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407B1 -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 Google Patents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407B1
KR100224407B1 KR1019960073190A KR19960073190A KR100224407B1 KR 100224407 B1 KR100224407 B1 KR 100224407B1 KR 1019960073190 A KR1019960073190 A KR 1019960073190A KR 19960073190 A KR19960073190 A KR 19960073190A KR 100224407 B1 KR100224407 B1 KR 10022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function
frequency response
sensitivity
division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060A (ko
Inventor
지태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4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경할 동적 구조물의 분계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환 감도를 계산하는 제2단계, 직접 미분법에 의하여 분계에 대한 전계의 주파수 응답함수의 감도를 계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된 분계의 주파수 응답함수에 대한 감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계산된 분계에 대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를 조합하여, 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를 계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계산된 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에 의한 1차감도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방법으로 설계변수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설계변수의 변경값을 출력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을 제공하여, 오차가 최소화된 동적구조물의 설계변경값을 보다 신속하게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본 발명은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설계사양에 따라 제작된 기계구조물의 구조를 변경할 때 설계변경값을 계산하는 데에 적합한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설계사양에 따라 제작된 기계구조물이 설계파라미터와 다르거나 또는 사용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구조물의 동특성을 변화시켜야 할 경우에, 그 설계값의 변경을 위하여 설계변경값을 구할 필요가 있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설계변경값을 구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하기의 수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파수응답에 대한 모드감도판별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하기와 같다.
[수식 1]
상기 수식1은 N자유도 비감쇠계의 주파수 ω에서의 i점을 가진 j점 응답의 주파수응답함수를 모달파라미터로 표시한 것으로, 여기서 Kr=([Φ]T[K][Φ])r, βr=ω/Ωr이고, Φri는 r번째 고유벡터의 i번째의 성분이다.
이때, 질량행렬이 정규화되어 있다면, 상기 수식1은 하기의 수식2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2]
여기서, λrr 2이다.
이와 같은 수식 2를 m개의 설계변수 Pℓ(ℓ=1,…,m)로 미분하면, 하기의 수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파수응답함수의 설계변수에 대한 감도를 구할 수 있다.
[수식 3]
상기 수식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고유값과 고유벡터의 설계변수에 대한 감도를 알면 간접적으로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드감도판별방법은 구조물의 N자유도 중에서 저차로부터 몇 개의 자유도만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고차모드의 생략에 따른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오차가 최소화된 동적구조물의 설계변경값을 구할 수 있는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은, 변경할 동적 구조물의 분계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한 감도를 계산하는 제2단계, 직접미분법에 의하여 분계에 대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를 계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된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계산된 분계에 대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를 조합하여, 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를 계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계산된 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에 의한 1차감도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방법으로 설계변수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설계변수의 변경값을 출력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3은 구조물의 두 분계가 강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20 : 제어부
30 : 모니터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1에 있어서, 입력부(10)는 본 발명의 부분구조응답함수법에 포함된 일련의 계산과정에 필요한 구조물이나, 변경하고자 하는 분계 등의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토대로 본 발명의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을 수행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동적구조물의 분계에 대한 설계변경값을 계산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모니터(30)는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20)에서 계산된 동적구조물의 분계에 대한 설계변경값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부재로 이루어진 하드웨어를 통해 본 발명의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의 동작과정을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동적구조물에서 진동분석을 통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부분을 분계로 설정한다(S1).
이후, 상기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한 감도를 계산하게 되며(S2), 이 계산과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와 같다.
우선, 기초단계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 B의 두 분계가 결합부(S)에서 강결합된 경우를 생각할 때, 결합부(S)의 자유도를 Ns라 하면, 감도를 구하기 위한 i점 및 j점의 주파수응답함수는 하기의 수식4에 도시된 바와 같게 된다.
[수식 4]
GijC=[GA]is([GA]SS+[GB]SS)-1{GB]S
여기서, A, B는 각 분계를, C는 전계를 나타내며, 분계 B에 대한 전계 C의 감도를 구하기 위하여 전계 C의 주파수응답함수를 B의 주파수응답함수로 미분하면, 하기의 수식5 및 수식6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식 5]
[수식 6]
상기 수식5는 결합부(S)사이의 주파수응답에 대한 감도이고, 상기 수식 6은 결합부(S)와 j점 사이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한 감도이다.
한편, 상기 수식5 및 수식6에서, 1과 m은 결합부(S)에 속하는 점이고, [D1]은 1번째 행과 m번째 열에서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행렬이며, {D2}는 1번째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벡터이다.
다음으로, 직접미분법에 의하여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분계에 대한 감도를 구하며(S3), 그 내용은 하기와 같다.
먼저, N자유도 비감쇠계의 주파수응답함수를 행렬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식7과 같다.
[수식 7]
[G]=(-ω2[M]+[K])-1
설계변수에 대한 감도를 구하기 위하여 상기 수식7의 좌우변을 Pi(i=1,…,m)로 미분하면 하기의 수식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계변수에 대한 감도행렬을 구할 수 있다.
[수식 8]
이와 같은 직접미분법에 의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분계에 대한 감도를 구하는 방법은 전술한 모드판별방법과 달리 질량 및 강성행렬의 미분값만 알면 되므로,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상용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으로 모델링한 분계에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고유해를 구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계산시간이 훨씬 빠르며, 감쇠행렬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단계(S2)에서 계산된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한 감도 및 상기 단계(S3)에서 직접미분법에 의하여 계산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분계에 대한 감도를 조합하여, 하기의 수식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변수와 목적함수(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사이의 관계를 1차근사식으로 구한다(S4).
[수식 9]
상기 수식9에서, 목적함수{ΔGc}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로 n차원벡터이고, 설계변수{ΔP}는 m차원벡터이다.
상기 수식9로부터의 1차감도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방법으로 설계변수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출력한다(S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에 의하면, 오차가 최소화된 동적구조물의 설계변경값을 보다 신속하게 계산하여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변경할 동적 구조물의 분계를 설정하는 제1단계 ; 상기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한 감도를 계산하는 제2단계 ; 직접미분법에 의하여 분계에 대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를 계산하는 제3단계 ;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된 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에 대한 감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계산된 분계에 대한 전계의 주파수응답함수의 감도를 조합하여, 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를 계산하는 제4단계 ; 상기 제4단계에서 계산된 주파수응답함수의 차이벡터에 의한 1차감도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방법으로 설계변수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설계변수의 변경값을 출력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KR1019960073190A 1996-12-27 1996-12-27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KR10022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90A KR100224407B1 (ko) 1996-12-27 1996-12-27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90A KR100224407B1 (ko) 1996-12-27 1996-12-27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60A KR19980054060A (ko) 1998-09-25
KR100224407B1 true KR100224407B1 (ko) 1999-10-15

Family

ID=1949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190A KR100224407B1 (ko) 1996-12-27 1996-12-27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4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60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llec et al. Making deep q-learning methods robust to time discretization
KR100989395B1 (ko) 제어 시스템의 제어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방법
US7460916B2 (en) Nonlinear system observation and control
JPH11509344A (ja) 範囲制御を使用した多変数予想コントローラにおいて変数の最適スケーリングを行う方法
JPH02188801A (ja) 閉ループ装置のためのパラメータ評価技術
JP5027170B2 (ja) 物理的システムにおいて入力信号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Cunha et al. Application of model updating techniques in dynamics for the identification of elastic constants of composite materials
KR100224407B1 (ko) 동적구조변경을 위한 부분구조응답함수법
Liu et al. PRESS-based EFOR algorithm for the dynamic parametrical modeling of nonlinear MDOF systems
Aryana et al. Sensitivity analysis and modification of structural dynamic characteristics using second order approximation
JP2616829B2 (ja) ファジィ推論装置
Smith et al. Frequency modification using Newton's method and inverse iteration eigenvector updating
Roy et al. A stochastic Newmark method for engineering dynamical systems
EP4138173A1 (en) Remaining capacity estimation device, model generation device, remaining capacity estimation method, model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N114924642A (zh) 一种振动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S6144326B2 (ko)
JPH0561849A (ja) ニユーラルネツトワークの入出力特性検出装置
JP2903098B2 (ja) 構造設計方法
Xiao et al. On the positive definite solutions to the 2-D continuous-time Lyapunov equation
Butler et al. Optimal control of infinite-order smart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using distributed sensors
JPS6258001B2 (ko)
JP2001147912A (ja)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モデルの作成方法
Whalley et al. Assessment of controllability–observability from the impedance matrix
JPH0535711A (ja) ニユーラルネツトワークの学習データ記憶装置
CN117872853A (zh) 两轮足机器人的运动控制方法、装置、机器人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