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106B1 -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106B1
KR100234106B1 KR1019970069275A KR19970069275A KR100234106B1 KR 100234106 B1 KR100234106 B1 KR 100234106B1 KR 1019970069275 A KR1019970069275 A KR 1019970069275A KR 19970069275 A KR19970069275 A KR 19970069275A KR 100234106 B1 KR100234106 B1 KR 10023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lifting body
valve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205A (ko
Inventor
조영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10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3Wate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4Water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과잉공급될 경우에 세척조의 전방개방부로부터 세척수가 누수되어 용기형태의 베이스커버내에 집수되고, 이 베이스커버내의 수위를 판단기준으로 하여 급수를 부가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급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급수차단장치는 급수배관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세척조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내에 설치되는 급수차단밸브; 세척조의 저부영역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승하는 승강체; 및 승강체와 급수차단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체가 소정 이상 상승하였을 때 상기 급수차단밸브가 급수배관을 차단하도록 작동시키는 전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회로적으로 작동하는 급수차단밸브와 더불어 기구적인 메카니즘을 부가적으로 채용함으로써, 정전시에 식기세척기의 급수밸브가 고장나거나 개방되어 있어도 쉽게 급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급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 세척시에 세척수의 과잉공급으로 인하여 세척조 전방개방부로부터 세척기 하부의 베이스커버부에 집수된 세척수의 수위를 판단기준으로 하여 급수를 부가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급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급수펌프에 의해 공급된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세척하는 장치로서, 그러한 장치중 일예가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식기세척기(100)는 식기를 수용하여 세척하기 위한 공간인 세척조(10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척조에는 상부바스켓(104), 수저케이스(106a)가 수납된 하부바스켓(106), 저수케이스와 호스연결된 상부노즐(108), 하부노즐(110), 및 히터(112)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세척조의 전방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그 하측부 양측에는 도어(114)가 힌지결합되어 세척조의 개방부를 밀폐/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아울러, 도어(114)는 장치 하측의 베이스커버(118)에 내장된 스프링(116)과 케이블연결되어 세척조(102)의 개방부에 유연하게 착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중 세척수순환을 담당하는 장치부에 대해 좀더 살펴보면, 도2에서 보는 바와같이, 장치의 하측에는 분사연결구(120)가 하부노즐(110)과 축방향으로 체결되어 있고, 이러한 분사연결구(120)는 세척펌프(120)와 연계된 상태로 저수케이스(124)와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와 연계된 세척펌프를 구동시켜 저수케이스(124)에 저장된 세척수가 분사연결구(120)를 통해 하부노즐(110)에 고압 전달되게 하면, 하부노즐(110)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세척수 분사되게 되고, 이와 아울러 분사연결구(120)로부터 분지되어 상부노즐(108)에 연결되도록 된 연결호스를 통해 세척수가 역시 고압으로 공급됨으로써 상부노즐(108)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게 된다. 이럼으로써, 세척조(102)내의 상,하부바스켓((104,106)에 내재된 식기 및 수저들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게 된다. 그런 후에 세척수는 세척조(102) 하측으로 이동하여 저수케이스(124)내로 일부 유입되게 된다. 한편, 세척조(102)내에 너무 과도한 세척수가 공급될 때에는 세척수가 도어에 의해 밀폐된 세척조내에 적수되게 되며, 종국에는 세척조와 도어간의 결합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게 된다.
이때, 세척수가 세척조내에 적수될 경우에는 이러한 적수를 방지하여야 하므로, 적정량 이상으로 세척수가 공급되게 되면 저수케이스(124)에 급수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를 차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는 마이콤에 연계되어 공급수의 적정수위를 감지하는 압력스위치를 사용하고, 이차적으로는 압력스위치의 고장을 대비하여 또 다른 압력스위치인 이상스위치를 사용한다. 특히, 세척조와 도어간의 결합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될 경우에는, 세척조 전방 개방부를 통해 누수되는 세척수가 용기형태로 제작된 베이스커버에 고이게 하고 여기에 부양물과 마이크로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급수밸브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중, 부양물과 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한 경우는 여타 경우와는 달리 베이스커버가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용기 형태로써 제작되어 있으며, 그중 일쳬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3에서 보는 바와같이, 급수차단장치(130)는 지지편(132a)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세척조(도2의 102)의 전방 개방부로부터 넘쳐 흐르는 세척수(140)를 수용하는 밀폐용기 형태의 베이스커버(132), 베이스커버의 바닥면에 고정나사(134a)에 의해 체결되어 마이크로스위치(136)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134)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고정브라켓(134)은 베이스커버(132)의 바닥면과 마이크로스위치(136)간에서 부양물(float)(138)이 이동될 수 있도록 중공부를 갖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이중, 부양물(138)은 세척수에 대해 일정 부력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단위장치로서 주로 발포성 압축수지로 제작되고, 마이크로스위치(136)는 부양물(138)의 상승 접촉에 의해 저수케이스(도2의 124)의 급수밸브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세척조(도2의 102)의 전방 개방부로부터 세척수가 누수되어 베이스커버(132)에 고이게 되면, 이러한 세척수에 대한 부력작용에 의해 부양물(138)이 상승 이동하게 되고, 종국에 베이스커버(132)내에 적정량 이상으로 세척수가 고이게 되어 부양물(138)이 마이크로스위치(136)를 접촉하게 됨으로써 저수케이스(도2의 124)의 급수밸브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 급수차단장치는 세척수의 과잉 공급을 감지하기 위해 여타 스위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스위치들은 모두다 회로적으로 작동하여 급수를 차단시키게 되므로, 정전시에 급수밸브가 고장나거나 개방될 경우에는 급수밸브를 차단할 수 없게 됨으로써 다량의 세척수가 계속적으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전시에도 급수밸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수의 과잉 누수를 부가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과잉급수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식기세칙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결사시도,
도2는 식기세척기의 일반적인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용 급수차단장치중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급수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작동후의 도4의 급수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급수밸브 12: 급수배관
20: 급수차단장치 30: 급수차단밸브
32: 밸브체 34: 유동공
40: 전동부 42: 실린더
44: 피스톤 46: 가로바아
46a: 걸림요홈 50: 승강체
52: 가압연동기 54: 스프링
56: 부자재 59: 유입구
60: 호스 70: 베이스커버
80: 세척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수배관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세척조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에 있어서, 급수배관내에 설치되는 급수차단밸브; 세척조의 저부영역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승하는 승강체; 및 승강체와 급수차단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체가 소정 이상 상승하였을 때 급수차단밸브가 급수배관을 차단하도록 작동시키는 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부는, 일단부 영역이 승강체에 맞물려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가로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승강체의 상승이동에 의해 해제되는 가로바아와, 가로바아는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대해 가로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가지며, 급수차단밸브는 가로바아의 해제이동에 의해 차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차단장치(20)는 세칙기 외부로부터 급수밸브(20)를 거쳐 세척기 하측의 저수케이스로 연결되는 급수배관(12)에 연계되어 세척기의 급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급수배관을 차폐하여 급수를 차단하는 급수차단밸브(30), 급수차단밸브와 밀폐된 상태로 연결되어 급수차단밸브를 차폐하도록 하는 전동부(40), 및 세척조 전방개방부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 저장되는 저수케이스(70)내의 세척수 수위에 따라 전동부를 스위칭하는 승강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급수차단밸브(30)는 급수배관(12)상에 횡단방향으로 설치된 밸브체(32)를 갖고 있으며, 밸브체(32)는 그 일부가 관통되어 유동공(34)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배관(12)내의 세척수는 이러한 유동공(34)을 통해 통과되게 된다.
한편, 전동부(40)는 이러한 급수차단밸브(30)와 밀페된 상태로 호스(60) 연결되는 실린더(42)와 피스톤(44)의 결합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밀폐공간내에는 작동유체로써 채워지는데 그중 공기가 바람직하다. 물론, 실린더와 피스톤간은 팻킹 결합되며, 피스톤의 진행방향쪽에는 피스톤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된 가로바아(46)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가로바아(46)는 그 끝단이 장치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제작되며, 걸림요홈(46a)과 같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가로바아(46)에 대향하는 쪽의 피스톤면에는 스프링(48)과 같은 탄성부재가 실린더(42)에 대해 장착됨으로써, 피스톤에 일정 가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승강체(50)는 가압연동기(52)를 사용하여, 가압연동기의 일측에는 부자재(56)와 같은 가압부재가, 그리고 이와 대향하는 타측에는 가압용 스프링(54)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가압연동기(52)의 일측부에는 앞서 설명한 가로바아(46)의 걸림요홈(46a)에 삽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58)과 같은 걸림착탈부가 제작되어 있다. 게다가, 부자재(56)는 베이스커버(7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자재(56)는 세척수(80)와 접촉시에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써 제작되며, 부자재의 설치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가압연동기(5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며, 그 만큼 세척수의 누수감지를 덜 민감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가압연동기(52)는 부자재(56) 및 스프링(54)과 함께 케이스내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케이스는 부자재(56)쪽에 세척수(80)가 유입되기 위해 관통된 유입구(5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커버(70)내에 설정된 수위이상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세척수는 유입구(59)를 통해 부자재(56)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부자재(56)가 케이스내에 밀폐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럼으로써, 스프링(54)의 가압방향과 대향하여 가압연동기(52)를 가압하게 되고, 결국 걸림턱(58)이 걸림요홈(46a)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런 후에, 피스톤(44)은 스프링(48)의 가압작용에 의해 이동되게 되고, 피스톤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가압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밸브체(32)를 가압하여 급수배관(12)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급수차단장치는 베이스커버내의 세척수 수위에 따라 스위칭되고, 이러한 스위칭 결과에 따라 공압을 매개로 하여 급수차단밸브가 급수배관을 차단하도록 하는 기구적인 메카니즘을 채용함으로써, 정전시에 식기세척기의 급수밸브가 고장나거나 개방되어 있어도 쉽게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급수배관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세척조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내에 설치되는 급수차단밸브;
    상기 세척조의 저부영역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승하는 승강체; 및
    상기 승강체와 상기 급수차단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체가 소정 이상 상승하였을 때 상기 급수차단밸브가 상기 급수배관을 차단하도록 작동시키는 전동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일단부 영역이 상기 승강체에 맞물려 상기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가로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승강체의 상승이동에 의해 해제되는 가로바아와, 상기 가로바아는 상기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대해 가로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급수차단밸브는 상기 가로바아의 해제이동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상기 가로바아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수용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는 작용유체와, 상기 작용유체를 상기 급수차단밸브에 전달하여 상기 급수차단밸브가 동작되도록 하는 유체전달 호스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차단밸브는,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내에 급수방향에 가로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급수방향으로 관통된 유동공을 가지고 급수유동 및 급수차단 위치간을 이동가능한 밸브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하부에 설치하여 물의 흡수시 부피팽창함으로써 상기 승강체를 상승시키는 흡수팽창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과잉급수 차단장치.
KR1019970069275A 1997-12-16 1997-12-16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KR100234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75A KR100234106B1 (ko) 1997-12-16 1997-12-16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75A KR100234106B1 (ko) 1997-12-16 1997-12-16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205A KR19990050205A (ko) 1999-07-05
KR100234106B1 true KR100234106B1 (ko) 1999-12-15

Family

ID=1952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275A KR100234106B1 (ko) 1997-12-16 1997-12-16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78A1 (en) * 2016-01-05 2017-07-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water flow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16B1 (ko) * 2002-09-10 2009-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급수차단장치
KR100457576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안전 급수밸브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78A1 (en) * 2016-01-05 2017-07-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water flow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10588479B2 (en) 2016-01-05 2020-03-17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water flow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20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69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FR2480320A1 (fr) Dispositif de securite contre le debordement pour les appareils electro-menagers a circulation de liquides
US20060185700A1 (en) Dishwasher, and gasket for the same
KR100234106B1 (ko) 식기세척기용 과잉급수 차단장치
KR100234103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차단장치
KR100457576B1 (ko) 식기세척기의 안전 급수밸브 어셈블리
KR100796088B1 (ko) 식기 세척기
US3721783A (en) Overflow float arrangement for dishwasher
KR20050102455A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20050105722A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0922216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차단장치
KR100863859B1 (ko) 식기 세척기
KR200152151Y1 (ko) 오버 플로우 방지장치
CN219846439U (zh) 一种清洗机
KR19980045337U (ko) 드럼 세탁기의 배수구조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JP3870358B2 (ja) 食器洗浄機
CN219516153U (zh) 一种拖把桶
CN219846442U (zh) 一种清洗机
CN219410282U (zh) 供液仓及熨烫装置
KR100601432B1 (ko) 식기 세척기용 리드 승강장치
KR0120656Y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GB2039003A (en) A water level control arrangement for dishwashers
KR0113457Y1 (ko) 식기세척기 세척조의 수위감지장치
KR0148638B1 (ko)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