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202B1 -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202B1
KR100231202B1 KR1019970066338A KR19970066338A KR100231202B1 KR 100231202 B1 KR100231202 B1 KR 100231202B1 KR 1019970066338 A KR1019970066338 A KR 1019970066338A KR 19970066338 A KR19970066338 A KR 19970066338A KR 100231202 B1 KR100231202 B1 KR 10023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ing
spreader
gantry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7809A (ko
Inventor
김성윤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7006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2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동 위치 디스플레이 단계, 호이스트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 트롤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 및 겐트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 위치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이동될 화물 상자를 탈착하는 스프레더의 수직 및 수평 이동 상태를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호이스트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스프레더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호이스트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호이스트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트롤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수평 이동용 트롤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트롤리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트롤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겐트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겐트리 프레임의 바퀴들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각 겐트리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겐트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본 발명은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겐트리 크레인이란 서로 나란한 두 고가(高架)들의 겐트리 구조를 갖는 화물 운송용 크레인을 말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겐트리 크레인의 외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로 나란한 두 고가들(111, 112)은 겐트리 프레임을 형성하며, 두 고가들(111, 112)의 기둥을 서로 연결하는 실빔(Seal beam)들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들(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1 바퀴(121) 및 제1-2 바퀴(122)는 제1 주행 장치(131)에 의하여 동축상으로 구동된다. 제2-1 바퀴(123) 및 제2-2 바퀴(124)는 제2 주행 장치(132)에 의하여 동축상으로 구동된다. 제3-1 바퀴(125) 및 제3-2 바퀴(126)는 제3 주행 장치(133)에 의하여 동축상으로 구동된다. 제4-1 바퀴(127) 및 제4-2 바퀴(128)는 제4 주행 장치(134)에 의하여 동축상으로 구동된다.
두 고가들(111, 112) 사이의 일측에는 전기 패널실(14)이, 다른 일측에는 디이젤 엔진(15)이, 그리고 상부에는 트롤리(trolley, 16)가 설치되어 있다. 트롤리(16)에 부설된 운전실(17)은, 트롤리(16)에 의하여 수평 이동된다. 트롤리(16)와 구동 로프(20)로 연결된 스프레더(19)는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더(19)는 화물 상자(18)를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전실(17) 내의 운전자가 조이스틱(Joystick)을 조작하여 발생된 제어 신호는 전기 패널실(14)에 입력되고, 전기 패널실(14)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하여 모터가 작동하여 화물 상자(18)를 수평 및 수직 이동시킨다. 수평 이동의 경우, 트롤리(16)에 의하여 운전실(17)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스프레더(19)가 수평 이동하게 된다. 수직 이동의 경우, 구동 로프(20)의 감김과 풀림에 의하여 스프레더(19)가 수직 이동하게 된다. 참조 부호 21은 운전자 등이 운전실(17)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승강기를 가리킨다.
도 2에는 도 1의 크레인의 제어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겐트리 크레인의 제어 시스템은 모니터링 컴퓨터(23), PLC들(24, 25, 26, 27) 및 모터 드라이브들(28, 29, 30, 31)로 대별된다. 모니터링 컴퓨터(23)는 모니터링 프로그램(231), 통신 서버(233) 및 드라이브 구성기(2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라이브 구성기(232)는 모터 드라이브들(28, 29, 30, 31)에 대한 입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기를 의미한다. PLC들(24, 25, 26, 27)은 호스트 PLC(24) 및 서브 PLC들(25, 26, 27)로 구성된다. 서브 PLC들(25, 26, 27)은 모터 드라이브들(28, 29, 30, 31)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부들을 제어하고, 호스트 PLC(24)는 서브 PLC들(25, 26, 27)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터 드라이브들(28, 29, 30, 31)을 제어한다. 호스트 PLC(24)에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241) 및 자체 통신 모듈(242)이 연결되어 있다.
호스트 PLC(24)와 각 서브 PLC(25, 26, 27)와의 통신은 자체 통신 모듈들(242, 251, 261, 271)을 통하여 수행된다. 호스트 PLC(24)와 모니터링 컴퓨터(23)와의 통신은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들(241, 235)을 통하여 수행된다. 모니터링 컴퓨터(23)와 모터 드라이브들(28, 29, 30, 31)과의 통신은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들(234, 281, 291, 301, 311)을 통하여 수행된다. 모니터링 컴퓨터(23)는, 호스트 PLC(24)로부터의 제어 및 상태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입력된 모터 제어 신호를 해당된 모터 드라이브(28, 29, 30, 31)에 전송한다. 화물 박스(도 1의 18)를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 모터(32)는 호이스트 모터 드라이브(28)에 의하여 구동된다. 화물 박스(18)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트롤리 모터(33)는 트롤리 모터 드라이브(29)에 의하여 구동된다. 겐트리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겐트리 모터들(341, 342, 343, 344)은 겐트리 모터 드라이브들(30, 31)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바퀴들이 한 겐트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겐트리 크레인의 각 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프로그램(23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호스트 PLC(24)로부터의 모터 제어 신호만을 처리하여, 중요한 오류 발생 및 현재 상태만을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이해하기 어려워 동작 오류 발생에 즉각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겐트리 크레인의 정밀한 동작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겐트리 크레인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레인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 위치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호이스트 상태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트롤리 상태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겐트리 상태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통신 상태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전원 상태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스프레더 상태 모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이동 위치 모드, 5...호이스트 상태 모드,
6...트롤리 상태 모드, 7...겐트리 상태 모드,
8...통신 상태 모드, 9...전원 상태 모드,
10...스프레더 상태 모드, 18...화물 상자,
19...스프레더, 20...로프,
51, 52, 53, 54, 55, 56, 57...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
51a, 52a, 53a, 54a, 55a, 56a, 57a...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의 의미,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각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
601a, 602a, 603a, 604a, 605a, 606a, 607a, 608a, 609a...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의 의미.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동 위치 디스플레이 단계, 호이스트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 트롤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 및 겐트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위치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이동될 화물 상자를 탈착하는 스프레더의 수직 및 수평 이동 상태를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호이스트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호이스트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호이스트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트롤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수평 이동용 트롤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트롤리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트롤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겐트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겐트리 프레임의 바퀴들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겐트리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겐트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겐트리 크레인의 정밀한 동작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센서의 상대적 위치에는 해당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의미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제어용 부품들의 블록도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원 공급용 부품들의 블록도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원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더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스프레더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되는 신호의 의미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프레더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레더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사용되는 상기 스프레더의 규격, 스프레더 구동용 펌프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스프레더의 동작 방향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이동 위치 모드(4), 호이스트 상태 모드(5), 트롤리 상태 모드(6), 겐트리 상태 모드(7), 통신 상태 모드(8), 전원 상태 모드(9) 및 스프레더 상태 모드(10)를 포함한다.
이동 위치 모드(4)에서는, 이동될 화물 상자(도 1의 18)를 탈착하는 스프레더(19)의 수직 및 수평 이동 상태를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다른 모드들(5, 6, 7, 8, 9, 10)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호이스트 상태 모드(5)에서는, 스프레더(19)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트롤리 상태 모드(6)에서는, 수평 이동용 트롤리(도 1의 16)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겐트리 상태 모드(7)에서는, 겐트리 프레임의 바퀴들(도 1의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통신 상태 모드(8)에서는, 제어용 부품들의 블록도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전원 상태 모드(9)에서는, 전원 공급용 부품들의 블록도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프레더 상태 모드(10)에서는, 스프레더(19)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스프레더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되는 신호의 의미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스프레더(19)의 규격, 스프레더 구동용 펌프의 동작 상태 및 스프레더(19)의 동작 방향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겐트리 크레인의 정밀한 동작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는 도 3의 이동 위치 모드(4)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위치 모드(4)에서는, 로프(20)에 매달려 화물 상자(18)를 탈착하는 스프레더(19)의 이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다른 모드들(5, 6, 7, 8, 9, 10)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도 5에는 도 4의 호이스트 상태 모드(5)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화면은 도 4의 호이스트 상태 모드(5)를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이스트 상태 모드(5)에서는, 로프(20)에 매달려 화물 상자(18)를 탈착하는 스프레더(20)의 이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스프레더(19)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51, 52, 53, 54, 55, 56, 57)가 디스플레이된다. 각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51, 52, 53, 54, 55, 56, 57)에는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의 의미(51a, 52a, 53a, 54a, 55a, 56a, 57a)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위치(51)의 의미(51a)는 스프레더(19)의 상향 이동이 긴급히 정지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2 위치(52)의 의미(52a)는 스프레더(19)의 상향 이동이 정지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3 위치(53)의 의미(53a)는 스프레더(19)의 상향 이동의 목표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4 위치(54)의 의미(54a)는 스프레더(19)의 하향 이동이 천천히 시작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5 위치(55)의 의미(55a)는 스프레더(19)의 하향 이동이 천천히 종료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6 위치(56)의 의미(56a)는 스프레더(19)의 하향 이동이 완전히 종료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7 위치(57)의 의미(57a)는 지면 위치라는 것이다.
도 6에는 도 4의 트롤리 상태 모드(6)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화면은 도 4의 트롤리 상태 모드(6)를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롤리 상태 모드(6)에서는, 스프레더(도 1의 19)의 수평 이동을 위한 트롤리(도 1의 16)가 레일(39) 위에서 이동하는 상태가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레일(39)에는 해당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 브래킷의 위치 및 기능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트롤리(16)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를 디스플레이한다. 각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에는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의 의미(601a, 602a, 603a, 604a, 605a, 606a, 607a, 608a, 609a)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위치(601)의 의미(601a)는 트롤리(16)의 정방향 이동이 긴급히 정지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2 위치(602)의 의미(602a)는 트롤리(16)의 정방향 이동의 최종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3 위치(603)의 의미(603a)는 모터의 엔코더에 의한 정방향 진행이 종료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4 위치(604)의 의미(604a)는 정방향 이동에 대한 감속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5 위치(605)의 의미(605a)는 트롤리(16)의 기준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6 위치(606)의 의미(606a)는 역방향 이동에 대한 감속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7 위치(607)의 의미(607a)는 모터의 엔코더에 의한 역방향 진행이 종료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8 위치(608)의 의미(608a)는 트롤리(16)의 역방향 이동의 최종 지점이라는 것이다. 제9 위치(609)의 의미(609a)는 트롤리(16)의 역방향 이동이 긴급히 정지되어야 하는 지점이라는 것이다.
도 7에는 도 4의 겐트리 상태 모드(7)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화면은 도 4의 겐트리 상태 모드(7)를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겐트리 프레임의 네 기둥 영역(71, 72, 73, 74)의 바퀴쌍들에 마련된 리미트 스위치들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제1 기둥 영역(71)에는 제1-1 바퀴(도 1의 121) 및 제1-2 바퀴(도 1의 122)가, 제2 기둥 영역(72)에는 제2-1 바퀴(도 1의 123) 및 제2-2 바퀴(도 1의 124)가, 제3 기둥 영역(73)에는 제3-1 바퀴(도 1의 125) 및 제3-2 바퀴(도 1의 126)가, 그리고 제4 기둥 영역(74)에는 제4-1 바퀴(도 1의 127) 및 제4-2 바퀴(도 1의 128)가 할당된다. 각 바퀴 영역에는 7 개의 리미트 스위치들이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각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들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바퀴쌍들이 회전하면 그 방향을 화살표(711, 721, 731, 741)로써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각 바퀴(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의 회전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네 기둥 영역(71, 72, 73, 74)의 하부(75)에는 각 리미트 스위치 위치의 의미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751)는 해당되는 바퀴가 기준 라인과 일치된 상태라는 의미이다. 제2 위치(752)는 해당되는 바퀴가 기준 라인으로부터 25。 회전된 상태라는 의미이다. 제3 위치(753)는 해당되는 바퀴가 기준 라인으로부터 90。 회전된 상태라는 의미이다. 제4 위치(754)는 해당되는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잠긴 상태라는 의미이다. 제5 위치(755)는 해당되는 바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풀려진 상태라는 의미이다. 제6 위치(756)는 해당되는 바퀴를 잠그기 위하여 빗장이 삽입되는 상태라는 의미이다. 제7 위치(757)는 해당되는 바퀴를 풀기 위하여 빗장이 빠지는 상태라는 의미이다.
도 8에는 도 4의 통신 상태 모드(8)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화면은 도 4의 통신 상태 모드(8)를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상태 모드(8)에서는, 제어용 부품들의 블록도가 디스플레이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신호가 전송되면 그 연결 라인이 식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각 블록의 기능은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9에는 도 4의 전원 상태 모드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화면은 도 4의 전원 상태 모드(9)를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원 상태 모드(9)에서는, 전원 공급용 부품들의 블록도가 디스플레이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면 그 연결 라인이 식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전원 발생부(91)에는 충전기(911), 디젤 엔진(912), 발전기(913), 자동 전압 조정기(914) 및 제1 자동 차단기(915)를 포함한다. 디젤 엔진(912)은 충전기(911)로부터의 시동 전압에 의하여 동작되고, 이에 따라 발전기(913)에서 교류 전압이 발생된다. 발생된 교류 전압은 제1 자동 차단기(915)를 통하여 출력되는 한편, 자동 전압 조정기(914)에 입력된다. 자동 전압 조정기(914)는 입력된 교류 전압을 강하 및 정류하여 충전기(911)에 공급한다. 여기서 각 부 사이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해당되는 연결 라인이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전원 발생부(91)로부터의 교류 전압은, 제2 자동 차단기(921)를 통하여 제1 모터 드라이브(922)에, 제3 자동 차단기(931)를 통하여 제2 모터 드라이브(932)에, 그리고 제4 자동 차단기(941)를 통하여 제3 모터 드라이브(942)에 공급된다. 여기서 각 부 사이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해당되는 연결 라인이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제1 모터 드라이브(922)는 제1, 2 겐트리 모터들(923, 925) 및 그 브레이크 모터들(924, 926)을 구동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모터란, 동력 전달 및 차단의 기능을 하는 모터를 말한다. 제1 겐트리 모터(923) 및 그 브레이크 모터(924)는 제1-1 바퀴(도 1의 121) 및 제1-2 바퀴(도 1의 122)를 구동시킨다. 제2 겐트리 모터(925) 및 그 브레이크 모터(926)는 제2-1 바퀴(도 1의 123) 및 제2-2 바퀴(도 1의 124)를 구동시킨다. 제2 모터 드라이브(931)는 제3, 4 겐트리 모터들(933, 935), 호이스트 모터(937), 및 그 브레이크 모터들(934, 936, 938)을 구동시킨다. 제3 겐트리 모터(933) 및 그 브레이크 모터(934)는 제3-1 바퀴(도 1의 125) 및 제3-2 바퀴(도 1의 126)를 구동시킨다. 제4 겐트리 모터(935) 및 그 브레이크 모터(936)는 제4-1 바퀴(도 1의 127) 및 제4-2 바퀴(도 1의 128)를 구동시킨다. 제3 모터 드라이브(942)는 트롤리 모터(943) 및 그 브레이크 모터(944)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각 부 사이에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해당되는 연결 라인이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에는 도 4의 스프레더 상태 모드(10)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프레더(19)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스프레더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되는 신호의 의미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헤드블록의 오류 상태(101), 헤드블록의 트위스트 락 상태(102), 스프레더 접속 상태(103), 락 검출 상태 (104), 풀림 검출 상태(105), 스프레더 랜딩 상태(106) 및 스프레더 파지 상태(107)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되는 스프레더(19)의 규격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예를 들어, 20 피트용(108), 40 피트용(109) 및 45 피트용(110)의 스프레더 규격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스프레더 구동용 펌프의 동작 상태(191)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겐트리 크레인의 정밀한 동작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에 따라, 동작 오류 발생에 즉각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이동될 화물 상자를 탈착하는 스프레더의 수직 및 수평 이동 상태를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위치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호이스트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호이스트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이스트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
    수평 이동용 트롤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 트롤리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트롤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트롤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 및
    겐트리 프레임의 바퀴들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겐트리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를 발생시킨 겐트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겐트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이스트 센서의 상대적 위치에는,
    상기 각 호이스트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의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롤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에는,
    상기 각 트롤리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의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겐트리 센서의 상대적 위치에는,
    상기 각 겐트리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의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용 부품들의 블록도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용 부품들의 블록도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블록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원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 스프레더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되는 신호의 의미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프레더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는,
    사용되는 상기 스프레더의 규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스프레더 구동용 펌프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스프레더의 동작 방향을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겐트리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각 겐트리 센서로부터의 신호들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바퀴쌍들이 회전하면 그 방향을 화살표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970066338A 1997-12-05 1997-12-05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3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38A KR100231202B1 (ko) 1997-12-05 1997-12-05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38A KR100231202B1 (ko) 1997-12-05 1997-12-05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809A KR19990047809A (ko) 1999-07-05
KR100231202B1 true KR100231202B1 (ko) 1999-11-15

Family

ID=1952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338A KR100231202B1 (ko) 1997-12-05 1997-12-05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76B1 (ko) * 2007-05-22 2008-07-09 (주)오경컴텍 겐트리 크레인 시스템의 야드 트랙터 제어장치
CN107601294A (zh) * 2017-11-09 2018-01-19 三海洋重工有限公司 龙门起重机及起重机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158A (ko) * 1998-02-27 1999-09-15 이해규 겐트리 크레인의 운전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76B1 (ko) * 2007-05-22 2008-07-09 (주)오경컴텍 겐트리 크레인 시스템의 야드 트랙터 제어장치
CN107601294A (zh) * 2017-11-09 2018-01-19 三海洋重工有限公司 龙门起重机及起重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80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0918C (en) Communication technique by which an autonomous guidance system controls an industrial vehicle
CN101254878B (zh) 电梯系统
CN103204419A (zh) 电子安全电梯
CN103648826A (zh) 列车信息管理装置以及列车信息管理方法
CN102001561B (zh) 电梯的控制装置
KR100231202B1 (ko) 겐트리 크레인의 동작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CN209398409U (zh) 一种油气井作业平台智能综合控制系统
CN203682922U (zh) 一种智能化起重机控制装置
CN206842897U (zh) 塔吊遥控操作装置
CA2543383A1 (en) Elevato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6636280U (zh) 一种车库出入库系统
CN212769485U (zh) 电气控制系统和工程机械
CN110561328B (zh) 一种卫星姿态调整架车的控制系统
KR100231203B1 (ko) 겐트리 크레인의 제어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KR19990071158A (ko) 겐트리 크레인의 운전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JP2827056B2 (ja) リフトトラックの制御方法
CN106836901B (zh) 一种车库出入库系统及方法
JP2002211715A (ja) 荷搬送設備
CN106382363B (zh) 电动汽车挡位器的控制方法
JP2018131797A (ja) 設備動力を最小にしたパズル式立体駐車装置
CN109113716A (zh) 一种油气井作业平台智能综合控制系统
KR100813227B1 (ko) 자동조립공정에서의 주행제어 시스템
CN114217606B (zh) 一种门座起重机远程智能化控制系统及其方法
CN113291975B (zh) 一种用于轮胎吊的集卡停车对位与防砸防吊起装置
RU2791781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грузопассажирским лиф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