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597B1 -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597B1
KR100227597B1 KR1019950703510A KR19950703510A KR100227597B1 KR 100227597 B1 KR100227597 B1 KR 100227597B1 KR 1019950703510 A KR1019950703510 A KR 1019950703510A KR 19950703510 A KR19950703510 A KR 19950703510A KR 100227597 B1 KR100227597 B1 KR 10022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last furnace
lances
met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1222A (ko
Inventor
데 하아스 한스
잔츠 조아컴
몬컨 호르스타마
호스 맨프레드
Original Assignee
테오토르 스필퇴버
스탈베르케 브레멘 지 엠 비 에이취
베른하르트 가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94106439A external-priority patent/EP0622465B1/de
Application filed by 테오토르 스필퇴버, 스탈베르케 브레멘 지 엠 비 에이취, 베른하르트 가벨 filed Critical 테오토르 스필퇴버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4/004203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17527A1/de
Publication of KR96070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2Making special pig-iron, e.g. by applying additives, e.g. oxides of other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66Preliminary conditioning of the solid carbonaceous reduc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2Making special pig-iron, e.g. by applying additives, e.g. oxides of other metals
    • C21B5/023Injection of the additives into the melt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광석으로부터 금속, 특히 철광석으로부터의 선철을 생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원가스의 생성에 이용되고 카본 및/또는 하이드로 카본을 함유하는 물질이 플라스틱으로부터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야금축노, 특히 고노 (1)가 이용될때 플라스틱이 축노의 중심으로 공기통로에서 굵은 그레인되어 액화된 형태로 주입된다. 플라스틱의 입자크기는 1∼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금속 산화물(철의 산화물을 제외하더라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을 환원공정에서 처리한후 금속을 추출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환원공정은 환원성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탄소 및 수소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금속광석에 작용시킴으로써 실시되고 있다.
환원처리후, 환원된 광석을 용융공정에서 처리한다. 이 환원에 필요한 가스는, 이미 환원되어 가열된 금속에 코우크스, 석탄, 오일 또는 천연가스 등의 물질을 함유한 탄소를 첨가함과 아울러 산소 또는 공기중의 산소를 첨가하여 탄소함유 가스로의 분해 또는 변환을 시킴으로써 환원 및 용융대에서 제조되는데, 이 가스를 이전의 환원공정에 공급한다.
이러한 점에서 고로(blast furnace)에서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계속하여 금속광석의 환원, 환원성 가스의 발생 및 금속의 액체상태로의 최종 용융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고로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고로법에서는 철광석 및 혼합물에 탄소 담체(carrier)로서 코우크스가 첨가된다.
또한, 고로법의 양호한 제어와 코우크스의 절약을 위해 랜스(lance)를 통해 고로속으로 오일 또는 미분탄(微粉炭)을 분사함으로써 코우크스의 소비를 저감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추가로 분사된 재료(오일 또는 미분탄)는 완전하고도 충분한 가스화를 위해 미분말 상태로 도입해야 한다. 고로속으로의 미분탄의 분사에 관한 두가지의 논문 요약이 간행물에 게재되어 있다[참고:"Stahl und Eisen", 101(1981) of 12.1.18, p.35∼38 및 105(1985), No. 4 of 25.2.85, p.211∼220].
특히 유가(油價) 상승시에는 미분탄의 사용은 피할수 없다. 보다 큰 입자 크기에 대해 몇군데 공장에서 실험을 해 보았지만, 입자의 크기가 0.1mm 이하일 때만 약 10ms(millisecond)의 짧은 분사시간에서, 양호한 결과 즉, 미분탄의 완전한 가스화를 실현할 수 있었다.
오일 또는 미분탄의 분사대신에, 쓰레기, 폐지, 짚, 갈탄 및 폐기된 목재, 플라스틱, 고무, 및 이와 유사한 재료 등의 기타 탄소 함유 폐기재료를 도입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으나(DE-A-29 35 544), 대응하는 실험 또는 결과의 제시없이 이들 물질을 고로에 도입하는 방법에 관한 가설만 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DE-A-41 04 252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탄소함유 쓰레기를 미분말상 또는 미립자상으로 하여 통구(tuyere)를 통해 고로속으로 분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침전 슬러지(유동성 분진)의 도입에 관한 예가 나와 있을 뿐이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분사되는 물질이 미립자상의 것이어야 한다는 필요성만 강조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광석을, 탄소 및/또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미리 제조해둔, 탄소 및/또는 수소(및 이들의 화합물도 가능함)를 함유하는 환원성 가스와 접촉하여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철광석으로부터의 선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유동화 된 플라스틱 공급 관련장비 및 열풍 공급 관련장비를 포함하는 고로의 개략도.
제2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3도는 유동화된 플라스틱을 고로의 통구 또는 노즐속으로 분사하는 통구-랜스의 배치도.
앞서 설명한 공지된 방법에서 출발하여, 폐플라스틱을 유기적으로 및/또는 무기적으로 오염된 것과는 관계없이 환원성 가스의 공급성분으로 활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폐플라스틱은 항상 다량으로 입수가능하고, 또한 심각한 폐기물 처리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대개의 경우 플라스틱 제품 제조시에 얻게되는 스크랩 또는 이와 유사한 폐기물로서, 혹은 심각하게 오염된 포장용 폐기물로서 고형상태로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 언급한 바의 방법에서, 환원성 가스를 발생하기 위해 공급되는 탄소 및/또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물질은 금속용 용광로, 특히, 고로의 로 바닥으로부터 송풍기류속으로 분사되어 유동화 상태로 되는 플라스틱 분쇄물인데, 이때의 플라스틱의 입자크기는 거의가 1∼10mm의 범위, 특히 5mm이다. 예컨데 그 폐기가 아직까지 미해결의 큰 문제인 플라스틱제 포장 폐기물을 분쇄된 형태로 하여 통구영역에서 도입한다.
고로법에서 환원제의 공급원으로서 플라스틱 자투리를 사용함으로써, 이들을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공지의 방법은 플라스틱 자투리를 중첩된 압출공정에서 혼합한 다음, 온도와 전단력의 작용에 의해 저분자 물질로 분해하여 중유의 대체물로 하여 고로의 분사 기류중으로 분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액화를 위한 소위 분해 압출법은 장치와 공정기술을 필요로 하는 방법이므로, 이 방법은 전체 공정을 더욱 어렵게하며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이 처리방법은 폐플라스틱에 함유된 금속성 혼입물, 유기 및 무기 혼입물에 의해 심한 장해를 받는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용광로, 특히, 고로의 영역에서 송풍 기류속으로 오일 또는 미분탄을 추가로 분사하는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 짧은 시간(10ms)동안 그을음(soot)이 현저하게 생김이 없이 가스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재료를 극히 미세하게 분쇄된 형태로 분사해야 한다. 석탄입자의 최대크기가 약 0.1mm가 아니고 입자가 이보다 더 크면, 결과가 불충분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석탄중에는 휘발성 성분이 비율이 비교적 적으므로, 각각의 입자의 열분해가 원만히 진행하지 않고, 반응 표면적이 증가하더라도 반응이 충분히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는 휘발성 성분을 함유한 오일의 분사를 위해서는 입자크기를 0.1mm 이하로 해야 한다.
최종결론에 의하면, 화학조성이 오일의 조성에 매우 근접한 플라스틱일지라도 고로에서 충분하고 빠른 반응을 얻기위해서는 비교가능한 입자 크기로 분쇄해야 한다는 것이다.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미분말상으로 분말화되면, 점착성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미분말화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가 취약해지도록 저온으로 냉각한 후 그 상태에서 분쇄하는 것도 고려된 바 있었으나, 이 방법은 비용의 문제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적절치 못하다.
플라스틱이 금속용 용광로의 송풍기류중으로 분사될때, 분쇄(comminution), 파쇄(shredding) 또는 열분쇄(thermal grinding)된, 플라스틱 재료가 훨씬 큰 입자 크기, 즉 대부분이 1∼10mm의 범위, 특히, 5mm 크기의 입자이면 극히 양호한 결과를 얻게 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입자 크기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 얻을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처리, 유동화 및 계량영역에서 미분탄이 분사될때 등에서와 같이,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므로 유동화 가스로서 비활성 가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압축공기를 사용해도 된다는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분사된 플라스틱이 큰 비표면적을 가진 집괴체(集塊體:agglomerate) 형태이면,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특히, 플라스틱의 부피밀도(bulk density)가 0.35∼1.00인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플라스틱의 이러한 놀라운 거동의 이유는 분쇄후 재료 조성의 특이성에 있다. 즉, 화학적으로 유사한 조성의 오일의 경우에 있어서는 형성된 작은 방울들은 질량에 대한 면적의 비가 극히 불리하므로 작은 직경에 대해서만 반응성이 큰 반면,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분쇄공정에서 기계적 및 열적 스트레스가 함께 작용하여 균열이 발생하여 비표면적이 증가하므로 부분적인 분쇄만을 한 후에도 재료는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또는 폐기된 플라스틱을 경비가 적게 소요되는 분쇄법으로 처리하여 극히 유용한 환원제로하여 고로에서 1단계 환원공정에 의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석탄 또는 코우크스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금속용 용광로가 고로인 경우, 플라스틱을 유동화된 형태로 하여 공기노즐 또는 통구에 설치된 랜스를 통해 송풍기류중속으로 분사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모든 랜스에는 유동화된 플라스틱 입자를 공급하거나, 또는 어떤 랜스에는 유동화된 플라스틱 입자를 공급하는 한편으로 어떤 랜스에는 오일 또는 석탄을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플라스틱 입자가 공급되는 랜스와 오일 또는 석탄이 공급되는 랜스를 통구 조립체 주변에서 서로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배치한다는 장점이 있다.
랜스에서의 분사압력은 고로의 압력 이상인 0.5×105∼1.5×105Pa가 바람직하다. 랜스에서의 유속은 충분히 높으므로 로의 안쪽으로부터의 역복사(backward radiation)에 의해 랜스에서 플라스틱의(용융 또는 초기 용융으로 인한) 소결을 피할수 있는데, 랜스의 단면적에 대한 유속의 비가 20000∼40000 1/(sec×m), 특히 25000 1/(se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탄 또는 오일을 고로의 통구에 있는 랜스속으로 분사할때 이들 기타의 물질이 용융되지 않으면 소결의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한 값의 관찰을 필요로 한다.
고로에서의 혼합 송풍온도는 통상적으로 1000℃∼1250℃이다. 온도가 매우 낮으면, 플라스틱의 가스화가 불충분하거나 너무 늦어진다. 따라서, 혼합 송풍온도는 1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의 분사량은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지만, 플라스틱 집괴체(agglomerate)의 특수한 성질로 인해 오일이 분사될때 보다 많아도 좋다. 플라스틱의 분사량이 70kg/t PI(PI=선철) 이상이면 양호한 가스화를 위해 O2를 송풍기류에 첨가한다. 70kg/t PI의 값을 초과하여 1kg/t PI마다 송풍기류에 O2를 0.05∼0.1%, 바람직하기로는 0.08% 가해주면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플라스틱의 계량 및 유동화는 여러방법으로 수행된다. 예컨대, 플라스틱 입자를 연속 유동상태로 하여 별도의 장치에서 계량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계량장치, 예를 들어 나사(screw)에 의해 계량되는 기계장치 또는 셀률러 휠(celleluar wheel)에 의해 계량되는 장치에 의해 간단히 실현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플라스틱 입자를 유동화 및 계량을 병용한 장치에서 유동화시키고 계량하는 것이다. 그러나 로내의 압력이 변동하므로 이 해결책은 분사압력을 로의 압력에 적용시키는 신속 작동식 제어 루우프(control loop)를 필요로 한다. 특히 간단한 해결책은 내압(耐壓) 베이 휠 록(pressure-tight bay wheel lock)을 사용함에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태양은 종속항으로부터 분명히 알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아래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종래의 고로(1)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열풍로(hot blast stove)(4)에서 가열된 송풍(blast)(3)을 환상 파이프(bustle pipe)(2)와 파이프(5)를 통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노즐 또는 통구(tuyere)(20)(제3도 참조)가 로의 바닥을 포함하는 이 로의 하부에 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주위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송풍(3)에는 산소 O2(3a)가 첨가되어도 좋다. 간단히 하기위해 하나의 통구(20)만을 도시했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또는 어떤 통구(20)에는 연료를 추가로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랜스(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료는 공지의 고로에서는 미분탄 또는 오일이므로 고로(1)의 양호한 성능과 코우크스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었다.
통구 조립체에 있어서, 통구(20)의 수가 통상적으로 32개이고, 각각의 통구는 직경이, 예를 들어서 140mm이다. 미분탄 또는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직경이 전형적으로 12mm 또는 8mm인 두개의 랜스가 통상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서는 각각의 통구(20)는 유동화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해 직경이 28mm인 하나의 랜스(18)만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구 조립체에 있어서, 랜스(18)마다 모두 플라스틱이 공급되거나 통구(20)에서의 혼성공급이 이용되는데, 즉, 어떤 통구는 오일용의 두개의 랜스를 지니는 반면, 나머지 통구(20)에는 플라스틱용의 하나의 랜스가 설치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공급용과 오일 공급용의 랜스(19)의 배치를 통구 조립체의 원주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균일하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을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플라스틱 처리공장(6)으로부터 입경(粒徑)이 1∼10mm, 바람직하게는 5mm이고 큰 비표면적을 가진 집괴체(集塊體:agglomerate) 형태의 분쇄된 플라스틱이 사일로(silo)(7)에 공급된다. 부피 밀도(bulk density) 0.35∼1.00 이상인 플라스틱 집괴체를 사용하면 좋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 컵모양의 포장 용기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적합하며, 플라스틱 포일(foil)의 경우에는 이를 분쇄하면 부피밀도가 적으므로 분사전 또는 분사시에 충분한 양을 분사할 수 있도록 특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제1도에는 분사주입용기(8)가 도시되어 있는데, 굵은 입자체(coarse-grain sieve)(14)를 통해 플라스틱 집괴체가 이 분사주입용기(8)에 공급되며, 이 분사주입용기내에서 플라스틱 집괴체는 송풍기(11)로부터 파이프(12) 및 (13)을 통해 분사되는 유동화 가스에 의해 유동화 상태로 된다.
용적이 약 3m3인 분사주입용기에 대해 유동화 가스가 약 2∼25m3/h 필요하다. 유동화된 플라스틱은 최종적으로 별도의 계량장치(9), 예를들어 나사(screw)를 사용하는 기계식 계량장치 또는 셀률러 휠을 사용하는 계량장치에 의해 계량되어 파이프(10)를 통해 통구 조립체의 상응한 랜스(18)에 균일하게 공급된다. 플라스틱 입자의 이송은, 가스비율이 높은 유체흐름, 예컨대 유동화 가스 1kg당 플라스틱 5∼30kg의 비율인 유체흐름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압공기가 유동화가스로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플라스틱 입자의 크기가 1∼10mm이므로 어떠한 폭발의 위험도 없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분사 주입량은 넓은 범위(예:선철(PI) 1톤당 플라스틱 30∼150kg)에서 변할 수 있다. 또한, 오일에 비해 1.5배량의 플라스틱을 분사하면 마찬가지로 가스화가 양호하게 된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의 분사량이 선철 1톤당 70kg 이상이면, 양호한 가스화를 위해 송풍에 O2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철 1톤당 플라스틱 70kg의 값을 초과하는 플라스틱 분사량 1kg/t PI 마다 송풍에 O2를 0.05∼0.1%, 바람직하기로는 0.08%를 첨가해야 한다. 양호한 가스화를 위해 열풍로(4)로부터의 혼합송풍 온도는 1100℃ 이상이다. 랜스(18)에서의 분사압력은 고로(1)에서의 압력보다 높은 0.5×105∼1.5×105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탄 또는 오일에 비하여 플라스틱은 보다 고온에서 용융되므로 플라스틱은 분사랜스(18)로부터 분사되기 전에 고로로부터의 열의 역복사(backward radiation)에 의해 소결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플라스틱 입자가 부유(浮游)해 있는 가스의 유속을 랜스(18)의 단면적에 대해 충분히 크게하여 용융 또는 초기 용융을 방지함으로써 열의 역복사에 의한 래스(18)에서의 플라스틱의 소결을 방지해야한다. 랜스의 단면적에 대한 유속의 적당한 비는 20000∼40000 1/(sec×m)의 범위내, 바람직하기로는 25000 1/(sec×m)이다. 이 값이 너무 낮으면 소결의 위험이 있고, 너무 높으면 랜스(18)의 마손(磨損:wear)이 매우 커진다. 또한, 모든 이송 파이프에서, 특히 랜스(18)의 접속 영역(18a)에 있어서 유동경로의 불연속이나 병목현상 및 1m 이하의 곡률반경을 피해야 한다.
청구항 1에 의한 설비에서는 별도의 계량장치(9)에 의해 계량된다. 또 다른 해결책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동화 및 계량을 동시에 조작하는 것이다. 분사주입용기의 하부영역에서는 이 목적을 위해 계량장치로서 작용하는 볼밸브(19)가 위치해 있어서 유동화 가스의 양과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미세하게 조정된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고로(1)내의 가변압력에 따라 분사주입용기(8)의 상부파이프(13)에 대한 가압공기의 공급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고로(1)의 적절한 위치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제어 루우프(17)를 통해 파이프(13)의 밸브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계량을 한다.
플라스틱 입자의 유동화 및 계량은 내압 베이 휠 록(pressure-tight bay wheel lock)에 의해서 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분사주입용기(8)는 없어도 된다.

Claims (18)

  1.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광석으로부터 금속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탄소와 탄화수소중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고체물질로부터 탄소와 수소중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환원성 가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나) 금속용 고로중에서 상기 광석과 환원성 가스를 접촉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와, (다) 분쇄되고 유동화된 플라스틱 재료를 고로의 저부 영역에서 송풍 기류속으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입자크기가 1∼10mm의 범위인 플라스틱 입자를 포함하는 집괴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집괴상 플라스틱을 유동화 가스 1kg에 대하여 5∼30kg의 비로 하여 유체의 기류중에서 이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괴체는 부피 밀도가 0.35∼1.00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분사량이 70kg/t PI를 초과하는 1kg/t PI 마다 O2를 0.05∼0.1%의 양으로 하여 송풍기류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 상기 집괴체를 유동화 및 계량 겸용 장치에서 유동화 및 계량하고, (나) 집괴체의 분사압력을 고로내의 압력에 따라 제어 루우프에 의해 계속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금속광석으로부터 선철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환원성 가스는 탄소와 수소중의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입자의 크기가 5mm인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유동화 가스가 공기인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는 그 통구에 다수의 랜스가 설치되어 있고, 유동화 상태로 하여 상기 랜스중의 몇 개를 통해 상기 집괴체를 유체의 기류속으로 분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괴체를 유체의 기류속으로 분사하는 단계가 집괴체를 유동화 상태로 하여 모든 랜스를 통해 유체의 기류속으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가) 다수의 랜스가 고로의 통구 조립체의 원주상 주위에서 서로간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제1랜스조(set)와 제2랜스조로 되어 있으며, (나) 집괴체를 유체의 기류속으로 분사하는 단계가 집괴체를 유동화 상태로 하여 제1랜스조를 통해 유체의 기류속으로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 오일과 석탄중의 1종을 제2랜스조를 통해 분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 개의 랜스에서의 분사압력은 고로내의 압력 이상인 0.5×105∼1.5×105Pa인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 개의 랜스 각각의 단면적에 대한 유속의 비를 크게 함으로써 열의 역복사에 의해 적어도 몇 개의 랜스에서의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에 의한 소결을 방지하고, 상기 유속의 비가 20000∼40000ℓ/(sec×m)인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비가 25000ℓ/(sec×m)인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고로의 혼합분사 온도가 1100℃ 이상인 제조방법.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O2의 첨가단계가 플라스틱의 분사량이 70kg/t PI를 초과하는 1kg/t PI마다 O2를 0.08%의 양으로 하여 송풍기류중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분사주입용기에서 플라스틱 집괴체를 유동화하고, 이어서 상기 분사주입용기와는 다른 계량장치에서 상기 집괴체를 계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KR1019950703510A 1993-12-21 1994-12-17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KR100227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43768 1993-12-21
DEP4343768.0 1993-12-21
EP94106439A EP0622465B1 (de) 1993-04-26 1994-04-25 Verfahren zur Erzeugung von Metall aus Metallerzen
EP94106439.6 1994-04-25
PCT/EP1994/004203 WO1995017527A1 (de) 1993-12-21 1994-12-17 Verfahren zur erzeugung von metall aus metallerz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222A KR960701222A (ko) 1996-02-24
KR100227597B1 true KR100227597B1 (ko) 1999-11-01

Family

ID=6664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510A KR100227597B1 (ko) 1993-12-21 1994-12-17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121B1 (ko) * 1998-12-22 2001-12-22 데어 그뤼네 풍트-두알레스 쥐스템 도이칠란드 아게 금속광석으로부터 금속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121B1 (ko) * 1998-12-22 2001-12-22 데어 그뤼네 풍트-두알레스 쥐스템 도이칠란드 아게 금속광석으로부터 금속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222A (ko) 199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694B1 (ko) 용융선철 및 용융강 예비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1345A (zh) 生产生铁水的方法及装置
US577272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from metal ores
EP06297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neumatic transport of large iron-bearing particles
JPH0681016A (ja) 熔融した銑鉄または鋼前生産物の製造法および製造装置
AU669434B2 (en) Process for utilising iron-containing wastes or residues
US5296015A (en) Method for the pneumatic transport of large iron-bearing particles
KR100318121B1 (ko) 금속광석으로부터 금속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JPS6169910A (ja) 鉄鉱石の流動層還元方法
KR100227597B1 (ko) 금속광석으로부터의 금속의 제조방법
JP2004538363A (ja) 炭素ベースの冶金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321806B1 (ko) 액상선철또는철강반제품생산용공정및공정실시용설비
CA2207163C (en) Process for making pig iron
EP0515744B1 (en) Method for the transport of sponge iron
KR20000039376A (ko) 슬러지를 이용한 용철제조용 미분 환원철의 괴상화방법
CZ292984B6 (cs) Způsob injektování jemné železné rudy v tavicím redukčním procesu
KR100440594B1 (ko) 금속광석 환원용 환원가스의 생산 방법 및 설비
CN117545859A (zh) 用于生产含有助熔剂和/或碳质材料的热压块铁(hbi)的系统和方法
JP3125689B2 (ja) 炉への燃料吹込み方法
US4378243A (en) System for coal blowing in iron oxide reducing kilns
JP3266148B2 (ja) 合成樹脂類の炉燃料への加工処理方法及び炉への燃料吹込み方法
CN1067453A (zh) 输送海绵铁的方法
WO1993020244A1 (en) Fines injection
JPH04361921A (ja) スポンジ鉄の輸送方法
JP2002146373A (ja) 合成樹脂類の炉燃料への加工処理方法及び炉への燃料吹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00128

Opposition cancel text: 1,3,6-8,16,18

Opposition date: 20000128

Opposition identifier: 102000000028

Registration number: 1002275970000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PO1301 Decision on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20001130

Patent event code: PO13011S01D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P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01228

Patent event code: PJ02102R02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0103000078

Request date: 20001228

Decision date: 20020227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0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101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1228

Effective date: 200202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30000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1228

Effective date: 200202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202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 date: 20001228

Decision date: 20020227

Appeal identifier: 200010300007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203002549;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0202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20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31002

Appeal identifier: 2002203002549

Request date: 2002042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429

Effective date: 2003100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203002549;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429

Effective date: 20031002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031008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020429

Decision date: 20031002

Appeal identifier: 200220300254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PO1301 Decision on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1

Patent event code: PO13011S01D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O070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7021S01D

Patent event date: 20040913

Comment tex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