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706B1 -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706B1
KR100222706B1 KR1019970008617A KR19970008617A KR100222706B1 KR 100222706 B1 KR100222706 B1 KR 100222706B1 KR 1019970008617 A KR1019970008617 A KR 1019970008617A KR 19970008617 A KR19970008617 A KR 19970008617A KR 100222706 B1 KR100222706 B1 KR 10022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bs
digital
ntsc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378A (ko
Inventor
김차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70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에는 NTSC 방송과 아울러 DBS 위성방송과 HD 텔레비젼 방송을 시청할 수 있을 뿐 인터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퍼스널 컴퓨터를 구비하여야 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방송 수신되는 NTSC신호를 색차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을 변환하고 방송 수신되는 HD신호와 DBS신호를 디코딩하며, 상기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된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HD신호와 디지털 DBS신호중 하나를 현재의 시청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포맷 변환한 후, 상기 포맷 변환된 신호를 상기 인터네트 정보를 색차신호로 변환한 그래픽신호와 합성하여 영상 출력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NTSC 방송, DBS 위성방송, HD 텔레비젼 방송을 시청함과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사용한다.

Description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본 발명은 텔레비젼(이하 "TV"라 함)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라인을 통해 인터네트(internet)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겸용하는 TV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적인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송 시청용 TV 수상기로서 PC의 모니터로 사용하거나 DBS(Direct Broadcasting Satellite)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였다.
도 1은 NTSC 방송 시청용 TV 수상기(100)에 DBS 위성방송 수신기(102)와 PC/NTSC 변환기(104)를 별도로 설치하여 현행 NTSC 방송수신과 DBS 위성수신 및 PC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DBS 위성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TV 수상기(100)에 위성방송 수신기(102)를 별도로 설치하여 위성방송 신호를 위성방송 수신기(102)에서 NTSC RF(Radio Frequency)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TV수상기의 안테나 입력단에 연결하여 시청하였다. 또한, 위성방송 수신기(102)에서 직접 베이스밴드(baseband) 복합영상(composite video)신호를 출력시켜 TV 수상기(100)의 외부입력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PC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PC 모니터신호를 현행 TV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PC/NTSC 변환기(104)를 별도로 설치해야한다. 이때 PC/NTSC 변환기(104)의 출력을 TV 수상기(100)의 외부 입력단자에 연결하면 PC 모니터신호를 TV 수상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인터네트를 통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수신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특히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에 구비된 모뎀을 통해서만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TV시스템의 TV수상기에 PC로부터 인터네트 정보에 대응하는 PC 모니터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DBS 위성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위성방송 수신기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DBS신호 특성의 열화가 발생하고, PC 모니터로 사용할 경우 PC/NTSC 변환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가 열화될 뿐만 아니라 향후에 방송 개시될 HD TV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TSC 방송과 아울러 DBS 위성방송과 HD TV 방송을 신호의 열화없이 시청함과 아울러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TV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되는 NTSC신호를 색차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을 변환하고 방송 수신되는 HD신호와 DBS신호를 디코딩하며,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된 신호와 디코딩된 디지털 HD신호와 디지털 DBS신호중 하나를 현재 시청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포맷 변환한 후, 포맷 변환된 신호와 PC로부터 입력되는 PC 모니터신호중 하나를 현재 시청모드에 따라 스위칭에 의해 선택하여 영상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소자나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NTSC신호 처리부(200)와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와 스위칭부(204)와 영상 출력부(206)와 동기 프로세서(208)와 제어부(210)로 구성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로들과 IC(Integrated Circuit)들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NTSC신호 처리부(200)와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와 정보처리부(216)와 스위칭부(204)와 영상 출력부(206)는 현재의 시청모드에 따라 제어부(21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때 제어부(210)에 구비된 마이컴(MICOM: microcomputer)(246)은 4가지의 시청모드, 즉 NTSC 방송 수신모드와 DBS 방송 수신모드와 HD TV 방송 수신모드와 정보수신모드중 현재의 시청모드에 따라 NTSC신호 처리부(200)와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와 스위칭부(204)와 영상 출력부(206)를 제어한다.
상기 NTSC신호 처리부(200)는 NTSC 튜너(tuner)(218)와 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module)(220)과 A/V(Audio/Video) 스위치(222)와 디지털 콤필터(comb filter)(224)와 NTSC 크로마(chroma) 프로세서(226)로 구성하며, NTSC TV 방송 수신되는 NTSC신호 또는 외부 입력단(212)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후 색차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로 출력한다. 상기 NTSC 튜너(218)는 NTSC 방송 수신신호를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선국하여 IF신호를 출력한다. IF 모듈(220)은 NTSC 튜너(218)에 의해 선국된 IF신호를 처리하여 베이스밴드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A/V 스위치(222)는 IF 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외부 입력단(212)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복합영상신호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외부 복합영상신호는 NTSC신호이다. 디지털 콤필터(224)는 A/V 스위치(222)에 접속되며 A/V 스위치(222)에 의해 선택되는 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NTSC 크로마 프로세서(226)로 인가된다. 이때 외부 입력단(212)을 통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가 슈퍼 비디오신호일 경우도 있는데, 슈퍼 비디오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콤필터(224)를 거칠 필요 없이 바로 NTSC 크로마 프로세서(226)로 인가한다. NTSC 크로마 프로세서(226)는 A/V 스위치(2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색차신호 즉, Y,R-Y,B-Y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NTSC 크로마 프로세서(226)에 의해 변환된 색차신호 Y,R-Y,B-Y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H/V와 함께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부(202)로 출력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는 HD/DBS 튜너(228)와 HD 디코더(230)와 DBS 디코더(232)와 신호규격 변환기(234)와 포맷 변환기(236)로 구성하며, NTSC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색차신호 Y,R-Y,B-Y를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하고 DBS 위성방송과 HD 텔레비젼 방송 수신되는 HD신호와 DBS신호를 디코딩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는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된 신호와 디코딩된 디지털 HD신호 및 DBS신호중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타입(type)으로 포맷 변환한다.
상기 HD/DBS 튜너(228)는 HD방송 수신신호와 DBS방송 수신신호중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국한다. HD 디코더(230)는 HD/DBS 튜너(228)에 의해 선국된 HD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HD신호를 출력하고, DBS 디코더(232)는 HD/DBS 튜너(228)에 의해 선국된 DBS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DBS신호를 출력한다. 신호규격 변환기(234)는 NTSC 크로마 프로세서(226)로부터 NTSC 색차신호 Y,R-Y,B-Y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H/V를 입력하며, 색차신호 Y,R-Y,B-Y를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한다. 포맷 변환기(236)는 신호규격 변환기(234)에 의해 변환된 신호와 HD 디코더(230) 및 DBS 디코더(232)에서 각각 디코딩된 디지털 HD신호 및 디지털 DBS신호와 외부 입력단(214)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HD신호중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포맷 변환기(236)는 통상적으로 포맷 변환기 IC와 메모리와 타이밍 발생기와 D/A 변환기(Digital/Analog)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이때 외부 HD신호는 원색신호 R,G,B가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와 함께 입력된다. 상기 포맷 변환기(236)에 의해 변환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원색신호 R,G,B와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는 스위칭부(204)에 인가된다.
상기 정보처리부(216)는 모뎀(240), OSG(On Screen Graphic, 이하 "OSG 발생기라 칭함)(238), D/A변환부(244)로 구성되며, 전화라인 접속단(238)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네트 정보에 대해 수평, 수직 블랭킹신호 H_BLK,V_BLK에 동기하여 그래픽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모뎀(240)은 전화라인 접속단(238)으로 인가되는 인터네트 정보를 복조한다. 상기 OSG 발생기(242)는 모뎀(240)을 통해 복조된 인터네트 정보를 수상관의 편향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수직 블랭킹신호 H_BLK,V_BLK에 동기하여 그래픽신호로 발생한다. D/A변환부(244)는 전화라인 접속단(238)으로 인가되는 인터네트 정보는 디지털신호이므로 상기 디지털 인터네트 정보를 영상 처리가 가능하도록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스위칭부(204)는 정보처리부(216)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네트 정보를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여 포맷 변환기(23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하나와 합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정보처리부(216)로부터 입력되는 그래픽신호는 인터네트 정보에 해당하는 원색신호 R,G,B가 수평, 수직동기신호 H_BLK,V_BLK에 동기되어 출력되는 색차신호를 말한다.
상기 영상 출력부(206)는 ABL(Auto Brightness Limit) 회로와 R.G.B.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하며, 스위칭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R,G,B에 대해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화질을 조정하여 수상관(도시하지 않았음)에 출력한다. R.G.B 프로세서(242)는 스위칭부(204)로부터 신호 R,G,B와 수상관의 편향회로로부터 수평, 수직 블랭킹신호 H_BLK,V_BLK와 동기 프로세서(208)로부터 동기신호를 입력하며, 입력신호 R,G,B에 대해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화면의 명암, 밝기,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등의 화질을 조정한다. 이때 ABL 회로는 수상관의 편향회로로부터 인가되는 ABL신호 ABL에 따라 R.G.B 프로세서에서 처리되는 신호에 대한 ABL 제어를 한다.
상기 동기 프로세서(208)는 스위칭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를 처리하여 일정한 형태의 수평, 수직동기신호 H_SYNC, V_SYNC로 변환하고, 클램프(clamp)신호를 R.G.B 프로세서(242)로 출력한다. 또한 동기 프로세서(208)는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제어부(210)의 마이컴(246)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마이컴(246)과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248)과 제1, 제2D/A 변환기(250,252)로 구성하며, 마이컴(246)에 의해 NTSC신호 처리부(200)와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202)와 영상 출력부(206)의 신호처리와 스위칭부(204)의 스위칭과 수상관의 편향을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되게 제어한다. EEPROM(248)은 각각의 시청모드에 따른 마이컴(246)의 제어동작을 위한 제어데이터, 즉 화질 조정데이터, 편향제어데이타가 저장되며 이들 데이터는 마이컴(246)에 제공된다. 제1, 제2D/A 변환기(250,252)는 마이컴(246)에 IIC 버스로 연결되는데, 제1D/A 변환기(250)는 마이컴(246)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질 조정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NTSC신호 처리부(200)와 R.G.B 프로세서(242)에 제공하고, 제2D/A 변환기(252)는 마이컴(246)으로부터 출력되는 편향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의 편향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수상관의 편향회로에 제공한다.
이제 상기한 도 2의 TV 수상기의 동작을 상술한 4가지의 시청모드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NTSC 방송 수신모드인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마이컴(246)의 제어에 의해 NTSC 튜너(218)에서 시청하고자하는 채널이 선국되고 그에 따른 IF신호가 IF 모듈(220)로 입력되어 베이스밴드의 영상신호가 A/V 스위치(222)로 출력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NTSC 복합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시청할 경우 A/V 스위치(222)에는 외부 입력단(212)을 통해 외부 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며, IF 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외부 입력단(212)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복합영상신호가 스위칭되어 선택되고 디지털 콤필터(224)에 의해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NTSC 크로마 프로세서(226)로 인가되어 색차신호 Y,R-Y,B-Y로 변환되어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H/V와 함께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부(202)의 신호규격 변환기(234)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신호규격 변환기(234)에 인가된 색차신호 Y,R-Y,B-Y는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되고 포맷 변환기(236)에서 마이컴(246)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변환된다. 포맷 변환기(236)에서 출력되는 아나로그의 원색신호 R,G,B와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가 스위칭부(204)의 스위칭에 의해 선택되어 원색신호 R,G,B는 R.G.B 프로세서(242)에 입력되고,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는 동기 프로세서(208)에 입력된다.
상기 동기 프로세서(208)에서는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가 일정한 형태의 수평, 수직동기신호 H_SYNC, V_SYNC로 변환되고, 클램프신호가 R.G.B 프로세서(242)로 출력된다. 이때 동기 프로세서(208)는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PC 모니터모드로 동작할 경우 입력되는 신호의 형태를 판별하는 기준신호로서 마이컴(246)에 제공한다. 그리고 R.G.B 프로세서(242)에서는 제1D/A 변환기(2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의 명암, 밝기, 화이트 밸런스 등의 화질을 조정되어 OSD 스위칭부(244)에 인가된다. 그리고 ABL 회로(240)에 의해 ABL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OSD 발생기(238)에서는 수평, 수직주파수에 각각 대응하는 OSD신호가 발생되어 OSD 스위칭부(244)에 인가됨으로써 R.G.B 프로세서(242)의 출력신호와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OSD 스위칭부(24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OSD 정보가 포함된 원색신호 R,G,B로 최종 출력 증폭단을 거쳐 수상관의 캐소우드(cathode)로 입력된다. 따라서 NTSC 방송이나 외부 입력에 따른 화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두 번째로 DBS 방송 수신모드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DBS 방송 수신된 DBS신호가 HD/NTSC 튜너(228)로 입력되어 선국되고 DBS 디코더(232)에서 디코딩된 후 포맷 변환기(236)에서 마이컴(246)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된 후, 원색신호 R,G,B와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가 스위칭부(204)에 인가된다. 이후부터는 상술한 NTSC 방송 수신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되어 DBS 방송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별도의 위성방송 수신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고 디지털 DBS신호를 아나로그의 NTSC 신호 규격으로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디지털 신호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DBS 신호 특성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세 번째로 HD TV 방송 수신모드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HD TV 방송 수신된 HD TV 방송신호가 HD/NTSC 튜너(228)로 입력되어 선국되고 HD 디코더(230)에서 디코딩된 후 포맷 변환기(236)에서 마이컴(246)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된 후, 원색신호 R,G,B와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가 스위칭부(204)에 인가된다. 이후부터는 상술한 NTSC 방송 수신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되어 HD TV 방송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향후 방송 개시될 HD TV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네 번째로 전화라인 접속단(238)을 통해 인터네트 정보가 수신되는 정보수신모드의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전화라인 접속단(238)을 통해 모뎀(240)으로 인가된 인터네트 정보는 정보 처리되어 복조된다. 상기 인터네트 정보는 문자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복조된 인터네트 정보는 OSG(242)로 인가되어 수상관의 편향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수평, 수직 블랭킹신호 H_BLK,V_BLK에 동기된 그래픽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출력되는 그래픽 신호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D/A변환부(244)로 인가되어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D/A변환부(244)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를 포함한 그래픽 신호(R,G,B신호)는 스위칭부(204)로 인가된다. 상기 인가된 그래픽 신호(R,G,B신호)는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로 설명된 과정을 통해 포맷 변환기(236)로부터 인가되는 원색신호 R,G,B와 합성된다. 상기 합성은 통상적인 TV 수상기에서 OSD에 의해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즉, 포맷 변환기(236)로부터 인가되는 원색신호 R,G,B중 그래픽 신호가 동기된 수평, 수직동기신호 H, V에서는 그래픽 신호에 해당하는 R,G,B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합성된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일반 방송 수신시와 동일하다.
다만 PC 모니터모드 여부에 따라 마이컴(246)은 도 3의 흐름도로서 보인 바와 같이 수평, 수직주파수에 대응되게 편향을 제어한다. 먼저 마이컴(246)은 도 3의 (300)단계에서 현재의 시청모드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PC 모니터모드가 아니라면 마이컴(246)은 (306)단계에서 고정된 한가지의 편향제어데이터를 EEPROM(248)로부터 리드하여 제2D/A 변환기(252)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달리 PC 모니터모드인 경우, 마이컴(246)은 (302)단계에서 동기 프로세서(208)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의 수평, 수직주파수를 카운트하여 판별한다. 그리고 마이컴(246)은 (304)단계에서 판별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편향제어데이터를 EEPROM(248)에서 리드하여 제2D/A 변환기(252)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PC가 접속되지 않더라도 인터네트 정보를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TSC 방송은 물론이고 DBS 위성방송과 HD TV 방송을 신호의 열화없이 시청함과 아울러 고해상도의 PC 모니터로 겸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간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전화라인을 통한 인터네트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방송 수신되는 NTSC신호를 색차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을 변환하고 방송 수신되는 HD신호와 DBS신호를 디코딩하며, 상기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된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HD신호와 디지털 DBS신호중 하나를 현재의 시청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포맷 변환한 후, 상기 포맷 변환된 신호를 상기 인터네트 정보를 색차신호로 변환한 그래픽신호와 합성하여 영상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2. 전화라인을 통한 인터네트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NTSC 텔레비젼 방송 수신되는 NTSC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후 색차신호로 변환하는 NTSC신호 처리부와,
    상기 색차신호를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하고 DBS 위성방송과 HD 텔레비젼 방송 수신되는 HD신호와 DBS신호를 디코딩하며, 상기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된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HD신호 및 DBS신호중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포맷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와,
    상기 인터네트 정보에 대해 수평, 수직 블랭킹신호 H_BLK,V_BLK에 동기하여 그래픽 신호를 발생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그래픽 신호를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성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화질을 조정하여 수상관에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NTSC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출력부의 신호처리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과 상기 수상관의 편향을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되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동기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와 제어부에 제공하는 동기 프로세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TSC신호 처리부가,
    상기 NTSC 방송 수신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국하여 IF신호를 출력하는 NTSC 튜너와,
    상기 NTSC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IF신호를 처리하여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IF 모듈과,
    상기 IF 모듈의 출력 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중 하나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는 A/V 스위치와,
    상기 A/V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상기 휘도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디지털 콤필터와,
    상기 A/V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색차신호로 변환하는 NTSC 크로마 처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 처리부가,
    상기 HD방송 수신신호와 상기 DBS방송 수신신호중 상기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국하는 HD/DBS 튜너와,
    상기 HD/DBS 튜너에 의해 선국된 HD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HD신호를 출력하는 HD 디코더와,
    상기 HD/DBS 튜너에 의해 선국된 DBS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DBS신호를 출력하는 DBS 디코더와,
    상기 NTSC 크로마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하는 신호규격 변환기와,
    상기 디지털 DBS 신호처리규격으로 변환된 신호와 상기 디지털 HD신호와 상기 디지털 DBS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HD신호중 상기 현재의 시청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포맷 변환하여 아날로그 원색신호를 출력하는 포맷 변환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가,
    상기 인터네트 정보를 복조하는 모뎀과,
    상기 복조된 인터네트 정보를 수평, 수직 블랭킹신호 H_BLK,V_BLK에 동기하여 그래픽 신호로 변환하는 OSG 발생부와,
    상기 그래픽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970008617A 1997-03-14 1997-03-14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KR10022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17A KR100222706B1 (ko) 1997-03-14 1997-03-14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17A KR100222706B1 (ko) 1997-03-14 1997-03-14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378A KR19980073378A (ko) 1998-11-05
KR100222706B1 true KR100222706B1 (ko) 1999-10-01

Family

ID=1949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617A KR100222706B1 (ko) 1997-03-14 1997-03-14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7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378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644B1 (ko)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 겸용 멀티시스템 텔레비젼 수상기
US5512954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decoder for decoding coded data from a video signal
KR100265231B1 (ko) 방송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화면의 동시시청 가능한 tv수신장치
US6833874B2 (en) Ticker tape picture-in-picture system
US6310654B1 (en) Decoder device and receiver using the same
US6011594A (en) Television device having text data processing function
KR100247242B1 (ko) 평판디스플레이를 채용한 tv의 디지탈 특성 조정장치
KR100238673B1 (ko) 고선명 텔레비젼 수상기의 모니터 출력장치
KR100211210B1 (ko)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를 겸용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KR100222706B1 (ko) 전화라인을 통해 정보 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텔레비젼 수상기
JPH1116867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260413B1 (ko) 멀티시스템텔레비젼수상기
KR015282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중화면장치
KR100381198B1 (ko) 다중 튜너방식 텔레비전 및 텔레비전 튜너선택방법
KR100797466B1 (ko) 디지털 티브이
KR100277951B1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KR100242588B1 (ko) 텔레비전의 부화면컬러정합장치
JP200213566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KR20000042984A (ko) 프로그레시브 텔레비전의 캡션신호 처리장치
KR19980016541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KR19990020560U (ko) 텔레비젼에서의 특정 영상 신호 합성 장치
JPH0678237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機
JPH1134138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80027414A (ko) 트윈픽쳐와 원화면의 화질차 보정회로
JPH07111660A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