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943B1 -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943B1
KR100221943B1 KR1019970032681A KR19970032681A KR100221943B1 KR 100221943 B1 KR100221943 B1 KR 100221943B1 KR 1019970032681 A KR1019970032681 A KR 1019970032681A KR 19970032681 A KR19970032681 A KR 19970032681A KR 100221943 B1 KR100221943 B1 KR 10022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plate portion
storage tank
bottom plate
polyethylen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057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1997003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9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채워지는 화공액체의 누수와 그 화공액체들로 인한 구조물 내부의 부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도 그 내부에 채워지는 화공액체의 하중을 충분히 감당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F.R.P와 화학적 안정성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진 폴리에틸렌수지를 복합적으로 접착시켜서 화학적인 안정성이 확보되어서 내부식성이 크게 향상되면서도 강도도 우수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기술을 바닥에 놓여지는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어서 그 내부가 비는 통체의 형상으로 세워지는 F.R.P통체부(20)와, 상기 통체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F.R.P통체부(20)는 F.R.P로 제작되는 F.R.P통부(21)의 내벽면에 내벽폴리에틸렌시이트(22)를 일체로 접착시키며,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면에는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22)를 일체로 접착시키켜서 제작되는 것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채워지는 화공액체의 누수와 그 화공액체들로 인한 구조물 내부의 부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도 그 내부에 채워지는 화공액체의 하중을 충분히 감당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화공액체 특히 강한 산성을 가지는 화공액체는 금속제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할 경우, 산화작용으로 인한 부식이 진행되므로 저장탱크의 수명이 오래 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유리섬유를 바탕재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를 두껍게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F.R.P 저장탱크가 화공액체용 저장탱크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F.R.P 저장탱크도 강한 산성액체와 같이 부식력이 강한 화공액체가 그 내부에 담겨지는 경우에는 저장탱크가 부식되어서 파손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그 이유를 분석해본 결과, 제작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 도막층이 충분히 두껍게 입혀지지 못한 경우에, 도막층에서 약간 돌출되는 유리섬유가 일단 화공액체의 작용으로 부식되기 시작하면,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바탕재로서 도막층 내부에 매설된 유리섬유 전체로 부식이 전달되고, 바탕재의 부식이 확산되면, 저장탱크의 국부적인 파손이 발생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F.R.P와 화학적 안정성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진 폴리에틸렌수지를 복합적으로 접착시켜서 화학적인 안정성이 확보되어서 내부식성이 크게 향상되면서도 강도도 우수해지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공액체용 저장탱크의 반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화공액체용 저장탱크에 적용되는 망포시이트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망포시이트가 F.R.P통부의 내벽면과 바닥판부의 상면에 부착설치된 예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F.R.P통부의 내부에 철제띠장밴드가 매설된 예를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망포시이트가 F.R.P통부의 외벽면에 추가로 부착설치된 예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판부가 F.R.P소재를 이용한 판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F.R.P판부의 하면에 망포시이트가 추가로 부착설치된 바닥판부의 예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F.R.P판부로 형성된 바닥판부의 내부에 철제띠장밴드가 매설된 예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판부 11 : F.R.P판부
12 :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 13 : 하면폴리에틸렌시이트
14 : 철제띠장밴드 20 : F.R.P통체부
21 : F.R.P통부 22 : 내벽폴리에틸렌시이트
23 : 외벽폴리에틸렌시이트 24 : 철제띠장밴드
30 : 상판부 S : 망포시이트
S1 : 그물망포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도 도 1의 도시와 같이, 바닥에 놓여지는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어서 그 내부가 비는 통체의 형상으로 세워지는 F.R.P통체부(20)와, 상기 통체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0)로 구성되는 점에서는 종래의 저장탱크들과 다를 바가 없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F.R.P통체부(20)는 F.R.P로 제작되는 F.R.P통부(21)의 내벽면에 내벽폴리에틸렌시이트(22)를 일체로 접착시키며,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면에는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12)를 일체로 접착시켜서 제작함을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식성이 강한 화공액체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F.R.P통체부(20)의 내벽면과 바닥판부(10)의 상면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는 폴리에틸렌 시이트로서 일체로 접착되므로, F.R.P의 바탕재가 되는 유리섬유가 화공액체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서 내부식성이 크게 향상되며, 내벽폴리에틸렌시이트(22)의 바깥쪽에는 강성이 매우 탁월한 F.R.P통부(21)가 지지하므로, 하중에 대한 감당능력은 그대로 유지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한편, 폴리에틸렌 시이트는 화학적인 안정성이 탁월한 반면에, 그로 인하여 다른 물체와 접착되기 매우 어려운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시이트를 F.R.P통부(21)의 내벽면에 접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다.
이러한 접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시이트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그 접착면에 그물망포(S1)가 매립된 망포시이트(S)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그물망포(S1)는 마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물망포(S1)의 미세한 털들이 폴리에틸렌시이트의 접착면에 깊숙이 매립되어 그물망포 전체가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에 시이트 밖으로 삐져나온 그물망포에 구비되는 미세한 털들은 F.R.P 의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이를 매개체로 하여 더욱더 견고하게 달라붙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도 4에는 F.R.P통부(21)의 내부에 철제띠장밴드(24)가 매설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매설되는 철제띠장밴드(24)는 F.R.P통부(21)의 강도를 보강하여 하중 감당능력을 보강해준다. F.R.P통부(21)에 매설되는 철제띠장밴드는 스파이럴의 모양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제작상이나 강도상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는 본실시예에서는 F.R.P통부(21)의 내면뿐 아니라. 외면에도 외벽폴리에틸렌시이트(23)가 일체로 접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에도, 상기 외벽폴리에틸렌시이트(23)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그 접착면에 그물망포(S1)가 매립된 망포시이트(S)를 사용한다.
한편,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도 F.R.P통체부(20)와 마찬가지로 F.R.P로 제작되는 F.R.P판부(11)로 형성하고 F.R.P판부(11)의 상면에는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12)를 일체로 접착시켜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도 그 접착면에 그물망포(S1)가 매립된 망포시이트(S)를 사용한다.
이때,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12)와 내벽폴리에틸렌시이트(22)가 맞닿는 경계선 부분은 합성수지용접으로 일체로 용착시켜서 접속부분에서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밀실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F.R.P판부(11)의 하면에도 하면폴리에틸렌시이트(13)를 일체로 접착시켜서 제작되는 것이 예시된다. 상기 하면 폴리에틸렌시이트도 그 접착면에 그물망포(S1)가 매립된 망포시이트(S)를 사용한다.
도 8의 도시와 같이, 바닥판부(10)에도 철제띠장밴드(14)가 매설되어서 바닥판부(10)의 강도를 보강하여 하중감당능력을 보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통상적인 저장탱크는 통체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0)를 가지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상판부(30)는 바닥판부(10)와 유사한 기술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술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상판부는 바닥판부(10)와는 달리 항시 화공액체에 맞닿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공액체용 저장탱크는 화공액체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면은 폴리에틸렌 수지가 노출되므로 화학적인 안정성이 확보되어서 내부식성이 크게 향상되면서도, 그 이면에는 F.R.P로 보강되므로 하중감당능력 또한 우수해지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바닥에 놓여지는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어서 그 내부가 비는 통체의 형상으로 세워지는 F.R.P통체부(20)와, 상기 통체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F.R.P통체부(20)는 F.R.P로 제작되는 F.R.P통부(21)의 내벽면에 내벽폴리에틸렌시이트(22)를 일체로 접착시키며,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면에는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12)를 일체로 접착시켜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R.P통부(21)의 내부에는 스파이럴의 모양을 가지는 철제띠장밴드(24)가 매설되어서 보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R.P통부(21)의 외면에는 외벽폴리에틸렌시이트(23)가 일체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는 F.R.P로 제작되는 F.R.P판부(11)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상면폴리에틸렌시이트(12)가 일체로 부착고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R.P판부(11)의 하면에는 하면폴리에틸렌시이트(13)가 일체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R.P판부(11)의 내부에는 철제띠장밴드(11)가 매설되어서 보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상면, 외벽, 및 하면 폴리에틸렌시이트(22)(12)(23)(13)는 그 접착면에 그물망포(S1)가 매립된 망포시이트(S)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KR1019970032681A 1997-07-14 1997-07-14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KR10022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681A KR100221943B1 (ko) 1997-07-14 1997-07-14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681A KR100221943B1 (ko) 1997-07-14 1997-07-14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057A KR19990010057A (ko) 1999-02-05
KR100221943B1 true KR100221943B1 (ko) 1999-09-15

Family

ID=1951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681A KR100221943B1 (ko) 1997-07-14 1997-07-14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882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02B1 (ko) * 2001-06-22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0743701B1 (ko) * 2001-06-22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882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
KR102280413B1 (ko) 2019-12-23 2021-07-23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057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86486C1 (ru) Резервуар на поддоне для жидкосте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221943B1 (ko) 화공액체용 저장탱크
NZ250540A (en) Corrosion inhibition in tanks; uses sacrificial anode assembly inserted into liquid storage vessel; metal water heating tank containing such an assembly
CA2019485C (en) Steel rib for underground storage tank
US4344543A (en) Reinforced plastic tank
US3278339A (en) Primary dry cells
US4562934A (en) Glass fiber reinforced resin tank with particular joint structure
CN104390074B (zh) 加强克拉管
KR0119659Y1 (ko) 플라스틱 수조
US3533531A (en) Liquid storage tanks
KR0126259Y1 (ko) 화학액체용 저장탱크
JP2001323522A (ja) 水槽または貯水池の漏水防止方法及び漏水防止を施した水槽または貯水池
KR101890088B1 (ko) 합성수지 시트의 접합용 구조체
JP4936156B2 (ja) コンクリート製貯槽
KR960000664B1 (ko) 플랜지가 붙은 이중벽체의 나선형 파형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209848437U (zh) 一种具有双层过滤功能的聚酯纤维滤芯
RU2021554C1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текучего аген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SU487251A1 (ru) Резьбовое пластмассовое изделие
DE20104828U1 (de) Verbindungssystem zur Befestigung einer flexiblen Kunststoffolie zur Leckschutzauskleidung an der Innenseite der Tankwandung eines Lagertanks
KR940006794Y1 (ko) 폐수지를 이용한 관체의 보강심재 구조
CN216510473U (zh) 一种化工作业用阳极液排放槽
KR20000010115U (ko)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KR200329456Y1 (ko) 탱크구조물의 방수구조
CN216009248U (zh) 一种防水密封轴承
CN220282247U (zh) 一种围板箱的盖板加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