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 단계와 :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의 음조 T를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Figure kpo00004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 F1은 첫 번째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1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 F2는 평탄 또는 적분 특성을 갖거나 상기 첫 번째의 미분특성보다 덜 강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2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 d1및 d2는 필터변수에 따라 각 경우마다 필터의 지연을 보상하도록 선택되는 적분상수.
  2.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 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탈 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 단계와 :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의 음조 T를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T(k)=F[log[X]](k+d)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 F는 미분특성을 가지는 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 d는 필터의 지연을 보상하도록 선택되는 적분상수.
  3.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 표시 X(k)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탈 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환수단 (1)과 : 필터함수 F1, F2를 가지는 두 개의 디지탈 필터(2, 3)과 :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의 음조 T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Figure kpo00005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 F1은 첫 번째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1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 F2는 평탄 또는 적분 특성을 갖거나 상기 첫 번째의 미분특성보다 덜 강한 미분특성을 가지는 제2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 d1및 d2는 필터변수에 따라 각 경우마다 필터의 지연을 보상하도록 선택되는 적분상수.
  4.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실제 양의 값 표시 X(k)를 생성하도록 디지탈 입력신호 x(n)의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환수단(1)과: 필터함수 F를 가지는 디지탈 필터와: 하기 식에 따르는 주파수 라인 k에 대한 신호성분의 음조 T를 결정하는 수단(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T(k)=F[log[X]](k+d)
    k는 주파수라인의 지수, F는 미분특성을 가지는 디지탈 필터의 필터함수, d는 필터의 지연을 보상하도록 선택되는 적분상수.
  5. 제1항에 있어서, 블럭방식 주파수변환 단계에서 입력신호의 실제 절대값 표시 X(k)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디지탈 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환 값에 대한 실제 절대값 표시 X(k)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디지탈필터(2, 3)가 FIR필터로써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필터 F가 FIR필터로써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블럭방식 주파수 변환 단계에서 입력신호의 실제 절대값 표시 X(k)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디지탈 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환 값에 대한 실제 절대값표시 X(k)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KR1019970705021A 1995-02-17 1996-02-09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239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5435.0 1995-02-17
DE19505435A DE19505435C1 (de) 1995-02-17 1995-02-1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der Tonalität eines Audiosignals
PCT/EP1996/000550 WO1996025649A1 (de) 1995-02-17 1996-02-0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der tonalität eines audio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167B1 true KR100239167B1 (ko) 2000-01-15

Family

ID=775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021A KR100239167B1 (ko) 1995-02-17 1996-02-09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18203A (ko)
EP (1) EP0772764B1 (ko)
JP (1) JP3205560B2 (ko)
KR (1) KR100239167B1 (ko)
AT (1) ATE162303T1 (ko)
DE (2) DE19505435C1 (ko)
DK (1) DK0772764T3 (ko)
WO (1) WO1996025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8852A1 (de) * 1995-06-30 1997-01-02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lassifizierung von Sprachsignalen
CA2188369C (en) * 1995-10-19 2005-01-11 Joachim Stegman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classifying speech signals
DE19730129C2 (de) * 1997-07-14 2002-03-07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m Signalisieren einer Rauschsubstitution beim Codieren eines Audiosignals
JP3739959B2 (ja) * 1999-03-23 2006-01-25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音響信号符号化装置、デジタル音響信号符号化方法及びデジタル音響信号符号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DE10134471C2 (de) 2001-02-28 2003-05-22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Charakterisieren eines Signals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indexierten Signals
DE10109648C2 (de) * 2001-02-28 2003-01-30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Charakterisieren eines Signals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indexierten Signals
FR2830118B1 (fr) * 2001-09-26 2004-07-30 France Telecom Procede de caracterisation du timbre d'un signal sonore selon au moins un descripteur
US7333930B2 (en) 2003-03-14 2008-02-19 Agere Systems Inc. Tonal analysis for perceptual audio coding using a compressed spectral representation
US8068719B2 (en) * 2006-04-21 2011-11-29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exciting scenes in sports video
US8077893B2 (en) * 2007-05-31 2011-12-13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Distributed audio coding for wireless hearing aids
JP5262171B2 (ja) * 2008-02-19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および符号化プログラム
CN101847412B (zh) * 2009-03-27 2012-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的分类方法及装置
JP6334564B2 (ja) 2013-01-29 2018-05-30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ユング エー.フアー. 低複雑度の調性適応音声信号量子化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7842T2 (de) * 1990-03-09 1998-01-29 At & T Corp Hybride wahrnehmungsgebundene Kodierung von Audiosignalen
EP0559348A3 (en) * 1992-03-02 1993-11-03 AT&T Corp. Rate control loop processor for perceptual encoder/decoder
TW327223B (en) * 1993-09-28 1998-02-21 Sony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input signal broken into frequency component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ding such encoded signal
US5699479A (en) * 1995-02-06 1997-12-16 Lucent Technologies Inc. Tonality for perceptual audio compression based on loudness uncertainty
DE69725172T2 (de) * 1996-03-08 2004-04-08 Motorola, Inc., Schaumburg Verfahren und gerät zum erkennen von geräuschsignalproben aus einem geräus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2764A1 (de) 1997-05-14
DE59600077D1 (de) 1998-02-19
DK0772764T3 (da) 1998-09-14
JP3205560B2 (ja) 2001-09-04
US5918203A (en) 1999-06-29
WO1996025649A1 (de) 1996-08-22
EP0772764B1 (de) 1998-01-14
DE19505435C1 (de) 1995-12-07
JPH10503908A (ja) 1998-04-07
ATE162303T1 (de) 199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167B1 (ko) 오디오 신호의 음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Viswanathan et al. Quantization properties of transmission parameters in linear predictive systems
US8412520B2 (en) Noise reduction device and noise reduction method
EP0698877B1 (en) Postfilter and method of postfiltering
EP1157377B1 (en) Speech enhancement with gain limitations based on speech activity
US20070232257A1 (en) Noise suppressor
TWI470623B (zh) 用以獲得描述信號之信號特性變異之參數的裝置、方法與電腦程式、以及用以時間捲曲編碼輸入音訊信號的時間捲曲音訊編碼器
US20030233236A1 (en) Audio coding system using characteristics of a decoded signal to adapt synthesized spectral components
EP1676264B1 (en) A method of making a window type decision based on mdct data in audio encoding
US201001613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mplex spectral representation of a discrete-time signal
CN110832581A (zh) 用于使用瞬态位置检测后处理音频信号的装置
US8175145B2 (en) Post-processing for reducing quantization noise of an encoder during decoding
AU705590B2 (en) A power spectral density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194093B1 (en) Measurement method for perceptually adapted quality evaluation of audio signals
US7013266B1 (en) Method for determining speech quality by comparison of signal properties
KR100297832B1 (ko) 음성 신호 위상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33139A1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reducing noise during voice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s systems
Martin et al. Optimized estimation of spectral parameters for the coding of noisy speech
CN110709926A (zh) 用于使用基于预测的整形后处理音频信号的装置和方法
Puder Kalman‐filters in subbands for noise reduction with enhanced pitch‐adaptive speech model estimation
Kang et al. Experimentation with synthesized speech generated from line-spectrum pairs
EP0520462B1 (en) Speech coders based on analysis-by-synthesis techniques
Veeneman et al. A fully adaptive comb filter for enhancing block-coded speech
KR19990001296A (ko) 적응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Okazaki et al. Multi-stage spectral subtraction for enhancement of audio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