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292B1 -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 Google Patents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292B1
KR100225292B1 KR1019960059377A KR19960059377A KR100225292B1 KR 100225292 B1 KR100225292 B1 KR 100225292B1 KR 1019960059377 A KR1019960059377 A KR 1019960059377A KR 19960059377 A KR19960059377 A KR 19960059377A KR 100225292 B1 KR100225292 B1 KR 10022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il
switch
harmonic nois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229A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5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2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ctifier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입력되는 110볼트와 220볼트가 선택되도록 회로가 구성됨으로써, 고조파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되는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성]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에 있어서, 이엠아이가 방지되도록 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되는 정류부와, 정류된 전원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되는 선택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써플라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터부 20 : 정류부
40 : 선택부
본 발명은 고조파 노이즈(Harmonic Noise) 저감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써플라이에 있어서, 입력전압에 따라서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팩터(Power Factor)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등으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변전소에 발전되어 전송되는 전압은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보내지는 전력의 코싸인(COS) 값으로 되는 유효전력으로 사용되게 되고, 상기 유효전력은 110볼트 또는 220볼트 등으로 구분되는 수용가 전원에 따라서 상기 두가지의 전압중에서 하나의 전압이 사용되는 경우, 파워써플라이의 입력단에서 적절한 값의 임피던스 사용으로 줄일 수가 있다. 그러나 파워써플라이의 압력에 인가되는 전압값은 상기 두가지 중의 한가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가의 환경에 따라서 즉, 110볼트와 220볼트의 두 가지 전압이 동시에 사용되는 프리볼트(Free Voltage) 입력인 경우에 상기의 유효전력은 저감되게 되고, 파워써플라이의 입력단 내력은 증대되어 파워써플라이에서 사용되는 유효전력의 값은 더욱 작게 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써플라이 회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써플라이는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에 있어서, 이엠아이(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가 방지되도록 되는 필터부(10)와, 상기 필터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되는 정류부(20)와, 정류된 전원이 제어되는 제어부(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써플라이는 입력되는 전원이 아엠아이가 방지되도록 되는 필터부(10)을 통하여 브리지 정류기인 정류부(20)에서 전파정류되어 제어부(30)로 인가된다. 상기의 제어부(30)는 전원에서 고조파 노이즈(Noise)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부(30)의 벌크(Bulk) 콘덴서(C2)의 전단에 구성된 수동소자인 쵸크코일(L)을 사용하거나 스위치소자(31)을 이용한 부스트업(Boost up)회로인 제어부(30)을 사용함으로써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고조파 노이즈가 감소되도록 동작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써플라이는 수동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110볼트와 220볼트가 동시에 고조파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되기에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능동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회로가 복잡하게 됨에 따라서 생산성과 신뢰성이 저감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입력되는 110볼트와 220볼트가 선택되도록 회로가 구성됨으로써, 고조파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되는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에 있어서, 이엠아이가 방지되도록 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의 정류된 전원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되는 선택부로 구성되는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에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는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에 있어서, 아엠아이가 방지되도록 되는 필터부(10)와, 상기 필터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되는 정류부(20)와, 상기 정류부(20)에서의 정류된 전원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되는 선택부(40)로 구성된다.
상기의 선택부(40)는 정류부(20)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코일(42), 상기 제1코일(4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치(43), 정류부(20)의 접지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44)로 되는 제1선택부(41)와, 정류부(20)의 다른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코일(47), 상기 제2코일(47)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46)로 되는 제2선택부(45)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조 파노이즈 저감회로는 110볼트가 입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선택부(41)의 제1스위치(43)가 온되고, 제2스위치(44)와 제2선택부(45)의 제3스위치(46)가 오프되어서 회로가 동작되기 때문에 제1코일(42)과 제2코일(47)이 쵸크(Choke) 코일로 동작되어서 고조파 토이즈가 저감되게 되고, 220볼트가 입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선택부(41)의 제1스위치(43)과 제2스위치(44)가 오프됨으로써,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가 제1코일(42), 콘덴서(C1), 콘덴서(C2), 제2코일(47)로 되는 회로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제1코일(42)은 쵸크 코일로 동작되게 되어 고조파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선택부(41)의 제1스위치(43)와 제2스위치(44) 그리고 제2선택부(45)의 제3스위치(46)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회로가 필요한 입력전원에 대하여 고조파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110볼트와 220볼트가 선택되도록 회로가 구성됨으로써, 고조파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통상의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이엠아이가 방지되도록 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정류되는 정류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에 있어서 : 상기 정류부의 제1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에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치, 및 상기 정류부의 접지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로 이루어진 제1선택부와; 상기 정류부의 제2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병렬로 연결된 제3스위치로 이루어진 제2선택부로 구성되어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상기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되는 선택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칭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콘덴서와, 상기 제2스위치와 제3스위칭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2콘덴서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 전달경로에 따른 LC 노이즈 필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KR1019960059377A 1996-11-29 1996-11-29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KR10022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77A KR100225292B1 (ko) 1996-11-29 1996-11-29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77A KR100225292B1 (ko) 1996-11-29 1996-11-29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29A KR19980040229A (ko) 1998-08-17
KR100225292B1 true KR100225292B1 (ko) 1999-10-15

Family

ID=1948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377A KR100225292B1 (ko) 1996-11-29 1996-11-29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08B1 (ko) * 2001-08-04 2005-04-20 주식회사 이엠시스 전자파를 성분별로 분석하고 저감시키는 전자파 장해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29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9004A (en) Single-phase harmonic filter system
US5224029A (en) Power factor and harmonic correction circuit including ac startup circuit
US7443390B2 (en) Power supply device of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5532917A (en) Power factor corrected rectifying circuit
EP1355411B1 (en) Rectifier with high power factor and low harmonics
KR950015946A (ko) 정현파 입력 교류 전압으로부터 출력 직류 전압을 야기하는 회로배치
US7190091B1 (en) Selectable source input power supply
EP1504513B1 (en) Indoor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9980079709A (ko)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US7248485B2 (en) Circuit arrangemen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s well as a corresponding appliance
KR100225292B1 (ko) 고조파 노이즈 저감회로
US20030222504A1 (en) Input power sharing
US5942864A (en) Control device for a variable speed electric motor
US5400241A (en) High frequency discharge lamp
US5939837A (en)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independently increasing the power factor and decreasing the crest factor
KR100615745B1 (ko) 파 형성 회로
US5257170A (en) Electric converter with several induction coils
EP0599405B1 (en) Low harmonic power supply for a discharge lamp
CA2052345A1 (en) Power supply circuit
KR100316635B1 (ko) 고조파전류 방지회로
WO1999027637A1 (en) Power supply device
KR100193627B1 (ko) 피에프씨 회로로 구성되는 스위칭소자 보호회로
KR19990058477A (ko)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9990054579A (ko) 소프트 스위칭을 이용한 저손실형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EP0589204A2 (en) Improvement in a stabilized-voltage power supply circuit for boost conver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