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617B1 -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617B1
KR100237617B1 KR1019970027509A KR19970027509A KR100237617B1 KR 100237617 B1 KR100237617 B1 KR 100237617B1 KR 1019970027509 A KR1019970027509 A KR 1019970027509A KR 19970027509 A KR19970027509 A KR 19970027509A KR 100237617 B1 KR100237617 B1 KR 10023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guide
floo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03612A (en
Inventor
왕광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2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617B1/en
Publication of KR1999000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Other aspects of the evaluation method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주상복합건물, 백화점 등과 같은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의 위치 정보를 승강기 안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승강기 안내장치에 취부된 층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층을 입력하면 원하는 목적층에 서비스 가능한 승강기의 그룹을 표시하고, 자신의 위치에서 상대적 거리와 해당 승강기 그룹의 혼잡상태를 제시하는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 department store, etc., by using a floor button mounted on the elevator guide device. When input, it displays a group of elevators that can be serviced to a desired destination, and presents a relative distance from its location and a conges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group.

이를 위해 승강기 제어반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 안내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기 안내장치는 사용자들의 층 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와 승강기안내 메인장치로 부터 수신된 승강기들의 상태를 저장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o this end,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means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its status to the elevator guide device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elevator guide device receiving from the input device and the elevator guide main device to receive the user's floor buttons. And a device for storing the state of the lifts.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승강기 안내장치는 사용자들이 분비지않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비스 가능한 승강기 그룹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들이 승강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elevator guide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users to easily move to a serviceable elevator group in close proximity without being secreted to support users to use the elevator within a short time.

따라서, 사용자 측면에서는 승강기를 찾기위해 소요되는 시간, 사용자들이 집중되어 장시간 대기하는 문제, 임의의 층에 도착했을 때 해당 승강기가 사용자가 원하는 층을 서비스하지 않는 등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된다.Therefore, the user does not have to suffer from the time required to find the elevator, the problem that the users are concentrated and waiting for a long time, the elevator does not service the floor desired by the user when arriving at a certain floor.

Description

승강기의 안내장치{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Elevator guide device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대형 주상복합건물, 백화점 등과 같은 건물내에 설치된 승강기(엘리베이터)의 위치 정보를 승강기 안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곳곳에 승강기 안내장치를 설치하여 승강기의 설치 위치를 표시함과 아울러, 각 승강기의 혼잡도 등을 표시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승강기의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eleva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such as a large residential complex, department store, and the like through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particular by installing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various places of th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guide device adapted to display the position and to display the congestion degree of each elev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승강기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승강기의 배치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승강기 안내정보 인식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로서 이들을 참조하여 종래의 승강기 안내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layout view of a lift for explaining a lift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lift guide information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각 사용자(1A~1C)들이 승강기의 위치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 안내데스크(3A)를 이용하거나 건물의 곳곳에 설치된 표지판을 참조하는 이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If each user (1A ~ 1C) wants to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there was no way other than using the information desk (3A) or refer to the signs installed throughout the building.

다시말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1A~1C)들이 건물에 도착하여(SA1), 다수의 승강기 그룹(2A~2D) 중에서 임의의 승강기 그룹을 찾아가는 방법에는 직접 찾는 방법(SA2), 안내 데스크(3A)나 주변 사람들에게 문의하는 방법(SA3), 안내판을 참조하는 방법(SA4)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승강기 그룹(2A~2D)이란 각각의 그룹에 여러대의 승강기가 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the users 1A to 1C arrive at the building (SA1), and the direct search method (SA2), a guide desk, and a method for searching for any elevator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 groups 2A to 2D are provided. (3A), how to inquire around people (SA3), and how to refer to the information board (SA4). Here, the elevator groups 2A to 2D mean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each group.

이렇게 하여 승강기 그룹을 찾은 후 해당 승강기가 원하는 층의 서비스가 가능한지 판단하여(SA5), 원하는 층에 서비스가 가능하면 해당 승강기에 탑승하게 되나(SA6), 서비스가 불가능하면 상기와 같은 승강기 탐색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원하는 층에 도착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SA7)In this way, after finding the elevator grou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levator is capable of serving the desired floor (SA5), and if the service is available on the desired floor, the passenger will board the elevator (SA6). It will be done repeatedly. Through this process, they arrive at the desired floor and perform their work (SA7).

상기 도 1과 같은 건물의 배치도에서 사용자(1B)를 예로하여 승강기의 이용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layout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1, the user 1B is taken as an example to describe a process of using the elevator in detail.

가정1 : 사용자(1B)는 8층에 가고자 한다.Assumption 1: User 1B wants to go to the eighth floor.

가정2 : 제1승강기 그룹(2A)은 사용자(1B)로 부터 50M 거리에 있으며, 30%의 혼잡도를 나타내고, 서비스 가능한 층은 1~8층이다.Assumption 2: The first elevator group 2A is 50M away from the user 1B, exhibits 30% congestion, and the serviceable floors are 1-8 floors.

제2승강기 그룹(2B)은 사용자(1B)로 부터 80M 거리에 있으며, 5%의 혼잡도를 나타내고, 서비스 가능한 층은 1~16층이다.The second elevator group 2B is 80M away from the user 1B, exhibits 5% congestion, and the serviceable floors are 1-16 floors.

제3승강기 그룹(2C)은 사용자(1B)로 부터 80M 거리에 있으며, 10%의 혼잡도를 나타내고, 서비스 가능한 층은 1층, 17~24층이다.The third elevator group 2C is located at a distance of 80M from the user 1B, exhibits 10% congestion, and the serviceable floors are the first floor and the 17-24 floors.

제4승강기 그룹(2D)은 사용자(1B)로 부터 30M 거리에 있으며, 10%의 혼잡도를 나타내고, 서비스 가능한 층은 1층 25~32층이다.The fourth elevator group 2D is located at a distance of 30M from the user 1B, and has a congestion of 10%, and the serviceable floors are the first floor 25 to 32 floors.

결과1 : 사용자(1B)가 제1승강기 그룹(2A)으로 이동하는 경우, 서비스는 가능하나, 복잡하므로 승강기를 상당히 오랫동안 기다려야 한다.Result 1: When the user 1B moves to the first elevator group 2A, the service is possible, but it is complicated, so the elevator must wait for a long time.

결과2 : 사용자(1B)가 제2승강기 그룹(2B)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거리는 다소 멀지만 서비스가 가능하고 혼잡도가 매우 낮다.Result 2: When the user 1B moves to the second elevator group 2B, the moving distance is somewhat longer, but the service is possible and the degree of congestion is very low.

결과3 : 사용자(1B)가 제3승강기 그룹(2C)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거리도 멀고 서비스도 불가능하므로 다른 승강기 그룹으로 이동하여야 한다.Result 3: If the user 1B moves to the third elevator group 2C, the user 1B must move to another elevator group because the moving distance is too long and service is not possible.

결과4 : 사용자(1B)가 제4승강기 그룹(2D)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거리는 가까우나 서비스가 불가능하므로 다른 승강기로 이동하여야 한다.Result 4: If the user 1B moves to the fourth elevator group 2D, the moving distance is close, but the service is not available, so the user 1B must move to another elevator.

결론 : 상기의 도출과정에서 사용자가 승강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1승강기 그룹(2A)이나 제2승강기 그룹(2B)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혼잡한 승강기를 피하고자하는 경우 그 중에서 제2승강기 그룹(2B)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사용자(1A~1D)가 승강기 그룹(2A~2D)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혼선을 겪는 이유는 안내데스크(3A)에 문의하거나, 주변 사람에게 묻는 등의 어떤 경우에도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승강기가 서비스 가능한 층이나 승강기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CONCLUSION: In the above derivation process, the user must move to the first elevator group 2A or the second elevator group 2B in order to use the elevator, and in order to avoid congested elevators, the second elevator group ( Move to 2B). The reason why users 1A to 1D are confused when selecting elevator groups 2A to 2D is because the elevator can be serviced at its current location in any case, such as contacting the information desk 3A or asking a neighbor. This is because information about the congestion level of the floor or the elevator is not known.

특히, 복잡한 건물에서는 승강기의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승강기 그룹(2A~2D)의 서비스 가능한 층을 시간대별로 혹은 관리자가 임의로 변경하기 때문에 상기에서 제시한 안내데스크(3A)에서나 주변 사람들이 승강기 운행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알기는 어렵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은 자신에게서 가장 가까운 승강기를 이용하고 싶어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의 승강기에 사용자(1A~1D)들이 집중되어 건물에 설치된 승강기들의 운행성능이 저하되는 주요원인이 된다.Particularly, in a complex building, the service floors of elevator groups 2A to 2D can be changed at any time or by an administrator to improve the service efficiency of the elevato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users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want to use the elevator closest to them, the users (1A ~ 1D) a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elevator,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elevators installed in the building.

즉, 어떤 승강기는 이용자가 적어 승강기를 기다리는 시간이 짧고, 어떤 승강기는 이용자가 집중되어 승강기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상기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은 건물의 복잡화, 대형화될수록 심각해지며, 오늘날의 건물추세와 비교해볼 때 상기에서 제기된 문제들은 머지않은 장래에 대부분 대형건물에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In other words, some elevators have fewer users, so the waiting time for the elevator is short, and some elevators have a longer time for the elevator to be concentrated. The problems raised above become more serious as buildings become more complex and larger, and compared with today's building trends, the problems raised above are expected to occur in large buildings in the near future.

이와 같이 종래의 승강기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승강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안내원에게 문의하거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안내판을 참조하여 승강기를 찾아가게 되므로 그에 따른 불편함이 있을 뿐더러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정확한 안내정보를 얻기가 용이하지 않아 원하는 층을 서비스하지 않는 승강기를 찾아가는 등의 착오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더욱 더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입구에 가까운 승강기는 혼잡한 반면 출입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승강기는 한산하게 되어 이용객의 집중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시스템 전체적으로 볼 때 운행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when using a conventional elevator guide device, the user may contact the guid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to be used, or go to the elevator by referring to the guide plate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which is inconvenien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obtain accurate guide information through a route, such as a visit to an elevator that does not serve a desired floor, and thus suffers even more inconvenience. In addition, while the elevator close to the doorway is crowded, the elevator farther away from the doorway becomes more busy, which results in a concentration of user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efficiency is lowered as a whol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승강기 안내장치에 취부된 층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층을 입력하면 그 목적층에 서비스 가능한 승강기의 그룹을 표시하고, 자신의 위치에서 상대적 거리와 해당 승강기 그룹의 혼잡상태를 제시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group of elevators that can be serviced on the target floor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red target floor using the floor button mounted on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and the relative distance and the corresponding distance from his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guide device for presenting a congestion state of an elevator group.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승강기 및 안내 데스크 배치도.1 is a layout of the elevator and the information des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승강기 이용 안내 신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usage guide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의 안내장치의 전체 블록도.Figure 3 is an entire block diagram of the guid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각 안내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each guide device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및 안내데스크 배치도.Figure 5 is a lift and guide desk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램 상의 승강기그룹의 위치저장용 테이블의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of a table for storing positions of a lift group on the ram of FIG.

도 7은 도 3의 각 승강기그룹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포맷도.FIG. 7 is a format diagram of information output from each elevator group of FIG. 3. FIG.

도 8은 도 4에서 승강기안내 표시부의 안내화면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uide screen of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in FIG.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이용 신호 흐름도.9 is a flowchart of a lift using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서 승강기 정보 조회에 대한 상세 신호 흐름도.FIG. 10 is a detailed signal flowchart of the elevator information inquiry in FIG. 9; FIG.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정보 응답 신호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information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데이터 수신 신호 흐름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data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행상태 데이터 베이스의 일실시 예를 보인 포맷도.Figure 13 is a forma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iving state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승강기 안내 메인장치에서 안내장치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도.14 is a format diagram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guide main unit to the guide apparatus si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A~1D : 사용자 2A~2D : 승강기 그룹1A ~ 1D: User 2A ~ 2D: Elevator Group

3A : 안내 데스크 3B : 휴식공간3A: Information Desk 3B: Rest Area

4A~4H : 상가 그룹 11 : 중앙처리장치4A ~ 4H: Shopping mall group 11: Central processing unit

12 ; 롬 13 : 램12; Romans 13: RAM

14 : 통신 제어부 15 : 통신 버퍼14: communication control unit 15: communication buffer

16 : 이미지 버퍼 17 : 출력 제어부16: image buffer 17: output control unit

18 : 승강기 안내 표시부 18A~18G : 승강기 안내 표시기18: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A to 18G: Elevator guide display

19 : 키이 입력부 20 : 입력 제어부19: key input unit 20: input control unit

21 : 입력 버퍼21: input buff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안내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승강기 그룹의 설치위치 및 운행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승강기의 각 안내장치(33A-33N)를 총괄 제어하는 승강기 안내 메인장치(31)와; 각 승강기의 혼잡정보와 서비스가능층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승강지 안내 메인장치(31)측으로 전송하는 각각의 승강기 그룹(32A-32N)와; 상기 승강기 안내 메인장치(31)로부터 입력되는 각 승강기의 운행상태와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각각의 안내장치(33A-33N)으로 구성하였다.Figure 3 is an overal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vator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each guide device (33A-33N) of the elevator to display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operating state of each elevator group Elevator guide main device 31 for controlling the overall; Respective elevator groups 32A-32N which periodically transmit congestion information and serviceable floor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to the elevation guide main unit 31; Each guide device 33A-33N is configured to periodically update the driving stat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inputted from the elevator guide main device 31 and inform the user.

도 4는 상기 도 3에서 각 안내장치(33A-33N)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롬(예:EEPROM)(12)에 저장된 승강기 그룹의 위치, 거리 등의 고정정보를 읽어들여 램(13)에 유지되는 승강기 정보테이블을 초기화하고, 그 롬(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안내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상기 승강기 안내 메인장치(31)의 통신관리부(31C)를 통해 각 승강기의 혼잡도와 서비스 가능층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제어부(14)와; 상기 승강기 정보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제어부(14)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1)측으로 전달하는 통신버퍼(1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1)의 제어하에 승강기 안내표시부(18)에 출력될 화면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버퍼(16)와; 상기 이미지 버퍼(16)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승강기 안내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제어부(17)와; 사용자에 의해 키이입력부(19)상에서 선택되는 입력키이코드를 해석하여 저장하는 입력 제어부(20)와; 상기 입력 제어부(20)에 저장된 입력키이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1)측으로 전달하는 입력버퍼(21)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ure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each guide device 33A-33N in Figure 3, as shown in this, the position, distance, etc. of the elevator group stored in the ROM (eg, EEPROM) 12 A central processing unit (11) which reads the fixed information of and initializes the elevator information table held in the RAM (13), and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ROM (12);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4 receiving congestion and serviceable floor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unit 31C of the elevator guide main unit 31; A communication buffer 15 for transmitt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4 to the CPU 11 so as to update the elevator information table; An image buffer 16 for storing screen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An output control unit 17 for displaying the screen information stored in the image buffer 16 on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An input control unit 20 for analyzing and storing an input key code selected on the key input unit 19 by the user; It consists of an input buffer 21 for transferring the input key code stored in the input control unit 20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sid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14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승강기의 위치정보 및 혼합정보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3, how the overall location information and mixed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re process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다수의 승강기 그룹(32A~32N)들은 주기적으로 각 승강기의 혼잡정보와 서비스 가능층 정보를 도 7과 같은 포맷으로 가공한 후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의 통신관리부(31C)를 통해 운행상태 데이터베이스(31A)측으로 전송하고, 이 운행상태 데이터베이스(31A)는 도 13과 같은 양식으로 유지된다. 안내정보 생성부(31B)는 상기 운행상태 데이터베이스(31A)에 저장된 데이터를 도 14와 같은 구조로 변경한 다음 상기 통신 관리부(31C)를 통해 건물내에 설치된 각각의 안내장치(33A-33N)측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 각각의 안내장치(33A-33N)는 도 4와 같은 내부 구성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elevator groups 32A to 32N periodically process congestion information and serviceable floor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in the format as shown in FIG. 7, and then operate the database through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unit 31C of the elevator guide main device 31. It transmits to the 31A side, and this running state database 31A is maintain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1B changes the data stored in the driving state database 31A into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4 and then transmits the data to the respective guide devices 33A-33N installed in the build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manager 31C. Each of the guide devices 33A-33N has an internal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도 14와 같은 데이터가 각각의 안내장치(33A-33N)에서 통신제어부(14)를 통해 통신버퍼(15)에 저장된다. 이 통신버퍼(15)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읽혀져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데이터들에 의해 도 6의 구조로된 승강기 정보 테이블이 갱신되고, 이때, 각 레코드의 위치는 송신데이터 중 승강기 그룹 ID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도 6의 승강기 그룹 정보 테이블은 건물내에 설치된 각 안내장치(33A-33N)의 램(13) 상에 존재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data as shown in FIG. 14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buffer 15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4 in each guide device 33A-33N. The data stored in the communication buffer 15 are read and sepa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and the elevator information tabl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is updated by the separated data so that the position of each record is transmitted data. It is determined by the elevator group ID. The elevator group information table of FIG. 6 resides on the ram 13 of each guide device 33A-33N installed in the building.

상기 테이블에서 화면상의 위치정보와 이동거리는 승강기가 설치된 후 변화되지 않는 고정정보이므로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12)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읽어들이고, 혼잡도와 서비스 가능층 정보는 상기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이는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된다.Since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moving distance on the screen in the table are fixed information which does not change after the elevator is installed, it is stored in the ROM 12 which is a nonvolatile memory and read when necessary, and the congestion and serviceable floor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elevator guide main device ( Information received from 31 is periodically upd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도 8의 건물 평면도(7A)에 디스플레이되는 건물의 평면도 화상은 스캐너와 같은 영상 입력장치(34)를 통해 스캐닝되어 롬(12)에 저장된 것이고, 이는 안내장치의 화면 출력시 램(13)에 저장된 운행상태 정보와 조합되어 출력된다.The floor plan image of the building displayed on the building floor plan 7A of FIG. 8 is scanned by an image input device 34 such as a scanner and stored in the ROM 12, which is stored in the RAM 13 when the screen of the guide device is displayed. It is output in combination with driving status information.

한편, 상기 각 안내장치(33A-33N)의 작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guide devices 33A-33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중앙처리장치(11)는 롬(12)에 저장된 승강기 그룹의 위치, 거리 등의 고정정보를 읽어들여 램(13)에 유지되는 도 6과 같은 승강기 정보테이블을 초기화하고, 그 롬(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해당 제어기능을 수행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reads the fixed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elevator group stored in the ROM 12, initializes the elevator information table as shown in FIG. 6 held in the RAM 13,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ROM 12. Read the stored program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control function.

통신 제어부(14)는 상기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로부터 각 승강기의 운행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는 통신버퍼(15)를 통해 그 통신 제어부(14)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승강기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4 receives and stores driving data of each elevator from the elevator guide main unit 31,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stores data stor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4 through the communication buffer 15. It reads periodically and updates elevator information table.

이미지 버퍼(16)는 승강기 안내표시부(18)에 출력될 정보를 저장하며, 출력 제어부(17)는 그 이미지 버퍼(16)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그 승강기 안내표시부(18)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mage buffer 16 stores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and the output control unit 17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screen information stored in the image buffer 16 to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do.

사용자가 승강기 안내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키이입력부(19)상에서 입력키이를 누르면, 입력 제어부(20)에서 해당 키이코드를 해석하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키이값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키이값은 입력버퍼(21)에 저장된다.When the user presses an input key on the key input unit 19 to retrieve the elevator guide information, the input control unit 20 interprets the corresponding key code and converts it into a key value used in the system, and the converted key value is input buffer. Stored at 21.

상기 중앙처리장치(11)는 그 입력버퍼(21)에 저장된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이를 근거로 사용자가 임의의 층에 대한 승강기 안내정보를 요구하였는지 판정하게 된다.The CPU 11 periodically reads the value stored in the input buffer 21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requested the elevator guide information for a certain floor based on this.

참고로, 각 승강기 안내표시부(18)에 소속된 각각의 승강기 안내표시기(18A~ 18E),(18F,18G)는 도 5에서와 같이, 이용에 편리함을 주기 위하여 건물의 중앙 통로부위 즉, 각 상가그룹(4A,4C,4D,4E,4F)의 중앙 통로부위와 휴식공간(3B)에 설치하였다.For reference, the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E, 18F, and 18G belonging to each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as shown in FIG. It was installed in the central passage of the mall group (4A, 4C, 4D, 4E, 4F) and the rest space (3B).

또한, 상기 램(13)에 유지되는 승강기 안내장치용 정보 테이블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각 승강기 그룹(2A~2D)의 화면상의 위치, 각 승강기 그룹(2A~2D)까지의 이동거리, 각 승강기 그룹(2A~2D)의 혼잡도, 각 승강기 그룹(2A~2D)의 서비스 가능층 정보가 유지된다. 여기서, 화면상의 위치는 각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의 화면에서의 좌표로 왼쪽, 아래쪽 모서리를 (0,0)으로 하여 설정된다. 즉, 도 5에서의 제1승강기 그룹(2A)은 X축으로 200 위치, Y축으로 100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able for the elevator guide device held in the ram 13, as shown in Figure 6, the position on the screen of each elevator group (2A-2D), the moving distance to each elevator group (2A-2D), each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elevator groups 2A to 2D and the serviceable floor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group 2A to 2D are maintained. Here, the position on the screen is set with coordinates on the screen of each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G, with the left and bottom corners being (0,0). That is, it means that the first elevator group 2A in FIG. 5 is located at 200 on the X axis and 100 at the Y axis.

각 승강기 그룹(32A-32N)에서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측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도 7에서와 같이 승강기 그룹기의 그룹 ID(식별번호), 현재 승강기의 운행성능(혼잡도), 서비스 가능층 정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승강기의 그룹 ID는 데이터를 수신한 승강기 안내장치가 정보를 갱신할 때 승강기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혼잡도와 서비스 가능층은 도 6의 승강기 정보 테이블의 갱신을 위해 사용된다.The format of the data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groups 32A-32N to the elevator guide main unit 31 is the group I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vator group group, the driving performance (congestion degree) of the current elevator,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service floor information. Here, the group ID of the elevator is used to determine the group of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guide receiving the data updates the information, and the congestion and serviceable floor are used for updating the elevator information table of FIG.

상기 각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의 화면은 도 8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즉, 도 5와 같은 건물의 평면도 영역(7A), 터치형 키이입력부(19), 승강기 그룹의 운행상태 표시영역(7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건물의 평면도 영역(7A)에는 각 승강기 그룹(2A~2D)의 배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형 키이입력부(19)에는 사용자가 이동하기를 원하는 층의 버튼열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층 입력을 받아들이며, 승강기 그룹의 운행상태 표시영역(7B)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층에 대해 각 승강기 그룹(2A~2D)이 서비스 가능한지의 여부, 각 승강기 그룹(2A~2D)간의 이동거리, 각 승강기 그룹(2A~2D)의 혼잡도가 디스플레이된다.The screens of the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G have a format as shown in FIG. 8. That is, the planar area 7A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5, the touch key input unit 19, and the driving state display area 7B of the elevator group. Her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elevator group 2A to 2D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re displayed in the floor plan area 7A of the building, and the button type of the floor on which the user wants to move is installed in the touch key input unit 19. The floor input of the user is accepted, and the operation state display area 7B of the elevator group indicates whether the elevator groups 2A to 2D are serviceable for the floor input by the user, and moves between each elevator group 2A to 2D. The distance, the degree of congestion of each elevator group 2A-2D, is displayed.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건물내 각 층에 도 5와 같이 설치된 각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의 이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 a process of using the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G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below.

사용자가 건물내에 진입하면 다수의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 중에서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까운 승강기 안내 표시기를 찾고(물론,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안내판 참조, 안내 데스크 문의 등의 방법은 그대로 이용됨), 키이입력부(19)상에서 층키이를 누르면 도 10과 같은 정보출력 처리루틴에 의해 승강기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enters the building, find a lift guide indicator near the curren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G (of course, refer to the guide plate presented in the prior art, and the information desk inquiry method is used as it is). When the floor key is pressed on the input unit 19, the elevator information can be inquired by the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routine as shown in FIG.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11)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입력버퍼(21)를 통해 키이입력부(19)에서 층키이가 눌리는 것을 인식한 후 상기 도 6과 같이 유지되는 승강기 정보를 이용하여 도 8에 제시된 승강기 그룹의 운행상태 표시영역(7B)의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승강기 안내장치의 화면에 출력하고, 이를 조회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승강기 그룹을 선택한 후 건물의 평면도 영역(7A)에서 해당 승강기 그룹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승강기에 탑승하게 된다.That is, the CPU 11 uses the elevator information maintained as shown in FIG. 6 after recognizing that the floor key is pressed by the key input unit 19 through the input buffer 21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display area 7B of the elevator group shown in Fig. 8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Check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lift group and move to that location to board the lift.

상기 도 8에 제시된 건물의 평면도 영역(7A)에는 도 5와 같은 승강기 배치도가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고, 다수의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 중에서 현재 사용자가 사용중인 승강기 안내 표시기가 깜박거리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층키이를 누르는 경우 서비스 가능한 승강기 그룹이 깜박거리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The elevator layout shown in FIG. 5 is displayed as it is in the plan view area 7A of the building shown in FIG. 8, and the elevator guide indicator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G is displayed in a flickering form. The user can know his location, and when the floor key is pressed, the serviceable elevator group is displayed in a flickering form.

본 발명에서 제시한 승강기 안내장치(33A-33N)의 내부에 유지되는 도 6과 같은 승강기 정보 테이블은 도 11과 같은 승강기 정보 응답처리 투틴과 도 12와 같은 수신처리 루틴에 의해 갱신된다.The elevator information table shown in FIG. 6 maintained in the elevator guide devices 33A-33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pdated by the elevator information response processing tutin shown in FIG. 11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routine shown in FIG.

도 5의 승강기 배치도는 도 1의 종래 배치도에서 달리 다수의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1B)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8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levator arrangement diagram of FIG. 5 shows that a plurality of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 to 18G are installed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diagram of FIG. 1, and the user 1B uses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ighth floor. The process of moving is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사용자(1B)는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승강기 안내 표시기(18E)로 이동 할 것이고, 여기서 도 8과 같은 안내장치의 화면을 보고 키이 입력부(19)상의 8층 상승키이를 누를 것이다. 따라서, 승강기 안내장치의 중앙처리장치(11)는 상기 도 10에 제시된 과정을 통해 승강기 정보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도 8의 안내 화면상에서 승강기 그룹의 운행상태 표시영역(7B)에 디스플레이한다.The user 1B will move to the elevator guide indicator 18E closest to his position, where he will press the eighth floor rising key on the key input section 19 looking at the screen of the guidance devic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of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generates elevator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10 and displays the result in the driving state display area 7B of the elevator group on the guide screen of FIG. 8.

상기 승강기 그룹의 운행상태 표시영역(7B)의 각 정보는 승강기 안내장치(33A-33N)가 상기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로부터 수신된 운행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도 6과 같은 승강기 정보 테이블로 부터 추출된다.Each piece of information in the driving state display area 7B of the elevator group is generated by the elevator guide devices 33A-33N combin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vator guide main device 31 as shown in FIG. Extracted from

즉, 제1승강기 그룹(2A) 및 제2승강기 그룹(2B)은 8층에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서비스 가능"에 대해 "OK"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3승강기 그룹(2C) 및 제4승강기 그룹(2D)은 8층에 서비스가 불가능하므로 "NO"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서비스 가능한 층의 판정은 해당 비트의 값("0" 또는 "1")을 근거로 한다. 다시 말해서, 8층 상승운행인 경우 상승방향 서비스 가능층 정보의 8번째 비트가 "1"이면 서비스가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0"이면 불가능한 것을 의미한다.That is, since the first elevator group 2A and the second elevator group 2B can be serviced on the eighth floor, they output "OK" data for "service available", and the third elevator group 2C and the fourth elevator. Since the group 2D cannot be serviced on the eighth floor, the group 2D outputs " NO " data.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of the serviceable layer is based on the value ("0" or "1") of the corresponding bi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eighth floor ascending operation, if the eighth bit of the uplink serviceable layer information is "1", the service is available.

"혼잡도"는 상기의 경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거리"는 각 승강기 그룹(2A~2D)과 승강기 안내 표시기(18A~18G)의 거리가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롬(12)에서 읽어내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The "congestion degree" is displayed by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above path, and the "travel distance" is the ROM (since the distance between each elevator group 2A-2D and the elevator guide indicators 18A-18G is physically fixed). 12) and display it.

상기와 같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된 결과를 조회한 사용자(1B)는 상기 제1승강기 그룹(2A)이나 제2승강기 그룹(2B) 중에서 원하는 승강기 그룹을 선택할 것이다. 이때, 사용자(1B)는 이미 각 승강기 그룹(2A~2D)이 자신이 원하는 층을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한지, 얼마나 혼잡한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The user 1B who has outputted the above and displayed the displayed result will select the desired elevator group from the first elevator group 2A or the second elevator group 2B. At this time, since the user 1B already knows information about whether each elevator group 2A to 2D is capable of serving the floor desired by the user, and how crowded it is,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ior art do not occur.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에 다수의 승강기 안내 표시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승강기 안내장치에 취부된 층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층을 입력할 때 서비스 가능한 승강기의 그룹을 그 승강기 안내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자신의 위치에서 상대적 거리와 해당 승강기 그룹의 혼잡상태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elevator guide indicator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red target floor by using the floor buttons mounted on the elevator guide device, a group of elevators that can be serviced is provided. In addition to displaying on the elevator guide indicator, by displaying the relative distance from their position and the conges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lift group, not only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but also can improve the driving performance.

Claims (8)

복수대의 승강기가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되고, 이와 같은 그룹이 복수개 운영되는 승강기 장치에 있어서, 각 승강기 그룹의 혼잡정보와 서비스 가능층 정보를 전송하는 각각의 승강기 그룹(32A-32N)과; 상기 승강기 그룹(33A-33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소정의 테이블 형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소정의 전송 포맷으로 가공하여 각각의 안내장치(33A-33N)측으로 전송하는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와; 각 승강기의 운행상태와 위치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각 층상에 분산배치된 각각의 표시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임의의 층에 대한 승강기 안내정보 검색키이를 받아들이기 위한 키이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기안내 메인장치(3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를 갱신하여 현재 각 승강기의 운행상태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안내장치(33A-33N)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In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in an adjacent position and managed as a group,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uch groups are operated, each elevator group 32A- that transmits congestion information and serviceable floor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group. 32N); An elevator guiding main unit 31 which maintain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vator groups 33A-33N in a predetermined table form, processes it into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format, and transmits it to the respective guide units 33A-33N; A storage means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on the screen, and each display means distributed on each floor, and receives the elevator guide information search key for any floor selected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guide devices 33A-33N for upda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vator guide main device 31 to display the current driving statu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Elevator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저장수단은 승강기 그룹의 위치, 거리 등의 고정정보를 저장하는 롬(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2.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eans comprises a ROM (12) for storing fixed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distance, and the like of the elevator group. 제1항에 있어서, 저장수단은 각 승강기 그룹의 식별번호, 화면상의 위치 및 이동거리, 혼잡도, 서비스 가능층으로 된 승강기 정보테이블을 유지하는 램(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2. The eleva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eans comprises a ram (13) for holding an elevator information table of each elevator group identification number, on-screen position and moving distance, congestion degree, and serviceable floor. Guid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안내장치내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승강기 안내표시부(18)에 출력될 화면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버퍼(16)와; 상기 이미지 버퍼(16)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승강기 안내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buffer (16) for storing screen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under control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in the guide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unit (17) for displaying the screen information stored in the image buffer (16) on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제5항에 있어서, 승강기 안내표시부(18)는 각 층에 설치된 다수의 승강기 안내 표시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The guide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levator guide display unit (18) comprises a plurality of elevator guide indicators installed on each floor. 제1항에 있어서, 키이 입력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키이 입력부(19)상에서 선택되는 입력키이코드를 해석하여 저장하는 입력 제어부(20)와; 상기 입력 제어부(20)에 저장된 입력키이코드를 상기 제어수단측으로 전달하는 입력버퍼(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means comprises: an input control unit 20 for interpreting and storing an input key cod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key input unit 19; Elevator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put buffer 21 for transmitting the input key code stored in the input control unit 20 to the control means side. 제7항에 있어서, 키이 입력부(19)는 터치판넬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8.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key input unit (19) has a touch panel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키이 입력부(19)는 키이매트릭스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안내장치.8. The elevator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key input unit (19) has a key matrix structure.
KR1019970027509A 1997-06-26 1997-06-26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KR100237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509A KR100237617B1 (en) 1997-06-26 1997-06-26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509A KR100237617B1 (en) 1997-06-26 1997-06-26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12A KR19990003612A (en) 1999-01-15
KR100237617B1 true KR100237617B1 (en) 2000-01-15

Family

ID=1951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509A KR100237617B1 (en) 1997-06-26 1997-06-26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6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031B1 (en) * 2005-02-18 2007-10-0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Method and elevator system for managing elevator by using virtual elevator gro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12A (en)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408B2 (en) Remotely controlled elevator operating apparatus
KR101232020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US7162233B2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US62599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205244B1 (en) Elevator arrangement
AU764927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a transportation system
EP3011521B1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ispatching
JP4540348B2 (en) Elevator call automatic registration system
JP2008505037A (en) Programmable adjustable touch screen elevator call device
JPH09126804A (en) Route guide system
US20210245994A1 (en) Inexpensive Elevator Operat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With Destination Call Control
KR20180087230A (en) Elevator system
KR20080096729A (en) 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thereof
JP6508034B2 (en)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device and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JPH06321445A (en) Elevator
TW589856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sending/receiving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KR100237617B1 (en) Posi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
KR100556598B1 (en) System for intelligent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66997B1 (en) Taxi command system and command control method
JP2003132480A (e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JP2003132495A (en) Vehicle allocation system,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n-vehicle terminal and allocation management server
JP2007052651A (en) Vehicle allocation system, vehicle allocating method and vehicle allocation program
JP2002051372A (en) Position management system of electronic apparatus
JPH10290479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area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JP2004020240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