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693B1 -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693B1
KR100222693B1 KR1019970011662A KR19970011662A KR100222693B1 KR 100222693 B1 KR100222693 B1 KR 100222693B1 KR 1019970011662 A KR1019970011662 A KR 1019970011662A KR 19970011662 A KR19970011662 A KR 19970011662A KR 100222693 B1 KR100222693 B1 KR 10022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input device
selection switch
selec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431A (ko
Inventor
정준용
전병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69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포인팅과 선택을 일체화로 구성시킨 입력장치에 관한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포인팅부와, 포인팅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방향을 유도하여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눌려져서 선택여부의 입력을 하는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포인팅과 선택을 일체화로 구성시킨 입력장치.

Description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본 발명은 한국향, 미주향, 유럽향 위성방송 수신기와 비디오 온 디맨드(video on demand)등 디지털 셋 박스(digital set up box)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기술에서 사용하는 입력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포인팅부와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된 트랙볼(track ball)장치가 설치된 입력장치에 관한것이다.
현재 개발된 한국향 위성방송 수신기나 브이오디 셋 톱 박스(V0D set top box)에서는 텔레비젼화면에 그래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 On Screen Display)기술을 이용하여 텔레비젼화면에 여러 가지 메뉴와 옵션을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메뉴와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여 텔레비젼화면에서 직접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현재의 메뉴이동 및 선택은 입력장치(리모콘등)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메뉴박스단위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OSD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점점 더 화려한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메뉴도 박스형이 아니라 아이콘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컴퓨터에서 윈도우 보급과 그래픽이 화려해짐에 따라 방향키 대신 마우스가 보편화 된 것처럼 입력장치에도 마우스장치를 장착할 필요성이 생겼다. 상기 입력장치에 장착될 마우스 장치로는 트랙볼, 터치패드, 에어 마우스, 조이스틱등 여러 가지가 있는 데, 가격이나 편리성으로 볼 때, 트랙볼과 터치패드가 바람직하며, 특히 트랙볼의 사용이 기대된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볼(22)이 설치된 입력장치(20)는 사용자가 손으로 볼(22)을 굴려 커서를 원하는 좌표로 이동한 후, 상기 트랙볼(22)과 근접해 있는 선택스위치(26)를 눌러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서서 사용자는 포인팅을 한후 그 주변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를 눌러서 입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떼는 순간 좌표가 흔들릴수가 있고, 선택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스위치의 위치를 수시로 눈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포인팅부와, 포인팅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향을 유도하여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눌려져서 선택여부의 입력을 하는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볼과 선택스위치가 장착된 입력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볼이 장착된 입력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볼이 장착된 입력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의해 선택스위치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장치 12 : 스프링
14 : 선택스위치 20 : 지지부
22 : 트랙볼 24 : 센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방향을 유도하여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를 설치한다. 입력장치에 따라 방향을 지시하는 상기 포인팅부는 다양하게 구성된다. 그후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를 설치하여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한다. 그후 상기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는 선택스위치부가 설치된다. 상기 선택스위치부는 선택스위치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포인팅부에 의하여 방향등을 포인팅한다. 상기 포인팅된 메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포인팅부의 상단을 누르면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아래로 눌려진다. 그후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은 압축력에 의해 눌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는 선택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포인팅부에서 손을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는 위로 상승하여 원상태로 회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에는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에 의해 눌려지는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장치(10)의 선택스위치부는 상기 포인팅부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포인팅부는 센서(24)가 부착된 트랙볼(22)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24)는 트랙볼(2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트랙볼(22)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포인터를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후 상기 포인팅부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선택스위치부의 선택스위치(14)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선택스위치부는 스프링(12)과 선택스위치(14)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2)의 상부는 상기 지지부(20)를 일정한 지지력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하단부는 선택스위치(14)의 고정부분에 고정된다. 그후 사용자가 트랙볼(22)을 하방향으로 눌러서 선택스위치(14)를 사용한 후, 트랙볼(22)에서 손을 떼면 다시 트랙볼(22)이 지지되는 지지부(20)가 위로 올라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12)은 압축코일스프링(12)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주요 작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장치(10)에 설치된 트랙볼장치(20)의 구성요소인 트랙볼(22)을 손으로 조작하면, 트랙볼(22)에 접촉해 있던 센서(24)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포인터가 움직인다. 이때 상기 트랙볼(22)이 지지되는 지지부(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12)의 지지력은 사용자의 트랙볼(22) 조작력보다 커야한다. 그후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에 맞춘후, 트랙볼(22)을 누르면 상기 지지부(20)의 하단에 설치된 선택스위치(14)가 상기 지지부(20)에 의해 눌려지면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후 사용자가 트랙볼(22)에서 손을 떼면 상기 지지부(20)를 지지하면서 눌려져 있던 압축코일스프링(12)의 복원력으로 상기 트랙볼(22)이 지지되어 있던 지지부(20)는 원위치로 올라오게된다.
상기 트랙볼(22)이 설치된 입력장치(10)는 텔레비젼 리모콘과 무선키보드등에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부와 지지부와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되어있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는 포인팅부와 스위치선택부가 일체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인팅과 선택스위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입력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포인팅과 선택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향을 유도하여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눌려져서 선택여부의 입력을 하는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치부는 선택스위치와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선택스위치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5. 포인팅과 선택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부착된 트랙볼에 의해서 방향의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눌려져서 선택여부의 입력을 위한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선택스위치부는 선택스위치와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선택스위치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9. 포인팅과 선택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부착된 트랙볼에 의해서 방향의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눌려져서 선택여부의 입력을 위한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된 입력장치가 텔레비젼 리모콘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선택스위치부는 선택스위치와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선택스위치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3. 포인팅과 선택을 하는 장치에 있어서,
    센서가 부착된 트랙볼에 의해서 포인팅을 하기 위한 포인팅부와, 상기 포인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눌려져서 선택여부의 입력을 위한 선택스위치부가 일체화로 구성된 입력장치가 키보드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선택스위치부는 선택스위치와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선택스위치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무선키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KR1019970011662A 1997-03-31 1997-03-31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KR10022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62A KR100222693B1 (ko) 1997-03-31 1997-03-31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662A KR100222693B1 (ko) 1997-03-31 1997-03-31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431A KR19980075431A (ko) 1998-11-16
KR100222693B1 true KR100222693B1 (ko) 1999-10-01

Family

ID=1950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662A KR100222693B1 (ko) 1997-03-31 1997-03-31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6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431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6690B1 (en) Seamlessly combined freely moving cursor and jumping highlights navigation
EP2449447B1 (en) Tactile feedback display screen overlay
US7593006B2 (en) Input device for moving cursor and scrolling image on screen
US5666113A (en) System for using a touchpad input device for cursor control and keyboard emulation
US7886322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program
US20010035860A1 (en)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US7786977B2 (en) Position input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computer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60114224A1 (en) Electronic apparatus, input control apparatus, and input control program storage medium
CN101095095A (zh) 具有触觉反馈的操纵杆
US20110316811A1 (en)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put device, and program
JP200334837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表示装置制御システム
KR20140129812A (ko) 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KR20040058930A (ko) 포인터 이동 모드 전환 지시 버튼을 가지는 리모트 콘트롤러
JPH07115690A (ja) リモコンによる遠隔操作方式
KR100222693B1 (ko) 포인팅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
CN101377725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WO2008012879A1 (fr) Contrôleur d'entrées utilisé avec dispositif de pointage et procédé de gestion d'entrées
WO2001026090A1 (en)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CN107209619A (zh) 可点击控制板
US5912667A (en) Curso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op-up menu
JP2006351219A (ja) 電子機器
KR19980034004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개인 휴대용 기기
JPH08163392A (ja) リモートコマンダ
JPH09101856A (ja) 入力装置
KR19980055354U (ko) 방아쇠형 엔터키가 장착된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