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617B1 -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 Google Patents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617B1
KR100234617B1 KR1019960009748A KR19960009748A KR100234617B1 KR 100234617 B1 KR100234617 B1 KR 100234617B1 KR 1019960009748 A KR1019960009748 A KR 1019960009748A KR 19960009748 A KR19960009748 A KR 19960009748A KR 100234617 B1 KR100234617 B1 KR 10023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grid
nuclear fuel
single structure
fu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850A (ko
Inventor
서금석
김형구
송기남
오동석
장영기
박종률
김규태
지성균
노병철
장문희
Original Assignee
임창생
한전원자력연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생, 한전원자력연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창생
Priority to KR101996000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617B1/ko
Publication of KR97007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6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21C3/356Spacer grids being provided with fuel element suppor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 집합체의 구조를 이루는 주요 부품의 일종으로서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유지, 핵연료봉 지지, 진동 마모 방지, 냉각수의 원활한 흐름, 높은 혼합효과, 구조강도 유지 등 필요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 격자에 관한 것이다.
이 지지 격자는 탈 모양의 단일 구조를 적절하게 반복 배치하면 만들어 지는데 제조성이 우수하고, 마모 저항성 및 냉각수 혼합 효과가 매우 뛰어난 지지 격자이다.

Description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제1도는 기존의 지지 격자
제2도는 지지 격자의 단일 구조 형상
제3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핵연료 지지 격자의 예시도
제4도는 4×4 크기의 지지격자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조체 (2) : 등고선
(3) : 윤곽선 (4) : 단일 지지격자
(5) : 지지격자 전체 (6) : 격자
(7) : 핵연료봉 (8) : 눈모양
(9) : 단면 윤곽선
본 발명은 핵연료 집합체의 구조를 이루는 주요 부품의 일종으로서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 유지, 적절한 힘으로 핵연료봉을 지지, 진동 마모방지, 냉각수의 원활한 흐름, 높은 혼합 효과, 지진이나 냉각수 상실 사고시에 구조 강도 유지등 필요한 모든 기능을 한가지 구조형상을 적절하게 반복 배치한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 격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지지 격자들은 상기한 여러 기능들은 만족시키기 위하여 제 1 도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조들을 몇가지씩 배합하여 만들었는데, 복잡한 구조를 좁은 공간에 배치하는데 많은 무리가 있어, 모든 기능을 다 만족시키지 못하고, 제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격자는 단일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성이 우수하고, 필요한 모든 기능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키도록 특별하게 고안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지 격자는 제 2 도와 같은 단일 구조체(1)로 되어있다.
이 모양은 언뜻보면 민속놀이에 사용되는 탈 모양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각 부분의 높이를 나타낸 등고선(2)이다.
이 단일 구조체는 지극히 쉽게 만들수 있는데, 먼저 두께가 약 0.5mm의 지르코늄 합금판에서 양 눈섭과 코 모양으로 된 윤곽선(3)을 절단한 다음에, 프레스로 등고선으로 표시된 형사을 찍어 내면 된다.
지지 격자는 이러한 단일 구조를 대칭 위치에 반복하여 배치하면 만들어 지는데, 핵연료봉 1개를 지지하는 단일 지지 격자(4)는 제3도와 같다.
단일 격자는 4개의 면으로 구성이 되는데, 격자의 한 면은 제2도의 단일 구조 2개를 선대칭이 되도록 맞부쳐 놓은 것이다.
단일 격자의 마주보는 두면은 서로 면 대칭 위치에 배치 되어 있는데, 단일 격자를 상,하로 나누어, 상부에서 한 쌍의 면이 안쪽으로 가까이 붙어 있으면, 하부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고, 다른 한 쌍은 이것과 반대로 되어있다.
즉, 상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이 ')' 이면, 그 하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은 '(' 이고, 상기 상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와 마주보는 또다른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은 '(' 이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은 ')'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이 '(' 이면, 그 하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은 ')' 이고, 상기 상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와 마주보는 또다른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은 ')' 이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격자의 단일 구조 수직단면은 '('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수직단면이 '(' 인 단일 구조와 상부에 배치된 지지격자의 수직단면이 ')' 인 단일 구조는 일측면이 연결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일 격자는 단일 구조를 대칭 위치에 배치 하여 만들어지며, 지지 격자 전체(5)는 제4도와 같이 단일 지지격자들이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 모양 즉, 2개의 단일 구조체(1)가 서로 선대칭되도록 배치된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단일 지지격자의 면이 일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단일 지지격자에 속하도록(교집합을 이루도록) 배치된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일 외곽에 배치된 격자(6)는 외곽면의 반쪽이 핵연료봉을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여기에는 아무런 형상을 만들지않고, 그대로 놓아두면 된다.
제4도에서는 지면의 크기를 고려 4×4 크기를 그려 놓았는데 실제 설계에서는 원하는 크기만큼 지지격자의 크기를 늘릴수 있다.
이와같은 지지 격자는 핵연료 집합체에서 요구되는 모든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것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 격자에 핵연료봉(7)이 배치된 모양은 제4도와 같은데 이 모양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핵연료봉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있다.
지지 격자에 끼워진 핵연료봉은 상부에서 안쪽으로 마주 보며 배치된 4개의 눈모양(8)에 의하여 4점 접촉을 하고 하부에서는 90°로 틀어진 방향에서 4점 접촉을 하고 있는데, 이 구조는 매우 안정이 되어 있어, 핵연료봉을 항상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핵연료의 상부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단일 구조에 돌출·형성된 4개의 눈모양에 의해 4점 접촉되고, 핵연료의 하부는 핵연료의 상부에 접촉되지 않은 단일 구조와 선대칭되도록 하부에 배치된 또다를 단일 구조에 돌출·형성된 4개의 눈모양에 의해 4점 접촉된다.
각각의 접촉점들은 핵연료봉에 약간의 미는 힘을 작용 하는데, 이 스프링 힘이 너무크면, 핵연료봉이 열팽창이나, 중성자 조사 성장에 의하여 늘어나는 것을 방해하여, 핵연료봉이 굽어지게 된다.
또한, 이 힘이 너무 작으면 핵연료봉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한다.
따하서, 스프링 힘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도의 코 모양으로된 형상(3)의 길이나 크기를 변화시키면 스프링힘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스프링힘은 원자로에서 사용기간 동안에 적절하게 유지되는데, 불의의 사고로 이러한 스프링 힘을 상실하고 핵연료봉과 지지 격자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생길 수도 있다.
이때에 핵연료봉은 냉각수의 흐름에 유발되어 진동을 하게되고, 핵연료봉이 지지 격자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피복관의 마모가 발생한다.
이러한 마모는 접촉점이 많고, 그 면적이 넓을 때에는 마모 깊이가 얕아져서 피복관이 관통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핵연료봉과 지지 격자 사이의 접촉점이 8개나 되며, 제2도의 눈모양(8)처럼, 접촉부분이 길고 넓으므로 진동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다.
원자로의 노심에서 냉각수는 4개의 핵연료봉이 이루는 조그마한 부수로 사이를 고속으로 흘러간다.
이러한 냉각수의 흐름이 지지 격자 위치에서는 방해를 받게 되는데, 구조가 복잡하고, 옆으로 튀어 나온것이 많거나,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곳에서 저항이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의 지지 격자는 양 단에서는 냉각수의 흐름을 방해하지만, 내부에서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옆으로 튀어나온 요소들이 전혀 없으므로 냉각수의 흐름이 매우 원할하다.
이러한 냉각수는 제3도 및 제4도의 단일 지지 격자의 단면 윤곽선(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 지지격자중의 일측 단일구조체가 핵연료봉(7) 상부에 접촉되면, 상기 단일 구조체와 선대칭으로 배치되도록 하부에 배치된 단일구조체는 핵연료봉(7) 하부에 접촉되지 않게 되고, 상기 핵연료봉(7) 상부에 접촉된 단일 구조체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배치된 또 다른 단일 구조체는 핵연료봉(7) 상부에 접촉되지 않게 되며, 상기 핵연료봉(7) 상부에 접촉되지 않은 단일 구조체와 선대칭으로 배치된 단일 구조체는 핵연료봉 하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지지격자와 핵연료봉의 접촉이 없는 부분을 따라 흐르게 된다. 즉, 냉각수의 들어가는 입구와 나가는 출구가 90°돌려져 있으므로, 냉각수의 혼합이 잘 되고, 또한 지지 격자 전체가 완만하게 비틀어 놓은 긴 관을 형성하고 있고, 냉각수가 이 관을 통과하므로, 출구를 빠져나간 냉각수는 아주 먼 거리까지, 그 관성을 유지하여, 냉각수의 혼합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지지 격자의 구조적 강도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격자판의 두계 및 폭에 의하여 결정이 되며, 본 발명에서는 제2도의 코모양 윤곽선(3)의 길이를 작게 하면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핵연료 집합체의 구조를 이루는 주요 부품의 일종으로서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핵연료봉 지지격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격자는 2개의 돌출·형성된 눈모양(8)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단일 구조체(1)를 서로 선대칭되도록 연결·배치하여 하나의 면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두 개의 면만이 서로 대칭되도록 4개의 면을 연속·연결배치하여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단일 지지격자(4)를 형성하며, 상기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단일 지지격자(4) 일측에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단일 격자가 형성되도록 2개의 단일 구조체(1)가 서로 선대칭되도록 연결·배치된 면을 연속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격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단일구조체에 2개씩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는 눈모양(8)에 의해 핵연료봉(7)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핵연료봉 상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단일구조체에 연결·배치된 또다른 단일구조체의 하부에 각각 선대칭되도록 배치된 단일구조체의 눈모양(8)에 의해 핵연료봉(7) 하부가 지지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 격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격자와 핵연료봉의 접촉되지 않는 부분을 통해 냉각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KR1019960009748A 1996-04-01 1996-04-01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Expired - Lifetime KR10023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748A KR100234617B1 (ko) 1996-04-01 1996-04-01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748A KR100234617B1 (ko) 1996-04-01 1996-04-01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850A KR970071850A (ko) 1997-11-07
KR100234617B1 true KR100234617B1 (ko) 1999-12-15

Family

ID=1945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748A Expired - Lifetime KR100234617B1 (ko) 1996-04-01 1996-04-01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354B1 (ko) * 1999-06-11 2002-04-01 장인순 핵연료집합체의 바가지형 혼합날개 지지격자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85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2763A (en) Nuclear reactor fuel element assemblies
US3379619A (en) Fuel assembly for nuclear reactors
US3439737A (en) Spacer grid for heat exchange elements with mixing promotion means
US5135710A (en) Filtration plate associated with a lower connector of a fuel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US5444748A (en) Grid structure for supporting fuel rods in a nuclear reactor
KR910008736A (ko) 원자로 연료조립체용 필터
KR100246111B1 (ko) 핵연료 어셈블리에 쓰이는 지느러미형 혼합부재를 구비한 그리드
JPH01173898A (ja) 原子炉燃料集合体の支持格子
JPS6142834B2 (ko)
JPH07198884A (ja) スペーサ
KR930011448B1 (ko) 일체형 경사 파형을 갖는 지지 그리드
US3852154A (en) Nuclear reactor spacer device
KR970004351B1 (ko) 비등수형 원자로의 연료집합체
JP2504668B2 (ja) 噛合い式ストリップから形成された水素化物抵抗性スペ―サ
KR100234617B1 (ko)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모든 기능을 단일 구조로 수행하는 일체형 지지격자
US6744843B2 (en) Side-slotted nozzle type double sheet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ies
KR970003785B1 (ko) 스플릿형 콘 스페이서 그리드
JP5322439B2 (ja) 核燃料集合体
JPH08254590A (ja) 核燃料棒用スペーサ
KR940001181A (ko) 그리드용 에너지 분포 외부 스트립
KR100844879B1 (ko) 연료봉 프레팅 마모저항성이 향상된 w형 및 m형 스프링을구비한 지지격자
KR940001178A (ko) 핵 연료 조립체 및 그 조립체용 격자
SE9500974L (sv) Föroreningsuppfångande undre stödgaller i en kärnreaktor
JPS5831118Y2 (ja) 原子炉燃料集合体の支持格子
KR101071286B1 (ko) 내부 격자판의 교차영역에서 핵연료봉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탄성 지지판이 삽입된 지지격자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7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