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636B1 -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636B1
KR100238636B1 KR1019970061469A KR19970061469A KR100238636B1 KR 100238636 B1 KR100238636 B1 KR 100238636B1 KR 1019970061469 A KR1019970061469 A KR 1019970061469A KR 19970061469 A KR19970061469 A KR 19970061469A KR 100238636 B1 KR100238636 B1 KR 10023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hamber
bod
purified water
tank
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949A (ko
Inventor
김재원
고태현
Original Assignee
김재원
고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고태현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1997006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6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상태가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를 기준으로 15000ppm이상일 경우 스크린과 집수조를 거쳐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고, BOD가 15000ppm 미만일 경우에는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며, 화학처리실로 보내진 오폐수는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의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정화된 후 스크린벨트로 보내지도록 하여 정화수가 고체와 액체로 분류하도록 하고, 상기에서 분류된 정화수가 BOD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약품 투입과 교반기의 가동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여 정화수내의 중금속과 유기물을 침전시키도록 한 후에 스크린벨트에 의하여 고체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정화된 정화수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로는 처리할 수 없었던 중금속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적인 집수조와 유량조 및 폭기조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화학처리실과 전기처리실을 별도로 구성한 오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로는 처리할 수 없었던 중금속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그에 따른 부산물로 쓰레기가 배출되었다. 특히 오폐수를 하천에 내보내게 되면 하천오염을 촉진함으로써, 사람이 마시는 식수에 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상기의 오폐수는 고농도의 축산물 쓰레기, 다량의 생활오수, 고분자유기화합물을 다량 함유한 제지폐수 및 독성유기화합물이 배출되는 중화학공업 폐수등으로 다양한 오폐수가 하천에 방류되었다.
이에따라 사람들은 상기의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다. 즉,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물리적 화학적 처리방법과,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현탁성 부유물 때문에 흐려진 공장폐수는 단순히 물리적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정화하여 맑게 처리하는 반면에, 유기물이 많이 녹아 있는 공장폐수는 상기의 방법 이외에 다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하여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
물리적인 폐수처리 방법으로는 체분리, 여과, 침사지, 초미분여과, 투석, 침강법, 자선법, 증류법 및 증발법등이 있어 입자의 크기나 입자의 비중차, 입자의 자성, 상대휘발성 및 증기압차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화학적 처리방법으로는 중화법, 중화침전법, 산화환원법, 분해법, 응집법, 부상법, 흡착법, 추출법, 이온교환법, 연소, 소각법등이 있으며, 상기의 방법은 용해도나, 산화환원, 가수분해, 계면특성 및 이온성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방법 이외에 유기물이 많이 녹아있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 장기폭기법, 접촉안정화법, 순산소 폭기법, 접촉여재법, 산화구법등이 있으며, 상기의 방법은 생물산화분해성이나 생물환원분해성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특히 유기물을 처리하는 오폐수정화방법으로는 종래에 많이 제안되었다. 활성오니법으로는 실용신안등록 공고 제83-2180호에 기재된 생물학적 활성오니법에 의한 하수처리장치나, 특허 공고 제90-9152호에 기재된 하수 또는 산업폐수의 활성오니처리방법 및 실용신안 공고 제95-4068호에 기재된 오,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 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등 많이 제안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활성오니법 이외에 접촉여재법으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특허 공고 제91-4083호에서 제안한 폐수처리용 미생물 생육영양인자 조성물 제조방법과, 특허 공고 제95-2547호에 오,폐수 하수처리용 미생물 접촉여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접촉여재에 의한 오폐수처리장치는 정화에 관하여 미생물의 다양성이 높으며, 생물종류가 다양하고, 안정된 생태계를 구성하며, 수질의 부하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강하고, 슬러지의 발생량이 적으며, 낮은 수온에서의 유기물 제거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접촉여재법은 여재(Media)에 미생물을 서식시켜 유기물과 반응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의 미생물이 증식하게 될 경우 많은 양의 미생물은 오히려 수질을 악화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종래 방법은 산업폐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즉 이온화 되어 있는 중금속을 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었으며, 폭기조를 지난 후에도 안심하고 사용자가 그 물을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별도의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폭기조의 미생물이 보다 효율 높게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 내에 유입되는 중금속을 처리하도록 하여 정화수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폐수내의 이온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상태가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를 기준으로 15000ppm이상일 경우 스크린과 집수조를 거쳐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고, BOD가 15000ppm 미만일 경우에는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며, 화학처리실로 보내진 오폐수는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의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정화된 후 스크린벨트로 보내지도록 하여 정화수가 고체와 액체로 분류하도록 하고, 상기에서 분류된 정화수가 BOD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약품 투입과 교반기의 가동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여 정화수 내의 중금속과 유기물을 침전시키도록 한 후에 스크린벨트에 의하여 고체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정화된 정화수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로는 처리할 수 없었던 중금속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순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학처리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화학처리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기처리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전기처리실을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전기처리실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학처리실 12 : 약품투입구
16 : 교반날개 20 : 전기처리실
21 : 이송관 31 : 전극판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상태가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를 기준으로 15000ppm이상일 경우 스크린벨트로 보내고, BOD가 15000ppm미만일 경우에는 화학처리실로 보내는 단계와, 스크린벨트로 보내진 오폐수는 조목과 세목으로 된 스크린을 통과한 후에 집수조A와 집수조B를 거쳐 화학처리실로 보내는 단계와, 스크린에서 걸러진 고체협잡물은 비료처리장으로 보내는 단계와, 화학처리실로 보내진 오폐수는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의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정화된 후 스크린벨트로 보내지는 단계와, 스크린벨트로 이송된 정화수는 고체일 경우 탈수처리하여 슬러지이송장치에 의해서 비료처리장과 집수조로 보내도록 하고, 액체일 경우 처리수탱크에서 상태를 분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상태분류에서 정화수가 BOD를 기준으로 5000ppm 이상일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BOD를 기준으로 5000ppm 미만일 경우 바로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는 단계와,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약품이 투입되고, 교반기가 가동된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여 정화수 내의 중금속과 유기물을 침전시키는 단계와, 전기처리실을 통과한 정화수는 스크린벨트에 의하여 고체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하여, 고체는 탈수처리하여 비료처리장으로 이송되고, 액체는 처리수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단계와, 처리수탱크로 이송된 정화수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상태가 BOD(생물학 적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를 기준으로 15000ppm이상일 경우 스크린벨트와 집수조를 거쳐 화학처리실로 보내고, BOD가 15000ppm미만일 경우에는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며, 화학처리실로 보내진 오폐수는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의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정화된 후 스크린벨트로 보내지도록 하여 정화수가 고체와 액체로 분류하도록 하고, 상기에서 분류된 정화수가 BOD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약품 투입과 교반기의 가동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여 정화수 내의 중금속과 유기물을 침전시키도록 한 후에 스크린벨트에 의하여 고체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이 정화된 정화수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축사의 폐수나 가정용 오폐수가 저장되는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면, 유량계를 통하여 오폐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양을 파악하여 스크린 및 집수조의 처리 능력에 맞게 오폐수의 양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유량계를 통과한 오폐수는 센서에 의하여 BOD를 측정하게 되고, 그 오폐수의 BOD가 15000ppm 이상을 나타내게 되면 스크린벨트로 오폐수를 보내고, 오폐수의 BOD를 측정했을 때 15000ppm 미만을 나타내게 되면 화학처리실로 오폐수를 보내게 된다.
이때, BOD가 15000ppm 이상을 나타내게 되어 스크린벨트로 보내진 오폐수는 조목으로 된 스크린과 세목으로 된 스크린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 내부에 혼합된 고체성분이 스크린의 망에 걸러지게 되고, 스크린의 망을 통과한 액체와 미세한 고체만이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스크린에 걸러진 고체는 비료처리장으로 보내지게 되어 비료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비료로 사용할 수 없는 고체인 경우에는 소각장이나 매몰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을 통과한 오폐수는 집수조를 거치게 된다. 이때, 집수조는 집수조A와 집수조B로 두단계로 구성하였지만 반드시 두단계로 한정한 것은 아니고, 한단계에서 다섯 개의 집수조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크린을 통과한 오폐수의 BOD가 높은 경우 집수조의 숫자를 늘려 구성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BOD가 낮은 경우 집수조를 한 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오폐수가 집수조를 통과하게 되면 오폐수 내부의 고체들을 바닥에 침전시키게 되어 오폐수의 BOD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집수조를 통과하여 1차로 정화된 정화수는 화학처리실로 이송된다.
집수조를 통과한 정화수나 상태분류에서 바로 이송된 오폐수는 본 발명의 특징인 화학처리실로 보내지게 된다. 화학처리실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학약품을 오폐수에 첨가하여 용존 및 현탁 고형물의 물리적 상태를 변형시켜서 침강 제거하기 쉽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처리실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처리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관(11)으로 오폐수를 이동시키게 되면 약품투입구(12)와 유니언조인트(11a)를 통과하여 화학처리실(10)의 교반실(13)로 오폐수가 이동하게 된다. 교반실(13)의 내측에는 컨베이어벨트(14)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15)이 교반날개(16)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화학약품과 오폐수 내의 현탁고형물이 반응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회전축(15)의 하부와 상부에는 베어링(17)을 구성하여 회전축(15)의 회전이 원활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교반실(13) 내에서 화학약품과 현탁 고형물이 반응하게 되면 유니언조인트(11a)와 배출관(18)을 통하여 오폐수가 화학처리실(10)의 외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교반실(13) 내에서 현탁고형물등의 쌓이게 되면 교반실(13)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 드레인관(19)을 별도로 교반실(13)의 하측에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관(18)에는 굴곡부(18a)를 통과하여 다른 화학처리실(20)로 이송된다. 따라서, 굴곡부(18a)를 지나게 되는 정화수는 물을 더욱 잘 섞게 되고, 상기의 굴곡부(18a)에 의하여 좁은 공간에 다수개의 화학처리실(18a)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도면에서는 5개의 화학처리실(10)이 유니언조인트(18a)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각각의 유니언조인트(18a)를 서로 연결하여 중간의 화학처리실(10)은 연결하지 않고 다른 유니언조인트(18a)와 연결하도록 하여, 중간의 화학처리실(18a)을 생략하거나, 다른 화학처리실(18a)을 부가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화학약품과 오폐수의 반응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학약품은 크게 나누어보면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로는 황산알루미늄, 석회, 황산제1철, 황산제2철, 염화제2철 및 응집보조제등이 있다. 각각의 반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황산알루미늄은
Al2(SO4)3·14H2O + 3Ca(HCO3)2→ 2Al(OH)3+ 3CaSO4+ 14H2O + 6CO2
이고, 황산제1철과 황산제2철은
2FeSO47H2O + 2Ca(OH)2+ 1/202→ 2Fe(OH)3+ 3CaSO4+ 13H2O
Fe(SO4)3+ 3Ca(HCO3)2→ 2Fe(OH)3+ 3CaSO4+ 6CO2
이며, 염화제2철은
2FeCl3+ 3Ca(HCO3)2→ 2Fe(OH)3+ 3CaSO4+ 6CO2
이고, 석회는
Ca(OH)2+ 3Ca(HCO3)2→ 2CaCO3+ 2H2O
이며, 응집보조제는 고분자 전해질이나 벤토나이트(bentonite)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화학약품이 오폐수와 반응하게 되지만 그 반응은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부수적 반응도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의 반응만이 발생되는 것은 아니고, 반응의 일예를 기술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화학약품과 오폐수가 반응하게 되면 전기적 중화가 발생되어 응집이 일어나게 되고, 음전하를 띄는 콜로이드의 표면에 양전하를 띈 금속수산물이 흡착하여 이중층의 제타전위가 감소되어 응집시키도록 하고, 콜로이드 입자 표면의 활성기들을 가교반응시키며, 소포제를 첨가하여 폐수 자체의 가스성분 및 약품첨가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시키게 된다.
상기의 화학처리실은 약품탱크로부터의 약품공급이 중단되거나, 원수의 유입이 중단되거나 컨베이어벨트가 가동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즉시 가동을 중단하고, 정상상태로 환원한 후에 다시 가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화학처리실(10)에서 처리되면 스크린벨트로 보내지게 된다. 스크린벨트로 이송된 정화수는 응집된 고체는 체거름을 통하여 탈수 처리되고, 그 탈수처리된 고형물은 슬러지이송장치에 의해서 비료처리장과 집수조로 보내게 되며, 액체일 경우 처리수탱크로 이송되도록 하고, 처리수탱크에서는 정화된 물의 상태를 분류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분류에서 정화수가 BOD를 기준으로 5000ppm 이상일 경우 통상의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BOD를 기준으로 5000ppm 미만일 경우 바로 전기처리실로 이송하게 된다.
즉, BOD를 기준으로 5000ppm 이상일 경우에는 정화된 물을 더욱 정화시키기 위하여 폭기조로 이동시키게 되고, 폭기조로 이동된 정화수는 미생물에 의하여 정화된다. 이때, 30%는 미생물의 생존을 위하여 다시 유량조로 환원시키게 된다.
폭기조와 침전조 및 유량조를 통하여 정화된 정화수는 전기처리실로 이동하게 된다.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전기전도촉진제인 약품을 투입하고, 교반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여 정화수 내의 중금속과 유기물을 침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전기처리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다수의 전기처리실을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화수가 이동되도록 구성한 이송관(21)에 의하여 정화수가 이송되면 이송관(21)의 소정부위에 구성된 약품투입구(25)에서 약품인 전기전도촉진제(NaCl등)를 투입하게 되고, 약품이 투입된 정화수는 전기처리실(20)로 이송된다. 전기처리실(20)로 이송된 정화수는 소정의 과정을 거쳐 다시 이송관(21)으로 배출된다. 전기처리실(20)의 상부에는 회전축(27)에 동력을 전달하는 컨베이어벨트(24)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처리실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전기처리실의 전극판을 주요부로 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정화수가 이송되는 이송관(21)에 의하여 전기처리실(20)로 정화수가 이송되면 전기처리실(20)의 내측에 구성된 전극판(31)에 전기가 통하게 된다. 즉, 전원공급선(32)에 의하여 전극판(31)에 전기가 통하게 되면 전극판연결선(33)에 의하여 다른 전극판에도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극판(31)은 +극과 -극을 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전극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전극판(31)에 전기가 통하게 되면 정화시키고자 하는 물에 전기가 통하게 된다. 또한, 전기전도촉진제에 의하여 정화시키고자 하는 물에 전기가 더욱 잘 통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물 속에 남아있는 중금속이나 유기물 및 이온등이 전극판에 석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기처리실(20) 내의 전극판(31)인 양극과 음극에 전류를 공급하게 될 때, 전극판(31)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고(음극판에만 석출물이 흡착됨), 처리효율의 극대화 및 경제적 극판 교체를 위하여 수십분 내지 수시간(오폐수의 농도에 따라서 시간 간격이 달라짐)의 간격으로 +극과 -극의 극성을 변환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전기처리실(20)의 상측에 구성한 회전축(27)에 컨베이어벨트(24)의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회전축(27)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축(27)의 소정부위에 구비된 회전판(28)과 회전날개(29)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28)은 좌우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전극판(31)에 석출된 석출물을 전극판(31)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회전날개(29)는 상기의 석출물이 가라않지 않도록 상측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생기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측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다른 이송관(21)에 의하여 정화수가 이송될 때 석출물도 함께 이송되도록 한 것이다. 드레인관(30)은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거나 전기처리실(20)을 청소하기 위하여 물을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전극판(31)은 전극액에 대한 내식성이 있어야 하며, 전도도가 크고, 기계적강도가 크고 가공이 용이하며, 석출이 용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Fe나 Al로 구성된 전극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전극판이 반드시 Fe나 Al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처리실을 통과한 정화수는 스크린벨트에 의하여 석출물과 정화된 물로 분리하도록 하여, 석출물은 탈수처리하여 비료처리장으로 이송시키고, 물은 처리수탱크로 이송시키게 된다. 처리수탱크로 이송된 정화수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정화된 물은 BOD가 수십ppm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의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물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처리실과 화학처리실을 오폐수처리장치에 모두 설치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전기처리실 또는 화학처리실만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전기처리실과 화학처리실을 별도로 구성한 것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전기처리실과 화학처리실을 함께 구성한 후에 화학약품을 처리할 때에는 전기를 통하지 않도록 하여 화학처리실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전기처리실의 역할을 하고자 할 때에는 전극판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전기처리실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기처리실을 폭기조 다음에 구성한 것을 일실시예로 구성하였지만, 폭기조의 미생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화학처리실과 폭기조의 중간에 전기처리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처리실과 화학처리실을 한 개의 처리실에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로는 처리할 수 없었던 중금속을 처리하도록 하여 정화수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폭기조의 미생물이 보다 효율 높게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게 되고, 오폐수 내의 이온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상태가 BOD를 기준으로 15000ppm 이상일 경우 스크린벨트로 보내고, BOD가 15000ppm 미만일 경우에는 화학처리실로 보내는 단계와, 스크린벨트로 보내진 오폐수는 조목과 세목으로 된 스크린을 통과한 후에 집수조를 거쳐 화학처리실로 보내는 단계와, 스크린에서 걸러진 고체협잡물은 비료처리장으로 보내는 단계와, 화학처리실로 보내진 오폐수는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의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정화된 후 스크린벨트로 보내지는 단계와, 스크린벨트로 이송된 정화수는 고체일 경우 탈수처리하여 슬러지이송장치에 의해서 비료처리장과 집수조로 보내도록 하고, 액체일 경우 처리수탱크에서 상태를 분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상태분류에서 정화수가 BOD를 기준으로 5000ppm 이상일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BOD를 기준으로 5000ppm 미만일 경우 바로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는 단계와,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약품이 투입되고, 교반기가 가동된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여 정화수 내의 중금속과 유기물을 침전시키는 단계와, 전기처리실을 통과한 정화수는 스크린벨트에 의하여 고체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하여, 고체는 탈수처리하여 비료처리장으로 이송되고, 액체는 처리수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단계와, 처리수탱크로 이송된 정화수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하는 단계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방법.
  2.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오폐수의 상태가 BOD를 기준으로 15000ppm 이상일 경우 스크린과 집수조를 거쳐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고, BOD가 15000ppm 미만일 경우에는 화학처리실로 보내도록 하며, 화학처리실로 보내진 오폐수는 pH조절제와 응집제 및 소포제 등의 화학약품과 교반기에 의하여 정화된 후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배출관으로 배출된 오폐수는 굴곡부에 의하여 혼합되어 다른 화학처리실로 이송되며, 다수의 화학처리실을 통과한 정화수가 스크린벨트로 보내지도록 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류하도록 하고, 상기에서 분류된 정화수가 BOD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3. 저류조를 통하여 유량계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상태가 BOD를 기준으로 15000ppm 이상일 경우 스크린과 집수조를 거쳐 집수조로 보내도록 하고, BOD가 15000ppm 미만일 경우에는 집수조로 보내도록 하며, 집수조로 보내진 오폐수를 고체와 액체로 분류하도록 하고, 상기에서 분류된 정화수가 BOD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유량조와 다수의 폭기조를 통하여 정화한 후 전기처리실로 이송하도록 하고, 전기처리실로 이송된 정화수는 약품 투입과 교반기의 가동 상태에서 극판에 전기를 공급하며, 그 극판에 중금속과 유기물이 결합하여 고체화되도록 하고, 극판의 극성을 소정시간 경과 후에 변화시켜 주도록 하며, 고체화된 고형물을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극판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극판에서 이탈된 중금속과 유기물을 회전날개에 의하여 정화수 내에 섞이도록 한 후에 이송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송관으로 배출된 정화수는 스크린벨트로 고체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하고, 액체는 유량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KR1019970061469A 1997-11-20 1997-11-20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KR10023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469A KR100238636B1 (ko) 1997-11-20 1997-11-20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469A KR100238636B1 (ko) 1997-11-20 1997-11-20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949A KR19990040949A (ko) 1999-06-15
KR100238636B1 true KR100238636B1 (ko) 2000-01-15

Family

ID=1952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469A KR100238636B1 (ko) 1997-11-20 1997-11-20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57B1 (ko) * 1999-04-22 2002-02-02 김효근 전기동력에 의한 슬러지에서 유해 중금속 제거방법
KR100793986B1 (ko) * 2007-05-15 2008-01-16 동원엔지니어링(주) 이온화응집제를 이용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949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Qodah et al. On the performance of electrocoagulation-assisted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a review on the state of the art
US8845906B2 (en) Process for single system electrocoagulation, magnetic, cavitation and flocculation (EMC/F)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CN102786183B (zh) 垃圾渗滤液的处理方法
US20080035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N102786182B (zh) 垃圾渗滤液的处理装置
KR101162808B1 (ko) 수질정화용 에코반응조
KR20160106333A (ko) 고농도 유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방법.
CN113003846B (zh) 高含盐量和高cod的污水的零排放处理工艺和系统
CN209957618U (zh) 医药综合废水处理系统
KR100957851B1 (ko) 응집제 투입시기에 따른 수처리방법
CN208071546U (zh) 一种化工废水处理达标排放系统
Abdel-Fatah et al. Integrated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using advanced electro-membrane filtration system
Ranjit et al.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Akhter et al.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electrocoagulation method from industrial wastewater: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 methods and key operational parameters—a comparative study review
JP2001054792A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KR101167488B1 (ko) 하폐수의 인 및 질소 동시 제거 시스템
CN202610073U (zh) 垃圾渗滤液的处理装置
CN117023919A (zh) 一种气田采出水多级处理系统及工艺
CN107176729A (zh) 一种aec电絮凝废水处理工艺
KR101035942B1 (ko) 축산분뇨의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CN113003845A (zh) 高硫酸盐含量和高cod的污水的零排放处理工艺和系统
RU2207987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ренажных вод полигонов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KR100238636B1 (ko) 오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CN109761446A (zh) 一种危废处置中心综合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JP2006224064A (ja) 排水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