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733B1 -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733B1
KR100220733B1 KR1019970017299A KR19970017299A KR100220733B1 KR 100220733 B1 KR100220733 B1 KR 100220733B1 KR 1019970017299 A KR1019970017299 A KR 1019970017299A KR 19970017299 A KR19970017299 A KR 19970017299A KR 100220733 B1 KR100220733 B1 KR 10022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washing
bending
washing wat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400A (ko
Inventor
조영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는, 세척조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세척조 내의 상부높이에 설치된 상부노즐에 공급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신축자유로운 상부유로관을 설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관의 외주면에는 상부유로관이 절곡될 때 그 코너부분이 꺽이지 않고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면서 단면이 일정한 원형유로를 유지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휨방지용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높은 압력의 세척수를 상부노즐에 공급하여 상부노즐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조의 하부측 배수펌프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세척조의 상부측으로 흐름을 안내하여 상부노즐에 공급하도록 상부유로관이 신축자재로운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져 세척조의 외벽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곡될 때 발생되는 유로의 꺽임 및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에 필요한 식기류 등을 재치할 수 있도록 세척조(10)내의 상하높이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되는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의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을 향해 강한 물줄기를 다각도로 분사하여 식기류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 등을 세척하도록 상부 및 하부노즐(40)(50)이 각각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조(10)의 바닥 외부 일측에는 세척수가 한곳으로 집수되도록 집수통(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수통(60)의 상부 개구측에는 세척수가 집수통(60)으로 집수될 때 세척수중에 포함된 음식찌꺼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부재(70)가 청소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수통(60)의 하부측에는 집수통(60)내부로 집수되는 세척수를 상기 상부 및 하부노즐(40)(50)로 재순환시키도록 세척펌프(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펌프(80)의 일측에는 세척펌프(80)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받아 상기 하부노즐(50)과 상부노즐(40)에 각각 양분하여 공급하도록 분배관(9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분배관(90)에는, 그 일측단이 세척수를 상부노즐(40)로 낙하 공급하는 상부유로관(100)의 하단 외주면에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클립(110)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1출구(9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이 상기 하부노즐(50)과 일체로 연결된 하부유로관(51)의 하단 외주면에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2출구(9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유로관(100)은 신축자재로운 중공형의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져 그 하부단이 상기 세척조(10)의 외측 하단에서 상기 분내관(90)의 제1출구(91)에 연결되고, 그 상부단은 세척조(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도시 안됨)을 통하여 세척조(10) 내부에 위치된 분사관(120)에 나사 결합되며, 그 중앙은 상기 세척조(10)의 외측 측벽과 근접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진다.
한편, 상기 세척조(10)의 내벽 양측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바스켓(20)(30)이 세척조(10)의 일정높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트레이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안내레일(150)(16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조(10)의 전방에는 세척조(1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하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여닫이방식으로 개폐 동작되는 도어(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조(10)내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세척조(10)내부의 세척수를 뜨겁게 가열하도록 히터(18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90은 상기 세척조(1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에 의하면, 세척조(10)의 하부측 배수펌프(80)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세척조(10)의 상부측으로 흐름을 안내하여 상부노즐(40)에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유로관(100)이 신축자재로운 중공형 부재를 사용하여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특히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세척작업시 절곡되는 코너부분에서 심한 꺽임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단면이 일정하지 못한 유로가 형성되거나 또는 막힘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세척조 내의 상부높이에 있는 상부노즐에 공급하도록 상부유로관이 세척조의 외측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곡될 때 그 코너부분의 꺽임 및 유로막힘을 방지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압력의 세척수를 상부노즐에 공급하여 상부노즐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는, 세척조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세척조 내의 상부높이에 설치된 상부노즐에 공급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신축자유로운 상부유로관을 설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관의 외주면에는 상부유로관이 절곡될 때 그 코너부분이 꺽이지 않고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면서 단면이 일정한 원형유로를 유지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휨방지용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휨방지용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휨방지용 스프링이 장착된 상부유로관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조 40 : 상부노즐
80 : 세척펌프 100 : 상부유로관
200 : 휨 방지수단 201 : 소경부
202 : 대경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서 참조부호 200은, 상기 세척조(10)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세척조(10)내의 상부높이에 있는 상부노즐(4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부유로관(120)이 세척조(10)의 외측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곡될 때 꺽이지 않고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면서 단면이 일정한 원형유로를 유지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그 외주면 코너부분에 설치된 휨방지용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휨방지용 스프링(200)의 일측단은 휨방지용 스프링(200)이 상기 상부유로관(100)의 외주면에 적당한 압력으로 끼워맞춤되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부유로관(100)의 외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소경부(201)로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단은 휨방지용 스프링(200)이 상부유로관(100)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될 때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소경부(201)보다 큰 일정한 지름(B)을 가진 대경부(202)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수도꼭지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도시 안됨)에 전원이 인가되면, 급수밸브내의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면서 급수밸브가 열리게 되고, 이 급수밸브를 통과한 세척수는 제품 내에 설치된 급수호스(도시 안됨)를 따라 세척조(10)내부의 공급된다.
이때, 세척조(10)내의 수위가 적정한 수위에 도달되면, 역시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가 차단되고, 세척펌프(80)가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면서 세척펌프(80)의 작동에 따라 생긴 압력에 의해 세척조(10)내의 세척수가 펌핑된다.
즉, 세척펌프(80)가 작동될 때 세척조(10)내의 바닥에 설치된 집수통(60)으로 집수되는 세척수는 세척펌프(80)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토출되면서 세척펌프(80)의 일측에 연결된 분배관(도시 안됨)에 의해 두 방향으로 흐름이 양분되는데, 이 경우 분배관의 일측으로 토출되는 일부의 세척수는 상부유로관(100)을 따라 흐르면서 이들 상부유로관(100)의 상단에 세척조(10)의 천정을 매개로 나사 결합된 분사관(200)을 통하여 상부노즐(40)로 낙하 공급되고, 분배관의 타측으로 토출되는 나머지의 세척수는 하부노즐(50)로 공급된다.
이때, 상부유로관(100)은 상기 분배관(90)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받아 상기 분사관(120)을 통하여 상부노즐(40)에 공급하도록 세척조(10)의 외곽면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곡될 때 그 코너부분의 상하단에 대하여 외주면에 각각 설치된 휨방지용 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코너부분이 꺽이지 않고 단면이 일정한 원형유로를 유지하게 됨으로, 세척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압력의 세척수를 상부노즐(40)에 낙하 공급하여 상부노즐(40)틀 원활하게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부유로관(100)을 따라 상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부유로관(100)의 상부단과 나사 결합된 분사관(120)을 통하여 상부노즐(40)에 낙하되면서 세척수의수압에 의해 상부노즐(4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부노즐(40)의 상면과 하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구(부호 도시 안됨)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분사하게 되며, 이 세척수는 상부바스켓(20)에 장착된 다수개의 식기에 집중 분사됨으로써 식기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유로관(51)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하부노즐(5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하부노즐(50)의 상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분사됨으로써 하부바스켓(30)에 장착된 다수개의 식기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음식찌꺼기는 세척수와 함께 세척조(10)의 바닥으로 떨어짐과 동시에 집수통(60)의 상부 개구를 덮는 필터부재(70)에 의해 필터링됨으로써 세척펌프(80)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세척수는 필터부재(70)를 통과하여 세척펌프(80)로 다시 공급되는 순환싸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식기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에서 휨방지용 스프링(200)의 한쪽 단에 대해서만 상기 상부유로관(100)의 외주면에 적당한 압력으로 끼워맞춤되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부유로관(100)의 외경보다 작은 지름의 소경부(201)를 설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장치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휨방지용 스프링(200)의 양쪽 단에 서로 대칭되는 소경부를 형성하여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에 의하면, 상부유로관이 직각방향으로 절곡될 때 그 코너부분에 휨방지용 스프링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꺽임 및 유로막힘을 방지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압력의 세척수를 상부노즐에 공급하여 상부노즐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척조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세척조 내의 상부높이에 설치된 상부노즐에 공급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신축자유로운 상부유로관을 설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로관의 외주면에는 상부유로관이 절곡될 때 그 코너부분이 꺽이지 않고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면서 단면이 일정한 원형유로를 유지하여 물의 흐름을 훤활하게 하도록 휨방지용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용 스프링에는, 그 일측단에 휨방지용 스프링이 상기 상부유로관의 외주면에 적당한 압력으로 끼워맞춤되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부유로관의 외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소경부와, 그 타측단에 휨방지용 스프링이 상부유로관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될 때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소경부보다 큰 흐름을 가진 대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용 스프링의 양측단에는 휨방지용 스프링이 상기 상부유로관의 외주면에 적당한 압력으로 끼워맞춤되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부유로관의 외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소경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KR1019970017299A 1997-05-06 1997-05-06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KR10022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299A KR100220733B1 (ko) 1997-05-06 1997-05-06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299A KR100220733B1 (ko) 1997-05-06 1997-05-06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400A KR19980082400A (ko) 1998-12-05
KR100220733B1 true KR100220733B1 (ko) 1999-09-15

Family

ID=1950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299A KR100220733B1 (ko) 1997-05-06 1997-05-06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1001A (zh) * 2018-08-30 2018-12-18 无锡顶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胰岛素泵用输注管路结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40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029B2 (en) Water spray system for a dishwasher
EP2656772B1 (en) Dishwasher
KR20140033895A (ko) 식기 세척기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101570844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JP2010516423A (ja) 食器洗浄器一体形シンク台及びこれの為の洗浄水噴出装置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EP3373792B1 (en) A dishwasher
MX2007004667A (es) Protector de goteo para un lavavajillas de tipo gaveta.
US20060118145A1 (en) Dish washer and sump mounting structure thereof
KR100220733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US20110120503A1 (en) Rinsing/sanitiz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20090108298A (ko) 식기세척기
KR100220734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KR100832197B1 (ko) 식기 세척기
KR100269473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19980082395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KR100269467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269472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
KR19980082394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KR100239516B1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19980082396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흐름제어장치
KR101130426B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 호스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