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50B1 -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50B1
KR100228050B1 KR1019970018937A KR19970018937A KR100228050B1 KR 100228050 B1 KR100228050 B1 KR 100228050B1 KR 1019970018937 A KR1019970018937 A KR 1019970018937A KR 19970018937 A KR19970018937 A KR 19970018937A KR 100228050 B1 KR100228050 B1 KR 10022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mixer
cylinder
chamber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570A (ko
Inventor
박동만
Original Assignee
박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만 filed Critical 박동만
Priority to KR101997001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50B1/ko
Publication of KR97005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6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comple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4Preheating devices; Vapor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유와 같은 액체연료를 완전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높은 효율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액체연료 및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를 만들어 혼합기공급관(11)을 통해 공급하는 혼합기 공급 수단(10)과, 상기 혼합기공급관(10) 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혼합기의 공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연소챔버(21)를 가지고 이 연소챔버(21)내에 상기 혼합기공급관(11)으로부터의 혼합기를 챔버의 중심축선을 따라 분사공급받아 연소를 행하는 제1 연소통(20)과, 상기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연소챔버(31)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의 연소말단부와 그 연소챔버(31)의 연소초입부사이에 연통설치된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50)를 통해 상기 제1 연소등(20)으로부터의 연소 기류를 그 연소챔버(31)내부에 도입시켜 재연소시키는 제2 연소통(30)과, 상기 제1 및 제2 연소통(20)(30)의 연소챔버(21)(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연소챔버(41)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제2 연소통(30)의 연소챔버(31)의 연소말단부와 그 연소챔버(41)의 연소초입부 사이에 연통설치된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60)를 통해 상기 제2 연소통(30)으로부터의 연소기류를 그 연소챔버(41)내에 도입시켜 재연소시킨 후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제3 연소통(4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본 발명은 석유와 같은 액체연로를 고효율로 완전연소시켜 그 연소열로 난방이나 온수보일러가동, 또는 온수공급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액체연료의 완전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연료를 연소시키고 그 연소열을 이용하는 장치로서 현재 일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치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석유난로나 기름보일러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연료의 연소효율 내지 그 연소열을 이용하는 효율을 가급적 좋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석유난로와 같이 실내에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종류의 액체연료연소 난방기구들에 있어서는 양호한 연소 효율 내지 열효율을 제공하는 것이외에도 연료를 가급적 완전연소시켜 유해물질의 미연소방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종래에 사용되어 온 대부분의 액체연료 연소장치는 그 연소구조상 연료를 완전연소에 가깝게 이상적으로 연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저급한 연소효율 내지 열효율로 실제의 난방효과 또는 열이용효과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의 연료를 소모하고, 특히 불완전연소로 인한 유해성분들의 미연소방출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초래하거나 인명사고를 불러 일으키는 일이 빈번한 문제점을 지닌 것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액체연료의 예로서 석유를 연소시킬 때 불완전연소가 일어나면 주로 CO(일산화탄소)나 H2SO3(아황산가스)와 같은 유해성분들을 포함하는 미연소가스 및 그을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미연소가스중의 유해성분들중 특히 CO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체 또는 동물몸체내에서 산소를 결합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헤모글로빈에 비해 산소와의 결합친화력이 200배정도로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이 CO가 인체나 동물몸체내에 호흡기를 통해 흡입될 경우 흡입된 공기중의 거의 모든 산소가 헤모글로빈과 결합운반되지 못하고 CO와 결합소모되어버려 산소를 필요로 하는 세포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인체 또는 동물몸체의 세포들에 산소결핍증으로 인한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이른바 일산화가스중독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H2SO3는 이를 사람이나 동물이 흡입하게 될 경우 코점막이나 인후, 또는 기관지 점액과 결합하여 묽은 황산(H2SO4)을 생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생성된 황산 성분은 점막손상이나 세포파괴를 일으키고 또 그로 인한 이차감염 질병도 유발하게 되는 매우 유독한 성분이다. 위와 같은 액체연료의 불완전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유독성분들은 밀폐된 실내에 방출시 그 실내에 있던 사람이나 동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게 되는 것은 물론, 대기중에 방출시에도 대기오염 내지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는 주범이 되게 된다.
한편, 근래에 개발사용되고 있는 액체연료연소 난방기구들중 로터리타입의 기화컵을 가지는 회전무화연소식 석유난로는 회전하는 연료기화컵을 통해 석유를 연소되기 쉬운 무화상태로 만들어 분사연소시킴으로써 연소효율을 보다 높히고 또 유해성분의 미 연소방출도 상당히 줄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나, 이는 기화컵으로부터의 연소화염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난로상부의 복사전열통에 상승도달하여 이 복사전열통을 적열시키고, 적열된 복사전열통으로부터의 열로 실내난방을 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열효율에 비해 연료소모량이 과다하고, 특히 난로의 점화 및 소화시에 다량의 유독한 미연소가스 및 그을음이 발생 방출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기타, 위와 유사한 종류의 여러 가지 액체연료연소 난방기구들이 기종에 제안 사용된 바 있었으나 이들은 어느 것이나 다 50
Figure kpo00002
60
Figure kpo00003
이하의 저급한 열효율로 과다한 연료비용의 부담을 주면서 만족할만한 난방효과를 제공하기 어렵고, 또 유독한 미 연소가스의 배출로 대기오염 및 빈번한 인명사고를 유발하거나 실내공기를 자주 환기시켜야 하는 불편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에 주목하여 연구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액체연료를 고효율로 유해성분의 미연소방출이 없는 상태로 완전연소시킬 수 있고 또 열효율을 극대화하여 최소의 연료소모로 최대의 열이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요부를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혼합기 공급 수단 및 제1 연소통의 발췌 사시도.
제3도는 상기 구성요부의 단면구성 및 연소원리를 보여 주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혼합기 또는 연소기류의 흐름상태 및 연소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도식적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도식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혼합기 공급 수단 11 : 혼합기공급관
12 : 급유관 13 : 급기관
20, 30, 40 : 연소통 21, 31, 41 : 연소챔버
42 : 배출구 50, 60 : 연결관로
70 : 온수순환관 80, 100 : 케이스
81, 101 : 제어부 82 : 온풍방출구
90 : 온수공급밸브 102 : 송풍팬
103 : 송풍덕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연료 및 연소용 공기를 예열된 상태로 혼합분사시켜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연료 및 공기의 혼합분사 공급 수단보다 확대된 직경으로 상기 수단으로부터의 혼합기 분사공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연소챔버를 가지고 그 연소챔버내에 상기 수단으로부터의 혼합기를 챔버의 중심축선방향으로 분사공급받아 연소를 행하는 제1 연소통과, 상기 제1 연소통과 동일 또는 유사한 원통형의 연소챔버를 가지고 그 연소챔버의 연소초입부가 상기 제1연소통의 연소챔버의 연소말단부와 좁은 직경의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지며 상기 관로를 통해 상기 제1 연소통으로부터의 연소기류를 내부에 도입받아 재연소시키는 제2 연소통과, 상기 제1 및 제2 연소통의 연소챔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연소챔버를 가지고 그 연소챔버의 연소초입부가 상기 제2 연소통의 연소챔버의 연소말단부와 좁은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지며 상기 관로를 통해 상기 제2 연소통으로부터의 연소 기류를 내부에 도입받아 재연소시키는 제3 연소통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좁은 관로를 고속 저압의 상태로 통과한 혼합기 또는 연소기류가 상기 관로보다 큰 직경의 연소챔버내로 도입될 때 저속 고압의 상태로 변화되면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와류를 일으키면서 진행하는 혼합기 또는 연소기류를 연소시키면 압력이 더욱 상승하면서 완전연소에 가까운 고효율의 연소가 일어나게 되며, 이와 같은 연소과정을 복수의 연소통들을 통해 연속반복시킴으로써 유해성분의 미 연소방출이 없는 고효율의 이상적인 완전연소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구성요부를 발췌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상기 구성요부의 단면구성 및 이를 통한 연소원리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예컨대 석유와 같은 액체연료 및 연소용 공기를 적정비율로 분사혼합하여 혼합기를 만들고 이 혼합기를 좁은직경의 혼합기공급관(11)을 통해 후술하는 제1 연소통(20)내부로 분사공급하는 수단(10)과, 상기 수단(10)의 혼합기공급관(11)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혼합기의 공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연소챔버(21)를 가지고 이 연소챔버(21)내에 상기 수단 (10)으로부터의 혼합기를 챔버의 중심축선을 따라 분사공급받아 연소를 행하는 제1 연소통(20)과, 상기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원통형 연소챔버(31)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의 연소말단부와 그 연소챔버(31)의 연소초입부사이에 연통설치된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50)를 통해 상기 제1 연소통(20)으로부터의 연소기류(G1)를 그 연소챔버(31)내부에 도입시켜 재연소시키는 제2 연소통(30)과, 상기 제1 및 제2 연소통(20)(30)의 연소챔버(21)(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원통형 연소챔버(41)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제2 연소통(30)의 연소챔버(31)의 연소말단부와 그 연소챔버(41)의 연소초입부사이에 연통설치된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60)를 통해 상기 제2 연소통(30)으로부터의 연소기류(G2)를 그 연소챔버(31)내부에 도입시켜 재연소시킨 후 그 최종의 연소기류(G3)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제3 연소통(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혼합기 공급 수단(10)은 액체연료를 급유관(12)을 통해 정해진 위치로 끌어 들여 무화분사시키는 수단들과, 연소용 공기를 급기관(13)을 통해 정해진 위치로 끌어들여 상기 무화분사된 연료인자들과 적정 비율로 혼합시켜 혼합기를 만드는 수단들과, 이와 같이 만들어진 혼합기를 혼합기공급관(11)을 통해 제1 연소통(20)내부로 도입하면서 점화시키는 수단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급유관(12)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와 급기관(13)을 통해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는 미리 적정의 온도로 예열된 상태로 상기 혼합기 공급 수단(10)내부로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상기 급유관(12) 및 급기관(13)을 고온의 열이 발하여지는 제1 연소통(20) 근처로 우회배치시킨 후 상기 혼합기 공급 수단(10)에 연결설치하여 주는 것으로 효과있게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열된 상태의 연료 및 공기입자로 만들어진 혼합기는 보다 완전연소되기 쉬운 상태로 제1 연소통(20) 내부로 공급연소되어진다. 혼합기를 높은 풍압으로 더욱 미세입자화시켜 제1 연소통(20)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하여 상기 급기관(13)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흡입공급 하는 급기팬으로서는 잘 알려진 터보팬(TURBO-FAN)과 같은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제4도는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혼합기 또는 연소기류의 흐름 및 그 연소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관로내부를 유체가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를 경우, A지점에서 유체의 압력(밀도)이 증가하는 동시에 속도는 느려지고, 이어진 B지점에서는 상기 유체의 압력은 감소하는 동시에 속도는 빨라지게 되며, 이와 같이 B지점을 통과한 유체가 C지점으로 나아갈 때에는 다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동시에 속도는 줄어들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흐르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노즐에 공급되는 연료를 가열하고 혼합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혼합기를 만들 경우 연료의 입자들이 거의 기화상태로 무화가열되어 최적의 연소조건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혼합기를 풍압에 의해 좁은 혼합기 공급관으로부터 넓은 연소통내부로 유입시키면서 점화시키면 혼합기가 넓은 연소통내부로 분출되어 흐를 때 혼합기의 속도가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연소를 후단부로 흐르게 되고, 이때 상기 혼합기가 점화연소되면 연소통내의 압력이 더욱 증가하면서 연소효율은 극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액체연료의 완전연소를 이끌어 내고 또 그 연소열을 고효율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3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혼합기 공급 수단(10)에서 만들어진 연료 및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는 좁은 관로의 혼합기공급관(11)을 통해 상기 혼합기공급관(11)보다 큰 직경의 제1 연소통(20)내부로 이 제1 연소통(20)내부의 중심축선을 따라 분출공급되어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기공급관(11)을 통해 제1 연소통(20)내부로 긍급되는 혼합기는 혼합기공급관(11)을 빠져나오기 직전에 점화되어져서 그 점화된 기류가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내부로 분출되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제1 연소통(20)내부로 분출되어져 흐르는 연소기류(G1)는 앞에서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로 상기 제1 연소통(20)내부로 진입된 직후 그 유속이 떨어지게 의는 동시에 압력은 증가하게 되면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연소기류(G1)는 제1 연소통(20)내부로 진입된 직후부터 그 이전의 혼합기공급관(11)에서 보다 저속, 고압의 상태로 와류를 일으켜 제1 연소통(20) 말단부를 향해 흐르면서 매우 높은 효율로 연소되어지게 되며, 그 연소열은 상기 제1 연소통(20)을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게 되어서 제1 연소통(20)으로부터의 고열의 발열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연소통(20)내부에서 연소되어진 연소기류(G1)는 상기 제1연소통(20)의 말단부위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연결관로(50)를 통해 제2 연소통(30) 내부로 유입되어 이 제2 연소통(30)내부에서 이차적인 연소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소통(20)내부로부터 이 제1 연소통(20)보다 작은 직경의 연결관로(50) 내부로 유입된 연소기류는 상기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50)내부를 흐르는 동안 고속, 저압의 상태가 되어 일시적인 연소중단상태에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연결관로(50)를 통과한 후 제2 연소통(30) 내부로 분출유입되어 흐르는 연소기류(G2)는 다시 상기 제2 연소통(30)내에서 저속, 고압의 상태로 와류를 일으켜 흐르게 되면서 자체보유열로 재발화 연소되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소통(30) 역시 상기와 같은 연소기류(G2)의 재연소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2 연소통(30)내부에서 재연소된 연소기류(G2)는 다시 상기 제2 연소통(30)의 말단부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연결관로(60)를 통허 제3 연소통(40) 내부로 유입되어 이 제3 연소통(40)내부에서 최종적인 재연소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연소통(30)내부로부터 이 제2 연소통(30)보다 작은 직경의 연결관로 (60)내부로 유입된 연소기류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60) 내부를 흐르는 동안 고속, 저압의 상태가 되어 일시적인 연소중단상태에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연결관로(60)를 통과한 후 제3 연소통(40)내부로 분출유입된 연소기류(G3)는 다시 상기 제3 연소통(40)내에서 저속, 고압의 상태로 와류를 일으켜 흐르게 되면서 자체보유열로 재발화 연소되어지며, 그때의 연소열은 제3 연소통(40)을 역시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혼합기 공급 수단(10)을 통해 연소용 공기와 함께 혼합공급되는 액체연료는 상기와 같이 배치된 다단의 연소통(20)(30)(40)들을 통해 연속다단으로 높은 효율로 연소되어져서 최종의 제3 연소통(40)을 통해서는 연료중의 모든 가연성분들이 완전연소되어진 후 미연소 유해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청정한 연소가스(G4)만이 배출구(12)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제3 연소통(20)(30)(40)들은 그 연소기류(G1)(G2)(G3)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한 각 연소챔버(21)(31)(41)의 양단부가 반구형의 형태로 둥글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각 연소통(20)(30)(40) 내부의 연소챔버(21)(31)(41)를 통한 연소기류(G1)(G2)(G3)의 흐름을 최적화하여 보다 높은 연소효율을 이끌어낼 수 있다.
상술한 본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한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20)(30)(40)들중 적어도 한 연소통, 예컨대 제1 연소통(20)에는 적정의 온수순환관(70)이 제3도의 예와 같이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 제1∼제3 연소통(20)(30)(4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직접 이용하는 난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상기 온수순환관(70)을 통해 온수를 생성순환시켜 온수공급 또는 온수공급 및 온수온돌난방을 행하는 것과 같은 열이용형태를 이루어낼 수 있다.
제5도는 상기 본 발명의 연소장치를 케이스(80)내부에 내장하고, 이 케이스 (80)의 적소에 제어부(81)와 송풍팬, 온풍방출구(82)를 설치하여 앞에서 설명한 연소통(20)(30)(40)들로부터의 열로 실내에 온풍을 방출하는 형태의 온풍난방을 행할 수 있고, 또 케이스(80)의 일측외부로 인출설치된 온수순환관(70)을 통해서는 온수 온돌난방을, 온수공급밸브(90)를 통해서는 온수공급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나아가서, 제6도는 상기 본 발명의 연소장치를 케이스(100)내부에 내장하고, 이 케이스(100)의 적소에 제어부(101)와 송풍팬(102), 송풍덕트(103) 등을 설치하여 전술한 연소통(20)(30)(40)들로부터의 열에 의한 온풍을 필요한 곳으로 송풍하여 예컨대 온풍건조를 행하거나 넓은 비닐하우스 내부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등의 열이용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장치는 소각로나 차량의 연소배기계통, 냉온풍기, 보일러, 난로 등과 같은 여러가지 다양한 용도의 열이용 장치들로 응용제작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수정, 변형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이 제 1∼3 연소통(20)(30)(40) 들을 통해 총 3차의 연소 및 재연소과정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서는 하나의 연소통(20)만을 가지거나 또는 2 개 이상 여러개의 연소통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배치시켜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액체연료를 완전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높은 효율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로서, 고유가시대에 있어서의 대폭적인 에너지절감 효과는 물론 공해 및 환경오염 방지에도 크게 일조할 수 있게된 신규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액체연료 및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를 만들어 혼합기공급관(11)을 통해 공급하는 혼합기 공급 수단(10)과, 상기 혼합기공급관(10)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혼합기의 공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연소챔버(21)를 가지고 이 연소챔버(21)내에 상기 혼합기공급관(11)으로부터의 혼합기를 챔버의 중심축선을 따라 분사공급받아 연소를 행하는 제1 연소통(20)과, 상기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연소챔버(31)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제1 연소통(20)의 연소챔버(21)의 연소말단부와 그 연소챔버(31)의 연소초입부사이에 연통설치된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50)를 통해 상기 제1 연소통(20)으로부터의 연소기류를 그 연소챔버(31)내부에 도입시켜 재연소시키는 제2 연소통(30)과, 상기 제1 및 제2 연소통(20)(30)의 연소챔버(21)(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연소챔버(41)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제2 연소통(30)의 연소챔버(31)의 연소말단부와 그 연소챔버(41)의 연소초입부 사이에 연통설치된 좁은 직경의 연결관로(60)를 통해 상기 제2 연소통(30)으로 부터의 연소기류를 그 연소챔버(41)내에 도입시켜 재연소시킨 후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제3 연소통(4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3 연소통(20)(30)(40)들의 각 연소챔버 (21)(31)(41)의 양단부가 반구형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의 완전연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공급 수단(10)이 액체연료의 급유관 (12)과 연소용 공기의 급기관(13)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관(12) 및 급기관(13)이 상기 제1 연소통(20)에 근접한 위치로 우회배치된 후 상기 혼합기 공급 수단(10)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20)(30)(40)들중 적어도 한 연소통(20)에 온수순환관(70)이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제어부(81)와 송풍팬 및 온풍방출구(82)가 설치된 케이스(80)내부에 내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의 완전연소장치.
KR1019970018937A 1997-05-16 1997-05-16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KR10022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937A KR100228050B1 (ko) 1997-05-16 1997-05-16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937A KR100228050B1 (ko) 1997-05-16 1997-05-16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70A KR970059570A (ko) 1997-08-12
KR100228050B1 true KR100228050B1 (ko) 1999-11-01

Family

ID=1950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937A KR100228050B1 (ko) 1997-05-16 1997-05-16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9708A1 (en) 2000-08-08 2002-02-13 Dong-Man Park Burner for liquid fuel combustion apparatu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46B1 (ko) * 2000-07-27 2003-12-01 주식회사 하남 가스직화식 난방기기용 연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9708A1 (en) 2000-08-08 2002-02-13 Dong-Man Park Burner for liquid fuel combustion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70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4824A (en) Thermal incineration unit
CN205504983U (zh) 一种助燃风引射式炉内烟气再循环低氮燃烧器
US4574711A (en) Granulated solid fuel burner
CN106907712A (zh) 超低氮悬浮式燃烧火焰的燃气喷嘴
KR100228050B1 (ko) 액체연료의 완전연소장치
CN206803143U (zh) 一种低沸点燃料分级燃烧装置及其系统
JP2762085B2 (ja) NOxの発生を少なくした状態で重質の燃料油を燃焼させるバーナー・システム
CN211953250U (zh) 一种热风炉
WO2020221366A1 (zh) 燃烧组件和壁挂炉
KR200204324Y1 (ko) 온수보일러 겸용 난로
CN210165377U (zh) 节能低氮燃烧器及节能低氮燃烧系统
CN200955737Y (zh) 一种气体燃烧器
JPH08128608A (ja) ダブルエンド型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システム
RU2201553C2 (ru) Горелка для жидкотопливных аппаратов сжигания
KR200267704Y1 (ko) 에어콘겸용온풍기
CN206398720U (zh) 交叉混合式旋流配风器
CN111981478A (zh) 低氮燃烧器、低氮燃烧系统及其燃烧方法
CN211876023U (zh) 低氮燃烧器及低氮燃烧系统
CN210165376U (zh) 低氮燃烧器、低氮燃烧系统
CN216953051U (zh) 全预混燃烧装置及燃气热水设备
CN107062212A (zh) 一种低沸点燃料分级燃烧装置及其系统
JP2769439B2 (ja) 高ターンダウンバーナ
CN211601082U (zh) 一种具有新型燃烧室的催化燃烧热水器
CN211876021U (zh) 低氮防冷凝燃烧器及燃烧系统
CN211876022U (zh) 低氮防冷凝燃烧器及低氮燃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