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402B1 -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402B1
KR100237402B1 KR1019960066276A KR19960066276A KR100237402B1 KR 100237402 B1 KR100237402 B1 KR 100237402B1 KR 1019960066276 A KR1019960066276 A KR 1019960066276A KR 19960066276 A KR19960066276 A KR 19960066276A KR 100237402 B1 KR100237402 B1 KR 10023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nfiguration
information
switch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762A (ko
Inventor
유찬형
예병호
김해숙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4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 H04L49/405Physic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of ATM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04L2012/5609Top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과 같은 분산교환 시스템에서 운용중에 발생하는 가입자 및 서비스의 추가로 인한 교환기 구성 변경이 필요한 때에 각 자원의 구성변경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원의 구성에 대한 정보는 교환기 내부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관리되고 이러한 자원의 구성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교환기 기능인 운용관리와 호처리 기능이 동작한다. 자원의 구성이 변경될 때에 내부의 형상 정보의 구성 방법에 따라서 자원의 구성 변경은 교환기능의 일시적인 중단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정보는 물리적인 형상과 기능적인 형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물리적인 형상은 기구 물상에 특정 자원이 위치하고 있는 형상을 말하고 기능적인 형상은 물리적인 형상에서 나타나는 회로들이 담당하는 교환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형상과 기능적 형상에는 관계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관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형상 관리 기능을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자원들 사이에는 기능상에 계층적인 관계성도 표현될 수 있으며 형상의 변경시 이 관계성이 손상되어서는 안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상정보의 구성 방법과 일관된 형상관리 기능 구성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본 발명은 ATM 교환기의 형상 관리 및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교환서비스의 증가에 따른 교환기 자원의 재구성 과정은, 교환기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교환기 내부의 형상 정보를 재구성한 교환국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이중화로 운용되는 교환기의 프로세서중에 비활성화 프로세서에 적재한 후에 프로세서를 절체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가입자나 중계선의 증설량과 관계없이 항상 외부적인 작업단계를 거치고, 기 운용중인 서비스 데이터와 새로 제작된 교환국 데이터에 있는 가입자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일치시켜야 하는 부가적인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였다.
이와같은 형상 변경의 절차는 교환서비스의 중단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형상정보의 계층성과 관계성에 따른 필요한 기본 형상 정보만을 구축한 후에 하위 계층과 관련 정보를 교환기내부에서 자동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생성되는 초기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환기 운용중에 발생하는 용량의 확대와 같은 교환기 형상의 변경시에 외부적인 작업을 최소화하고 내부적인 형상 정보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시키는 정보 구성 방법을 체계를 확립하고 교환기의 자원 형상의 변경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형상 정보간의 관계성 손실에 따른 내부 기능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형상 변경의 추가/삭제기능의 동작 구성 방법을 제시한다. 교환기능을 실행하는 각각의 교환기 자원들은 기능적인 특성에 의하여 서로 연관관계와 계층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이 특성을 이용하여 교환기 형상의 초기구성과 재구성의 기능적 흐름을 확립할 수 있다. 이렇게 확립된 기능적인 구성방법을 통하여 교환기 자원의 초기구성에서 운용중에 서비스의 중단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하게 동작되는 교환기 자원 형성관리의 기술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제1도는 ATM 교환기의 시스템 구조도.
제2도는 ATM 교환기의 기구물 구성 예시도.
제3도는 ATM 교환기의 스위치 연결 예시도.
제4도는 ATM 교환기의 형상정보 구성도.
제5도는 ATM 교환기의 형상정보 계층도.
제6도는 ATM 교환기의 형상 추가 흐름도.
제7도는 ATM 교환기의 형상 삭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시스템의 구조도이다.
ATM 교환시스템은 분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LS:ATM local switching Subsystem)(3)과 중앙 교환 서브시스템(ACS:ATM Central Swtiching Subsystem)(4)으로 구성된다.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LS)은 국부 스위치 모듈인 ASNM(Access Switching Network Module)(7)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호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호 제어 프로세서(CCCP: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ecessor)(8)가 실장되어 호 서비스를 비롯한 기능을 담당하면, 가입자 정합을 위한 SIM(Subscriber Interface Module)(5), 중계호 정합을 위한 TIM(Trunk Interface Module)(11)으로 구성된다.
ALS는 사용자측 링크(6) 수를 n, 스위치측 링크수(9)를 m으로 하는 n:m의 집선비를 갖는 집선 장치로서 동작하고, ACS는 가입자 ALS간의 상호 접속 기능을 수행하여 대용량 시스템을 위한 분배장치로서 동작한다. 가입자로 부터의 호 요구는 SIM에 연결된 가입자 링크(1)를 통하여 서브시스템 내부로 들어오고 중계호는 중계선 링크(2)를 통하여 서브시스템에 인지된다.
ACS는 ALS들간의 연결과 운용보전 기능을 담당하여 ACS는 ALS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ISNM(Interconnection Switch Network Module)을 실장한다. ACS내에는 시스템 전체의 운용보전을 위한 ON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3)를 두어 시스템 차원의 유지보수,시험,측정,통계기능 뿐만 아니라 운용자와의 각종 입출력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의 상태 정보와 운용정보는 문자 혹은 그래픽으로 출력된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정보를 가시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위크스테이션이 운용 시스템으로 교환기에 접속되고(15) 접속 프로토콜은 이더넷(Ethernet)을 사용한다.(14)
제2도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ATM 교환기의 기구물 구성도의 한 예이다.
상기 제1도의 시스템 구조는, 물리적인 회로의 연속적인 배열에 의하여 설치된다. 회로를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기구물이 랙(16)이고 랙은 여러 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단이 셀프(17)이다. 셀프는 회로를 실장할 수 있는 슬럿(18)을 가지고 각 슬럿에는 교환기능에 필요한 하드웨어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논리적인 제1도의 구성이 물리적으로는 기구물로 구성되고 교환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단위는 기본적으로 회로가 된다. 기구물 구성도 상에서 0번 랙에는 ACS 서브시스템이 실장되어 있고, 1번 랙에는 ALS00과 ALS01 서브시스템이 실장되어 있으며, 2번 랙은 ALS00과 ALS01의 가입자 회로가 실장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0번 랙의 최 하단인 0번 셀프와 1번 셀프는 ISNM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1번 랙의 최 하단인 0번 셀프에는 ASNM이 실장되어 있다. ISNM과 ASNM의 기능을 위한 회로 묶음이 (17)의 형태이며 00번 슬럿과 09번 슬럿에는 스위치 제어기(SLCA)가 이중화되어 실장되어 있고 스위치 메모리 링크 회로(SMLA)가 01,03,05,07번 슬럿에 실장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0번 랙의 0번 셀프의 슬럿 10번에서 슬럿 19번까지는 또 다른 ISNM이 실장되어 있다. 1번 랙의 경우 0번 셀프의 0번에서 9번 슬럿은 ALS00의 ASNM이 실장되어 있고 10번에서 19번에는 ALS01의 ASNM이 실장되어 있다. 각각의 스위치 제어기와 스위치 메모리 링크 회로는 장애 발생시에 지속적인 교환서비스를 위하여 이중화되어 동작한다. 스위치 메모리 링크 회로는 회로당 16개의 스위치 포트를 수용하고 있다. 1번 랙의 1번 셀프와 2번 셀프에는 가입자 정합을 위한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1번 셀프는 ALS00의 정합부 셀프(19)로 0번 슬럿에서 3번 슬럿에는 155 Mbps 링크 1개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부 회로(BSIA)가 실장되어 있고 4번 슬럿과 5번 슬럿은 155 Mbps 링크 1개를 수용하는 중계 정합부 회로(BTIA)가 실장되어 있다. 6번과 7번 슬럿에는 45 Mbps 링크 3개를 수용하는 중속 가입자 정합 회로(MSAA)가 실장된다. 8,9,10,11번 슬럿은 고속 중계선인 622Mbps를 연결하기 위한 고속 중계 정합 회로(HTPA,HTAA)가 실장된다.(19) 2번 랙에는 ALS00과 ALS01의 저속 가입자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2번 랙의 2번 셀프(20)는 ALS00의 저속 가입자부 회로가 실장된 셀프이다. 0번 슬럿에는 클럽 분배기(LCDA)가 실장되고 1번 슬럿에는 저속 가입자 정합 제어기(LSAA)가 실장된다. 2번 슬럿에서 7번 슬럿에는 저속 가입자 링크 회로(LSPA)가 실장되어 있다. 저속 링크 회로는 각 회로당 2 Mbps의 링크 4개씩을 수용하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ATM 교환기의 스위치 연결도의 한 예이다.
한 개의 스위치 메모리 링크 보드는 16개의 포트를 수용하고 있다. 스위치부가 실장된 셀프(17)에는 스위치 메모리 링크 보드인 SMLA 0번과 1번이 각각 이중화되어 실장되어 있고 SMLA 0번의 포트는 0에서 15번 SMLA 1번의 포트는 16에서 31번으로 포트 번호가 부여된다. 제3도는 제2도의 기구물 구성을 보이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ALS00의 스위치 번호 할당의 한 예로 ASNM 0번의 0,1,2,3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고(23), 2,3,10,11번 포트(21)는 ISNM0의 SMLA 1번의 16,17,18,19번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24) ASNM의 16번에서 29번 포트는 정합부 회로와 연결되고 31번 포트는 CCCP와 연결 되어 있다.(22) 또한 ALS01의 경우는 ASNM의 SMLA 0번의 0,1,8,9번 포트(21)는 중앙 스위치인 ISNM0의 SMLA 0번의 4,5,6,7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고(23) 2,3,10,11번 포트(21)는 ISNM0의 SMLA 1번의 20,21,22,23번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24) ASNM의 16번에서 29번 포트는 정합부 회로와 연결되고 31번 포트는 CCCP와 연결되어 있다. 제3도의 스위치 연결 예와 같은 ASNM과 ISNM 사이의 포트 연결과 정합부와의 연결에 대한 정보는 형상 정보로 관리되며 이 정보는 스위치 기능을 담당하는 스위치 제어기(SLCA)와 스위치 연결 기능까지 필요로 하는 정보로 관리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ATM 교환기의 형상정보 구성도이다.
ACS의 OMP에는 ATM 교환기의 서브시스템의 구성정보(30)와, 각 서브시스템과의 내부 메시지 통신을 위한 통신로 구성정보(31)와, ACS 서브시스템의 랙 구성정보(32)와, ACS에 실장되어 있는 회로 구성정보(33)가 위치한다.(27)
ALS에는 다른 서브시스템과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통신로 구성 정보(31)와, ALS의 랙 구성정보(32)와, ALS에 실장된 회로의 구성 정보(33)와, 스위치의 구성정보(34)와, 정합부의 구성 정보(35)와, 정합부 링크 구성 정보(36) 및 스위치 링크 구성 정보(37)가 위치한다.(28,29)
서브시스템 구성 정보는 서브시스템 번호와 서브시스템 실장 정보로 구성되어, ATM 교환기의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30)
통신로 구성 정보는 서브시스템내의 OMP 혹은 CCCP와 같은 프로세서에서 다른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나 정합부 모듈인 SIM, TIM(5,11)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포트의 출력 포트를 관리하는 정보이다. 최대 세개(첫번째 스위치 포트, 두번째 스위치 포트, 세번째 스위치 포트)의 스위치를 거쳐서 내부 통신망이 형성된다.
제1도에서 CCCP(8)가 SIM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는 ASNM의 스위치(7)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ASNM의 출력 포트(6)만 필요하다. CCCP(8)에서 다른 CCCP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ASNM(7)에서 ISNM으로 출력되는 첫 번째 스위치 포트(9)를 알아야 하며, 다시 ISNM에서 상대방 CCCP가 실장된 ALS의 ASNM으로 연결된 두 번째 스위치 포트 정보를 알아야 하고, 상대방 ALS의 ASNM에서 상대방 CCCP가 연결된 세 번째 스위치 포트 번호를 알아야 한다. 이와같은 목적지로 가는 스위치 포트 번호를 관리하는 것이 통신로 구성 정보이다.(31)
랙 구성 정보는 서브시스템의 회로들이 실장되어 있는 기구물 형태에 관한 정보이다.
서브시스템 내에서의 랙의 순서를 구분하는 서브시스템 랙 번호와, 랙의 실장 여부와, 전체의 랙에서의 위치 번호인 전체 랙 번호와, 랙이 몇단의 셀프로 이루어져 있는 지를 표현하는 셀프 단 갯수와, 및 셀프당 슬럿의 개수로 구성된다.(32)
회로 구성 정보는 서브시스템에 실장된 회로의 물리적인 실장에 관한 정보이다.
회로 구성 정보의 슬럿 번호는 서브시스템을 구성하는 랙의 슬럿 번호의 일련 번호이다. 서브시스템 랙 번호가 0번인 랙이 20개의 슬럿을 수용하는 셀프가 4단으로 구성된 랙이면 서브시스템 랙 번호 0번, 셀프 번호 0번, 셀프내의 슬럿 번호 0번인 슬럿이 슬럿 번호가 0이 되고, 서브시스템 랙 번호 0번, 셀프 1번, 셀프내의 슬럿 번호 0번인 슬럿의 슬럿 번호는 20이 된다. 서브시스템 랙 번호 1번, 셀프 번호 0번, 셀프내의슬럿 번호 0번인 위치의 슬럿 번호는 80이 된다. 회로 명은 이 슬럿 번호에 위치하고 있는 하드웨어 회로의 이름이다. 기능 명은 회로가 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회로 순서 번호는 기능내에 동일한 회로가 여럿이 실장될 때에 일련번호를 의미한다.(33)
랙 구성 정보와 회로 구성 정보는 형상 정보의 변경의 기본이 되며 또한 장애 처리에서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스위치 구성 정보는 스위치의 실장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스위치의 번호와 스위치의 실장/미실장 정보를 표현하는 스위치 실장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 스위치 형상은 스위치의 상태관리의 기본 정보로 사용된다.(34)
정합부 구성 정보는 서브시스템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합부 모듈의 번호와 실장/미실장 여부와, 정합회로의 유형이 SIM인지 혹은 TIM인지와 전송속도에 따라서 구분된 정합부 유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35)
정합부 링크 구성정보는 정합모듈 번호와, 정합모듈내에서의 링크의 번호와, 링크의 실장/미실장 여부와, 그리고 링크의 전송 유형과 가입자/중계선 구분에 의하여 특성이 표현되는 정합 링크 유형으로 구성된다.(36)
스위치 링크 구성 정보는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스위치 포트의 실장/미실장 여부와, 포트의 사용 유형 정보와, 포트가 정합부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의 연결된 정합부 번호와, 스위치 포트가 ISNM으로 연결되었을 경우에 ISNM의 번호를 나타내는 중앙 스위치 번호와, 그리고 해당 ISNM의 연결 포트를 표현하는 중앙 스위치 포트번호로 구성된다.(37)
정합 링크 구성과 스위치 링크 구성 정보는 호처리 기능의 기본 정보로 이용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ATM교환기의 형상정보 계층도이다.
형상 정보간에는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와 계층 관계가 형성된다. 서브시스템 구성은 최상위에서 시스템의 구성을 표현하며 서브시스템 구성은 통신로 구성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교환기 형상의 변경과 관리의 최상위 형상으로 존재하는 계층 1에 해당한다.(38,39) 계층 1에 종속하여 각 서브시스템을 구성하는 랙 구성 정보가 존재하게 되고 랙 구성 정보는 서브 시스템의 골격을 표현하는 형상 정보로 계층 2에 해당한다.(40) 랙 구성 정보에 종속하여 회로 구성이 형상으로 존재하게 되며, 회로의 구성은 물리적인 형상이 되며(41) 물리적인 형상은 스위치와 정합부와 같은 기능적인 형상(42,43,44)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면서 계층 3을 형성한다. 스위치와 정합은 각각 스위치 포트에 의하여 연결되었을 때에만이 정상적인 형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최하위에 계층 4의 스위치 링크 구성 형상이 위치하게 된다.(45)
제6도는 본 발명의 ATM 교환기의 형상 추가 흐름도이다.
시동과 동시에 무한 반복 수행하면서 형상 추가 요구 명령을 기다린다. 형상 추가 요구 명령이 들어오면(46) 요구된 형상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47) 동일 형상이 이미 존재하면 형상 추가 명령이 불가함을 통보한다.(48) 형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교환기내의 모든 프로세서인 OMP와 CCCP 프로세서의 상태가 모두 정상인지를 판단하여(49) 모두 정상이 아니면 형상 추가가 불가능함을 통보한다.(50) 형상의 변경은 타 서브시스템과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갖게되므로 모든 프로세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형상 변경을 진행한다. 형상의 변경이 서브시스템의 변경인 경우가 아니면(51) 상위 계층의 형상이 추가하고자 하는 형상과 관련되어 존재하고 있는 조건인지를 검토한다.(52) 상위 계층의 형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형상 추가 불가를 통보한다.(53) 서브시스템 형상 추가의 경우나 상위 계층에 형상이 존재하여(52) 추가의 조건이 만족되면 형상 정보를 변경한다.(54) 형상 추가가 완료되었다는 통보를 하고(55) 새로 추가된 형상에 대한 상태 관리를 진행한다.(56)
제7도는 본 발명의 ATM 교환기의 형상 삭제 흐름도이다.
형상 추가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시동과 동시에 시작되어 무한반복하면서 형상 삭제 요구 명령을 기다린다. 형상 삭제 명령이 전달되면(57) 삭제할 형상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형상이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58) 형상 삭제 불가를 통보한다.(59) 추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삭제도 모든 프로세서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진행한다. 모든 프로세서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60) 형상 삭제가 불가함을 통보한다.(61) 형상을 삭제하는 대상이 스위치 링크가 아니면(62) 하위 계층의 형상이 존재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여(63) 하위 계층의 형상이 존재하면 형상 삭제가 불가능함을 통보한다.(64) 만일 하위 계층의 형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형상 정보를 변경하고(70) 형상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71) 만일 스위치 링크 형상을 삭제하는 경우에는(62) 스위치 링크가 현재 서비스 중인지를 검토하여(65) 서비스 중이면 형상 삭제가 불가함을 통보한다.(66) 서비스 중이 아니면 스위치 링크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여(67) 스위치 링크 상태가 정상이면 서비스 격리를 요구한 후에(68) 형상 삭제가 불가함을 통보한다.(69) 스위치 링크 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형상 정보를 변경하고 형상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67,70,71)
이와같이 상술한 본 발명은 ATM 교환을 위한 스위치가 중앙 스위치(ISNM)를 중심으로 분산되어 있고, 각 스위치를 기준으로 교환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실장된 분산시스템인 시스템 구조와 시스템 구조상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하드웨어를 실장하는 기구물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인 OMP와 CCCP에서는 교환기를 구성하는 자원의 형상 정보가 분산되어 각 서브시스템의 물리적인 형상과 기능적인 형상이 표현된다. 각각의 물리적인 형상은 하위 계층의 기능적인 형상의 상위 계층으로 존재하여 물리적인 형상과 기능적인 형상에는 계층관계가 성립되고 기능적인 형상간에도 계층관계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계층적이고 기능적인 관계는 형상의 추가와 삭제시에 유지되어야 하며, 또한 이 관계성에 따라서 자원 형상의 추가와 삭제 같은 형상 관리 기능의 구성방법과 원칙이 확립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교환기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물리적 자원에 대한 자원관리의 방법을 확보하고, 자원의 재구성시에 서비스의 중단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형상정보간의 불일치를 방지하고 형상의 재구성시에 유연함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ATM 교환시스템과 같은 분산교환 시스템에서 운용중에 발생하는 가입자 및 서비스의 추가로 인한 교환기 구성 변경이 필요한 때에 각 자원의 구성변경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내부의 형상 정보간의 기능관계와 계층 관계를 유지하여 서비스의 중단이 필요없는 자원의 재구성 과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5)

  1. 호 제어 프로세서(CCCP)를 각각 구비하고 분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LS)과, 운용 및 보전 프로세서(OMP)를 각각 구비한 중앙교환서브시스템(ACS)으로 구성된 ATM교환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조와; 회로를 실장하는 슬럿과, 이 슬럿을 갖는 셀프와, 및 그 셀프가 다단으로 구성된 랙을 포함한 ATM교환시스템의 물리적인 기구물의 구성을 갖는 ATM 교환기에서의 형상 구성 방법에 있어서, 서브시스템 구성 정보를 ACS내 OMP에 배치하고, 통신로 구성 정보, 랙 구성 정보, 및 회로 구성 정보를 모든 서브시스템에 위치하도록 하고, 분산된 서브시스템인 ALS내 CCCP에 스위치 구성 정보, 정합부 구성 정보, 정합부 링크 구성 정보, 및 스위치 링크 구성 정보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의 형상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구성 정보에는 서브시스템에 속한 랙의 순서를 표시하는 서브시스템 랙 번호와, 랙 실장 정보와, 전체 시스템에서의 랙 번호와, 랙의 셀프의 단 개수와, 셀프의 슬럿 개수의 정보로 구성된 랙 구성 형상과; 상기 랙 구성정보에 의하여 서브시스템 내에서 서브시스템에 속하는 전체 슬럿의 일련번호와 연결되는 슬럿 번호와, 회로 명과, 기능 명과, 및 기능에서의 동일 회로의 일련 번호로 구성된 회로 구성 형상 정보를 구성하여 물리적인 형상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의 형상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인 형상과 물리적인 형상 계층 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서브시스템 구성과 통신로 구성을 최상위 계층인 계층 1로 설정하고, 랙 구성을 계층 2로 설정하고, 회로 구성과 기능 구성 형상을 계층 3으로 설정하고, 스위치 링크 구성을 최하위 계층인 계층 4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의 형상 구성 방법.
  4. 운용 보전 프로세서(OMP)와 호 제어 프로세서(CCCP)를 포함한 ATM 교환기의 형상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계층간의 연관이 없는 불일치성의 형상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상 추가 요구가 있을 때에 동일 형상이 존재하지 않고 교환기내의 모든 프로세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동일 형상이 존재하지 않고 교환기내의 모든 프로세서가 동작하면, 서브시스템 형상 변경이 아닌 경우에 상위 계층에 속하는 형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형상 추가 기능을 진행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의 형상 관리 방법.
  5. 운용 보전 프로세서(OMP)와 호 제어 프로세서(CCCP)를 포함한 ATM 교환기의 형상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형상 삭제 요구가 있는 경우에 요구된 동일형상이 존재하고 교환기내의 모든 프로세서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요구된 동일 형상이 존재하고 전 프로세서 상태가 정상이면, 스위치 링크 형상의 삭제를 요구하는 경우가 아닐 경우 하위 계층에 관련된 형상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하여 하위 계층에 형상이 없는 경우에만 형상 삭제를 진행하는 제2 단계와; 및 상기 스위치 링크 형상의 삭제를 요구할 경우 스위치 링크가 서비스중이 아니고 스위치 링크의 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에 스위치 링크 형상을 삭제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기의 형상 관리 방법.
KR1019960066276A 1996-12-16 1996-12-16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KR10023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276A KR100237402B1 (ko) 1996-12-16 1996-12-16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276A KR100237402B1 (ko) 1996-12-16 1996-12-16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762A KR19980047762A (ko) 1998-09-15
KR100237402B1 true KR100237402B1 (ko) 2000-01-15

Family

ID=1948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276A KR100237402B1 (ko) 1996-12-16 1996-12-16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07B1 (ko) * 2000-12-2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간 연관을 가지는 자원들에 대한 자원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76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0442A (en) Cross point switch with distributed control
US6930890B1 (en) Network device including reverse orientated modules
CA1260590A (en)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control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s
JPH01502707A (ja) 電気通信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可変信頼性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023845B1 (en) Network device including multiple mid-planes
KR100237402B1 (ko) Atm 교환기의 형상관리 및 구성방법
CA2048488C (en) Telecomputer package switching system
US6034943A (en) Adaptive communication node for use in an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system
KR100198437B1 (ko) Atm 교환기의 정합부 형상정보 구성방법 및 그 형상관리방법
KR100198468B1 (ko) 에이티엠 교환기의 스위치 링크 형상 관리방법
KR100237393B1 (ko) 에이티엠 교환기의 스위치부 형상 관리방법
KR100198436B1 (ko) Atm 교환기의 형상 정보 초기화 방법
KR100231696B1 (ko) Atm 교환기의 서브시스템 형상정보 구성방법 및그 형상정보 관리방법
KR980013469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서간 통신 장치
KR100255814B1 (ko) Atm 교환기에서 패키지 버전 관리방법
KR100255816B1 (ko) Atm교환기에서 소프트웨어 블록 버전 관리방법
KR100258081B1 (ko) 에이티엠 교환기 보전 기능 구성방법
KR0146558B1 (ko) 본 위치등록기의 고속통신을 위한 광통신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중화 방법
Koyanagi et al.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technology
KR19990043394A (ko) Atm 교환기에서 펌웨어 버전 및 상태 관리방법
KR100258707B1 (ko) Atm 교환기의 스위치 네트워크 장치
KR100277824B1 (ko) 프로세서의 논리 주소를 인덱스로 가지는 비동기전송 모드 물리 주소의 테이블 구성 및 관리 방법
KR100255815B1 (ko) Atm 교환기에서 워크스테이션 응용 블록 버전 관리방법
KR19990031951A (ko) 넘버 7 망관리 분산 제어 방법
CN117851138A (zh) 异构远程数据存储架构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