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981B1 -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981B1
KR100236981B1 KR1019960065447A KR19960065447A KR100236981B1 KR 100236981 B1 KR100236981 B1 KR 100236981B1 KR 1019960065447 A KR1019960065447 A KR 1019960065447A KR 19960065447 A KR19960065447 A KR 19960065447A KR 100236981 B1 KR100236981 B1 KR 10023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ast forward
backward
fas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010A (ko
Inventor
박종훈
김선자
박영덕
이종형
최진상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9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MPEG 스트림 화일로부터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 그리고 이들과 정상 화일을 서로 매핑하기 위한 인덱스 화일을 생성한 후에, 이 화일들을 이용하여 MPEG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원 MPEG 스트림 화일을 가지고 그 스트림의 비트율, 패킷식별번호(PID)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을 생성하며,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 그리고 정상 화일들을 가지고,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을 구성하여 인덱스 화일들을 이용해 실제 고속 전후진 제어를 수행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FAST-FORWORD AND FAST-REWIND OF MPEG STREAM}
본 발명은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압축 비디오 데이터인 엠펙(MPEG : Moving Picture Expert Group) 스트림을 고속 전후진하는 트릭 모드 제어(Trick-Mode Control)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MPEG 스트림 화일로부터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 그리고 이들과 정상 화일을 서로 매핑하기 위한 인덱스 화일을 생성한 후에, 이 화일들을 이용하여 MPEG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등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응용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압축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국제 표준 형식이 바로 MPEG이다.
MPEG의 표준은 ISO/IEC의 표준안 13818-1과 13818-2 그리고 13818-3으로 공표되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응용에서 MPEG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MPEG 디코더와 그에 대한 제어 장치가 필요하다.
현재, MPEG 스트림의 정상 속도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마치 VCR과 같이 고속 전후진이 가능케하는 여러 가지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를 보통 스트림의 트릭 모드 제어라 한다.
종래의 트릭 모드 제어 방식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하나는 정상적 MPEG 스트림외에 다른 별도의 화일을 미리 만들어 두지 않고 스트림을 전송하면서 그 화일 읽기와 전송 속도를 빠르게, 혹은 느리게 하여 고속 전진을 실현하는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미리 고속 전후진용의 화일들을 생성해 놓고 이를 이용하여 트릭 모드 제어를 실현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처리하지 않는 한 전송 속도나 화일 읽기 속도의 한계 때문에 자연스러운 고속 전진이 어려우며, 고속 후진은 화일을 거꾸로 읽어 나가야 하기 때문에 더욱 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고속 전후진용 화일이 부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나, 전자의 경우보다 쉽게 자연스러운 고속 전후진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후자의 방식을 취하되 자동적으로 고속 전후진 화일을 생성하고, 자동적으로 인덱스 화일을 생성하며, 용이하게 스트림을 매핑하는 등의 기존의 방식들에 비해 좀더 간편하게 미리 고속 전후진용의 화일들을 생성해 놓고 이를 이용하여 트릭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MPEG 스트림 화일로부터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 그리고 이들과 정상 화일을 서로 매핑하기 위한 인덱스 화일을 생성한 후에, 이 화일들을 이용하여 MPEG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디스플레이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중 고속 전후진용 화일 생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의 구성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중 고속 전후진 제어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 동영상 스트림을 해체하여 비디오 패킷화된 초기 스트림(PES)만을 화일로 생성하고, 상기 원 동영상 스트림의 비디오, 오디오, 및 기준 프로그램 클럭(PCR) 데이터들의 패킷식별번호(PID)값과 전송스트림(TS)/프로그램 스트림(PS)의 비트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비디오 PES 화일을 해체하여 동영상 비디오 초기 스트림(ES) 화일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비디오 초기 스트림(ES) 화일로부터 인트라(I) 화상(Picture)과 예측(P) 화상들만을 추출하여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을 생성하고,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의 인트라(I) 화상이나 예측(P)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 화일과 같은 비트율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 3 단계; 상기 고속 전진 화면 화일을 인트라(I) 화상 단위로 뒤로부터 앞으로 재배열하여 고속 후진용 화면 화일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원 동영상 스트림의 비디오, 오디오, 및 PCR 데이터들의 PID값과 TS/PS의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속 전진 화면 화일과 상기 고속 후진 화면 화일을 고속 전후진용 PES 화일로 재구성하고, 상기 고속 전후진용 PES 화일을 재구성하여 고속 전후진용 TS 화일을 생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고속 전후진용 TS 화일과 상기 원 동영상 스트림 화일을 이용하여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을 생성하는 제 6 단계; 및 정상 전진 화일 전송시나 고속 전후진 전송상태에서, 동작 변환 요구시 상기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에서 해당되는 동작 모드의 TS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고속 전후진 화일의 위치로 전이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서는 하나의 정상 MPEG 화일로부터 모든 스트림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적으로 고속 전후진용 화일들을 생성하고, 매우 단순한 형태의 고속 전후진용 인덱싱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모든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실제 스트림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을 가능케 한다.
고속 전후진 제어를 위해서는, 고속 전진용과 고속 후진용, 각각 두개의 화일을 미리 생성해두어야 하며, 정상 화일과 이 두 화일간의 스트림 위치 매핑용 인덱스 화일도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속 전후진 화일 생성시 원 스트림과 같은 비트율로 만들기 위한 효율적인 율 제어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속 전후진용 화일들의 생성은 외부에서 그 원 스트림의 정보를 주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정보 추출과 화일 생성이 가능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실현하는 화일 생성 방식을 제공한다.
고속 전후진용 화일이 생성되면, 실제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때 각 화일간의 스트림 위치 매핑 방식이 있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인덱싱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성된 세가지 화일들과 원 스트림 화일들을 가지고, 실제 트릭 모드 제어(정상 전진, 고속 전진, 고속 후진)를 실현하는 스트림 제어 방식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도 1A 는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에서의 적용예이고, 도 1B 는 독립 멀티미디어 장치에서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에 이용될 경우는 통신 서비스 단말기가 비디오 서버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MPEG 스트림을 제공받아 이를 TV나 모니터상에 표시하는 형태를 가지는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의 셋탑박스와 같은 경우로, 이때는 본 발명의 MPEG 스트림 고속 전후진 제어방식이 비디오 서버 내에 포함되어 적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되는 스트림 화일은 원격 영상 저장장치, 즉 비디오 서버의 제어를 받는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도 1B 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영상 입력 제어장치내에 포함되어 적용된다.
영상입력 제어장치는 자체의 영상 저장장치를 제어하여 MPEG 스트림을 MPEG 디코더에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되는 스트림 화일은 자체 영상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여기서, MPEG-2 디코더는 MPEG 스트림을 복호화(디코딩)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영상 출력 제어장치는 디지털 영상을 TV나 모니터에 직접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아날로그 영상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은, 고속 전후진용 화일 생성 과정,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 생성 과정, 그리고 고속 전후진 제어 과정 등 크게 세가지 과정으로 실현된다.
고속 전후진용 화일 생성 과정은 원 MPEG 스트림 화일을 가지고 그 스트림의 비트율, 패킷식별번호(PID: Packet IDentifier)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 생성 과정은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 그리고 정상 화일들을 가지고,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고속 전후진 제어 과정은 이렇게 만들어진 화일들을 이용하여 실제 고속 전후진 제어를 실시하는 과정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중 고속 전후진용 화일 생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로서, 고속 전후진용 화일 생성 과정과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 생성 과정에서 실제 화일들이 생성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EG TS(Transport Stream)/PS(Program Stream) 해체과정(101)은 MPEG TS/PS를 해체하여 그 중 비디오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만을 화일로 생성한다. 이때, MPEG TS/PS 해체 과정(101)에서 원 스트림의 비디오, 오디오,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들의 패킷식별번호(PID) 값과 TS/PS의 비트율 정보, 그리고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정보들을 추출하는데, 이는 이 후 다시 TS/PS로 화일을 재구성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각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TS/PS의 헤더 정보와 실제 데이터 정보들의 형식에 관한 사항은 ISO/IEC 표준안 13818-1과 13818-2에 따라 정해진다. 이후, 모든 과정에서 별도의 언급이 되지 않는한 ISO/IEC 표준안 13818-1과 13818-2에 의거한다.
MPEG PES 해체 과정(102)은 MPEG TS/PS 해체과정(101)에서 생성된 MPEG 비디오 PES 화일을 해체하여 MPEG 비디오 ES로 만드는 과정이다.
고속 전진용 화면 추출 과정(103)은 MPEG PES 해체 과정(102)에서 추출된 MPEG ES 화일을 가지고, 그중 인트라(I : Intra) 화상(Picture), 예측(P : Predictive coded picture) 화상들만을 추출해 내는 과정이다. 이때,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은 I 화상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필요한 만큼의 I와 P 화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I 화상(Picture)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원 스트림의 화상 그룹(GOP: Group Of Picture)내 화상 갯수당 1개씩의 I 화상들이 들어가므로, 고속 전진의 경우 그 속도가 이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면, 화상 그룹(GOP)내 화상 갯수가 12인 경우, 12배속 주행이 된다.
따라서, 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속도를 조절하려면 추출된 I 화상들을 반복하여 여러번 화일에 저장하면 된다. 즉, I 화상을 2번 중복 저장하면 6배속이 되며, 3번 중복 저장하면 4배속이 된다.
I 화상과 P 화상으로 화일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I 화상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좀 더 자연스러운 화면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속 전진에서만 유용하며, 고속 후진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고속 전후진 율 제어 과정(104)은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의 I 화상 혹은 P 화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원 화일과 같은 비트율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과정이다.
I 화상(Picture)만으로 고속 화면 화일을 구성하면, I, P, 양방향(B : Bidirectionally predictive coded picture) 화상으로 구성된 원 화일에 비해 그 비트율이 커지게 된다. 이는 로컬 장치에서 억세스하는 경우(도 1B 참조)에는 문제가 없으나, 미리 정해진 전송 속도를 가지는 통신 환경(도 1A 참조)하에서는 스트림의 자연스러운 디스플레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바로 고속 전후진 율 제어 과정(104)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속 전후진 율 제어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상기 생성된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중 그 크기가 다른 I 화상들에 비해 매우 큰 I 화상들을 임의로 잘라 버리는 방법이다. 이때, 화상의 절단은 반드시 ISO/IEC 13818-2에서 정한 슬라이스(Slice) 혹은 매크로블럭(Macro Block) 단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방법은 가장 간단하게 율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나, 완벽하게 원 스트림과 같은 비트율을 보장할 수는 없다.
한편, 다른 하나는 고속 전진용 화면 추출 과정에서 I 화상을 두개씩 중복 저장하면서, 원 스트림의 비트율에 맞도록 두번째 I 화상을 슬라이스 단위로 잘라 버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좀 더 원 스트림과 같은 비트율로 제어가 가능하나, 그 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생성되는 화일의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율 제어는 통신 환경에서만 행하면 된다.
고속 전진용 화면 재배열 과정(105)은 고속 전후진 율 제어 과정(104)에서 생성된 고속 전진 화면 화일을 뒤로부터 앞으로 거꾸로 재배열함으로써, 고속 후진용 화면 화일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재배열은 반드시 I 화상 단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속 전후진용 PES 구성 과정(106,107)은 고속 전진용 화면 재배열 과정(105)에서 만들어진 고속 전진 화면 화일과 고속 후진 화면 화일들을 PES로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고속 전후진용 TS/PS 구성 과정(108,109)은 고속 전후진용 PES 구성 과정(106,107)에서 생성된 고속 전후진용 PES 화일들을 재구성하여 TS/PS로 생성해 내는 과정이다. 이때, MPEG TS/PS 해체(101) 과정에서 추출된 원 스트림 정보(PAT, PMT, CAT, 그리고 비디오, 오디오, PCR의 PID 정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속 전후진용 TS/PS의 재구성 과정(108,109)은 ISO/IEC 표준 13818-1을 따르며, 원 스트림과 같은 스트림 정보를 가지도록 원 스트림에서 추출된 정보들을 사용한다.
고속 전후진용 TS/PS 구성 과정(108, 109)이 끝나면, 고속 전후진용 화일 생성과정이 모두 끝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고속 전후진용 화일과 원 스트림 화일을 이용하여,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구성 과정(110)에 의해 고속 전후진 인덱스 화일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생된 인덱스 화일은 도 4 와 같이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첫 번째 숫자는 정상 전진 화일에서 I 화상의 시작 부호(Start Code)를 포함하는 TS 패킷의 번호를 의미하며, 두 번째 숫자는 고속 전진 화일에서 I 화상의 시작 부호를 포함하는 TS 패킷의 번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세 번째 숫자는 고속 후진 화일에서 I 화상의 시작 부호를 포함하는 TS 패킷의 번호를 의미한다.
이들 숫자들은 화일내에 존재하는 I 화상 갯수만큼 존재한다. 이때, 각 화일에 대한 위치 매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정상 전진에서 고속 전진으로, 혹은 고속 전진에서 정상 전진으로의 변화인 경우에는 바로 그 중의 상대 숫자를 자기 숫자로 단순 매핑하면 된다. 예를 들면, 210번째 I 화상을 전송하고 나서 고속 전진 명령이 접수된다면, 인덱스 화일의 210번째 고속 전진 화일 위치 인덱스를 찾아 해당 TS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반면에, 전진에서 후진으로, 혹은 후진에서 전진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매핑한다. 이 경우의 인덱스는 "(총 I 화상 갯수) - (최후로 디스플레이된 I 화상 번호)"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총 700개중 210번째 I 화상을 전송하고 나서 고속 후진 명령이 접수되었다면, "(700 - 210) = 490"번째 고속 후진 화일 위치 인덱스를 찾아 해당 TS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여기서, TS는 MPEG 표준에 의해 188 바이트로 고정되었으므로, 위치 인덱싱을 위한 실제 화일 포인터를 구하려면 TS번호에 188을 곱해주면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중 고속 전후진 제어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방법중 고속 전후진 제어 과정에서, "201" 내지 "204" 단계는 정상 전진 상황에서 고속 전후진 명령을 받았을 때의 제어 동작이며, "205" 내지 "208" 단계는 고속 전진 상황에서 정상 전진 또는 고속 후진 명령을 받았을 때의 제어 동작이며, "209" 내지 "212" 단계는 고속 후진 동작에서 정상 전진 또는 고속 전진 명령을 받았을 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정상 전진 화일 전송을 계속하고 있는 상황에서(201) 고속 전후진 신호가 접수되면 이것이 고속 전진인지 고속 후진인지를 인지하여(202), 각 경우에 맞추어 인덱스 화일에서 해당 TS 위치를 확인한다(203,204). 이후에, 해당 고속 전후진 화일의 그 위치로 전위해 간다(205 내지 209). 이 과정은 고속 전진 상황에서의 정상 전진, 고속 후진으로의 전이도 마찬가지로 행하여지며, 고속 후진 상황에서의 전상 전진, 고속 전진으로의 전이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요구에 따라 미리 고속 전후진 화일과 인덱스 화일을 만들어 놓게 되며, 비록 종래에 비해 전체 화일의 양이 증가하나 인덱스로부터 화일의 읽어내는 포인터의 위치를 알아내어 해당 화일로 점프하면 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미리 전후진 속도를 정하여 I 화상 사이에 P 화상을 만들어 집어 넣을 수 있으므로, 고속 전후진시 자연스러운 화상의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멀티미디어 데이터 베이스 등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응용에서 MPEG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주문형 비디오(VoD : Video on Demand) 서비스 등에서의 트릭 모드 제어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MPEG 스트림 화일로부터, 고속 전진용 화일과 고속 후진용 화일, 그리고 이들과 정상 화일을 서로 매핑하기 위한 인덱스 화일을 생성한 후에, 이 화일들을 이용하여 MPEG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적 고속 전후진 화일 생성, 자동적 인덱스 화일 생성, 용이한 스트림 매핑 등 기존의 방식들 보다 좀 더 간편한 해결책을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멀티미디어 데이터 베이스 등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응용에서 MPEG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등에서의 트릭 모드 제어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 동영상 스트림을 해체하여 비디오 패킷화된 초기 스트림(PES)만을 화일로 생성하고, 상기 원 동영상 스트림의 비디오, 오디오, 및 기준 프로그램 클럭(PCR) 데이터들의 패킷식별번호(PID)값과 전송스트림(TS)/프로그램 스트림(PS)의 비트율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비디오 PES 화일을 해체하여 동영상 비디오 초기 스트림(ES) 화일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비디오 초기 스트림(ES) 화일로부터 인트라(I) 화상(Picture)과 예측(P) 화상들만을 추출하여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을 생성하고,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의 인트라(I) 화상이나 예측(P)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 화일과 같은 비트율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제 3 단계;
    상기 고속 전진 화면 화일을 인트라(I) 화상 단위로 뒤로부터 앞으로 재배열하여 고속 후진용 화면 화일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원 동영상 스트림의 비디오, 오디오, 및 PCR 데이터들의 PID값과 TS/PS의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속 전진 화면 화일과 상기 고속 후진 화면 화일을 고속 전후진용 PES 화일로 재구성하고, 상기 고속 전후진용 PES 화일을 재구성하여 고속 전후진용 TS 화일을 생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고속 전후진용 TS 화일과 상기 원 동영상 스트림 화일을 이용하여 고속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을 생성하는 제 6 단계; 및
    정상 전진 화일 전송시나 고속 전후진 전송상태에서, 동작 변환 요구시 상기 전후진용 인덱스 화일에서 해당되는 동작 모드의 TS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고속 전후진 화일의 위치로 전이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은,
    인트라(I) 화상만으로나, 인트라(I) 화상과 예측(P) 화상으로 구성되되,
    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추출된 인트라(I) 화상들이 반복적으로 여러 번 화일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원 화일과 같은 비트율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중 그 크기가 다른 인트라(I) 화상들에 비해 매우 큰 인트라(I) 화상들을 임의의 잘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원 화일과 같은 비트율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고속 전진용 화면 화일 추출시, 인트라(I) 화상을 두개씩 중복 저장하면서 원 스트림의 비트율에 맞도록 두 번째 인트라(I) 화상을 슬라이스 단위로 잘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TS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동작 모드가 정상 전진에서 고속 전진으로, 고속 전진에서 정상 전진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현재 동작 모드의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숫자를 변화된 동작 모드의 디스플레이 해야될 숫자로 맵핑하고,
    동작모드가 정상전진이나 고속 전진에서 고속 후진으로, 고속 후진에서 고속 전진이나 정상 전진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인덱스 값을 총 인트라(I) 화상 갯수에서 최후로 디스플레이된 인트라(I) 화상 번호를 감산하여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KR1019960065447A 1996-12-13 1996-12-13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KR10023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447A KR100236981B1 (ko) 1996-12-13 1996-12-13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447A KR100236981B1 (ko) 1996-12-13 1996-12-13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10A KR19980047010A (ko) 1998-09-15
KR100236981B1 true KR100236981B1 (ko) 2000-01-15

Family

ID=1948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447A KR100236981B1 (ko) 1996-12-13 1996-12-13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03A (ko) * 2000-10-27 2002-05-04 구자홍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파일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81B1 (ko) * 1999-08-1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vod)의 서버 데이터 구조와 빨리 보기/빨리 되감아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54811B1 (ko) * 2002-03-07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브이알 비디오 검색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03A (ko) * 2000-10-27 2002-05-04 구자홍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파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1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352B2 (en)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o facilitate efficient transmission and playback of digital information
US8358916B2 (en) Annotations for trick modes of video streams with simultaneous processing and display
US7023924B1 (en) Method of pausing an MPEG coded video stream
CA2533169C (en) Seamless transition between video play-back modes
JP3706721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ファイル内部での検索方法および検索装置
US621938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izing trick play
EP1239674B1 (en) Recording broadcast data
US20070217759A1 (en) Reverse Playback of Video Data
WO199902910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on-demand with fast play capability
US62928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bject-based audiovisual information
JP2001204032A (ja) Mpeg復号装置
US200200480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c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US20070133951A1 (en) Offspeed playback in a video editing system of video data compressed using long groups of pictures
KR100236981B1 (ko) 동영상 스트림의 고속 전후진 제어 방법
KR19990010965A (ko) 비디오데이터 디코딩방법
US6101311A (en) Moving picture and audio data reproduc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20010051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bject-based audiovisual information
JP2005102254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編集装置
KR20050026966A (ko) 트릭 플레이 방법
JP2005027357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