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526B1 -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 Google Patents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526B1
KR100234526B1 KR1019970046031A KR19970046031A KR100234526B1 KR 100234526 B1 KR100234526 B1 KR 100234526B1 KR 1019970046031 A KR1019970046031 A KR 1019970046031A KR 19970046031 A KR19970046031 A KR 19970046031A KR 100234526 B1 KR100234526 B1 KR 100234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butane gas
cam
holding member
but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722A (ko
Inventor
김동숙
Original Assignee
김동숙
주식회사코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숙, 주식회사코베아 filed Critical 김동숙
Priority to KR101997004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5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 F17C2205/0373Adap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5Vessel or content identifications, e.g. labels
    • F17C2205/058Vessel or content identifications, e.g. labels b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는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과 접속되는 접속홀(10′)이 파여지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접속홀(1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노즐체(11a)를 통해 분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노즐체(11a)를 통해 분사되는 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토록 한 접속몸체(10)와; 상기 접속몸체(10)의 하단측으로 부탄가스용기(G)의 절개홈(1a)에 끼워지는 위치결정편(21)을 돌출 성형하고,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는 걸림턱(22a)이 형성된 복수의 탄지편(22)들이 구비되는 홀딩부재(20)와;
상기 홀딩부재(20)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접속몸체(1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으로 상기 접속홀(10′)과 연통되게 통과홀(33)이 뚫어져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이 접속되도록 하고, 그 외측에는 상기 탄지편(22)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되는 캠돌기(31)들의 돌출되어 홀딩부재(20)와 어긋나게 회전될 때 탄지편(22)을 벌어지게 하여 걸림턱(22a)이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게 하는 캠(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30)에는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탄지편(22)이 캠돌기(3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40)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기 전에 캠(30)과 홀딩부재(20)가 위치 어긋나서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고장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본 발명은 부탄가스용기와 노즐의 형태가 다른 가스기구를 보다 용이하게 접속시키는 접속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및 이동이 자유로운 각종 가스기구에는 소형의 가스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휴대용 가스용기로는 주로 가정이나 야외에서 보통의 기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탄가스용기와, 등산과 같이 야외의 환경과 달리 그 온도와 기압등이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한 돔형의 고압가스용기를 사용하는 경우로 구분되어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들 가스용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스기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탄가스 용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길이가 긴 원통형 용기형상을 갖게 되며, 고압가스용기는 그 용도를 구분하기 위해 용기형상이 길이가 짧은 돔형상(도시없음)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부탄가스와 고압가스용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부의 구조와 형상차이점을 갖게 있으므로, 가스기구와의 결합방법에도 많은 차이점을 갖고 있다.
즉, 통상의 부탄가스용기(G)는 가스 공급수단인 노즐형상이 가는 파이프형상의 분출구(2)가 돌출되어, 이 분출구(2)를 부탄가스용기(G)내부를 향해 압압하는 것에 의해 가스통로가 개방되어 접속된 가스기기에 가스를 공급토록 한다.
또, 고압가스용기는 그 노즐형상이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구(2)와 달리 가스기기와 나사 결합토록 비교적 큰 직경의 나선부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노즐공이 뚫어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가스기구의 종류에 따라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스용기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그 접속수단이 서로 다른 관계로 접속이 불가능하여, 해당 가스용기를 항상 별도로 준비해야만 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스용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접속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가 필요로 하였던 것이다.
이 어댑터의 구성은 몸체의 저면은 부탄가스용기의 원통형 분출구(2)에 끼워지도록 하고, 몸체에는 노즐체(11a)를 구비함과 아울러, 가스기구에는 이 노즐체(11a)를 접속할 수 있는 체결구조의 접속구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돔형의 고압가스용 용기는 전문 등산가용으로만 사용되어 일반가정의 주변 상가에서는 구입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부탄가스용기(G)만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하 아래에서는 부탄가스용기(G)를 간단히 가스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노즐이 가늘고 긴 파이프구조를 갖는 부탄가스용기(G)는 노즐체(11a)가 선단에 구비된 어댑터 하측으로 우선 접속시킨 다음 어댑터를 매개체로 노즐체(11a)가 가스가구에 접속되는 방법으로 양자의 가스용기를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 어댑터가 부탄가스용기(G)에 선택적으로 착탈되고, 결합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착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착수단으로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6-23782호에서는 어댑터와 부탄가스용기(G)가 보다 우수한 결합력을 유지한 상태로 간단한 조작으로 결착될 수 있도록 된 접속어댑터가 제안된 바 있다.
즉, 접속어댑터의 몸체(10)가 부탄가스용기(G)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결착수단(100)의 구성으로 접속몸체(10)의 하단측으로 부탄가스용기(G)의 절개홈(1a)에 끼워지는 위치결정편(21)을 돌출 성형하고,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는 걸림턱(22a)이 형성된 복수의 탄지편(22)들을 홀딩부재(20)에 성형하여 지지링(1b)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이 탄지편(22)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몸체(10)와 고정되고 캠(30)에 탄지편(22)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되는 캠돌기(31)들의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탄지편(22)이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턱(22a)에 지지링(1b)이 걸려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간단히 부탄가스용기(G)를 잡고 약간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접속몸체(10)와의 결합 및 분해가 이루어 지고, 그 결합력이 우수하고 신속하게 작동되어 누구나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선출원하여 공개된 발명에 의하면, 나름대로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었으나, 취급의 부주의로 인해 제품의 불량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되었다.
즉, 부탄가스용기(G)에 결합되는 홀딩부재(20)를 함께 회전시킬 때 캠(30)에 일정간격 돌출된 캠돌기(31)들에 의해 걸림턱(22a)을 갖는 탄지편(22)들이 벌어져 부탄가스용기(G)의 선단 내측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링(1b)에 걸려져 결합상태를 갖고, 다시 역으로 회전하여 캠(30)의 캠돌기(31)과 탄지편(22)이 위치 어긋나는 것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조작되는 것이다.
이때, 취급의 부주의나 잘못 조작으로 부탄가스용기(G)를 결합시키기 전에 이미, 홀딩부재(20)와 캠(3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의해 캠(30)의 캠돌기(31)들의 위치로 탄지편(22)들이 위치되어 부탄가스용기(G)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태로 탄지편(22)들이 벌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탄지편(22)들이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리도록 벌어진 상태를 이미 유지하고 있으므로 부탄가스용기(G)를 홀딩부재(20)와 결합시킬 때 오히려 탄지편(22)들에 의해 부탄가스용기(G)가 끼워지지 못하도록 저항하는 결과를 갖게 되므로 정상적으로 조립 및 작동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어댑터의 불량 및 고장으로 인식하여 불필요하게 아프터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누구나 취급할 수 있도록 한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 결속력이 정확하여 오동작에 따른 위험의 염려가 없는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동작을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부탄가스용기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일부를 절결하여 확대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어댑터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톱퍼가 가스용기와의 결합에 의해 위치 전환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스톱퍼위치를 보인 요부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몸체 10' - 접속홀
11a - 노즐체 20 - 홀딩부재
22 - 탄지편 22a - 걸림턱
30 - 캠 31 - 캠돌기
40 - 회전방지수단 41 - 스톱퍼
42 - 코일스프링 43 - 축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면에는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과 접속되는 접속홀(10′)이 파여지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접속홀(1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노즐체(11a)를 통해 분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노즐체(11a)를 통해 분사되는 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토록 한 접속몸체(10)와;
상기 접속몸체(10)의 하단측으로 부탄가스용기(G)의 절개홈(1a)에 끼워지는 위치결정편(21)을 돌출 성형하고,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는 걸림턱(22a)이 형성된 복수의 탄지편(22)들이 구비되는 홀딩부재(20)와;
상기 홀딩부재(20)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접속몸체(1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으로 상기 접속홀(10′)과 연통되게 통과홀(33)이 뚫어져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이 접속되도록 하고, 그 외측에는 상기 탄지편(22)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되는 캠돌기(31)들의 돌출되어 홀딩부재(20)와 어긋나게 회전될 때 탄지편(22)을 벌어지게 하여 걸림턱(22a)이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게 하는 캠(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30)에는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탄지편(22)이 캠돌기(3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40)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기 전에 캠(30)과 홀딩부재(20)가 위치 어긋나서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고장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홀딩부재(20)의 일부를 절결하여 탄지편(22)과 회전방지수단(40)의 구성을 보인 상태로 부탄가스용기와 결합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보이고 있다.
도 2는 중앙에 캠(30)이 위치되고 그 외측으로 위치되는 홀딩부재(20)의 탄지편(22) 사이로 회전방지수단(40)이 설치된 상태를 저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접속몸체(10)와 홀딩부재(20) 및 캠(30)이 분해되는 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회전방지수단(40)에 의해 탄지편(22)이 캠돌기(31)의 위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저면도로 확대하여 보이고 있으며, 도 5는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6은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회전방지수단(40)의 위치가 전환되어 탄지편(22)이 지지링(1b)에 걸려지도록 벌어지는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7은 도 6의 회전방지수단(40)으로 설치되는 스톱퍼(41)가 전환된 위치를 저면도로 일부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어댑터는 우선, 고지대 사용이 가능한 고압가스 내장형 돔형가스용기의 경우 그 노즐구조가 본 발명의 어댑터 선단에 구비된 노즐체(11a)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 경우 어댑터의 사용없이 직접 고압가스용기를 가스기구에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 노즐체(11a)에 대응되는 암나사체의 접속구조를 갖는 가스기구에 있어서, 부탄가스용기(G)가 어댑터를 매개체로 가스기구에 접속되는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접속몸체(10)는 저면에 부탄가스용기(G)을 접속하기 위해 분출관(2)과 대응되는 접속홀(10')이 뚫어지고, 상부에는 고압가스용기의 노즐과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노즐체(11a)가 구비되어 부탄가스용기(G)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 접속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접속체이다.
그리고, 이 접속몸체(10)에는 조절손잡이(12)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 및 차단토록 한다.
상기 홀딩부재(20)에는 부탄가스용기(G)에 설치된 밀착판(1)과 밀착되는 데, 이때 그 저면 일측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위치결정편(21)은 상기 절개홈(1a)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좌,우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재(20)의 저면측에는 균등간격으로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끼워지는 위치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지편(22)들을 돌출 형성한다.
이 탄지편(22)들은 상기 홀딩부재(20)와 상기 부탄가스용기(G)에 결합될 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한 밀착판(1)의 내부로 성형된 지지링(1b)의 내측에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데, 이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몸체(10)의 회전시 캠(30)에 의해 걸림턱(22a)이 탄지편(22)과 함께 벌어지며 상기 지지링(1b)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탄지편(22)및 걸림턱(22a)은 첨부도면 도 2와 4에서 홀딩부재(20)의 저면에 균일간격으로 대략 6개가 돌출성형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 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면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서 결착되도록 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되나, 그중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6개로 선택하는 것이 결착력이 우수하여 안정적이다.
한편, 상기 홀딩부재(20)의 상면 일단에 위치표시홈(20)을 성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상기 위치결정편(21)이 돌출된 위치의 그 직상면에 위치표시홈(20)을 설치하므로써,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서의 결합시, 그 정확한 위치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토록 하여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이 위치표시홈(20)에 발광(發光)물질을 도포하면 보다 좋다.
상기 캠(30)은 상기 탄지편(22)들이 상기 걸림홈(1b)에 걸려지게 동작토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캠(30)은 첨부도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몸체(10)의 저면측에 스크류(S)와 같은 결합요소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데, 이 스크류(S)는 상기한 홀딩부재(20)의 일단에 뚫려진 장공(24)에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접속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30)은 상기 접속몸체(10)와 일체로 회전되는 데, 이때 상기 홀딩부재(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 상기 홀딩부재(20)는 상기 스크류(S)에 의해 상기 접속몸체(10)의 저면측과, 상기 캠(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등의 상황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접속몸체(10)가 인위적인 동작에 의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30)이 함께 회동되며 탄지편(22)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이 탄지편(22)에 형성된 걸림턱(22a)이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 내측 중심부 하단에 걸려져 이탈되지 않고 상호 견고히 결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캠(30)에는 탄지편(22)을 단속하는 캠돌기(31)들이 탄지편(22)들과 대응되는 갯수와 같격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탄지편(22)이 캠돌기(31)의 의측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력이 우수한 탄지편(22)들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캠(30)에 다수의 캠돌기(31)들을 돌출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그 중심축의 거리가 긴 장축의 방향이 탄지편(22) 위치로 이동토록 회전하는 것에 의해 탄지편(22)이 벌어지도록 작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캠돌기(31)의 회전은 상기 탄지편(22)의 일단에 위치제한턱(22a)을 형성하여, 이 위치제한턱(22a)에 걸려질 때 그 회전동작이 정지토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상기 탄지편(22)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면 이 탄지편(22)들의 일면에 성형된 걸림턱(22a)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홈(1b)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어 부탄가스용기(G)의 분리가 이루어 지지않는다.
이 경우 상기 캠(30)에는 접속홀(10′)과 연통되게 통과홀(33)이 뚫어져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이 접속홀(10′)에 접속되므로 가스공급이 이루어져 조절손잡이(12)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분출구(2)를 통해 상기 부탄가스용기(G)내에 충진된 가스가 노즐체(11a)을 통해 가스기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 캠돌기(31)가 이루는 회전 궤적이 상기 탄지편(22)들의 내주면 원주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 진다. 또, 상기 탄지편(22)들은 그 자체적으로 탄력을 보유하는 합성수지재등으로 성형하여, 복원되는 동작이 자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접속상태를 분리코자 할 때에는 상기 캠(30)을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캠돌기(31)로 부터 상기 탄지편(22)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이탈시키면, 상기 탄지편(22)들이 자체 탄력에 의해 원위치 복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홈(1b)에서 이탈가능하게 되어, 상기 홀딩부재(20)를 전체적으로 상기 부탄가스용기(G)상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이 접속몸체(10)의 결착및 분해를 위해 캠(30)을 회동시키는 동작은 부탄가스용기(G)에 위치결정편(21)이 결합된 상태이므로 받침편(20)을 잡고 접속몸체(10)를 원하는 조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역으로 접속몸체(10)를 고정하고 부탄가스용기(G)를 회동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부탄가스용기(G)를 홀딩부재(20)에 접속하기 직전 오동작으로 홀딩부재(20)의 위치가 잘못 회동되어 결합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40)을 설치하는 데 있다.
즉, 상기 캠(30)에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탄지편(22)이 캠돌기(3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수단(4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 회전방지수단(40)으로는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캠(30)에 탄지편(22)이 캠돌기(31)에 의해 벌어지기 위해 진입되는 도입부에 축핀(4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스톱퍼(41)를 코일스프링(42)으로 탄력 설치하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 스톱퍼(41)는 코일스프링(42)에 의해 축핀(43)을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되, 일단에는 캠(30)에 일체로 성형된 지지부(44)에 의해 단속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축핀(43)을 축으로 타측단(도면에서 좌측단)부가 더이상 하측으로 하강되지는 않은 상태에서 캠(30)으로 부터 대략 직각되게 돌출된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 스톱퍼(41)에 의해 홀딩부재(20)의 탄지편(22)이 걸려져서 캠돌기(31)와의 접촉을 위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탄가스용기(G)가 아직 결합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탄지편(22)이 캠돌기(31)와 접촉되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부탄가스용기(G)를 결합시킬 때에는 부탄가스용기(G)의 밀착판(1)이 자유상태로 코일스프링(42)의 탄력에 의해 돌출되어 있는 스톱퍼(41)의 끝단부를 진행방향으로 밀어내는 결과로 스톱퍼(41)가 도 6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축핀(43)을 축으로 회전되며 세워지게 된다.
이때, 부탄가스용기(G)를 잡고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접속몸체(1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캠(30)으로 부터 홀딩부재(20)의 탄지편(22)이 회전가능하게 되어, 캠돌기(31)의 위치에서 탄지편(22)들이 벌어져 지지링(1b)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부탄가스용기(G)가 이탈되지 않고 접속몸체(10)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역으로 부탄가스용기(G)를 분해시키고자 할 때는 부탄가스용기(G) 내지는 접속몸체(10)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알려진 바와같이 탄지편(22)이 벌어진 상태에서 대략 수직상태로 복귀되어 지지링(1b)과 분해 가능항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부탄가스용기(G)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회전방지수단(40)의 스톱퍼(41)는 코일스프링(42)에 의해 다시 캠(30)의 외측으로 대략 직각되게 돌출된 상태로 지지부(44)에 의해 상태 고정되고, 오동작이나 충격등에 의해 캠(30)과 홀딩부재(20)가 회전되며 부탄가스용기(G)와 접속몸체(10)의 조립을 방해하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축핀(43)은 조립을 위해 작은나사로 적용하는 것이 조립성면에서 좋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 스톱퍼(41)에 의한 회전방지수단(40)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기 전에 캠(30)과 홀딩부재(20)가 위치 어긋나서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고장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어떠한 기구적 수단도 본 발명의 범주안에 속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기 전에 캠(30)과 홀딩부재(20)가 위치 어긋나서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고장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저면에는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과 접속되는 접속홀(10′)이 파여지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접속홀(1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노즐체(11a)를 통해 분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노즐체(11a)를 통해 분사되는 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토록 한 접속몸체(10)와;
    상기 접속몸체(10)의 하단측으로 부탄가스용기(G)의 절개홈(1a)에 끼워지는 위치결정편(21)을 돌출 성형하고,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는 걸림턱(22a)이 형성된 복수의 탄지편(22)들이 구비되는 홀딩부재(20)와;
    상기 홀딩부재(20)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접속몸체(1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으로 상기 접속홀(10′)과 연통되게 통과홀(33)이 뚫어져 부탄가스용기(G)의 분출관(2)이 접속되도록 하고, 그 외측에는 상기 탄지편(22)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되는 캠돌기(31)들의 돌출되어 홀딩부재(20)와 어긋나게 회전될 때 탄지편(22)을 벌어지게 하여 걸림턱(22a)이 부탄가스용기(G)의 지지링(1b)에 걸려지게 하는 캠(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30)에는 부탄가스용기(G)가 결합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탄지편(22)이 캠돌기(3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40)은 캠(30)에 탄지편(22)이 캠돌기(31)에 의해 벌어지기 위해 진입되는 도입부에 축핀(4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스톱퍼(41)를 코일스프링(42)으로 탄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핀(43)은 작은나사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KR1019970046031A 1997-09-05 1997-09-05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KR100234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31A KR100234526B1 (ko) 1997-09-05 1997-09-05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31A KR100234526B1 (ko) 1997-09-05 1997-09-05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22A KR19990024722A (ko) 1999-04-06
KR100234526B1 true KR100234526B1 (ko) 1999-12-15

Family

ID=1952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031A KR100234526B1 (ko) 1997-09-05 1997-09-05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5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05B1 (ko) 2010-05-24 2011-01-21 (주)엠아이티 부탄가스 용기 어댑터
KR101208924B1 (ko) 2012-10-12 2012-12-06 주식회사 휴브텍 부탄가스 용기용 어댑터
KR200475865Y1 (ko) 2013-04-18 2015-01-07 김관식 가스기구 연결 어댑터
KR101551443B1 (ko) 2014-04-25 2015-09-18 캠프랑 주식회사 휴대용 부탄가스 봄베 어댑터
KR20220141127A (ko) * 2021-04-12 2022-10-19 김영수 부탄가스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54B1 (ko) * 2007-09-03 2008-06-30 국중빈 가스토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05B1 (ko) 2010-05-24 2011-01-21 (주)엠아이티 부탄가스 용기 어댑터
KR101208924B1 (ko) 2012-10-12 2012-12-06 주식회사 휴브텍 부탄가스 용기용 어댑터
KR200475865Y1 (ko) 2013-04-18 2015-01-07 김관식 가스기구 연결 어댑터
KR101551443B1 (ko) 2014-04-25 2015-09-18 캠프랑 주식회사 휴대용 부탄가스 봄베 어댑터
KR20220141127A (ko) * 2021-04-12 2022-10-19 김영수 부탄가스 체결장치
KR102537257B1 (ko) * 2021-04-12 2023-05-26 김영수 부탄가스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22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484B1 (ko) 돔형 고압부탄가스용기 접속용 어댑터
US8210843B2 (en) Gas torch
US7243863B2 (en) Shower head
US7240858B2 (en) Trigger mechanism for watering nozzles
EP3277074B1 (en) Irrigation connectors
KR100234526B1 (ko)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US20060208483A1 (en) Hose connection sleeve
US6056163A (en) Liquid dispenser
JP2009022830A (ja) ブーム多頭噴管におけるノズル切り替えバルブ装置
US20050237742A1 (en) Combination of hose nozzle and flashlight
US20110042420A1 (en) Dispensing tap for beverages
EP1675685B1 (en) Hose guns
JPS6236534Y2 (ko)
KR200475865Y1 (ko) 가스기구 연결 어댑터
KR0129629B1 (ko) 부탄가스 용기의 접속어댑터
CN210700686U (zh) 一种面盖易拆装的花洒
JP3065534U (ja) ド―ム形の高圧ブタンガス容器の接続アダプタ―
KR19990043996A (ko) 분무용 노즐 구조체
KR20000019924U (ko) 부탄가스용기 접속용 어댑터
KR200166497Y1 (ko) 돔형고압부탄가스용기접속용어뎁터의안전장치
CN220590387U (zh) 花洒及淋浴设备
CN111974562A (zh) 面盖易拆装的花洒
KR200377346Y1 (ko) 가스용기의 연결어댑터
TWI767519B (zh) 可調整角度之噴水槍
KR200246687Y1 (ko) 부탄 가스 용기의 연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