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446B1 -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446B1
KR100237446B1 KR1019970009309A KR19970009309A KR100237446B1 KR 100237446 B1 KR100237446 B1 KR 100237446B1 KR 1019970009309 A KR1019970009309 A KR 1019970009309A KR 19970009309 A KR19970009309 A KR 19970009309A KR 100237446 B1 KR100237446 B1 KR 10023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signal
transmission
intermediate frequency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783A (ko
Inventor
테루오 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44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04B1/0071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using a common intermediate frequency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는 기저대역신호를 송신무선주파수로컬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수신중간주파수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신중간주파수신호로 수신무선주파수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를 구비한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신호로부터 120.4MHz의 송신 중간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수신 중간주파수필터와, 송신 및 수신용 로컬신호를 발생하는 송신·수신로컬신호 발생기와, 상기 수신무선주파수신호와 상기 수신용 로컬신호를 믹싱하는 믹서와, 상기 믹싱된 신호로부터 210.4MHz의 수신 중간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디모듈레이터로 전달하는 수신 중간주파수필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A TERMINAL EQUIPMENT FOR KOREAN TYPE PC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이하 PCS라 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이하 IF주파수라 함.)를 사용하는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내 PCS는 신규 시작 사업으로, 표준적인 단말기측의 IF주파수가 아직까지 결정되어 있지 않다. 현재 제안되고 있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1) 800MHz대의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 Access: 이하 CDMA라 함.) 기술을 그대로 채택하며, IF주파수는 CDMA와 같게 한다. 즉 수신IF주파수는 85.4 MHz, 송신IF주파수는 130.4 MHz로 한다. 단, 채널 스텝(step)이 50KHz이기 때문에 50KHz로 나뉘어진 IF주파수로 한다. 도 1은 이와 같은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듀플렉서 2는 안테나 1과 송·수신 부분(part)의 연결을 절체한다. 우선, 송신부분을 설명하면, 모듈레이터 9는 기저대역부 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송신RF로컬신호 발생기 10에서 발생한 송신RF로컬신호에 따라 변조한다. 송신IF필터 8은 상기 변조된 신호로부터 120.4MHz의 송신IF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송신믹서 5는 상기 120.4MHz의 송신IF주파수와 송신로컬신호 발생기 6에서 출력되는 송신로컬신호를 믹싱(mixing)한다. 송신 RF필터 4는 상기 믹싱된 신호를 RF필터링하여 RF신호를 검출한다. 송신 파워증폭기 3은 RF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 2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수신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듀플렉서 2는 안테나 1을 통해 RF신호를 수신한다.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이하 LNA라 함.) 18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다. 수신 RF필터 17은 상기 수신된 RF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 성분만을 필터링한다. 수신믹서 15는 상기 필터링한 신호에 수신로컬신호 발생기 16에서 출력되는 수신로컬신호를 믹싱한다. 수신 IF필터 14는 탄성 표면파(Surface Acoustic Wave) 필터로서, 상기 믹싱된 신호로부터 210.4MHz의 수신IF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수신IF로컬신호 발생기 13은 상기 210.4MHz의 수신IF주파수를 입력하여 송신RF로컬신호 발생기 10에서 발생한 송신RF로컬신호에 따라 복조하고, 그 결과를 기저대역부 11에 전달한다.
(2) 현재 북미내 PCS용 단말기의 IF주파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신IF주파수 210.4 MHz, 송신IF주파수 130.4 MHz와 마찬가지로, 송신 주파수를 표준으로 RF로컬신호를 낮은 쪽(lower side)으로 하고 수신IF주파수는 220.4 MHz, 송신IF주파수는 130.4 MHz로 한다. 도 2는 이와 같은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서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분리되어 있던 로컬신호 발생기(6, 16)가 송신·수신로컬신호 발생기 7로 통합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3) 수신 IF주파수를 800MHz대 CDMA와 같게 한다. 즉 수신IF주파수는 85.4 MHz, 송신IF주파수는 175.4 MHz로 한다. 도 3은 이와 같은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1), (2) 및 (3)의 방법에 의하면, 송신대역 또는 수신대역에 IF로컬신호의 저차(低次) 고조파가 떨어지고 송신 스퓨리어스(spurious) 및 수신 비트(beat)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IF로컬신호에 따른 송·수신 대역으로의 스퓨리어스는 (1)의 방법이 1825.6MHz(2
Figure pat00001
260.8MHz), (2)의 방법이 1825.6MHz(2
Figure pat00002
260.8MHz) 혹은 1725.6MHz(4
Figure pat00003
440.8MHz), (3)의 방법은 170.8MHz(2
Figure pat00004
85.4MHz) 혹은 1754MHz(5
Figure pat00005
350.8MHz)이다. 또한 (1)에서는 송신과 수신에서 각각의 RF로컬신호를 필요로 하므로 송신용 및 수신용 RF로컬신호 발생기를 별도로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경비나 실장 면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고, 스퓨리어스 측면에서 불리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 대역에 IF로컬신호의 고조파에 의한 송신 스퓨리어스 및 수신 비트가 발생하지 않고, 송·수신을 위한 RF로컬신호 발생기를 하나로 통합하여 경비나 실장 면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저대역신호를 송신무선주파수로컬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수신중간주파수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신중간주파수신호로 수신무선주파수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를 구비한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신호로부터 120.4MHz의 송신 중간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수신 중간주파수필터와, 송신 및 수신용 로컬신호를 발생하는 송신·수신로컬신호 발생기와, 상기 수신무선주파수신호와 상기 수신용 로컬신호를 믹싱하는 믹서와, 상기 믹싱된 신호로부터 210.4MHz의 수신 중간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디모듈레이터로 전달하는 수신 중간주파수필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도 3은 종래의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주파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테나 2: 듀플렉서
3: 송신 파워증폭기 4: 송신 RF필터
5: 송신믹서 6: 송신로컬신호 발생기
7: 송.수신로컬신호 발생기 8: 송신 IF필터
9: 모듈레이터 10: 송신RF로컬신호 발생기
11: 기저대역부 12: 디모듈레이터
13: 수신IF로컬신호 발생기 14: 수신 IF필터
15: 수신믹서 16: 수신RF로컬신호 발생기
17: 수신 RF필터 18: 저잡음증폭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듀플렉서 2는 안테나 1과 송·수신 부분의 연결을 절체한다.
우선, 송신부분을 설명하면, 모듈레이터 9는 기저대역부 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송신RF로컬신호 발생기 10에서 발생한 송신RF로컬신호에 따라 변조한다. 송신IF필터 8은 상기 변조된 신호로부터 120.4MHz의 송신IF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송신믹서 5는 상기 120.4MHz의 송신IF주파수와 송.수신로컬신호 발생기 7에서 출력되는 송신로컬신호를 믹싱한다. 송신 RF필터 4는 상기 믹싱된 신호를 RF필터링하여 RF신호를 검출한다. 송신 파워증폭기 3은 RF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 2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수신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듀플렉서 2는 안테나 1을 통해 RF신호를 수신한다. LNA 18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다. 수신 RF필터 17은 상기 수신된 RF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 성분만을 필터링한다. 수신믹서 15는 상기 필터링한 신호에 상기 송.수신로컬신호 발생기 7에서 출력되는 수신로컬신호를 믹싱한다. 수신 IF필터 14는 탄성 표면파 필터로서, 상기 믹싱된 신호로부터 210.4MHz의 수신IF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수신IF로컬신호 발생기 13은 상기 210.4MHz의 수신IF주파수를 입력하여 송신RF로컬신호 발생기 10에서 발생한 송신RF로컬신호에 따라 복조하고, 그 결과를 기저대역부 11에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의 주파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F로컬신호의 저차 고조파가 송신.수신대역외가 되기 때문에 IF로컬신호의 고조파에 따른 송신 스퓨리어스나 수신 비트가 발생될 확률이 거의 없다. 또한 RF로컬신호 발생기를 하나만 가지면 되므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저대역신호를 송신무선주파수로컬신호로 변조하는 모듈레이터와, 수신중간주파수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신중간주파수신호로 수신무선주파수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를 구비한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신호로부터 120.4MHz의 송신 중간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수신 중간주파수필터와,
    송신 및 수신용 로컬신호를 발생하는 송신·수신로컬신호 발생기와,
    상기 수신무선주파수신호와 상기 수신용 로컬신호를 믹싱하는 믹서와,
    상기 믹싱된 신호로부터 210.4MHz의 수신 중간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디모듈레이터로 전달하는 수신 중간주파수필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KR1019970009309A 1997-03-19 1997-03-19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KR100237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309A KR100237446B1 (ko) 1997-03-19 1997-03-19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309A KR100237446B1 (ko) 1997-03-19 1997-03-19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83A KR19980073783A (ko) 1998-11-05
KR100237446B1 true KR100237446B1 (ko) 2000-01-15

Family

ID=1950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309A KR100237446B1 (ko) 1997-03-19 1997-03-19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4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83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474B1 (en) Multi-frequency band nyktu-mode radio receiver and associated method having shared circuit elements
US6970681B2 (en) Integrated multimode radio and components thereof
CN1049310C (zh) 无线电接收机
US7257380B2 (en) Integrated multimode radio and components thereof
KR100796010B1 (ko) 이중모드를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JP2002543658A (ja) 共有機能ブロックcdma/gsm通信トランシーバ用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
JP2008510391A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
US20050020298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KR19990011623U (ko) 송수신기 회로 모듈
EP0996241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23306A1 (en) Channelized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communications
US20050107115A1 (en) Mobile multimode terminal with joint power amplifier
JP2002171194A (ja) 無線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る携帯情報端末および無線基地局、並びにそれらを含む無線通信システム
JP2840496B2 (ja) デュアルバンド無線通信装置
KR100237446B1 (ko) 한국형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단말기
EP1076424A1 (en) Transmitter/receiver unit
KR100414212B1 (ko)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KR100395093B1 (ko) 요금자동징수시스템의 무선송수신장치
US200401217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obile radio signals
KR100353710B1 (ko) 시분할듀플렉싱 방식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KR100212054B1 (ko) 중간주파수 공유형 송수신 회로
KR100320919B1 (ko) 단일클럭을 이용한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는 고주파 유니트
KR100489899B1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의가입자단말장치내무선송수신장치
JP2003060519A (ja) 受信回路、送信回路、無線通信回路
JPH09205464A (ja) ディジタル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