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852B1 -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852B1
KR100224852B1 KR1019970024725A KR19970024725A KR100224852B1 KR 100224852 B1 KR100224852 B1 KR 100224852B1 KR 1019970024725 A KR1019970024725 A KR 1019970024725A KR 19970024725 A KR19970024725 A KR 19970024725A KR 100224852 B1 KR100224852 B1 KR 100224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photosensitive belt
light
image form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412A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8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벨트와, 그 감광벨트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노광 및 현상하기 위한 노광장치 및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광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수광 센서를 마련하는 단계; 노광전에 설정된 노광영역 외부의 상기 투명부를 포함하는 더미(dummy) 노광폭 만큼만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부의 모서리를 감지하여 상기 노광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는 달리 발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노광장치 내의 LSU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감광 벨트의 횡방향 이동을 감지하므로, 종래와 같은 발광 센서 이용에 따르는 위치 보정 과정이 없어 노광위치 정렬과정이 그만큼 단순화되고, 노광위치 정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코드의 시작점을 찾아 노광을 행함으로써 색겹침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송된 문자나 화상 데이터 신호에 따라 기록매체상에 문자나 화상을 재현해 내는 장치로서, 통상 기록매체상에 정전 잠상(latent electro -static image)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부재(예컨대, 감광드럼이나 감광벨트)와, 그 감광부재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장치와, 대전된 감광부재에 광을 조사하여 선택적으로 제전시켜 소정의 패턴으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와, 노광된 정전잠상 위에 현상매체(예컨대, 토너나 현상액)를 분사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와, 현상된 정전잠상을 가압 및 가열에 의해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화상형성장치는 제1, 제2 및 제3 벨트 로울러(101) (102)(103)에 의해 순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 벨트(104)와, 그 감광 벨트(104)에 잔존하는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제전 장치(105)와, 감광 벨트(104)에 새로이 전하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장치(106)와,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전된 상기 감광 벨트(104)의 이미지 형성 영역을 이미지 형상의 패턴으로 선택적으로 제전시키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aser scanning unit:이하 LSU로 약칭함)를 가지는 노광 장치(107)(108)(109)(110)와, 상기 감광 벨트(104)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액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111)(112) (113)(114)와, 상기 정전 잠상에 뿌려진 현상액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장치(115)와, 상기 감광 벨트(104)에 형성된 현상된 임의의 화상을 기록용지나 필름 등과 같은 기록매체(117)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11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현상 장치(111)는 현상액을 감광 벨트(104)에 도포하기 위한 현상 로울러(111a)와, 그 현상 로울러(111a)에 현상액을 공급해주기 위한 현상액 공급장치(111b)와, 현상 로울러(111a)의 후면부에 점착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로울러(111c)와, 감광 벨트(104) 상의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제1,제2 스퀴지(squeegee) 로울러(111d)(111e)와, 그 제1,제2 스퀴지 로울러(111d) (111e)에 점착된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제1,제2 블레이드(111f)(111g)와, 장치내의 현상액을 다시 회수하기 위한 현상액 회수용기(111h)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 장치(115)에는 감광 벨트(104) 상에 점착된 현상액을 건조시키기 위한 히팅 로울러(115h)가 마련되어 있고, 전사 장치(116)는 감광 벨트(104)를 사이에 두고 제1벨트 로울러(101)와 밀착회전함으로써 감광 벨트(104) 상의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 로울러(116t)와, 전사 로울러(116t)와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전사 로울러(116t)로 전사된 화상을 기록용지(117)로 다시 전사하는 가압 로울러(116p)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감광 벨트(104)의 일측 단부의 상,하부에 발광 센서(301e) 및 수광 센서(301r)를 각각 설치하고, 감광 벨트(104)의 가장자리 부분의 횡방향 이동에 따른 수광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치와 비교/분석함으로써 감광 벨트(104)의 횡방향 이동에 따른 LSU(107L)로부터의 방출 레이저빔의 노광폭(W)을 제어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 발광 센서(301e)의 위치를 먼저 보정한 후 전체적인 노광폭(W)을 제어하게 되어 있어 노광위치 정렬과정이 번거롭고, 또한 발광 센서(301e)의 위치보정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노광위치도 정밀하게 정렬되지 않아 화상형성에 있어서 색겹침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발광센서의 위치보정 과정을 제거함으로써 노광위치 정렬과정을 단순화하고, 색겹침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노광위치 정렬을 위해 마련된 수광 센서 및 주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노광위치 정렬을 위해 마련된 발광 센서, 수광 센서 및 주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의 구현을 위해 마련된 투명부(반사부) 및 투과광(반사광) 수광센서의 상호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장치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의 구현을 위해 감광벨트에 마련된 투명부(반사부)와 노광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의 구현을 위해 마련된 더미 노광폭 및 지연시간을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제1 벨트 로울러 102...제2 벨트 로울러
103...졔3 벨트 로울러 104,404...감광 벨트
105...제전 장치 106...대전 장치
107,108,109,110...노광 장치 111,112,113,114...현상 장치
115...건조 장치 116...전사 장치
117...기록매체 111a...현상 로울러
111b...현상액 공급장치 111c...클리닝 로울러
111d...제1 스퀴지 로울러 111e...제2 스퀴지 로울러
111f...제1 블레이드 111g...제2 블레이드
111h...현상액 회수용기 115h...가열 로울러
116p...가압 로울러 116t...전사 로울러
107L...LSU 301e...발광 센서
301r,401a,401b...수광 센서 404t...투명부
404r...반사부 404e...노광 영역
W...노광폭 407d...더미 노광폭
Td...지연 시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벨트와, 그 감광벨트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노광 및 현상하기 위한 노광장치 및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광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 수광 센서를 마련하는 단계; 노광전에 설정된 노광영역 외부의 상기 투명부를 포함하는 더미(dummy) 노광폭 만큼만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부의 모서리를 감지하여 상기 노광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노광은 상기 투명부의 모서리가 감지된 그 시점에 행하거나,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행하며, 특히 상기 감광벨트의 사행(斜行)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더미 노광폭의 광조사를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부는 반드시 투명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반사부로 대치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반사부로 대치될 경우, 상기 수광 센서는 당연히 반사광의 경로 상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는 달리 발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노광장치 내의 LSU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감광 벨트의 횡방향 이동을 감지하므로, 종래와 같은 발광 센서 이용에 따르는 위치 보정 과정이 없어 노광위치 정렬과정이 그만큼 단순화되고, 노광위치 정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의 구현을 위해 감광벨트 및 그 주변에 마련된 투명부(반사부) 및 투과광(반사광) 수광센서를 나타내 보인 장치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벨트와, 그 감광벨트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노광 및 현상하기 위한 노광장치 및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먼저 감광 벨트(404)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광장치 내의 LSU(407L)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명부(404t)를 마련하고, 그 투명부(404t)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는 투과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센서(401a)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부(404t)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폭의 띠형태로 감광벨트(404)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광벨트(404) 상에 형성된 노광영역(404e)의 길이만큼씩 복수개 마련된다. 이와 같이 투명부(404t) 및 수광 센서(401a)의 설치가 완료되면, 정상적인 노광을 수행하기 전에 우선 상기 노광영역(404e) 외부의 상기 투명부(404t)를 포함하는 더미(dummy) 노광폭(407d:도 6 참조) 만큼만 감광벨트(404)에 광을 조사한다. 그런 후, 상기 투명부(404t)의 모서리를 감지하고, 본격적으로 상기 노광영역(404e)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노광은 상기 투명부(404t)의 모서리가 감지된 그 시점에 행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지연시간(Td) 이후에 행한다. 특히, 이때 상기 감광벨트(404)의 사행(斜行)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더미 노광폭(407d)의 광조사를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명부(404t)는 반드시 투명하게 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반사부(404r)로 대치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반사부(404r)로 대치될 경우, 상기 수광 센서(401a)는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참조 부호401b로 표시된 것과 같이 반사광의 경로 상에 마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반사부(404r)도 상기 투명부(404t)의 경우처럼 소폭의 띠형태로 감광벨트(404)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광벨트(404) 상에 형성된 노광영역(404e)의 길이만큼씩 복수개 마련된다. 또한, 이와 같이 반사부(404r)도 대체된 경우에도 정상적인 노광을 수행하기 전에 우선 상기 노광영역(404e) 외부의 상기 반사부(404r)를 포함하는 더미 노광폭(407d) 만큼만 감광벨트(404)에 광을 조사한다. 그런 후, 상기 반사부(404r)의 모서리를 감지하고, 본격적으로 상기 노광영역(404e)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한다. 그리고, 이때의 노광도 상기 반사부(404r)의 모서리가 감지된 그 시점에 행하거나, 설정된 지연시간(Td) 이후에 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은 종래와는 달리 발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노광장치 내의 LSU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감광 벨트의 횡방향 이동을 감지하므로, 종래와 같은 발광 센서 이용에 따르는 위치 보정의 과정이 없어 노광위치 정렬과정이 그만큼 단순화되고, 노광위치 정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색겹침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발광 센서의 미사용에 따르는 제품의 원가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사부의 모서리를 감지하고 노광을 시작하면 화상의 시작점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형성에 있어서의 선명도를 한층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벨트와, 그 감광벨트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노광 및 현상하기 위한 노광장치 및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광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를 통과한 광경로 상에 수광 센서를 마련하는 단계;
    노광전에 설정된 노광영역 외부의 상기 투명부를 포함하는 더미(dummy) 노광폭 만큼만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부의 모서리를 감지하여 상기 노광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은 상기 투명부의 모서리가 감지된 그 시점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은 상기 투명부의 모서리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벨트의 사행(斜行)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더미 노광폭의 광조사를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소폭의 띠형태로 감광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광벨트 상에 형성된 노광영역의 길이만큼씩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6.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벨트와, 그 감광벨트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노광 및 현상하기 위한 노광장치 및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광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반사된 광의 경로 상에 수광 센서를 마련하는 단계;
    노광전에 설정된 노광영역 외부의 상기 반사부를 포함하는 더미(dummy) 노광폭 만큼만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부의 모서리를 감지하여 상기 노광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은 상기 반사부의 모서리가 감지된 그 시점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은 상기 반사부의 모서리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소폭의 띠형태로 감광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광벨트 상에 형성된 노광영역의 길이만큼씩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위치 정렬방법.
KR1019970024725A 1997-06-14 1997-06-1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KR100224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725A KR100224852B1 (ko) 1997-06-14 1997-06-1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725A KR100224852B1 (ko) 1997-06-14 1997-06-1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412A KR19990001412A (ko) 1999-01-15
KR100224852B1 true KR100224852B1 (ko) 1999-10-15

Family

ID=1950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725A KR100224852B1 (ko) 1997-06-14 1997-06-1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6226B2 (en) 2002-06-22 2009-10-20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23887B2 (en) 2002-05-18 2009-11-2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service method in multicast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3887B2 (en) 2002-05-18 2009-11-2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service method in multicast system
US7869758B2 (en) 2002-05-18 2011-01-11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service method in multicast system
US8010039B2 (en) 2002-05-18 2011-08-30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service method in multicast system
US8380232B2 (en) 2002-05-18 2013-02-19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service method in multicast system
US7606226B2 (en) 2002-06-22 2009-10-20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077716B2 (en) 2002-06-22 2011-12-13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RE45333E1 (en) 2002-06-22 2015-01-13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412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66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a constant beam scanning state
US6493010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single-color images on a latent image carrier
JPH08258340A (ja) 画像形成装置
CN101339388B (zh)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8189027B2 (en) Exposure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0224852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벨트상의 노광 위치 정렬방법
JP200402116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濃度検出装置
JP3740339B2 (ja) 光走査光学系及びマルチビーム光走査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6052135A (en) Combination erase bar and belt position detector system for use with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system
KR19990023293A (ko) 인쇄기 광주사시스템의 이미지주사 개시시기 조정방법
US5905519A (en) System for registration of color separation images on a photoconductor belt
KR100373470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타이밍 제어 방법
US7995260B2 (en) Light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95474A (ja) カラ−画像形成装置
JP200004744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調整方法
JPS5995576A (ja) レ−ザ−を使用した複写機等の定着装置
KR100844391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JP2000235300A (ja) 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
KR100224851B1 (ko) 화상 형성장치의 감광 벨트상의 노광 위치 보정방법
JP200319152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1642723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H0145065B2 (ko)
JP2001270152A (ja) 走査光学装置
US5025286A (en) Laser beam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OS Detection
US20190243276A1 (en) Scanning exposur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scanning exposur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canning expos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