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909B1 -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909B1
KR100220909B1 KR1019960052302A KR19960052302A KR100220909B1 KR 100220909 B1 KR100220909 B1 KR 100220909B1 KR 1019960052302 A KR1019960052302 A KR 1019960052302A KR 19960052302 A KR19960052302 A KR 19960052302A KR 100220909 B1 KR100220909 B1 KR 10022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address
data
tu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296A (ko
Inventor
양세준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6005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90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78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국 가능한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 번지로 설정하여 해당 채널로 수신가능한 유선방송 채널종류 및 비화해제 정보를 저장하는 제1과정과, 현재 선국되어진 채널을 검출하여 이를 어드레스로 갖는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억세스되어진 데이터중 채널종류를 기준으로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제3과정, 및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비화해제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해당 채널정보와 함께 억세스되는 비화해제 정보를 기준으로 화상의 비화를 해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유선 TV방송의 컨버터 간략 구성 예시도.
제2도는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종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운영 방법으로 기억장소에서 유료채널과 기본채널에 대한 비화키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국시 비화 해제 절차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 있어서 유료채널 또는 기본채널인 경우의 비화키 세팅과정의 순서도.
제6도는 채널정보의 값으로 비화키 저장번지를 계산하는 동작 순서도.
본 발명은 유선 TV방송(Cable Antenna TV;이하, CATV라 칭함)의 수신모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료채널과 무료채널에 대하여 통합운영할 수 있는 유선 TV방송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TV에서 제공되는 방송은 크게 비화(scramble)기를 통과하여 비화된 방송을 송출하는 비화채널과 비화기없이 송출하는 공중파채널로 나뉘어진다.
이때, 상기 비화채널은 특정의 시청료를 부과하는 방송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는데, 특정 채널에 할당되어 있는 해당하는 특정 요금을 일괄적으로 징수하는 유료채널과, 상기 유료채널과 달리 가입자가 자신의 의지로 해당 채널을 선택하고 시청한 프로그램 또는 시청시간에 대해서만 요금을 지불하는 변동요금 채널(pay per view; 이하, PPV라 칭함) 및 유선 방송 서비스에 가입하면 소정 수수료만을 지불하고 시청할 수 있는 기본채널로 구분된다.
이때, 상술한 각 채널들의 운영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가입자측에서 구비하고 있는 컨버터(첨부한 도면중 제1도 참조)는 수신된 각 방송채널의 종류를 알고 있어야하며, 그에 따라 비화채널 각각에 대한 비화해제 정보 역시 갖고 있어야 한다.
그에 따라, 컨버터는 CCU(converter controller unit)로부터 통신을 통해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기억장치(EEPROM)에 저장해 사용한다.
사용자 어떠한 채널을 선국하면 컨버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채널의 종류를 판독하고 필요하면 화면복원부(10)를 통해 비화상태의 영상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신호의 전송경로는 화면복원부(10)의 출력단자(②)와 화면복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신호단자(①)를 영상출력단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20)의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제2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컨버터내의 저장장소인 EEPROM에 초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은 CCU로부터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통신으로 각 채널의 정보와 해당 채널의 비화 해제 정보(이하, 비화키라 칭함)를 입력받아 저장하여야 하는데, 각 채널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고 각 채널당 비화키 정보는 아래의 표 2와 표 3과 같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완료된 상태로 가정한 후 종래 컨버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임의의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경우 스텝 S101에서 공중파 채널의 리스트를 억세스한다.
억세스 되어진 공중파 채널의 리스트를 기준으로 현재 수신되는 채널이 공중파 채널인가를 스텝 S102에서 판독하고, 상기 스텝 S102에서 공중파 채널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03으로 진행하여 현재 컨버터 자신의 동작모드를 공중파 채널 모드로 세팅한다. 즉, 공중파 채널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은 스위치(20)을 노드 ①에 접속시켜 입력되는 신호를 곧바로 비디오 출력단에 연결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스텝 S102에서 공중파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104로 진행하여 PPV 채널에 관련한 리스트를 억세스하고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는 억세스 되어진 PPV 채널의 리스트를 기준으로 현재 수신되는 채널이 PPV 채널인가를 판독하고, 상기 스텝 S104에서 PPV 채널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현재 컨버터 자신의 동작모드를 PPV 채널 모드로 세팅한다.
또한, 만약 상기 스텝 S105에서 PPV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107로 진행하여 유료채널에 관련한 리스트를 억세스하고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억세스 되어진 유료채널의 리스트를 기준으로 현재 수신되는 채널이 유료채널인가를 판독하고, 상기 스텝 S108에서 유료채널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09로 진행하여 현재 컨버터 자신의 동작모드를 유료채널 모드로 세팅한다.
이때, 상기 스텝 S108에서 유료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는 기본채널일 것이므로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기본채널 모드로 세팅한다.
상기와 같은 세팅작업(S104~S110)이 완료되면 즉, 현재 수신되는 방송 채널이 유료채널이거나 기본채널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해당 채널에 대한 비화키 정보를 억세스하여 화면복원부(10)에 인가하고 스위치(20)을 단자 ①에서 ②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은 상기 화면복원부(10)에서 혼화상태가 복원되어 출력되게 된다.
제3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EEPROM과 같은 기억장소에서 유료채널과 기본채널에 대한 비화키 정보를 억세스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즉, 유료채널과 기본채널 각각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스텝 S121에서 어드레스를 초기화한다. 이후, 스텝 S122에서 해당 채널의 리스트를 억세스한 후 현재 수신되는 채널과 억세스된 리스트중 현재의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채널이 동일한가를 스텝 S123으로 진행하여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23에서 서로 비교되는 채널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텝 S124로 진행하여 비화키정보를 억세스하고 스텝 S125는 스텝 S124에서 억세스되어진 비화키를 혼화 해제를 위해 세팅한다.
만약, 상기 스텝 S123에서 동일한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126으로 진행하여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스텝 S127에서는 마지막 어드레스 번지인가를 확인하여 아닌 경우 상기 스텝 S122로 재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진다.
첫째로, 대부분 가입자가 기본채널을 주로 시청하는데 채널 종류 판독시 기본채널인 경우는 모든 채널 종류를 전부 확인한 후에야 결정되기 때문에 가입자가 너무 많은 시간을 대기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즉, 너무 많은량의 데이터를 EEPROM으로부터 읽어야 한다.
둘째로, 종래의 채널 운영 방법으로는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공중파 채널과 유료채널 및 PPV채널을 각각 10개씩으로만 제한하여 운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위성방송 등의 다채널 방송시대에 부응하기 어렵다.
셋째로, 기본채널/유료채널인 경우 비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전 저장영역(해당 page)을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넷째로, 비화 정보를 HDLC 통신을 통해 전송받게되면 해당 저장영역을 전부 찾아 같은 채널이 있는지 검색해 보고 있으면 업데이터하고 없으면 빈 공간을 찾아 저장해야 한다는데, 이는 많은 횟수의 EEPROM의 리딩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로, 종래의 채널 운영 방법으로는 채널 매핑(Mapping)을 운영할 수 없다. 여기서 채널 매핑이란 비디오 신호가 있는 채널만을 선국하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15번 채널이 비디오 신호가 없으면 14채널에서 바로 16채널로 선국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를 CCU에서 HDLC 통신을 통해 따로 내려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HDLC 통신 포맷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이 이외에도 몇가지의 세부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채널 종류별 제한된 채널 개수와 그에 따라 제한된 비화 채널 저장장소 채널운영시 추가로 정보를 전송해 주어야 하거나 저장장소(EEPROM)에서 특정 정보를 찾거나 쓸 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유선 TV방송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 번지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되어진 어드레스 번지에 해당 채널로 수신가능한 유선방송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운영 방법에 있어서, 선국 가능한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 번지로 설정하여 해당 채널로 수신가능한 유선방송 채널종류 및 비화해제 정보를 저장하는 제1과정과, 현재 선국되어진 채널을 검출하여 이를 어드레스로 갖는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억세스되어진 데이터중 채널종류를 기준으로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제3과정, 및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비화해제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해당 채널정보와 함께 억세스되는 비화해제 정보를 기준으로 화상의 비화를 해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컨버터내부의 기억장소인 EEPROM의 데이터 저장영역을 아래의 표 4와 같이 구분하게 된다.
상기 표 4와 같은 저장방식을 설명하면, 각 채널들은 EEPROM의 해당 페이지내 어드레스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즉, 채널이 결정되면 어드레스 역시 결정되어 쉽게 정보를 찾을 수가 있게 된다.(종래에는 각 유형별로 채널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였음.)
이때, 채널을 99개로 한정한 것은 일반적인 TV수상기의 채널갯수가 99개이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67번 채널을 선택하면 컨버터는 곧바로 상기 표 4에서 CH 67의 영역을 억세스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각 채널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표 5와 같은 형식을 갖는다.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채널정보의 형식을 살펴보면 각 채널당 1바이트(byte)씩의 정보가 저장되는데, 앞의 2비트는 채널의 종류를 나타내고 위의 6비트는 비화 채널인 경우 비화키 4바이트중 앞의 1바이트를 나타낸다.
즉, 채널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식은 0인 경우 기본채널, 1인 경우 유료채널, 10인 경우 PPV채널이고, 11인 경우 공중파 채널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비화키는 0~63까지 할당이 되어 있고 이는 아래의 표6과 같은 형태이다.
이때, 상기 표 5와 같은 형식의 채널정보들은 아래 표 7과 같은 형식의 HDLC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어 저장되어진다.
또한, 상기 표 6의 비화키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통신포맷은 아래의 표8과 같으며, 저장될 비화키들은 각 비화키의 첫 번째 바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표 6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쉽게 저장번지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상기 표 8에 있어서 구간 (가)에서의 온/오프는 비화키의 라이트(write)와 삭제(erase)를 의미한다. 즉, 라이트인 경우는 해당 영역에 비화키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고, 삭제인 경우는 해당 비화키를 지움으로써 취소하는 것이다.
상술한 양식의 정보 형식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서의 운영방식을 첨부한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채널 선국시 비화 해제 절차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현 채널을 이용 해당 EEPROM의 페이지에서 1바이트의 채널정보를 읽는다.(S201)
스텝 S202에서는 우선 2비트의 채널 종류 비트값이 11인가를 확인 즉, 공중파 채널인가를 확인하고 공중파 채널인 경우 스텝 S203으로 진행하여 동작모드를 공중파 채널모드로 세팅한다.
만약, 스텝 S202에서 공중파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S204로 진행하여 2비트의 채널종류 비트값이 10인가를 확인하여 PPV채널인가를 판단한다. PPV채널인 경우 스텝 S205로 진행하여 PPV채널 모드로 세팅한다.
만약, 스텝 S204에서 PPV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스텝 S206으로 진행하여 2비트의 채널종류 비트값이 1인가를 확인하여 유료채널인가를 판단한다. 유료채널인 경우 스텝 S207로 진행하고, 유료채널이 아닌 경우는 기본채널이므로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이때, 유료채널 또는 기본채널인 경우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과정은 수행하게 되는데, 스텝 S301에서는 채널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스텝 S302로 진행하여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비화키 정보를 억세스한다. 이후, 억세스되어진 비화키 정보를 스텝 S303에서는 혼화 해제를 위해 세팅한다.
이때, 각 채널정보에는 비화키 리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채널정보의 값으로 비화키 저장번지를 계산하는 과정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컨버터 내에서 채널 선국시 표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채널정보를 읽을 때 해당 내용이 FF인 경우는 해당 영역의 정보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채널을 선국한다. 이는 별도의 채널 매칭정보 없이 매칭 채널을 운영 가능하게 한다.
이때, 표 6의 비화키 저장 방법은 CCU로부터 받은 정보를 아무런 비교없이 제6도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여 같은 패키지의 방송은 같은 비화키를 갖게 함으로써 1개의 패키지(여러개의 채널로 구성됨)에 1개의 비화키 정보만이 필요하게 된다.
즉, 기본채널1유료채널들에 있어서, 채널갯수에 무관하게 운영할 수 있고 패키지의 개수를 64개까지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면, 종래 기술에서 제시되었던 다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CATV 방송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 번지로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설정되어진 어드레스 번지에 해당 채널로 수신가능한 유선방송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채널별 저장하는 데이터는 채널에 대하여 해당 채널의 수수료 부과에 따른 종류 데이터와 비화 해제시 필요한 비화키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 데이터는 2비트 데이터로서 공중파와 유로와 기본 및 변동요금 등으로 채널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4.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운영 방법에 있어서, 선국 가능한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선국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 번지로 설정하여 해당채널로 수신가능한 유선방송 채널종류 및 비화해제 정보를 저장하는 제1과정과; 현재 선국되어진 채널을 검출하여 이를 어드레스로 갖는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억세스되어진 데이터중 채널종류를 기준으로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제3과정; 및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비화해제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해당 채널정보와 함께 억세스되는 비화해제 정보를 기준으로 화상의 비화를 해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TV 방송 수신모드에서 운영 방법.
KR1019960052302A 1996-11-06 1996-11-06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KR10022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302A KR100220909B1 (ko) 1996-11-06 1996-11-06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302A KR100220909B1 (ko) 1996-11-06 1996-11-06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96A KR19980034296A (ko) 1998-08-05
KR100220909B1 true KR100220909B1 (ko) 1999-09-15

Family

ID=1948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302A KR100220909B1 (ko) 1996-11-06 1996-11-06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9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9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013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программы передач в режиме условного доступа для услуги спутникового тв
KR100443920B1 (ko) 프로그램 정보 송신장치, 통신 시스템, 프로그램 정보송신방법, 프로그램 기록 지시방법 및 프로그램 구입지시방법
KR100928900B1 (ko)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포털에 액세스하기 위한방법 및 이동 단말기
CN1066888C (zh) 电视游戏数据接收装置
US6505346B2 (en) Station jump loop
JP4035209B2 (ja) サイクリックパケットデータ伝送システムの受信機
US5978012A (en) Data receiving-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broadcasting method
KR19990085277A (ko)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티브이의 채널 운용장치및 방법
CA2284018C (en) Extracting data sections from a transmitted data stream
KR101002838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컨텐츠 운용방법
KR20090131292A (ko) 사용자 개인화된 모바일 비디오 프로그램 리스트 파퓰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886324B1 (en) Receiv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KR100850939B1 (ko) 원격제어를 통한 티브이 수신기의 메뉴 설정 방법
KR100220909B1 (ko) 유선 tv방송의 수신모드의 운영 방법
CN101242497B (zh) 存储与提供电子节目指南的方法与装置
KR100641660B1 (ko) 리시버/디코더에서의 데이터 관리
KR101005034B1 (ko)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CN100502479C (zh) 一种手机电视的电子服务导向功能的设置方法
US6831703B2 (en) Method and circuit for the storage of digital data and television set implementing said storage method
KR100229035B1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페이퍼뷰 프로그램 시청내역 저장방법
KR20010038331A (ko) 외부저장매체로 데이터전송 가능한 디지털방송수신기
US200801206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KR20020057398A (ko) 케이블용 컨버터 메모리와 그 동작방법
KR101294778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JP200315257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