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563B1 -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 Google Patents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563B1
KR100220563B1 KR1019970012276A KR19970012276A KR100220563B1 KR 100220563 B1 KR100220563 B1 KR 100220563B1 KR 1019970012276 A KR1019970012276 A KR 1019970012276A KR 19970012276 A KR19970012276 A KR 19970012276A KR 100220563 B1 KR100220563 B1 KR 10022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weight ratio
agent
reinforcing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892A (ko
Inventor
진교용
Original Assignee
이상근
주식회사리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주식회사리폼시스템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101997001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5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55Coating or impregnating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20/1066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4Sea wate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4Underwater applic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voc 삭감형 수중접착 에폭시몰탈 및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철근콘크리트의 토목,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가 열화현상으로 박리, 박락되는 철근콘크리트의 손상을 보수보강할 때, 일반몰탈, 콘크리트 및 에폭시수지로 보수보강 공사를 시공하므로서,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손상부와 보수보강부재가 일체화되지 못하여 완벽한 보수보강부를 구축할 수 없고, 특히 압축강도, 굴곡강도와 접착강도가 유지되지 못하며, 특히 교각 및 교각우물통과 습기가 침습된 수중 및 지하건물의 보수보강시에는 수중손상부와 보수보강부의 접착력이 미약하여 일체화되지 못하고 이완상태에서 경화 되므로 보수보강재(부)가 박리, 탈락현상이 있고, 더욱 물이 흐르는 교각의 경우에는 보수보강재가 유속에 의해 유실되는 문제점이 큰 것이며, 또한 접착,방수,도장,코우킹의 기능을 갖는 제재를 선택하여 순서적으로 시공하는 시공상의 까다로움과 시공비가 많이 요구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컷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수중 보수보강재를 보수보강A제와 보수보강B제로 조성되는데, 여기에서 보수보강A제는 에폭시수지85-90
Figure kpo00001
(중량비), 산화치탄(TiO2)2.5-7
Figure kpo00002
(중량비), 충전제(TALC)5-10
Figure kpo00003
(중량비), 착색제(에폭시수지용 안료) 5-10
Figure kpo00004
(중량비), 소포제(에폭시전용)0.2-0.3
Figure kpo00005
(중량비)를 혼합하여 보수보강 A제(에폭시주제)를 조성하고, 보수보강B제는 수중경화제35-37.5
Figure kpo00006
(중량비), 수중접착제35-37.5
Figure kpo00007
(중량비), 저온경화제0.3-0.5
Figure kpo00008
(중량비), 충전제(TALC)20-25
Figure kpo00009
(중량비), 소포제0.2-0.5

Description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본 발명은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접착성, 방수성, 내활성, 내마모성, 탄성, 방식 및 방청, 염해방지와 고강도를 유지하도록 voc 삼각형 수중접착 에폭시몰탈 및 콘크리트로 수중시멘트콘크리트 구조물, 콘크리트 블록구조물의 열화 손상부의 열화 상태에 따라 적정비율로 수복 및 도포하여 기존 열화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굴곡강도를 높이고 일체화가 되도록 보수보강하므로서, 수중(지하침습부위 포함)구조물의 보강부가 견고하게 구축되어 보수, 보강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유지 보존할 수 있게 함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에폭시수지의 사용으로 철근의 부식문제, 접착문제, 콘크리트 중성화 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 철근콘크리트의 토목, 건축 구조물에 콘크리트가 박리, 박락, 비정상적인 크랙 등 여러 가지의 열화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도가 떨어져 철근콘크리트의 손상과 나아가 붕괴현상과 철조구조물의 부식으로 인한 철조구조물의 파손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신문, TV 에서도 보도되어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열화인자, 열화현상의 요인은 콘크리트는 강알칼리성(PH=12.5)을 가지고 있어, 철근의 부식은 진행되지 않으나, 탄산가스, 산성물질, 염화물질(염소이온)의 침투, 알칼리골재반응, 기상조건(팽창/수축 및 빗불침습)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중성화 현상이 진행되고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며 녹까지 슬게 되어 녹의 팽창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금이 가고 박리, 박락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가 파손되어 구조물이 붕괴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토목 및 건축물을 포함하는 시멘트콘크리트의 시설구조물들이 이산화탄산가스 및 산성비의 침투에 의해 중화되면서 콘크리트의 균열현상과 철근의 부식으로 시설구조물이 내하력이 저하되는 현상은 이산화탄산가스의 침투뿐 아니라, 시멘트콘크리트에 혼합되는 자갈 및 모래가 화산암의 경우에는 시멘트콘크리트의 중화현상이 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교각 및 교각우물통과 습기가 침습된 지하건물의 보수보강시에는 수중손상부와 보수보강재의 접착력이 미약하여 일체화되지 못하고 격리상태에서 경화되므로 보수보강재(부)가 박리, 탈락되는 현상에 의해 보수보강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많았고, 더욱 물이 흐르는 교각의 경우에는 보수보강재가 흐르는 유속에 의해 쉽게 유실되는 큰 문제점을 갖고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몰탈, 콘크리트의 토목 건축구조물, 철교 등의 철물구조물, 금속지붕 등의 금속구조물, GRC(유리섬유강화콘크리트판)의 구조물의 열화 및 부식으로 손상된 손상부를 보수보강 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물등 노출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수중콘크리트의 구조물에 보수보강시공을 할 때, 일반몰탈 및 콘크리트 또는 에폭시수지 등으로 보수보강 공사를 시공하고 있으나,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을 하여도 열화손상부와 보수보강부재가 접착력저하 및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일체화되지 못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보수보강부가 이완되어 보수보강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종전의 열화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로 FRP보수보강 조성물에서는 유리섬유를 주된 보강재로 하는 저압성형용 열결화성 수지의 적층 성형품으로 탄성계수는 보통 플라스틱 정도로 작아서 강성이 크게 요구되는 곳은 피해야하고, 콘크리트의 탈락방지 열화진행을 막기위한 콘크리트의 보호등에 적합하나 콘크리트와 물성치가 다르며 습한 표면에 부착력의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다른 예로 무수축 그라우트 단면보강의 조성물에서는 콘크리트의 피복부족 또는 열화의 진행에 따른 콘크리트의 박리, 탈락 등에 의해, 철근이 노출된 벽체에 대해서 지금까지 보수공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결합재로 시멘트계 재료를 사용하고, 경과 후 수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수중에서 작업이 불가능하고 보강재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특히 압축강도, 굴곡강도와 보강재로서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접착강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몰탈, 콘크리트등의 토목 건축물 등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과 철교등의 철물구조물, 금속지붕등 금속구조물을 보수보강하는 방수피막제, 투명광택 마감제, 미끄럼방지용 방활제, 실링제로 크랙보수 및 방수제, 코킹용 도막제, 콘크리트, 강화와 방수성을 부여하도록 첨가하는 혼화제, 방활제와 방수제, 도장 및 피착제, 탄성 방청 염해방지 도장제, 녹처리제 등으로 종전의 보수보강 시공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제품이 외국에서 개시되고 있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구조물, 금속구조물의 투명광택 마감제로는 수성우레탄수지, 물매체, 습윤제, 소포제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64-9273호의 예를 들 수 있고, 콘크리트구조물의 방활제로는 골재와 수경시멘트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미끄럼방지제와 아크릴계수지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64--9275호의 예를 들수있으며, 시멘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콘크리트블록, GRC판(유리섬유강화콘크리트판)의 마감제로는 포트랜트시멘트, 산화티탄, 분말아크릴수지로 조성되며 하지마감에 앞서 도장하는 시멘트구조물 하지용 플라이머 및 시멘트구조물 하지용 플라이머 도장방법의 일본국공개특허 공보평1-153583호의 예를 들 수 있다.
또, 접속실링, 새시의실링, 타일메지, PC판메지, 모르타르, 콘크리트보수의 실링제로는 아크릴수지, 암모니아, 산화아연, 가소알루미나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평1-297485호의 예를 들 수 있고 콘크리트, ALC판, 블록 등의 크랙보수 및 방수제 및 코우킹제로는 아크릴수지, 암모니아, 산화아연, 탄산칼슘,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티르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297479호의 예를 들 수 있으며 콘크리트, 철판, 지붕 등의 균열, 코우킹용 도막제로는 아크릴계수지, 소포제, 유동가습성분, 물매체, 가소제, 방부제, 안료분산제, 무기재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2-29467호의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첨가하여 강화와 방수성을 부여하는 시멘트 혼화제로는 수지에멀젼, 물매체, 소포제, 방부제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평2-30648호의 예를 들 수 있고, 내마모성이 높은 방활제와 방수제로는 에멀젼, 소포제, 에틸렌글리콜모노브틸에테르, 카르아크리계, 벤조이소티아졸린, 안료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2-43270호의 예를 들 수 있으며, 도상재, 도벽재, 기타 도장재, 피착제로는 가아네트(Garnet)와 시멘트, 아크릴계 수성에멀젼등의 복합수지물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평7-764312호의 예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탄성도장재, 방청 탄성도장재, 염해 방지도장제로는 아크릴계수지 수성에멀젼, 산화티탄, 산화철, 탄산칼슘으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76325(한국 특허공보 공번94-7562호)호의 예도 볼 수 있으며, 콘크리트면, 전기도금 및 도장면에 미끄럼방지용 방활제로는 가아네트, 골재 및 수경성시멘트를 함유하는 방활용분말, 아크릴계수지에멀젼으로 조성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122047호의 예도 들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전의 각종 토목 및 건축을 포함하는 몰타르 콘크리트의 시설구조물, 철물구조물, 금속구조물을 보수,보강하는 조성물들은 구조물의 표면에 도장하는 피막성을 갖는 도장제이거나, 몰타르에 첨가하는 첨가제 및 구조물을 마감처리하는 마감제로서 시멘트콘크리트의 시설구조물에서는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으로 하여금 대기중의 탄산가스의 침투를 지연시키어 고알카리성인 시멘트의 중화속도를 느리게 하므로서, 시멘트콘크리트의 시설구조물의 강도유지와 철근의 부식도 방지하여 시멘트콘크리트의 시설구조물의 수명을 보완하며 또한 철물구조물 및 금속구조물에서도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에 의해 내부식성을 부여하여 손상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화산암의 자갈 및 모래가 사용되어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이 가속되는 경우에 중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조성물은 가격이 고가이고 보수보강 대상구조물의 열화상태에 따라 적정제품을 선정하고 이들 제품을 순서적으로 시공하여야 하는 시공상에 까다로움이 있어 시공비가 많이 요구되는 등 경제적인 문제점이 큰 부담으로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전의 몰탈, 콘크리트 등의 수중토목 건축물 등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과 철교의 피아 및 우물통을 보수 보강하는 보수보강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보수, 보강조성물인 몰탈 및 콘크리트에 접착성, 방수성, 광택성, 내활성, 내마모성, 탄성, 방식 및 방청, 염해방지와 높은 압축, 굴곡 및 인장강도를 유지 할 수있는 voc 삭감형 수중접착 에폭시몰탈 및 콘크리트의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voc 삭감형 수중접착에폭시몰탈 및 콘크리트)는 보수보강할 수중 및 침습지의 토목,건축구조물과 접착성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에폭시수지, 산화티탄, 수중경화제, 수중접착제, 저온경화제를 주요 조성물로 하므로서 보수보강 구조물과의 이완을 줄이고 부착성을 증대시키어 보수보강부의 박탈현상을 최소화하며, 또한 저온경화제를 사용하여 섭씨 영하10도에서도 보수보강하는 몰탈 및 콘크리트구조물과 접착력 및 강도를 증대시키어 보수보강된 수중토목, 건축구조물의 내구성이 우수하여지므로서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우수한 접착성, 방수성, 광택성, 내활성, 내마모성, 탄성, 방식 및방청, 염해방지가 이루어지도록, 보수보강용 에폭시주제와 에폭시경화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보수보강재의 조성은 에폭시수지[Epoxy Resin], 산화티탄[Titanium Dioxide; TiO2], 수중경화제[CycloaliphaticAmines-Modified], 수중접착제[Aliphatic Amines-Modified], 저온경화제[Tertiary Amines-Modified], 충전제[TALC], 착색제[Inorganic pigment], 소포제[Silicone Deformer]로 몰타르 및 콘크리트를 조성하여 토목,건축,철조시설 구조물의 보수보강재로 하며, 이러한 보수보강 조성물을 실링(sealing), 코우킹(caulking)을 포함한 충진방법과 단면증설방법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경화시 및 경화후에 수축성이 적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게 경화수축이나 건조수축을 보상하는 팽창성 및 발포성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한 치수안정성, 기존 열화된 콘크리트와 열팽창계수와 탄성계수가 가까운 물성, 내하력을 유지보존 할 수 있게 방수성의 유기계 재료를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보수보강 조성물로 차염성, 중성화 억제 효과, 물 및 산소확산에 대한 저항성이 폴리머 미혼입몰탈에 비해 높은 경화체를 얻을 수 있도록, 수성저온조강 폴리머몰탈(콘크리트)과 녹의 차단과 수중에서의 접착력 강화와, 접착 강화용의 수성침투성 방청제와, 수성저온조강경화성 폴리머몰탈과 내수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뛰어난 수성 강력 에폭시를 마감재로 이용하여 보수보강 조성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보수보강용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그시공처와 용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가능한 것이며, 보수보강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비율로 조성된 보수보강 조성물을 실링/코우킹을 포함하는 충진방법/단면증설방법에 의해 보수보강의 시공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토목,건축,철조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의 선정에서 일체성,충진성의 확보이고 주입성, 고유동성, 무수축성체 및 구조체와 일체화 시킬수 있도록, 내구성, 내수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강한 제품으로 표면을 마감시키는 보수보강의 시공방법과 콘크리트 표면에 콘크리트수성침투성강화제 및 수성침투성탄성방수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의 공극코우킹 및 침수에 의한 콘크리트 열화 및 크랙 발생과 부식을 예방하는 보수보강의 시공방법으로 보수보강부를 장기적으로 유지보존 할 수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보수보강재는 수중 및 지하의 침습 토목,건축,철조시설구조물에도 보수보강의 시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수중의 토목,건축시설 구조물 보수보강재는에폭시수지[EpoxyResin;Epichlorohydrine+Bisphenol-Atype]와, 산화티탄[TitaniumDioxide;TiO2와, 충전제[TALC]와, 수중경화제[Cycloaliphatic Amines-Modified]와, 수중접착제[AliphaticAmines-Modified]와, 저온경화제[TertiaryAmines-Modified]와, 충전제[TALC]와, 소포제[Silicone Deformer]와, 착색제[Inorganic pigment] 및 임의안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합작업이 수월하고 유동성은 8
Figure kpo00011
23까지 자유자재로 가능하고 뛰어난 시공성, 조강성 및 강력한 접착효과에 의해 압축강도와 굴곡강도가 높고 부착성이 뛰어나며, 콘크리트의 기본조건인 알칼리성이 비슷한 재료로서 보수보강구체(구조물)와 보수보강재의 접착력도 상당히 우수하며, 특히 종전에 보수보강 조성물은 수중 및 습지의 토목, 건축구조물을 보수보강을 할때 접착매체인 도료나 플라이머를 도장한 후에 보수,보강제 및 콘크리트를 주입, 도포, 타설시공하여야 하던 작업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물질로 조성되는 본 발명의 수중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재는 보수보강A제(에폭시주제)와 보수보강 B제(에폭시경화제)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중의 에폭시주제는 접착기능의 에폭시수지85-90
Figure kpo00012
(중량비), 은폐기능의 산화티탄2.5-7
Figure kpo00013
(중량비), 배합기능의 충전제(TALC)5-10
Figure kpo00014
(중량비), 색상기능의 착색제(에폭시수지용 안료)5-10
Figure kpo00015
(중량비), 기포제거기능의 소포제(에폭시전용)0.2-0.5
Figure kpo00016
(중량비)를 혼합하여 보수보강 A제(에폭시주제)를 조성하며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Figure kpo00017
상기의 실시예 1과 같이 에폭시주제(A제)의 혼합물로 접착용으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의 혼합비(실시예1)가 미달될 경우에는 에폭시수지고형분(Solide)이 낮아져 수중에서 콘크리트 피착제와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수중보수/보강재로서 가장 중요한 압축강도, 휨강도의 물성 및 내약품성도 떨어짐을 장기간의 실험결과에 의해 발견하였고, 또한 도료의 은폐율을 높이기 위한 Base color로 사용되는 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의 조성비(실시예1)를 초과할경우에는 에폭시수지의 고형분(Solide)이 낮아져 물성저하의 원인이되고 조성비율이 미달될 경우에는 도료은폐율이 낮아짐을 장기간의 실험결과에 의해 발견하였고, 또한 에폭시주제와 에폭시경화제의 분리현상방지 및 배합균형(blanc)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충전제[TALC]는 낮은온도에서 사용할경우에는 에폭시수지자체의 점도가 높아 적게 사용되어야 하고 높은 온도에서 사용될경우에는 에폭시수지의 점도가 높아져 많이사용되어야 하나 장시간의 실험결과에서 혼합비(실시예1)로 혼합합이 온도차에 의한 점도조절이 가장 바람직함을 얻게 되었고, 또한 구조물 및 주문자의 생상에 의해 사용되는 착색제[Inorganic pigment]의 혼합비(실시예1)로 하는 이유는 이상비율이 낮아지면 색상의 조성어렵고 초과시에는 에폭시수지의 물성이 저하됨을 발견하였고, 또한 소포제는 조성되는 혼합물이 혼합할 때 발생되는 기포제거제로 사용되며, 특히 에폭시수지 주제 및 에폭시경화제 및 골재를 혼합하때 많은기포의 발생으로 압축강도,휨강도,부착강도가 낮아짐을 예방하기위하여 사용되는 조성물로 소포제[Silicone Deformer]의 혼합비(실시예1)의 이하의 경우에는 기포제거제 효율이 낮아져서 보수보강부의 압축강도,휨강도,부착강도가 떨어지고 초과될 경우에는 기포제거후에 소포제성분이 완전히 증발되지 못하여 보수보강부의 물성저하 원인을 장기간의 실험결과에 의해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발명중의 에폭시경화제는 수중접착기능의 수중경화제35-37.5
Figure kpo00018
(중량비)및 수중접착제35-37.5
Figure kpo00019
(중량비), 화학반응촉진기능의 저온경화제0.3-0.5
Figure kpo00020
(중량비), 충전제(TALC)20-25
Figure kpo00021
(중량비), 소포제 0.2-0.5
Figure kpo00022
(중량비)를 혼합하여 보수보강 B제를 조성하며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2]
Figure kpo00023
상기의 실시예 2와 같이 에폭시경화제(B제)의 조성물로 수중에서 경화성능, 피착제와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에폭시수중경화제[Epoxy curing Agents]의 종류를 대관하면 일반적으로 지방족아민(Aliphatic Amines), 지환식아민(Cycloaliphatic Amines),아미드아민(Amindoamines), 폴리아미드(Polyamid)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폭시수중경화제[Epoxy under water curing Agents]로 선택한 수중경화제[Cycloaliphatic Amines-Modified(변성지환식아민)]와, 수중접착제[AliphaticAmines-Modified(변성지방족아민)]의 혼합비(실시예 2)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량의 다량계산법에 의한 배합된 비율이고, 이러한 혼합비(실시예 2)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량의 다량계산법에 의한 배합된 비율이고, 이러한 혼합비(실시예 2)는 장기간에 많은 실험에 의해 수중에서 경화(양생)성능, 피착제와 접착성능이 가장우수한 것을 실험결과에 의해 발견하였으며, 또한, 에폭시주제(A제)와 에폭시경화제(B제)의 화학반응속도를 촉진시키는 혼합제로의 저온경화제[Tertiary Amines]는 수중은 온도는 지상보다 낮은 수중보수보강부의 경화(양생)반응속도가 늦어지던점을 경화반응이 빨리 이루어지게하는 것으로, 혼합비(실시예2)의 이하로 혼합시킬 경우에는 에폭시수지와 반응하는 저온경화촉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혼합비가 초과될 경우에도 초과량분이 에폭시수지와 반응하지 못하고 보수보강부에 잔유되므로서 오히려 물성저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많은 실험결과에 의해 발견하였으며, 이하 충전제[TALC]와 소포제[Silicone Deformer]는 상기의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발명의 보수보강재로 수중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보강 시공함에 있어, 상기 실시예1로 혼합되어진 콘크리트 보수보강용 에폭시 주제인 A제 1대(중량비), 실시예 2로 혼합되어진 에폭시 경화제인 B제 1대(중량비), 백색시멘트1대(중량비), 가네트1대(중량비),로 혼합하여 도포 시공방법으로 열화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 하므로서, 열화부분에 완전히 접착경화되어 열화된 콘크리트 구체를 강화하고 방수기능을 증대하며 중성화 진행을 저지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서, 종전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 콘크리트 보수보강 A제(에폭시 주제)1대(중량비), 보수보강 B제(에폭시 경화제)1대(중량비), 백색시멘트1(중량비), 가네트1(중량비), 규사1(중량비), 자갈1(중량비)로 혼합하여 타설시공방법으로 콘크리트 보수보강 하므로서, 상기와 같이 열화부분에 완전히 접착경화되어 열화된 콘크리트 구체를 강화하고 방수기능을 증대하며 중성화 진행을 저지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서, 종전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교각(우물통)을 포함하는 수중 토목,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등의 균열, 손상, 누수부를 접착성, 방수성, 광택성, 내활성, 내마모성, 탄성, 방식 및 방청, 염해방지, 하수도 유화수소에 의한 열화방지와 고강도를 유지하며 시공여건이 용이 하도록 가아네트(Garnet), 백색시멘트, 규사, 자갈을 사용하여 수중접착경화에폭시 몰탈 및 콘크리트를 조성하여 보수보강부에 직접적으로 실링(sealing),코우킹(caulking)을 포함하여 단면증설하는 충진방법으로 보수 및 보강의 시공할 수 있게하여 강도강화 및 방수,방식이 되므로서 수중구조물에도 보수보강부가 견고하게 구축되어 보수보강구조물의 수명을 장구히 보존하는 등의 작업성 및 경제적인 효과를 얻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그 일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에폭시수지85-90
    Figure kpo00024
    (중량비), 산화치탄(TiO2)2.7-7
    Figure kpo00025
    (중량비), 충전제(TALC) 5-10
    Figure kpo00026
    (중량비), 착색제(에폭시수지용안료)5-10
    Figure kpo00027
    (중량비), 소포제(에폭시전용)0.2-0.5(중량비)의 혼합비로 조성되는 에폭시주제와, 수중경화제35-37.5
    Figure kpo00028
    (중량비), 수중접착제35-37.5
    Figure kpo00029
    (중량비), 저온경화제0.3-0.5
    Figure kpo00030
    (중량비), 충전제(TALC) 20-25
    Figure kpo00031
    (중량비), 소포제0.2-0.5
    Figure kpo00032
    (중량비)의 혼합비로 조성되는 에폭시 경화제와, 백색시멘트, 가네트, 규사, 자갈등에 선택적혼합비로 혼합시키어 수중접착 경화성에폭시(voc 삼각형)몰탈 및 콘크리트의 보수보강재를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수지85-90
    Figure kpo00033
    (중량비), 산화치탄(TiO2)2.5-7
    Figure kpo00034
    (중량비), 충전제(TALC)5-10
    Figure kpo00035
    (중량비), 착색제(에폭시수지용 안료)5-10
    Figure kpo00036
    (중량비), 소포제(에폭시전용)0.2-0.5
    Figure kpo00037
    (중량비)로 조성되는 에폭시주제를 특징으로 하는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수중경화제35-37.5
    Figure kpo00038
    (중량비), 수중접착제35-37.5
    Figure kpo00039
    (중량비), 저온경화제0.3-0.5
    Figure kpo00040
    (중량비), 충전제(TALC)20-25
    Figure kpo00041
    (중량비), 소포제0.2-0.5
    Figure kpo00042
    (중량비)로 조성되는 에폭시경화제를 특징으로 하는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KR1019970012276A 1997-04-03 1997-04-03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KR10022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276A KR100220563B1 (ko) 1997-04-03 1997-04-03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276A KR100220563B1 (ko) 1997-04-03 1997-04-03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892A KR19980075892A (ko) 1998-11-16
KR100220563B1 true KR100220563B1 (ko) 1999-09-15

Family

ID=1950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276A KR100220563B1 (ko) 1997-04-03 1997-04-03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749B1 (ko) 2019-09-26 2020-05-26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친환경 습윤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 공법
KR20220064689A (ko) 2020-11-12 2022-05-19 한국과학기술원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고심도 지반의 보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92B1 (ko) * 2004-04-30 2012-04-13 곽상운 발포형 케미칼 그라우트재
KR100671939B1 (ko) * 2004-11-02 2007-01-22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다기능성 인조골재를 이용한 수중콘크리트 구조물보수보강재
KR100661494B1 (ko) * 2006-05-26 2006-12-27 한토산업 (주) 콘크리트구조물 중성화 및 염해방지를 위한 고분자 도료조성물
KR102018810B1 (ko) * 2019-04-12 2019-09-05 김용수 수중용 접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749B1 (ko) 2019-09-26 2020-05-26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친환경 습윤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 공법
KR20220064689A (ko) 2020-11-12 2022-05-19 한국과학기술원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고심도 지반의 보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89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508B1 (ko) 수중 구조물 보수보강용 실란변성 에폭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1035904B1 (ko) 나노세라믹과 고분자수지를 포함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0661494B1 (ko) 콘크리트구조물 중성화 및 염해방지를 위한 고분자 도료조성물
KR100220562B1 (ko) 노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KR1019786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외벽의 균열 및 파손 부위 복합 보강공법
KR102068714B1 (ko) 내중성화 속경성 보수보강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2109977B1 (ko) 습기차단형 무용제 에폭시 프라이머 겸용 기초 도막방수재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CN113004015A (zh) 一种单组分高强抗渗薄层修补砂浆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858036B1 (ko) 세라믹계 망상구조 수지 혼합물을 포함하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습윤 코팅용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51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용 모르타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KR10148297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알칼리 회복용 침투성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KR100220563B1 (ko)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KR101888662B1 (ko) 시멘트계 지수제, 방청제, 단면보수제 및 방수제를 이용한 습윤구역에 배치된 철근콘크리트의 누수 방지, 철근방청처리, 단면보수 및 역수압에 대한 방수공법
KR20050075973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로드부재
KR101806077B1 (ko) 내염성과 내해수성 ata폴리머를 이용한 철근 보호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코팅공법
KR102051586B1 (ko) 세라믹,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한 방수, 방식 및 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보호, 보수 및 보강공법
Ashcroft Industrial polymer applications: Essential chemistry and technology
KR19980075893A (ko) 토목, 건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100931016B1 (ko)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0706678B1 (ko)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KR20220141354A (ko) 작업성이 우수한 고내식성 중성화 방지 친환경 폴리머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의 보수방법
JP3779391B2 (ja) 表面塗装剤、及び、同塗装剤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表面補強工法
McGill et al. Prolonging the lif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by surface treatment
KR200386862Y1 (ko)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