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383B1 -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 Google Patents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383B1
KR100237383B1 KR1019970069514A KR19970069514A KR100237383B1 KR 100237383 B1 KR100237383 B1 KR 100237383B1 KR 1019970069514 A KR1019970069514 A KR 1019970069514A KR 19970069514 A KR19970069514 A KR 19970069514A KR 100237383 B1 KR100237383 B1 KR 10023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time
satellites
group
satellite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395A (ko
Inventor
유문희
박세경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3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3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2Multipath-related iss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4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cosmonautical nav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은 적절한 궤도 기울기와 위성 고도를 이용하여 각 위성의 지표면 궤적이 24시간 동안 동기가 되도록 하고 또한 궤도간 적절한 이격을 통해 위성 궤도들의 지표면 궤적을 일치시킴으로써, 최소 개수의 위성으로 한국, 중국, 일본의 극동 아시아와 같이 한정된 지역에 대해 통신 빈도수가 높은 시간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지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기존의 비정지궤도 위성군에 비해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위성의 지표면 궤적을 24 시간 동안 동기시킴으로 인해 위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설계가 단순해질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The Design of a Time-Synchronous Non-Geostationary-orbit Satellite Constellation}
본 발명은 일정 범위의 경,위도내에 있는 지역에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정지원궤도 위성군의 구성에 대한 것이다.
위성 궤도의 적도에 대한 기울기와 위성 고도를 조절하여 위성의 지표면 궤적이 24시간만에 동일 지표 위치에 다시 오도록 동기시키고, 위성 궤도간의 위상 차와 인접 궤도 위성과의 위상차를 조절하여 모든 위성이 동일한 지표 궤적을 따르도록 함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원궤도 위성군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위성 궤도면 수, 궤도면당 위성 수, 위성의 고도, 적도면에 대한 궤도면의 기울기, 위성 궤도간 위상차 등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1960년대 이후 지금까지 사용된 거의 모든 통신 위성은 적도 상공 약 36,000 km의 거리에 올리워져서 지구 중심과 위성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의 만나는 지표면 경,위도 지점인 위성의 부지점(subpoint)이 고정된 고정위성이다.
1980년대부터 개인 이동통신의 폭발적인 수요와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위성에 의한 이동통신을 고려하게 되었다.
그런데 고정 위성은 전파 지연 시간이 단방향 지구국대지구국간 약 0.25초로 실시간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에는 부적합하여 고도가 더 낮은 비정지궤도 위성을 사용하여 전파지연 시간 및 경로 손실을 줄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비정지궤도 위성은 지구 자전 속도보다 위성의 공전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서비스 희망 지역에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언급된 위성군 파라미터를 이용한 일정한 규칙에 의해 배열된 여러 개의 위성을 사용한다.
지금까지 개발되어 사업화된 비정지궤도 통신 위성군은 위성의 고도에 따라 크게 약 500∼2000㎞의 저궤도 위성군과 약 9000 ∼ 15000 ㎞의 중궤도 위성군으로 나뉘는데, 대부분 24 시간 전세계 대륙을 대상으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시에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을 위성 빔으로 감싸기 위해 약 40 ∼ 100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군과 약 10 ∼ 20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중궤도 위성군과 같이 상당히 많은 위성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정지궤도 위성군 구성 방식은 일부 국가들만을 대상으로 한 통신 서비스에 대해서는 위성의 갯수가 많고 복잡하여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부 지역에 대해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보다 적당한 위성군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정지궤도 위성군은 50도∼70도 범위의 궤도 기울기와 약 10,350 km의 위성 고도를 이용하여 각 위성의 지표면 궤적이 24시간 동기가 되도록 하고 또한 22도∼24도 범위의 궤도간 적절한 이격을 통해 모든 위성 궤도들의 지표면 궤적을 일치시킴으로써, 5∼7개의 위성으로 한정된 지역에 대해 통신 빈도수가 높은 시간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각 위성들은 24시간동안 지구를 4번 회전하고서 24시간전과 동일한 지표점에 이른다.
즉, 각 위성의 부지점 경도, 위도 좌표는 각 시각에 일대일 대응되는 고정 값을 갖게 되어 희망 서비스 지역에서 통신 빈도수가 높은 시간대와 위성 앙각이 높은 시간대를 일치시키거나 통신 빈도수가 낮은 시간대와 위성 앙각이 낮은 시간대를 일치시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 위성체의 제어 방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간동기 위성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궤도면 5개, 경사각 65도, 인접궤도 위성간 위상차가 1.25인 24시간 반복 주기를 가진 위성군의 24시간 지표 궤적 가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5 궤도면으로 구성되고 기타 사항은 도 2의 특성을 지닌 위성군의 예시 지점에 대한 시간별 가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6 궤도면으로 구성되고 기타 사항은 도 2의 특성을 지닌 위성군의 예시 지점에 대한 시간별 가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7 궤도면으로 구성되고 기타 사항은 도 2의 특성을 지닌 위성군의 예시 지점에 대한 시간별 가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7개 이하의 위성과, 각 위성의 지표면 궤적이 24시간 동안 동기가 되도록 24시간의 반복 주기를 가지면서 경도, 위도의 범위가 한정된 지역에 대해 빔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간동기 위성군의 구성도로서, 각 궤도면에 존재하는 위성은 그 고도에 따라 정해진 속도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데, 위성의 고도가 약 36,000 k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지구 자전, 공전 속도보다 위성의 공전 속도가 빨라서 위성이 자신의 주기로 360도 돌았을 때 지구 적도면과 위성이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향할 때의 위성 궤도간의 접점인 승교점(ascending node)이 이전 위치로 오지 않고 승교점을 지표면에 투영시켰을 때 일정하게 서향 이동하는 편차가 생긴다.
위성의 한 주기동안 생기는 총 편차는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DT= Dr+ Dp+ Dia
여기서 Dr은 24시간동안의 지구의 자전, 공전에 의한 역행을 나타내며, Dp는 태양의 진행에 따른 역행, Dia는 궤도면 경사각 i, 궤도 부주축 a의 함수로 이루어진 궤도면의 회전에 의한 역행을 나타낸다.
각 항은 아래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여기서 T는 위성의 공전주기, R은 지구반경을 나타낸다.
그런데 각 위성은 위의 수식에 의해 주어진 편차를 가지고 회전하면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지표 궤적이 반복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nbday는 반복 주기(rounded cycle period)이고, nbarb는 한 주기동안의 궤도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경사각이 65도이고 하루 즉 24시간을 반복주기로 하여 반복주기동안 위성이 4회 공전한다면 상기 식 6에 의해서 DT는 (360 * 1 / 4) = 90 이고, 상기 식 1∼5를 이용하면 위성의 지구중심거리, 즉 위성의 부주축 a = 16,728.412 km가 계산되어 위성의 고도 h = (16,728.412 -6378.14) = 10350.272 km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24시간을 반복주기로 하여 반복주기동안 위성이 4회 공전한다고 할 때 경사각과 위성 고도간의 대응 값을 표 1에 보였다.
24시간 반복 주기를 가진 궤도 파라미터
경사각 (도) 위성 고도 (㎞)
50 10347.951
55 10348.681
60 10349.457
65 10350.272
70 10351.121
75 10352.000
그 다음, 각 궤도가 동일 지표 궤적을 가지기 위해서는 궤도면간 위상차 α가 아래 수학식 7과 같이
a = F × DT/Tsat
로 이격되어야 한다.
여기서 F는 인접 궤도 위성간 위상차 (0~(P-1)내의 값임.)이고, T는 위성군의 총 위성 갯수, P는 궤도면 수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궤도면 5개, 경사각 65도, 인접궤도 위성간 위상차가 1.25인 24시간 반복 주기를 가진 위성군의 24시간 지표 궤적 가시도로서, 궤적이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이 위성군을 이용한 한국, 일본, 중국 동부지역에 대한 위성 가시도를 시간에 대한 앙각으로 표시한 것이 도3, 도4, 도5이고, 이 때 최소 앙각은 10도로 정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5 궤도면으로 구성되고 기타 사항은 제 2도의 특성을 지닌 위성군의 예시 지점에 대한 시간별 가시도로서, 9시부터 13시에 걸쳐 약 2시간 30분정도 통신이 단절됨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예시 지점이란 동경 110도, 북위 20도의 중극남단, 동경 123.5도, 북위 22도의 대만 남단, 동경 141도, 북위 35도의 일본 동부, 동경 142도, 북위 45.5도의 일본 북단, 동경 117도, 북위 40도의 중국 중북구 지역, 동경 110도, 북위 30도의 중국 중부 지역이다.
그런데 표시된 시각은 절대 시각이 아니라 임의의 기준점에서 시작되는 상대 시각이므로 위성군의 초기 승교점을 조절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9시에서 13시의 구간을 통신량이 가장 적은 새벽 1시에서 4시로 조정하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6 궤도면으로 구성되고 기타 사항은 도 2의 특성을 지닌 위성군의 예시 지점에 대한 시간별 가시도로서, 9시부터 11시 20분에 걸쳐 약 1시간 정도 통신이 단절됨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7 궤도면으로 구성되고, 기타 사항은 상기 도 2의 특성을 지닌 위성군의 예시 지점에 대한 시간별 가시도로서, 24시간내내 최저 10도 앙각으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정지궤도 위성군은 적절한 궤도 기울기와 위성 고도를 이용하여 각 위성의 지표면 궤적이 24시간 동기가 되도록 하고 또한 궤도간 적절한 이격을 통해 모든 위성 궤도들의 지표면 궤적을 일치시키므로써, 최소 갯수의 위성을 사용하면 경도, 위도 범위가 한정된 지역에 대해 통신 빈도수가 높은 시간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한정된 지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기존의 비정지궤도 위성군에 비해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성의 지표면 궤적을 24시간 동기시킴으로 인해 위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설계가 단순해 질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경도, 위도의 범위가 한정된 지역에 대한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사업을 제공할 수 있는 위성군의 구성에 있어서,
    7개 이하의 위성과, 각 위성의 지표면 궤적이 24시간의 반복 주기를 가지면서 경도, 위도의 범위가 한정된 지역에 대해 빔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궤도 위성간 위상차를 고려한 궤도간의 이격으로 위성군을 구성하는 궤도의 일부나 전부에 대한 지표 궤적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50∼75도 범위의 궤도 기울기와 10,345 ㎞∼10,355 ㎞의 위성 고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22도∼24도 범위의 궤도간 이격을 통해 위성 궤도들의 지표면 궤적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KR1019970069514A 1997-12-17 1997-12-17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514A KR100237383B1 (ko) 1997-12-17 1997-12-17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514A KR100237383B1 (ko) 1997-12-17 1997-12-17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95A KR19990050395A (ko) 1999-07-05
KR100237383B1 true KR100237383B1 (ko) 2000-01-15

Family

ID=1952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5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383B1 (ko) 1997-12-17 1997-12-17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3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9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188B1 (en) Elliptical satellite system which emulates the characteristics of geosynchronous satellites
EP0213355A1 (en) Tetrahedral multi-satellite continuous-coverage constellation
US6954613B1 (en) Fixed satellite constellation system employing non-geostationary satellites in sub-geosynchronous elliptical orbits with common ground tracks
US6325332B1 (en) Coordinatable system of inclined geosynchronous satellite orbits
JP3110686B2 (ja) 多高度の衛星中継システム及び方法
US5871181A (en) Artificial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RU2273591C2 (ru) Система негеостационарных спутников,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упрощенное сопровождение спутников, спутников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путниковой связи
EP0645901B1 (en) Satellite telecommunications and remote sensing system based on the use of short-period sun-synchronous elliptical orbits
JP3110716B2 (ja) 多高度衛星中継システム及び方法
RU227847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системы негеостационарных спутников, не создающих помех в работе спутников, находящихся на геостационарном кольце
US5326054A (en) Apogee at constant time-of-day equatorial (ACE) orbit
US5621415A (en) Linear cell satellite system
US6868316B1 (en) Satellite constellation system
US20070135040A1 (en) Methods for effecting seamless handover and enhancing capacity in elliptical orbit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s
US6678519B2 (en) Elliptical satellite system which emulates the characteristics of geosynchronous satellites
EP095176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 beam of radiated energy in a cellular satellite system
US6795687B1 (en) Elliptical satellite system emulating characteristics of geosynchronous satellites during the apogee portion of an elliptical orbit
US3706037A (en) Communication satellite system
KR100237383B1 (ko) 시간동기형 비정지궤도 위성군 설계 구조
WO2001024383A2 (en) Satellite constellation system employing sub-geosynchronous elliptical orbits
JP4472240B2 (ja) 通信衛星システム
Lundgren A Satellite System for Avoiding Serial Sun‐Transit Outages and Eclipses
WO2002039616A2 (en) Virtual geostationary satellite constellation and method of satellite communications
JP2003298488A (ja) 高仰角軌道衛星システム
Franke Satellite inclination effects on UHF Satcom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