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724B1 - 광 컨넥터 결속체 - Google Patents

광 컨넥터 결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724B1
KR100232724B1 KR1019960040726A KR19960040726A KR100232724B1 KR 100232724 B1 KR100232724 B1 KR 100232724B1 KR 1019960040726 A KR1019960040726 A KR 1019960040726A KR 19960040726 A KR19960040726 A KR 19960040726A KR 100232724 B1 KR100232724 B1 KR 10023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ptical
hook
alignment member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775A (ko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40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72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724B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시 사용되는 다심 광 케이블 컨넥터를 손쉽게 결속 및 분리할 수 있는 광 컨넥터 결속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을 구비하는 정렬부재(20)에 끝단면에 광섬유(1)의 끝단면이 위치되는 페룰(11)을 지니는 한 쌍의 컨넥터(10)를 서로 대향되게 결합함에 있어 상기 컨넥터(10)가 정렬부재(20)에 조립되었을 때, 각각의 컨넥터(1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인장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훅크(41)를 이용하여 컨넥터(10)의 걸림턱(13)에 결합함으로써 아암(45)이 몸통(40a)속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결속되게 됨으로 컨넥터(10)의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광 컨넥터 결속체
본 발명은 다심 광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시 사용되는 다심 광 케이블 컨넥터를 손쉽게 결속 및 분리할 수 있는 광 컨넥터 결속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 섬유로 된 광화이버(광섬유) 즉, 광 케이블이 매개체가 되며,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전자 자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 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는데,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분기가 필요한 경우 스프리터(Splitter), 광섬유 증폭기 혹은 컨넥터(Connector)가 사용된다.
최근 정보화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보다 많은 광 케이블의 선로가 요구되게 되었는데, 최근에는 광 케이블을 광섬유를 띠형상으로 일체화시킨 리본형 광 케이블로 제작하여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심 광 케이블은 그 선로 상에서 케이블을 분기 혹은 접속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그에 맞는 다심용 컨넥터가 요구 되게 되었다.
광섬유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실제로 광섬유의 심선을 서로 연결하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특히 광 케이블의 선로에서 리본형 광 케이블의 심선들을 모두 바르게 연결시켜야 하지만 광케이블의 심선 중 어느 하나라도 바르게 연결되지 않을 경우 접속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심 컨넥터는 그 구조적 광 케이블의 심선이 바르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다심 광 케이블의 컨넥터는 광 케이블의 설치장소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아 컨넥터를 통해 접속된 광 케이블의 심선이 서로 어긋나면 빛(신호)의 전달이 손실되거나 차단되어 통신이 두절되는 통신장애가 발생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광 케이블의 심선은 주로 땅속 혹은 관로 및 해저 등에 주로 설치되게 됨으로 컨넥터의 접속 및 분기작업 혹은 케이블의 유지 보수작업시 설치장소의 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컨넥터의 접속 및 분기 작업 혹은 케이블의 유지 보수작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컨넥터의 접속 및 분기 작업시 통신기기의 단자함과 같이 접속컨넥터를 간결하게 정렬 혹은 배치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는 추후에 광케이블의 유지 보수시 혹은 케이블의 불통선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광 케이블의 설치과정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다양한 광 케이블 접속용 컨넥터가 개발되게 되었다. 광 케이블 접속용 컨넥터의 일 예는 특허출원 제95-38970호, 특허출원 제95-71047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5085호에서 상세히 개시된 바 있다.
일 예로 특허출원 제95-38970호에 개시된 종래의 광 컨넥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광 컨넥터는 다심 광 케이블(1)의 심선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일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페룰(11)을 포함하는 한 쌍의 컨넥터(10)와,
전술한 페룰(11)을 수용하는 관통공(21)을 갖는 정렬부재(20)와,
내부가 빈 직사각형상을 구성하는 몸체의 일측벽에는 보강부재(31)가 부설되되, 그 양단부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탄성체(32)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32)의 사이에 소정크기로 절결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컨넥터(10)와 정렬부재(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스(30)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넥터(10)를 정렬부재(20)에 결합한 뒤 컨넥터와 정렬부재가 고정되도록 케이스(30)속으로 삽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컨넥터가 결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30)를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다심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한 곳에 컨넥터(10)를 설치하여 그 컨넥터(10)들을 서로 결속함에 있어 필요이상으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스(30)에 수납된 컨넥터(10)와 정렬부재(20)를 꺼낼 경우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홀(33)속으로 핀을 삽입하여 컨넥터를 밀어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창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컨넥터들을 서로 결속하여 그 결속 및 분리함에 있어 컨넥터의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 컨넥터 결속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정렬부재와;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되 끝단부에 광섬유의 단면이 위치되는 페룰을 지니고, 양 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가 정렬부재에 조립되었을 때, 각각의 컨넥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인장수단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 컨넥터 조립체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컨넥터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컨넥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광 컨넥터 조립체에 본 발명에 따른 결속체가 부설된 광 컨넥터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결속체가 광 컨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광섬유 10:컨넥터
11:페룰 13:걸림턱
13a:이탈방지편 20:정렬부재
21:관통공 30:케이스
40:결속체 40a:몸통
41:훅크 43:플랜지
45:아암 47:탄성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가 채용된 광 컨넥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40)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컨넥터조립체에서 인용한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인용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광 컨넥터 결속체(40)는 크게 정렬부재(20)와 컨넥터(10) 및 인장수단으로 구분되어진다.
정렬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통공(21)에는 각각의 컨넥터가 대향되게 결합되어져 각각의 컨넥터속에 삽입된 광섬유의 끝단이 관통공(21)속에서 서로 연결되게 된다.
컨넥터(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광섬유(1)가 삽입되어 광섬유의 끝단면이 노출되는 페룰(11)을 구비하고 있으며, 페룰(11)은 상기 관통공(21)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컨넥터(10)의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이탈방지편(13a)을 갖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장수단은 각각의 컨넥터(10)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결합되어 각각의 컨넥터(1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인장수단은 내부가 빈 몸통(40a)과;
상기 몸통(40a)속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단에는 훅크(41)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플랜지(43)를 갖는 아암(45)과;
상기 플랜지측 아암(45)의 둘레에 위치되어 일단은 상기 몸통(40a)의 내벽에 접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플랜지(43)에 접지되는 탄성체(47)와;
상기 훅크(41)가 결합되어지도록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의 걸림턱(13)을 형성한 컨넥터(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40)는 정렬부재(20)의 관통공(21)속으로 컨넥터(10)의 페룰(11)을 삽입하면 컨넥터(10)는 관통공(21)속에서 광섬유(1)의 양끝단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각각의 컨넥터(10)들을 그 양측면에 형성된 일측의 걸림턱(13)에 훅크(41)를 걸고 타측의 훅크를 다른 걸림턱에 걸어 설치한다.
이 경우 훅크(41)가 각각의 걸림턱(13)에 걸려지면 몸통(40a)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 즉, 스프링(47)이 압축되게 됨으로 압축되어진 스프링은 탄발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훅크(41)는 몸통(40a)속으로 삽입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됨으로 그 힘에 의해 걸림턱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됨으로 케넥터(10)는 정렬부재(20)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인장수단을 각각의 컨넥터(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한다.
참고로, 걸림턱(13)은 그 외측에 직각방향으로 이탈방지편(13a)이 형성되어 훅크(41)가 걸림턱(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만일 컨넥터(10)를 정렬부재(20)로부터 분리할 경우, 훅크(41)를 걸림턱(13)으로 분리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는 상기 컨넥터와 정렬부재가 결속되도록 별도의 케이스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분해작업도 매우 손쉽고 부피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컨넥터 결속체는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당해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기초로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기술적 사상과 범주 및 이하에서 규정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 둔다.

Claims (2)

  1.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을 구비하는 정렬부재(20)와; 서로 반대방향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1)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마주하는 면에는 광섬유의 단부가 위치되는 페룰(11)을 지니는 한 쌍의 컨넥터(10)와; 상기 컨넥터(10)가 정렬부재(20)에 조립되었을 때, 내부가 빈 몸통(40a)속에 설치된 상태에서 항상 중심쪽으로 탄성작용하는 탄성체(47)의 인장력에 의하여 각각의 컨넥터(1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인장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컨넥터 결속체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은 끝부분에 플랜지(43)가 형성된 내측의 일정 부분이 몸통(40a)의 내부에 자유롭게 미끄럼이동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외측 끝부분에 훅크(41)가 형성된 외측의 일정 부분은 몸통(40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아암(45)과;
    상기 각 컨넥터(10)측면의 대칭되는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아암(45)상의 훅크(41)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컨넥터 결속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3)의 바깥쪽 끝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는 걸림상태의 훅크(4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편(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컨넥터 결속체.
KR1019960040726A 1996-09-18 1996-09-18 광 컨넥터 결속체 KR10023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726A KR100232724B1 (ko) 1996-09-18 1996-09-18 광 컨넥터 결속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726A KR100232724B1 (ko) 1996-09-18 1996-09-18 광 컨넥터 결속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775A KR19980021775A (ko) 1998-06-25
KR100232724B1 true KR100232724B1 (ko) 1999-12-01

Family

ID=1947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726A KR100232724B1 (ko) 1996-09-18 1996-09-18 광 컨넥터 결속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7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775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444B2 (en) Remote release tab connector assembly
RU2126545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US4526431A (en) Connector with mechanism for coupling and uncoupling plurality of blocks
EP3029501B1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US4872736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latching mechanism
JP3505237B2 (ja) プラグ保持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デュプレックス型光コネクタ
US5600746A (en) Patch panel and collar for optical fiber couplers
KR0184963B1 (ko) 다심 광 케이블 접속용 콘넥터 조립체
KR100204372B1 (ko) 광섬유 커넥터용 어댑터 조립체
CN110542952B (zh) 一种光纤连接头以及光纤连接器
US5054879A (en) Push/pull fiber optic connector
PL173558B1 (pl) Zespół złącza światłowodowego
JPH0617926B2 (ja) 複式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2009508178A (ja) 光電気コネクタ
EP4134717A1 (en) Prefabricated connector, coupler, and prefabricated connector assembly
US10976502B2 (en) Outdoor rated assembly configured to blind mate opposing fiber optic connectors therein with a safety spring assembly
CN102385114B (zh) 用于容纳混合式连接器部分和光纤连接器部分的适配器
KR100232724B1 (ko) 광 컨넥터 결속체
KR200150790Y1 (ko) 다심 광콘넥터
KR100207056B1 (ko) 광 컨넥터 결속체
KR100207057B1 (ko) 일체형 결속스프링이 설치된 다심 광콘넥터
KR19980066238U (ko) 광커넥터의 결속장치
KR100207054B1 (ko) 초다심 광케이블용 컨넥터 결속체
KR0183133B1 (ko) 다심 광케이블 접속용 콘넥터 조립체
KR100245623B1 (ko)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