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877B1 -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877B1
KR100233877B1 KR1019970029830A KR19970029830A KR100233877B1 KR 100233877 B1 KR100233877 B1 KR 100233877B1 KR 1019970029830 A KR1019970029830 A KR 1019970029830A KR 19970029830 A KR19970029830 A KR 19970029830A KR 100233877 B1 KR100233877 B1 KR 10023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fixing device
hole
un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618A (ko
Inventor
권명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8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8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with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원격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조준 유니트의 방위각 회전체를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회전체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조준유니트의 프레임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니트 프레임에는 회전체가 결합되어 회전되게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의 일측 중앙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홀에 회전체 고정장치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장치의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축이 상기 유니트 프레임의 홀에 끼워져 회전체가 고정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Description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본 발명은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조준 유니트의 방위각 회전체를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회전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는 조준유니트(1)의 방위각 회전체(2)를 사용중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하고 또는 사용후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2)의 외부에 스프링 강대(3)를 감싸게 설치한다. 상기 스프링 강대(3)에는 규소고무(4)를 압착성형하여 회전체(2)와 마찰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회전체(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스프링 강대(3)의 일측 끝부분은 절곡시키고 양끝부분에 고정레버(5)가 끼워지도록 홀(4)을 형성한다. 조준유니트(1)에는 돌출된 리브(1a)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1a)에는 나사홈(1b)을 형성한다. 상기 조정레버(5)는 손잡이부(6)와 걸림턱(7)과 나사부(8)를 이루며, 상기 스프링 강대(3) 양끝부분에 형성된 홀(3a)에 조정레버(5)의 나사부(8)를 끼워 리브(1a)의 나사홈(1b)에 결합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방위각 회전체(2)를 회전시켜 조정하고 나서 그위치에 회전체(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정레버(5)의 손잡이부(6)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부(8)가 리브(1a)의 나사홈(1b)으로 조여지면서 스프링 강대(3)의 양끝부분이 서로 밀착된다. 이때 스프링 강대(3)의 규소고무(4)가 회전체(2)와 밀착되며 마찰력을 발생시켜 회전체(2)가 조정위치에서 도 2와 같이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레버(5)의 손잡이부(6)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나사부(8)가 리브(1a)의 나사홈(1b)에서 풀리면서 스프링 강대(3)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2)에서 규소고무(4)가 떨어지게 되고 스프링 강대(2)의 양끝부분이 서로 떨어져 회전체(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는 스프링 강대에 압착성형된 규소고무의 특성상 온도에 민감하여 여름철에는 규소고무와 회전체가 붙어서 작동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고, 겨울철에는 규소고무가 얼어서 원하는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아 회전체를 제대로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조준 유니트의 방위각 회전체를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회전체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준유니트의 프레임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니트 프레임에는 회전체가 결합되어 회전되게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의 일측 중앙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홀에 회전체 고정장치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장치의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축이 상기 유니트 프레임의 홀에 끼워져 회전체가 고정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구성도
도 2는 종래 조준유니트의 회전체를 고정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체 고정장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준유니트의 회전체에 고정장치가 설치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조준유니트의 회전체가 회전할수 있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니트 프레임 12 : 홀
13 : 베어링 14 : 회전체
15 : 장착홀 16 : 고정장치
17 : 부싱 17a : 구멍
18 : 고정홀 19 : 스프링
20 : 고정축 21 : 이탈방지턱
22 : 고무링 23 : 고정레버
24 : 캠 25 : 힌지핀
26: 스크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회전체 고정장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조준유니트의 회전체에 고정장치가 설치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 조준유니트의 회전체가 회전할수 있는 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조준유니트의 유니트 프레임(11)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홀(12)을 형성하며, 상기 유니트 프레임(11)에는 회전체(14)가 결합되어 회전되게 유니트 프레임(11)과 회전체(14) 사이에 베어링(13)을 설치한다. 상기 회전체(14)의 일측 중앙에는 장착홀(15)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홀(15)에 회전체(14)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6)를 결합한다. 상기 회전체(14)가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장치(16)의 고정축(20)이 상기 유니트 프레임(11)의 홀(12)에 끼워져 회전체(14)가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장치(16)는 부싱(17)의 내부에 단이지게 구멍(17a)을 이루며, 상기 구멍(17a)의 내측에는 스프링(19)과 스프링 이탈방지턱(21)이 형성되고 방수를 위한 고무링(22)이 중앙에 끼워진 고정축(20)을 삽입한다. 상기 고정축(20)의 외측은 고정레버(23)를 이룬 캠(24)과 힌지핀(25)으로 결합한다. 상기 부싱(17)은 외측에 형성된 고정홀(18)을 통하여 스크류(26)로 회전체(14)와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축(14)은 내측 끝단이 모따기를 하여 상기 유니트 프레임(11)의 홀(1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9)은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축(20)에는 방수를 위해 고무링(22) 대신 그리스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체(14)를 방위각 위치로 회전하고자 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고정장치(16)의 고정레버(23)를 상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힌지핀(25)을 중심으로 캠(24)이 회전되며 편심이 큰면이 부싱(17)에 밀착되어 고정축(20)이 캠(24)의 편심에 의해 6mm만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축(20)의 이탈방지턱(21)이 스프링(19)을 외측으로 밀어 압축되게 하면서 유니트 프레임(11)에 형성된 홀(12)에서 고정축(20)의 내측 끝부분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방위각 회전체(14)를 유니트 프레임(11)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각도로 회전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14)를 원하는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고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고정장치(16)의 고정레버(13)를 원상태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캠(24)의 편심이 작은면이 부싱(17)에 밀착된다. 이때 부싱(17)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9)이 복원력에 의해 고정축(20)의 이탈방지턱(21)을 내측으로 밀게 되어 고정축(20)은 내측으로 6mm만큼 이동되며 모따기가된 끝단부가 유니트 프레임(11)의 홀(12)에 끼워져 회전체(14)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 고정장치는 모든 저회전 회전체의 고정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회전을 하는 회전체를 기구적인 작동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고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회전체 고정장치에 있어서,
    조준유니트의 유니트 프레임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유니트 프레임에는 회전체가 결합되어 회전되게 유니트 프레임과 회전체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의 일측 중앙에는 장착홀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홀에 회전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시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장치의 고정축이 상기 유니트 프레임의 홀에 끼워져 회전체가 고정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부싱의 내부에 단이지게 구멍을 이루며, 상기 구멍의 내측에는 스프링과 스프링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고정축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은 고정레버를 이룬 캠과 힌지핀으로 결합하며, 상기 부싱은 외측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하여 스크류로 회전체와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중앙에는 방수를 위한 고무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중앙에는 방수를 위한 그리스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내측 끝단이 모따기를 하여 상기 유니트 프레임의 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KR1019970029830A 1997-06-30 1997-06-30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KR10023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30A KR100233877B1 (ko) 1997-06-30 1997-06-30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30A KR100233877B1 (ko) 1997-06-30 1997-06-30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18A KR19990005618A (ko) 1999-01-25
KR100233877B1 true KR100233877B1 (ko) 1999-12-01

Family

ID=1951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830A KR100233877B1 (ko) 1997-06-30 1997-06-30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093A (ko) * 2002-07-09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라인의 칩 제거 장치
KR101516714B1 (ko) * 2013-11-22 2015-05-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비드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18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737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KR20020035046A (ko) 전기전자기기의 힌지장치
US5970819A (en) Operating device of opening-closing body
WO2002084056A3 (en) Clip friction hinge with housing
US20140011598A1 (en) Overload protection torque transmission device
KR20040030593A (ko) 앵글 조인트
KR100233877B1 (ko) 조준유니트의 회전체 고정장치
CN100358329C (zh) 铰链装置
KR100340226B1 (ko)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KR100330065B1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KR100463866B1 (ko) 전기전자기기의 힌지장치
KR200244606Y1 (ko) 엘씨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396594B1 (ko) 천장 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JPS6339439A (ja) 小型回転機
KR100315054B1 (ko)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JPS63303252A (ja) オ−トテンシヨナ
KR20230073049A (ko) 공간방역 상태에 따른 포그량 자동조절장치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KR100383730B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JPH081238B2 (ja) ベルト用オートテンショナ
CN209821497U (zh) 调节装置
JPH05343908A (ja) アンテナの基礎
US5951170A (en) Tapered resilient sleeve bearing assembly
KR910001111Y1 (ko) 경첩의 회전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