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931B1 -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931B1
KR100224931B1 KR1019970051513A KR19970051513A KR100224931B1 KR 100224931 B1 KR100224931 B1 KR 100224931B1 KR 1019970051513 A KR1019970051513 A KR 1019970051513A KR 19970051513 A KR19970051513 A KR 19970051513A KR 100224931 B1 KR100224931 B1 KR 10022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ase
grinder
disposer
swing plat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999A (ko
Inventor
오유식
Original Assignee
정담
주식회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담, 주식회사노비타 filed Critical 정담
Priority to KR101997005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9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바닥면의 중앙에는 모터의 구동로드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가 천공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둘레에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커팅케이스, 상기 커팅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윙플레이트, 상기 커팅케이스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배출홈이 절취형성되는 그라인더, 및 상기 커팅케이스의 배출구에 연통제공되는 드레인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케이스(10)의 유로(13)는 일정 직경 또는 깊이를 지니는 선단부(13a) 및 상기 선단부로부터 직경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종료되는 종단부(13b)를 지니며, 상기 그라인더(30)의 각각의 배출홈(31)은 상기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방향을 향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천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신속하게 분쇄 또는 파쇄할 수 있음은 물론 파쇄된 음식물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음식점등에서 발생되는 식음료품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디스포저(disposer)의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인더에 별도의 분사편을 형성하고, 분쇄물 배출홈을 변형시키고 또한 커팅케이스의 분쇄물 배출유로를 변형시켜 음식물 쓰레기를신속하고 용이하게 분쇄 및 배출 시킬 수 있는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고객의 수요를 예측하지 못함에 따라 또는 식음료품의 자연적인 변질 및 부패에 따라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고 있다.
이같은 음식물 쓰레기는 부패가 신속할뿐 아니라 악취가 심하게 발생됨에 따라 신속한 처리를 요함은 물론 환경학적으로 일반쓰레기와 분리되어 수거 및 처리되어야 한다.
특히, 음식물쓰레기 또는 찌꺼기를 하수구로 그대로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수질오염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따라 최근에는 일반쓰레기와 분리하여 이를 세척, 분쇄, 건조 및 압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위생적으로 처리할 뿐 아니라, 최종처리된 쓰레기로 유기질비료와 같이 유효한 물질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같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디스포저(disposer)라 칭하고 있으며, 이같은 디스포저에는 도 1에 도시된바와같이 분쇄장치(1)가 제공되어 있어 예컨대 분리되어 세척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된다.
상기 분쇄장치(1)는 기본적으록 구동모터(M)의 회전구동로드(R)가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구(2a)가 천공되며, 분쇄된 음식분쇄물이 유동되는 유로(2b), 및 상기 유로(2b)에 연통하며 상기 분쇄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2c)가 형성된 커팅케이스(cutting case)(2), 상기 커팅케이스(2)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M)의 구동로드(R)에 음식물을 분쇄시키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윙플레이트(swing plate)(3), 상기 커팅케이스(2)내에 장착되고 상기 스윙플레이트(3)를 포위하며 음식분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출홈(4a)이 형성되는 그라인더(grinder)(4), 및 일단부가 상기 커팅케이스(2)의 배출구(2c)에 연통고정되어 분쇄물을 소기의 위치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drain pipe)(5)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조에 따른 작동에의하면, 커팅케이스(2)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M)가 회전되면 이와동시에 상기 구동모터(M)의 로드(R)에 고정된 스윙플레이트(3)가 회전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된다.
이와같이 분쇄된 음식분쇄물은 상기 그라인더(4)의 다수의 배출홈(4a)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커팅케이스(2)내로 하강되며, 이같이 하강된 음식분쇄물은 커팅케이스(2)내의 유로(2b)를 통해 유동되어 그 커팅케이스의 배출구(2c)를 지나 드레인 파이프(5)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이같은 일반적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의 구조 및 작동에 있어서는, 단지 스윙플레이트(3)에 의해서만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므로써 그 분쇄 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커팅케이스(2)의 다수의 배출홈(4a)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그라인더(4)의 각각의 배출홈(4a)의 폭과 상기 그라인더(4)와 커팅케이스간의 간격이 거의 유사하여 상기 배출홈(4a) 및 상기 간격을 통한 분쇄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커팅케이스(2)에 형성된 유로가 선단부부터 종단부까지 즉, 배출구까지 거의 동일 직경을 지니므로써 분쇄물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쇄시킬수 있는 디스포저의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분쇄시 분쇄되는 음식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분쇄된 음식분쇄물이 분쇄장치내에 쌓이거나 퇴적됨이 없이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의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커팅케이스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그라인더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팅케이스 11: 바닥면
12: 고정구 13: 유로
14: 배출구 20: 스윙플레이트
30: 그라인더 31: 배출홈
32: 파쇄편 40: 드레인파이프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바닥면의 중앙에는 모터의 구동로드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가 천공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둘레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커팅케이스, 상기 커팅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윙플레이트, 상기 커팅케이스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배출홈이 절취형성되는 그라인더, 및 상기 커팅케이스의배출구에 연통제공되는 드레인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케이스의 유로는 일정 직경 또는 깊이를 지니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로부터 직경 및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종료되는 종단부를 지니며, 상기 그라인더의 각각의 배출홈은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회전방향을 향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천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그라인더에는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파쇄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면에 따르면, 그라인더의 각각의 배출홈의 폭은, 상기 커팅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그라인더의 외측면간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커팅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그라인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내지 도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는 기본적으로 커팅케이스(10), 스윙플레이트(20), 그라인더(30) 및 드레인 파이프(4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팅 케이스(10)는 기본적으로 그 바닥면(11)의 중앙에서 모터(M)의 로드(R)가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구(12)가 천공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팅케이스(10)의 바닥면(11)에 기본적으로 형성된 유로(13)는 선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 그 직경 또는 깊이가 서로 상이한바,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13)의 선단부(13a)로부터 종단부(13b)까지 실제적인 유로의 깊이 또는 직경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크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유로(13)의 종단부는 커팅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형성된 배출구(14)와 연통형성되며, 또한 상기 커팅케이스(10)의 상부에는 커팅케이스(10)내부가 외부로부터 폐쇄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커버가 장착될 수 있는 고정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상기 커팅케이스(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절살날을 지닌 스윙플레이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즉, 스윙플레이트(20)는 구동모터(M)의 로드(R)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커팅케이스(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홈(31)이 형성된 그라인더(30)가 배치되는바, 상기 그라인더(30)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윙플레이트(20)의 주변을 포위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팅케이스(10)의 내측에 장착된다.
특히, 상기 커팅케이스(10)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홈(31)은 그 커팅케이스(10)의 중심축, 즉, 모터(M)의 로드(R) 및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 중심축(X-X)의 연장선에 대해 일정각(α)으로 경사지도록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30)에는 다수의 파쇄편(32)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중심축(X-X)을 향해 돌출형성되는바, 상기 파쇄편(32)은 예컨대 질긴 섬유질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스윙플레이트(20)와 협력하여 분쇄시킬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파쇄편(32)은 중심축에 대해 각각 45。의 각도를 이루며 8개가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디스포저의 성능 또는 파쇄장치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인더(30)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홈(31)의 폭(W1)은, 상기 커팅케이스(10)와 그라인더(30)사이의 간격(W2)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스윙플레이트(20) 또는 그라인더(30)의 파쇄편(32)에 의해 파쇄된 음식 분쇄물이 상기 그라인더(30)의 배출홈(31)을 통해 용이하게 바져나감은 물론 상기 그라인더(30)와 커팅케이스(10) 사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팅케이스(10)의 배출구(14)에는 기본적으로 드레인파이프(40)가 제공되는바, 상기 드레인파이프(40)는 상기 커팅케이스(10)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팅케이스(10)에 형성된 유로(13)와 연통하도록 상기 배출구(14)에 장착된다.
실제적으로, 이같은 드레인파이프(40)의 구조 및 커팅케이스와의 연계구조에 의하면, 분쇄물 유동경로인 상기 커팅케이스(10)의 유로(13)의 선단부(13a)로부터 종단부(13b) 및 배출구(14)를 지나 상기 드레인파이프(40)까지의 경로는 점진적으로 그 직경이 증가될 뿐 아니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유로(13)의 배출구(14)로부터 드레인파이프(40)의 입구부로의 경사각(B)이 크기의 일정각도로 형성되는바, 상기 커팅케이스의 배출구 부분에 분쇄된 음식물이 가장 많이 쌓여지게 되므로 이같은 분쇄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키게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분쇄장치의 작동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장치의 커팅케이스(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스윙플레이트(20)와 드레인(30)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모터(M)를 작동시키면, 그 모터(M)의 로드(R)가 회전됨과 동시에 스윙플레이트(20)가 회전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기 시작한다.
이때, 예컨대 섬유질을 포함하는 질긴 쓰레기의 경우에는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에 더하여 그라인더(30)의 다수의 파쇄편(32)에 의해 분쇄된다.
이와같이 분쇄된 분쇄물은 스윙플레이트(20)가 회전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그라인더(30)의 각각의 배출홈(31)을 통해 빠져나가며, 이같이 빠져나간 분쇄물은 상기 그라인더(30)의 외측부와 커팅키이스(10)의내측을 지나 유로(13)를 통해 유동되며, 최종적으로 배출구(14)를 통해 빠져나가 드레인파이프(40)를 통해 소기의 장소로 완전 배출된다.
이때 음식분쇄물은, 상기 그라인더(30)의 각각의 배출홈(31)이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그라인더(30)와 커팅케이스(10)간의 폭(W1)이 충분하며, 특히 커팅케이스(10)의 유로(13)가 선단부(13a)로부터 종단부(13b), 배출구(14) 및 드레인파이프(40)까지 그 직경 및 깊이가 증가함은 물론 하방을 향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됨을 알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를 디스포저에 설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신속하게 분쇄 또는 파쇄할 수 있음은 물론 파쇄된 음식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분쇄 또는 파쇄시 음식물이 튀거나 분쇄장치내에 퇴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항시 분쇄장치의 원할한 작동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바닥면의 중앙에는 모터의 구동로드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가 천공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둘레에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커팅케이스, 상기 커팅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윙플레이트, 상기 커팅케이스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배출홈이 절취형성되는 그라인더, 및 상기 커팅케이스의 배출구에 연통제공되는 드레인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케이스(10)의 유로(13)는 일정 직경 또는 깊이를 지니는 선단부(13a) 및 상기 선단부로부터 직경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종료되는 종단부(13b)를 지니며, 상기 그라인더(30)의 각각의 배출홈(31)은 상기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방향을 향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천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30)에는 상기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 중심축(X-X)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파쇄편(3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30)의 각각의 배출홈(31)의 폭(W1)은, 상기 커팅케이스(10)의 내측면과 상기 그라인더(30)의 외측면간의 간격(W2)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KR1019970051513A 1997-10-08 1997-10-08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KR10022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513A KR100224931B1 (ko) 1997-10-08 1997-10-08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513A KR100224931B1 (ko) 1997-10-08 1997-10-08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99A KR19990030999A (ko) 1999-05-06
KR100224931B1 true KR100224931B1 (ko) 1999-10-15

Family

ID=1952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513A KR100224931B1 (ko) 1997-10-08 1997-10-08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9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99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0305B2 (ja) 乾燥廃棄物用の破砕機
US7337996B2 (en) Food waste disposer grinding mechanism
US4134555A (en) Waste disposer
CN205591304U (zh) 食物处理器的粉碎研磨装置
KR100224931B1 (ko) 디스포저의 분쇄장치
KR2017007940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NZ523163A (en) Sanitary shredder
KR102070921B1 (ko)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15045B1 (ko) 친환경 음식물 분쇄기
JPH07194991A (ja) ディスポーザー
KR101167482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20220000391U (ko) 디스포저용 회전분쇄판
KR19990020542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1091Y1 (ko) 차잎 분쇄기
KR20200025231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KR200248324Y1 (ko) 곡물분쇄기
KR101061522B1 (ko) 분쇄 커터
KR910001972Y1 (ko) 합성수지 분쇄기
CN218622446U (zh) 垃圾处理器
JP2002292300A (ja) ディスポーザ
KR102244672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회전커터 보호기
KR200179559Y1 (ko) 음식물찌꺼기 분산용 분산기
KR200175462Y1 (ko) 분쇄기의 공기 공급장치
CN208512694U (zh) 食物垃圾处理器
CN208288154U (zh) 食物垃圾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