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918B1 - Ductless blowing system - Google Patents

Ductless blow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918B1
KR100218918B1 KR1019960065195A KR19960065195A KR100218918B1 KR 100218918 B1 KR100218918 B1 KR 100218918B1 KR 1019960065195 A KR1019960065195 A KR 1019960065195A KR 19960065195 A KR19960065195 A KR 19960065195A KR 100218918 B1 KR100218918 B1 KR 10021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blower
air
perfus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47254A (en
Inventor
신이치 타키노
카츠히코 노무라
타다히데 아리하라
시게루 야스이
유지 하마지마
요시후사 히라타
Original Assignee
모치즈끼 아키히로
니신보우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사카모토 리신
니신보우 트레이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999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189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치즈끼 아키히로, 니신보우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사카모토 리신, 니신보우 트레이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치즈끼 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97004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9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Abstract

설치가 용이하고 면적이 넓은 건물 내부에서의 공기의 반송 및 교반 등을 효It is easy to install and effectively conveys and agitates the air inside a large building.

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러닝 코스트가 저렴한 송풍 시스템을 제공한다.It is possible to perform in an efficient manner and to provide an air blowing system having a low running cost.

바닥면 및 천정면과 측부의 4개의 경계면(2,3,4,5)으로 구획되고, 그 내부It is divided into four interfaces (2, 3, 4, 5) at the bottom and the ceiling and the side, and inside

에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6,6b)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적어도 그 관류 송At least one perfusion blower (6,6b) is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t least

풍기의 송풍 방항에 있는 경계면(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는 송풍구획(1,Blowing section 1, in which the boundary surface 3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blowing air is at least partially opened

10)을 건물 내에 복수개 설치하고, 하나의 송풍구획(l)에서 발생한 기류가 그 송풍구10) A plurality of installations are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the airflow generated in one blower section (l) is the blower.

휙의 관류 송풍기(6)의 송풍 방향의 개구되어 있는 경계면(3)에 인접하는 다른 송풍Another blower adjacent to the open interface 3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through-flow blower 6 of the fan

구획(10)내로 도달하도록 송풍구획(1,10)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ing section (1, 10) is set to reach into the compartment (10).

Description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Ductless Blowing System

본 발명은 공장, 홀. 창고,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건물에 적합한 송풍 시스템으로서 이 건물에 설치된 외부 장치(외부공기 흡기장치 강제 배기장치, 공기조화기 등)와 조합되어 사용되고, 외부공기 흡기장치 또는 외부 공기를 쉽게 흡입하는 개구부로부터 강제배기장치까지 사이의 공기의 반송 및 교반이나 공기조화기로부터 발생된 공기조화된 공기의 건물 내에서의 반송 및 교반 등을 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행하는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actory, hall. It is a blowing system suitable for large-area buildings such as warehouses, underground parking lots, etc.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external devices (external air intake system forced exhaust system, air conditioner, etc.)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easily A ductless blowing system for efficiently conveying and agitating air from a suction opening to a forced exhaust device, and conveying and agitating air-conditioned air generated from an air conditioner in a building without using a duct. will be.

외부 공기 흡입 장치나 강제배기장치 혹은 공기 조화 장치와 조합되어 상술한 용도에 사용되는 종래의 송풍 시스템으로는 ①건물 내부의 천정부의 소요부에 덕트를 배관하여 그 덕트를 통해 기류를 반송하는 것이나, ②건물 내 천정부의 소요부에 배치한 축류식 송풍기와 덕트나 노즐을 조합하여 고속 에어제트류를 발생시키는 것(특공소 63-33053호), 그리고 ③건물 내부의 천정부의 소요부에 하향 각도 조정 가능한 축류식 송풍기를 여러개 설치한 것(특개소 60-160922호)이나, ④건물 내부의 좌우측 벽 사이에 이 측벽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의 케이싱을 가지는 기류발생기를 배치한 것(실개평 4-125141호)이 알려져 있다.Conventional blower systems used in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air intake device, forced exhaust device or air conditioner include: (1) pipe a duct to a required part of a ceiling part inside a building and convey airflow through the duct; (2) Generating high-speed air jets by combining an axial blower and a duct or a nozzle placed in the required part of the ceiling in the building (Special Office 63-33053), and ③ A downward angle can be adjusted to the required part of the ceiling part inside the building. Multiple axial blowers (special place No. 60-160922) or airflow generators having casings of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as the sidewall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building (p. 4-125141) Is known.

그러나, 상술한 시스템을 넓은 면적을 가지는 건물 내부에 사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즉, ①의 시스템은 덕트의 배관장이 길어져서 덕트 내부에서의 송풍 손실이 크게 되기 때문에 덕트 직경 및 송풍기를 대형으로 하여 송풍량을 벌어 들일 필요가 있고, 러닝 코스트가 높고, 많은 공간이 덕트에 점유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장대(長大)한 덕트를 건물 내부에 배관하는데 힘이 든다는 문제도 있다.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in using the above-mentioned system in a building having a large area, i.e., the system of ① has a large duct pipe length, so that the blowing loss in the duct is large, so that the duct diameter and the blower are lar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earn airflow, high running cost, and a large amount of space occupied by the du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ipe a long duct into the building.

②의 시스뎀은 덕트 내부에서의 송풍 손실 때문에 송풍기를 대형으로 하여 송풍량을 벌어 들일 필요가 있고, 러닝 코스트가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기에서 노즐까지의 거리에 의해 기류의 강약을 발생하고, 더구나 스폿 형상으로 송풍되기 때문에, 기류끼리의 혼합에 의해 송풍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기류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율이 나빠진다는 문제도 있다. 더구나, 덕트, 노즐 등과 같은 부품이 증가하기 때문에 설비코스트가 높은 문제도 있다.The system of (2)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lower size by making the blower large due to blowing loss in the duct, and the running cost is high. In addi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airflow is generated by the distance from the blower to the nozzle, and because the air is blown into a spot shape, a problem of uneven airflow is likely to occur due to mixing of the airflow,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airflow. There is also a problem of poor efficienc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because parts such as ducts, nozzles, etc. increases.

③의 시스템은 축류식 송풍기를 사용하여 기류가 스폿류로 되기 때문에 송풍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건물내부 전체를 평균적으로 공기조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축류송풍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설비비, 러닝코스트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The system of ③ uses axial blower, so the airflow becomes spot, so it is easy to cause uneven airflow, and in order to air-condition the whole building on average, it is necessary to install many axial blow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unning coast is increased.

그리고 ④의 시스템은 기류발생기의 케이싱이 좌우측 벽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차장내와 같이 차량 등 큰 장해물이 있는 경우에도 기류를 자연스럽게 흘려보낼 수 있어서 효율적이나, 상기와 같이 케이싱이 좌우측 벽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이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고 설치 가능한 장소가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치비가 높은 문제도 있다.Since the casing of the airflow generator has a length almos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s, the airflow can efficiently flow even when there is a large obstacle such as a vehicle in the parking lot. Since the length is almos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s, installation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lace is limi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면적이 넓은 건물내부에서의 공기의 반송 및 교반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러닝코스트가 저렴한 송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blowing system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efficiently carries out air conveyance and stirring in a large building interior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 low running cost.

제1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다.to be.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송풍구획의 기류의 도달 범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range of airflow of the blowing section shown in FIG.

다.All.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 송풍구획의 기류의 도달 범위의 일 예3 is an example of the range of the airflow of the blowing s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It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 송풍구획의 기류의 도달 범위의 다른4 is different from the reach of the airflow of the blowing s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예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It is a simplified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제5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사용하는 관류 송풍기의 일실시형5 is an embodiment of a perfusion blower used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It i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notch partly.

제6도는 제1도에 나타낸 송풍구획내에 2대의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를 예시하는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wo vehicles are parked in the blowing section shown in FIG.

평면도이다.Top view.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송풍구획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lowing section shown in FIG.

제8도는 송풍구획내에 3대의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ree vehicles are parked in the blowing section.

제9도는 송풍구획내에 4대의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four vehicles are parked in the blowing sec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송풍구획을 복수 조합하여 주차장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lowing se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parking lot.

제11도는 본 발명의 송풍구획을 복수 조합하여 공장 등의 건물 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lowing se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and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factory.

제l2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추가하는 송풍 제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lowing control device added to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하여 실시예 1을 행한 공장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actory where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first embodiment is carried out.

제14도는 상기 공장 내의 난방시 측정점 P1에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measuring point P1 during heating in the factory.

제15도는 상기 공장 내의 난방시 측정점 P2에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5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measuring point P2 during heating in the factory.

제16도는 상기 공장 내의 냉방시 측정점 P1에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cooling point P1 in the factory.

제17도 상기 공장 내의 냉방시 측정점 P2에서의 은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17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degree of silver at the cooling point P2 in the factory.

제18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하여 실시예 2를 행한 주차장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where the ductless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stalled and the second embodiment was carried ou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송풍구획 2 ∼5 : 측면1: Blowing section 2-5: Side

6, 6b : 관류 송풍기 7 : 기류6, 6b: perfusion blower 7: air flow

8 : 바닥면 9 : 천정면8: floor surface 9: ceiling surface

10 : 송풍구획 L0 : 송풍구획의 종방향 길이10: blowing section L0: longitudinal length of blowing section

W0 : 송풍구획의 폭 방향 길이 W1 : 기류 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W0: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blowing section W1: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air flow outlet

AL1 : 기류의 도달길이 AL2 : 기류의 간섭 범위AL1: Airflow Reach Length AL2: Airflow Interference Range

θ1 : 배출 각도 H0 : 층 높이θ1: Discharge Angle H0: Floor Height

Hl : 관류 송풍기의 부착 높이 C1∼C9 : 차량Hl: Attachment height of the flow blower C1 to C9: Vehicle

11 : 송풍구획 12∼15 : 측면11: blowing section 12-15: side

16 : 관류 송풍기 17 : 기류16: perfusion blower 17: airflow

21 : 송풍구획 22∼25 : 측면21: Blowing section 22-25: Side

26 : 관류 송풍기 27 : 기류26: perfusion blower 27: air flow

41 : 주차장 42 : 주차장의 입구41: parking lot 42: entrance of the parking lot

43 : 외부공기흡기장치 44 : 강제배기장치43: external air intake device 44: forced exhaust device

45∼50 :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 51∼69 : 차실에 설정한 송풍구휙45-50: Blowing air compartment set in the lane 51-69: Blowing air vent set in the car compartment

70, 71 : 외부 공기 81 : 건물70, 71: outside air 81: building

82, 83 : 공기조화기 84, 85 : 공기조화기82, 83: air conditioner 84, 85: air conditioner

86∼91 : 송풍구획 92, 93 : 송풍구획86 ~ 91: Ventilation section 92, 93: Ventilation section

101 : 관류 송풍기 102 : 케이싱101: perfusion blower 102: casing

103 : 구동장치 104 : 임폘러103: driving device 104: impeller

105 : 제어장치 106 : 공기흡입구105: control device 106: air intake

107 : 기류 배출구 108, 109 : 브로가이드107: air flow outlet 108, 109: broguide

201 : 제어장치 202 : 제어반201: control device 202: control panel

203 : 설정기 204 : 검출기203: setter 204: detector

205 : 컨트롤러 211∼213 : 송풍구획205: Controllers 211 to 213: Blowing air compartment

221∼223 : 센서 301 : 건물221 to 223: sensor 301: building

302∼305 : 벽면 311, 312 : 공기조화기302-305: Wall surfaces 311 and 312: Air conditioners

313, 314 : 공기조화기 321∼326 : 송풍구획313, 314: air conditioners 321-326: air blowing section

F1∼F16 : 관류 송풍기 P1, P2 : 측정점F1 to F16: Perfusion blowers P1 and P2: Measuring points

401 : 건물 402∼405 : 벽면401: building 402 to 405: wall surface

406∼409 : 외부공기흡기구 410 : 강제배기장치406 ~ 409: External air intake 410: Forced exhaust

P11∼P18 측정점P11 to P18 measuring points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은 복수의 관류(貫流) 송풍기(힁류송풍기라고도 불린다)를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가 그 관류 송풍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 또는 그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에 도달하도록 건물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ductless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flows from one or more of the flow-through blowers that blow a plurality of flow-through blowers (also called air blowers) in the same direction with each other are positioned in front or side of the flow-through blower. It is characterized by arrange | positioning in the building so that one or the said perfusion blower which blows in the same direction with each other, or air flow from the said blower blower may be reached.

이러한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는 건물내에서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가 그 관류 송풍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 또는 그곳으로부터의 기류에 도달한다. 또한, 이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은 건물내에 복수의 관류 송풍기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의하면 송풍 시스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면적이 넓은 건물내부에서의 공기의 반송 및 교반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러닝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In such a ductless blower system, air flows from one or more of the flow-through blowers blown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building or the plurality of flow-through blowers blown in the same direction or the other one located in front or side of the flow-through blower. Or the airflow from there. Moreover, this ductless blower system is comprised only by arrange | positioning a some perfusion blower in a building. Therefore, according to this ductless blowing system, installation of a blowing system can be made easy, and conveyance and stirring of air in an inside of a large build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running cost can be made low. .

또한, 상기와 다른 시점에서 파악하면,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은 바닥면 및 천정면과 측면의 4개의 경계면으로 구획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적어도 그 관류 송풍기의 송풍방향에 있는 상기 경계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는 송풍구획을 건물내에 복수개 설치하고, 하나의 상기 송풍구역에서 발생한 기류가 그 송풍구획의 상기 관류 송풍기의 송풍방향의 상기 개구되어 있는 경계면에 인접하는 다른 상기 송풍구획내에 도달하도록 상기 송풍구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different from the above,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four boundary surfaces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nd at least one perfusion blower is installed therein and at least the perfusion flow. In the building, a plurality of blower blocks in which the boundary surface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blower is at least partially opened are provided in a building, and airflow generated in one blower zone is provided at the open boundary of the blower of the blower section of the blower zone. The blowing section is set so as to reach another adjacent blowing section.

이러한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송풍구획의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를 그 송풍구획에 인접하는 다른 송풍구획의 그 관류 송풍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퐁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 또는 그것으로부터의 기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은 건물내에 복수의 관류 송풍기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의하면 송풍 시스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면적이 넓은 건물내부에서의 공기 반송 및 교반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러닝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ductless blower system, airflow from one or more of the flow-through blowers blowing in the same direction to each other is located in front of or on the side of the flow-through blower of another blower section adjacent to the blower section. It is possible to reach a plurality of said perfusion blowers or the airflow therefrom which blows in the other direction or in the same direction with each other. Moreover, this ductless blower system is comprised only by arrange | positioning a some perfusion blower in a building. Therefore, according to this ductless blowing system, installation of a blowing system can be made easy, air conveyance, stirring, etc. in a large area inside a build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running cost can be made low.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구획내에 도달하는 기류의 범위롤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의 도달길이의 5%이상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류가 쉽게 유인되기 때문에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를 그 관류 송풍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에 의해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range of the air flow reaching the blowing section is 5% or more of the arrival length of the air flow from the perfusion blow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airflow is easily attracted, the airflow from one or the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blown in the same direction are blown in the same direction from each other or the other one located in front or side of the perfusion blower. Can surely be reached by the perfusion blow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상기 송풍구획에 설치되는 하나의 상기 관류 송풍기의 기류 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의 기류 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의 합계를 그 송풍구획의 폭 방향 길이의 15%이상으로 또한 75%이하로 한다. 관류 송풍기의 기류 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를 송풍구획의 폭 방향 길이의 15%이상으로 하면, 폭 방향의 고르지 못한 송풍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75%이하로 하면 송풍구획에 있어서의 관류 송풍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sum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s of the airflow outlets of one of the perfusion blowers provided in one blowing s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lengths of the airflow outlets of the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blowing in the same direction. It is to be 15% or more of the widthwise length of the blowing section and 75% or less. Whe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airflow outlet of the permeation blower is 15% or more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blowing s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uneven b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 make it 75% or less. The perfusion blower can be easi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송풍구획을 주차장의 외부공기 흡입장치 및/혹은 외부공기를 쉽게 흡기하는 개구부로부터 그 주차장의 강제배기장치로 기류를 순차적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주차장의 차로 및 차실에 배설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건물로서 주차장내의 공기 환기 및 교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plurality of air blowing compartments to drive the air flow to the forced exhaust device of the parking lot sequentially from the air intake device and / or the opening of the outside air easily intake in the parking lot lanes and compartments Excreted on.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ir ventilation and stirring in a parking lo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s a building, without using a duct.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송풍구획을 건물의 공기조화장치로부터 발생한 공기조화공기를 고 건물내에서 순차적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건물내에 배설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건물내의 공기조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lowing sections are preferably disposed in the building so as to sequentially convey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device of the building in the high building.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air conditioning in a build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out using a duc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는 환기 혹은 공기조화, 또는 환기 및 공기조화 등의 송풍목적에 따라 예를 들면 의부공기 흡기장치, 강제배기장치, 공기조화기 등 외부장치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외부공기 흡기장치 혹은 외부공기를 쉽게 흡기하는 개구부로부터 혹은 공기조화기로부터의 공기의 반송과 동시에 그 공기의 교반을 행하고 건물내부에서 공기를 효율적으로 송퐁하는 배치에서 관류 송풍기를 복수개 설치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In the ductless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ventilation, such as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or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for example, the external air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xternal devices such as pseudo air intake, forced exhaust, and air conditioner A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are provided in an arrangement in which the air is agit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turn of air from an intake device or an opening for easily taking in outside air or from an air conditioner, and the air is efficiently blown inside the building.

즉,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관류 송풍기를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가 그 관류 송풍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에 도달하도록 배치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관류 송풍기에 대해 상기 효과가 유효하게 얻어지도록 건물의 내부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송풍구획을 설정한다.That is, in the ductless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flows from the plurality of flow-through blowers that blow the plurality of flow-through blowers in one or the same direction are blown in the same direction or the other one located in front or side of the flow-through blower. It is arranged to reach a plurality of the through-flow blower.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section is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above effects are effectively obtained for the plurality of through-flow blowers.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의 송풍구획은 바닥면 및 천정면과, 그 바닥면 및 천정면에 끼워지는 공간을 기하학적으로 구획짓는 측부의 4개의 경계면에서 일정영역의 구획(공간)을 만들고, 그 구획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류 송풍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그 관류 송풍기의 송풍방향에 있는 경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개구시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평면적으로 보아 관류 송풍기의 임팰러의 회전축 방향인 관류 송풍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송풍구획의 폭 방향으로 하고, 관류 송풍기의 송풍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송풍구획의 종 방향으로 한다.The blowing section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partition (space) of a predetermined area at the four boundary surfaces of the side which geometrically partitions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nd the space fitted to the floo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t least one said perfusion blower is provided inside the compartment, and at least part of the boundary surface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is at least partially preferably ope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which is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impeller of the perfusion blower, is a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compartment, and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ing compartment. Direction.

제1는 본 발명에서의 송풍구획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송풍구획의 종단면도이다. 여기에서의 송풍구획(1)은 제1도 및 제2도에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lowing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lowing section shown in FIG. The blowing section 1 here is shown in FIGS. 1 and 2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8) 및 천정면(9)과, 측부의 4개의 경계면(2,3,4,5)로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구획(공간) 내부로 특정 범위로 기류를 발생시키는 관류 송풍기(6)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송풍구획(1)에서는 경계면(3)이 상부의 대들보 부분을 제외하고 개구되어 관류 송풍기의 송풍방향의 개구한 경계면이 되어 있고, 경계면(2) 및 경계면(4)은 전면적으로 닫힌 벽면이 되어 있다. 나머지 경계면(5)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되어 있는 경우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irflow is generated within a specific range within a compartment (space) of the bottom surface 8 and the ceiling surface 9 and the four boundary surfaces 2, 3, 4 and 5 of the side. The perfusion blower 6 is provided and comprised. In the blowing section 1 of this embodiment, the boundary surface 3 is opened except for the upper girder portion to form an open boundary surface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and the boundary surface 2 and the boundary surface 4 are entirely It is a closed wall. The remaining interface 5 may not be opened as described later.

상기 송풍구획(1)의 크기는 송풍구획(1)의 폭 방향 길이(W0)에 대해서는The size of the blowing section 1 is about the width direction length W0 of the blowing section 1.

주로 벽이나 지주에 의해 구획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적당하게 설정한다. 또한, 벽이나 지주 등과 같이 구획이 없는 경우에는 임의의 위치에서 구획해도 된다.Mainly set appropriately based on the part partitioned by wall or strut.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partition, such as a wall or a support | pillar, you may partition at arbitrary positions.

상기 송풍구획(1)의 종방향 길이(L0)에 대해서는 설치하는 관류 송풍기(6)로부터 발생하는 기류(7)의 도달길이(ALl)에 따라 설정한다. 이러한 기류(7)의 도달길이(ALl)는 관류 송풍기(6)의 송풍능력, 기류(7)의 배출각도(θ1), 건물의 층 높이(H0) 등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이것과는 역으로 송풍구휙(1)의 종 방향길이(L0)를 먼저 정하고, 그 L0에 따라서 관류 송풍기(6)의 송풍능력 등을 설정해도 된다.The longitudinal length L0 of the blowing section 1 is set according to the arrival length ALl of the airflow 7 generated from the perfusion blower 6 to be installed. The arrival length ALl of the airflow 7 is determined by the blowing capacity of the perfusion blower 6, the discharge angle θ1 of the airflow 7, the floor height H0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On the contrary, the longitudinal length L0 of the blower outlet 1 may be determined first, and the blowing capacity of the perfusion blower 6 ma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L0.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서 외부공기 흡기장치, 강제배기장치, 공기조화기 등과 같은 외부장치에 접하는 일부 위치를 제외하고 건물내에 송풍구획(1)에서 발생한 기류가 송풍방향의 개구된 경계면(3)에 인접하는 송풍구획(l0)내에 도달하도록 송풍구획을 설정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송풍구획(1)의 기류의 도달범위를 각각 예시하는 간략도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low air efficiently,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blowing section 1 within the building is blown in the blowing direction except for a part of contact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air intake device, forced exhaust device, or air conditioner. The blowing section is set to reach within the blowing section 10 adjacent to the defined boundary surface 3. 3 and 4 are simplified views illustrating the reach of the air flow of the blowing section 1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respectively.

제3도는 송풍구획(1)의 관류 송풍기(6)의 송풍방향에 대해 송퐁구획(10)의관류 송풍기(6b)의 송풍방향이 직교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구획(l)의 기류(7)의 범위는 송풍구획(1)의 관류 송풍기(6)의 기류(7)가 송풍구획(1)의 송풍방향의 개구된 경계면(3)에 인접하는 송풍구획(10)의 기류에 쉽게 유인되도록 그 송풍구획(1)의 기류(7)가 송풍구획(10)내로 도달하도록 한다. 또한, 관류 송풍기(6)로부터 기류(7)의 도달길이(ALl)의 5%이상의 기류의 범위(AL2)가 송풍구획(10)과 간섭하도록 하면 기류(7)가 보다 쉽게 유인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3 shows a case wher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6b of the songpon section 10 is orthogonal to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6 of the blowing section 1, in this case, the blowing section l. The range of the airflow 7 in the airflow section 10 is such that the airflow 7 of the permeation blower 6 of the blowing section 1 is adjacent to the open boundary 3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1. The airflow 7 of the blowing section 1 reaches into the blowing section 10 so as to be easily attracted to the blowing section 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air flow 7 to be attracted more easily if the range AL2 of the air flow of 5% or more of the reach length ALl of the airflow blower 6 from the permeation blower 6 interferes with the air blowing compartment 10. .

제4도는 송풍구획(1)의 관류 송풍기(6)의 송풍방향과 송풍구획(10)의 관류 송풍기(6b)의 송풍방향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구획(1)의 기류(7)의 범위는 송풍구획(1)의 관류 송풍기(6)의 기류(7)가 송풍구획(10)의 기류에 유인되어 순차적으로 반송되기 쉽도록 송풍구역(1)의 기류(7)가 송풍구획(10)의 관류 송풍기(6b)에 도달하도록 한다. 또한, 관류 송풍기(6)로부터의 기류(7) 도달길이(AL1)의 5%이상의 기류 범위(AL2)가 관류 송풍기(6b)의 기류와 간섭하도록 하면 기류(7)가 보다 순차적으로 반송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4 shows a case wher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6 of the blowing section 1 and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6b of the blowing section 10 are the same, and in this case, the airflow of the blowing section 1 The range of 7) is that the air flow 7 of the blowing section 1 is blown so that the air flow 7 of the permeation blower 6 of the blowing section 1 is attracted to the air flow of the blowing section 10 so that it can be conveyed sequentially. Reach the perfusion blower 6b of the compartment 10. In addition, when the airflow range AL2 of 5% or more of the airflow 7 reaching length AL1 from the perfusion blower 6 interferes with the airflow of the perfusion blower 6b, the airflow 7 tends to be conveyed more sequentially. It is preferable because of that.

이어서,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사용하는 관류 송풍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사용하는 관류 송풍기는 특별히 형식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의 송풍구획의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송풍할 수 있고 경량이며 또한 박형의 것이 송풍효율이나 부착성에서 바람직하다.Next, the perfusion blower used for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lthough the type of perfusion blower used in the ductless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lower blower can be blown over a wide rang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er compart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Do.

제5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사용하는 관류 송풍기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한 관류 송풍기(101)는 송풍기를 구성하는 구동장치(103), 임팰러(104) 및 제어장치(105) 등과 같은 주요부품이 알루미늄 압출성형의 케이싱(102)에 일체적으로 편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케이싱(102)에는 공기흡입구(106), 기류배출구(107) 및 부착흠이 설치되어 있고, 관류 송풍기(101)는 그 부착흠에 끼워지는 부착 금구 등에 의해 천정면(9)이나 벽면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관류 송풍기(101)는 소요에 따라 브로가이드(108,109)를 상기 부착흠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기류의 배출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관류 송풍기(101)는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대(臺) 연결할 수도 있고, 그 연결은 그 케이싱(102)의 길이방향 단부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케이싱(102) 끼리를 결합하고, 소요에 따라 임겔러(104)끼리도 결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5 shows an embodiment of a perfusion blower for use in the ductless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llustrated perfusion blower 101 includes a drive device 103, an impeller 104, and a control device constituting the blower. The main parts such as 105 are integrally incorporated in the casing 102 of aluminum extrusion. The casing 102 is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port 106, an airflow outlet 107, and a mounting flaw. The perfusion blower 101 is mounted on a ceiling surface 9, a wall surface, or the like by an attachment bracket fitted to the attachment flaw. I can attach it. In addition, the perfusion blower 101 may arbitrarily chang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flow by attaching the broguides 108 and 109 to the attachment defects as necessary. Further, the flow-through blower 101 may be connected in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connection is performed by coupling the casings 102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cover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asing 102 is removed. Therefore, the impeller 104 can also be combined easily.

이러한 관류 송풍기(101)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경량이며 또한 기류배출구(107)가 송풍구획의 폭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폭 방향이 넓은 범위로 대략 근일하게 송풍할 수 있고, 또한 구동장치(103)가 저전력이더라도 많은 풍량을 송풍할 수 있기 때문에 러닝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더구나 케이싱(102)내에 주요부품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또한 임팰러(104)의 사용에 의해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단면적이 적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에의해, 부착자유도가 높고 천정면이나 벽면 등에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착작업을 대단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적합하다.Such a perfusion blower 101 is lightweight as described above, and since the air flow outlet 107 is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it is possible to blow substantially uniformly in a wide range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riving device 103 has a low power. Even in this case, since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blown, the running cost can be reduced, and further, main parts are integrated in the casing 102,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is reduced by the use of the impeller 104. It is suitable for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of attachment, can be freely installed on a ceiling surface, a wall surface and the like, and can greatly facilitate the attachment work.

이어서, 본 발명에서 송풍구획에 발생시키는 기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는 고르지 못한 송풍을 억제하고 또한 송풍효율을 좋게 한다는 관점에서 관류 송풍기의 기류배출구로부터 한 번에 송풍구획내의 넓은 범위로 기류를 발생시켜 기류가 송풍구획의 폭 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고, 그리고 기류의 장해가 되는 사물이 없는 송풍구획에서는 송풍구획이 넓은 범위로 기류를 송풍하여 공기가 괴지 않도록 하고 또한 주차장 내의 주차 등과 같이 기류의 장해가 되는 사물이 있는 송풍구획에서는 그것에 의해 기류가 차단되어 버리는 일이 없도록 벽이나 사물과의 간격부분 등에 기류를 송풍하도록 한다.Next, the airflow generated in the blowing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flow is generated in a wide range within the blowing section at a time from the airflow outlet of the perfusion blower in terms of suppressing uneven blowing and improving the blowing efficiency. In the air blowing section, there are no objects that obstruct the airflow. In the air blowing section, the air blowing section blows air in a wide range so that the air does not get stuck.In the air blowing section where there are objects that impede the airflow, such as parking in the parking lot. The airflow is blown to the wall or the gap with the object so that the airflow is not blocked by the airflow.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송풍구획에 설치하는 하나의 관류 송풍기의 기류 배출구의 폭(W1)(제1도 참조) 또는 서로 동일 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관류 송풍기의 기류 배출구의 폭의 합계(W1)가 그 송풍구획의 폭(W0)의 15%이상이고 또한 75%이하의 길이가 되도록 관류 송풍기를 설치한다. W1의 길이가 15% 미만에서는 송풍구획의 폭 방향의 고르지 못한 송풍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75%를 초과하면 관류 송풍기의 전장이 길어지기 때문에 송풍구획에의 설치하기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W1의 길이를 W0의 20%이상이고 또한 50%이하인 범위내로 하면,송풍구획내의 공기의 교반 및 교체를 하기에 충분한 송풍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비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W1 (see FIG. 1) of the airflow outlet of one perfusion blower provided in the blowing section, or the sum W1 of the widths of the airflow outlets of the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blowing in the same direction A perfusion blower is installed to be 15% or more of the width (W0) of the blowing section and 75% or less in length. If the length of W1 is less than 15%, uneven b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is easy to occur, and if it exceeds 75%,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the blowing section because the total length of the perfusion blower is increased. Because. In addition, if the length of W1 is within the range of 20% or more and 50% or less of W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airflow amount for agitating and replacing the air in the air blowing compartment,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It may be easy.

본 발명에서 W1의 길이는 송풍구획의 폭(WO)을 기준으로 하여 송풍구획내에 기류의 장해가 되는 사물이 없는 경우를 상정하여 우선 설정되고, 장해물이 있을 수 있는 경우에 적절하게 변경한다. 또한, 송풍구획에 설정하는 관류 송풍기의 대수는 한대라도 여러 대라도 괜찮고 송풍구획의 폭(WO)이나 장해물의 유무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정하고,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송풍하여 고르지 못한 송풍의 발생을 억제하고 송풍구획내의 공기의 교반이나 공기의 교체, 그리고 공기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W1 is first set on the basis of the width (WO) of the blowing sec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no obstacles to airflow in the blowing section, and is appropriately changed when there may be an obstacle. In addition, the number of perfusion blowers to be set in the blowing section may be any number,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lowing section (WO)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stacles, and may be blow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even blow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d stir the air in the blowing section, replace the air, and return the air efficiently.

이어서, 본 발명에서 송풍구획에 설치하는 관류 송풍기의 부착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구획의 폭 방향의 부착위치에 대해서는 송풍구획내에 기류의 흐름의 장해가 되는 사물이 없는 경우는 관류 송풍기의 기류배출부의 폭 방향의 중심을 송풍구획의 폭 방향의 중심과 일치시켜 설치하면, 발생한 기류를 거의 균일하게 흘릴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장해가 되는 사물이 있는 겅우는 기류를 흘리기 쉬운 위치에 적절하게 좌우로 비키어 놓거나 혹은 동일한 방향으로 분산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Nex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erfusion blower provided in a blowing compartment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hen there is no object that impedes the flow of airflow in the blowing compartmen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lowing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generated by matching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flow outlet of the perfusion blower with the center of the blowing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air flow can flow almost uniformly. In case of obstacles, the airflow can be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it is easy to shed, or can be distributed in the same direction.

이어서, 상기한 송풍구획내에 기류의 장해가 되는 사물이 있는 경우의 송풍구획의 폭 방향 관류 송풍기의 부착위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기류의 장해가 되는 사물이 있는 건물로서 주차장을 예로 든다.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송풍구획(1)내에 차량(C1, C2)을 주차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핑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하는 송풍구획(1)의 종단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대의 차량(C1, C2)의 간격부가 송풍구획(1)의 폭 방향의 거의 중앙이 되는 경우에는 그 간격부에 기류(7)를 송풍할 수 있으므로, 관류 송풍기(6)의 기류배출부의 폭 방향의 중심을 송풍구획(1)의 폭 방향의 중심에 일치시켜 관류 송풍기(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width direction perfusion blower of a blowing compartment in the case where there exists an object which becomes an obstacle of an airflow in the above blowing sec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For example, a parking lot is taken as an example of a building with objects that impede airflow. FIG. 6 is a ping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vehicles C1 and C2 are parked in the blowing section 1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lowing section 1 shown in FIG. . As shown in FIG. 6, when the space | interval part of two vehicles C1 and C2 becomes substantially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compartment 1, the airflow 7 can be blown in the space | interval part, so perfus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perfusion blower 6 by making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flow discharge part of the blower 6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er compartment 1.

제8도는 폭 방향으로 주차하는 차량을 세대로 한 송풍구획(11)을 나타낸다. 이경우에는 세대의 차량(C3, C4, C5)의 간격부는 두 곳이 되므로 두 개의 관류 송풍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간시켜 설치할 수도 있으나, 경제성으로부터 하나의 관류 송풍기를 설치하더라도 송풍구획(11)에 설치되는 관류 송풍기의 기류 배출구 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획의 폭(W0)의 l5%이상이며 75%이하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두 곳의 간격부에 기류를 송풍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관류 송풍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관류 송풍기(16)의 기류 배출부의 폭 방향 중심을 송풍구획(11)의 폭 방향 중심에 일치시켜 관류 송풍기(1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8 shows the blowing section 11 based on a vehicle park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spacing of the vehicle C3, C4, C5 of the generation is two places, two perfusion blowers may be spaced apart in the same direction, but even if one perfusion blower is installed from the economy, it is installed in the blow section 11 Since the airflow outlet width of the perfusion blower is greater than l5% and less than 75% of the width W0 of the compartment as described above, the airflow can be blown between the two spaces. In the case of providing one such perfusion blow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perfusion blower 16 by matching the widthwise center of the airflow discharge portion of the perfusion blower 16 with the widthwise center of the blowing compartment 11.

제9도는 종 방향으로 주차하는 차량을 네 대로 한 송풍구획(21)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벽면으로 구성되는 경계면(23)과 차량(C6, C7, C8, C9)의 간격부에 기류를 송풍하면 송풍구획(21)내에서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관류 송풍기(26)의 폭 방향의 부착위치를 경계면(23)측으로 바싹 대어 관류 송풍기(26)를 설치한다.9 shows the blowing section 21 with four vehicles par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if airflow is blown between the boundary surface 23 formed of the wall surface and the vehicle C6, C7, C8, C9, the airflow can be efficiently blown in the blowing section 21, so that the width of the perfusion blower 26 is reduced. A perfusion blower 26 is provided by closely attaching the attachment posi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oundary surface 23 side.

이와 같이, 관류 송풍기의 폭 방향의 부착위치로서는 송풍구획내에 기류의 창해가 되는 사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장해가 되는 사물에 차단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송풍구획내에서 송풍할 수 있는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한다.In this way, as an attachment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rmeation blower, when there is an object which becomes a window airflow in the blowing section, a position that can efficiently blow in the blowing sec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object. .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송풍구획에 설치하는 관류 송풍기의 송풍구획의 종방향의 부착위치에 대해서는 공기의 반송 및 교반효율과 개구되어 있는 경계면에 인접하는 송풍구획으로 기류 도달하는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하는 송풍구획(1)에 있어서 송풍방향과 반대측 경계면(5)이 전면적으로 막힌 벽면에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경계면(5)을 형성하는 벽면에 관류 송풍기(6)를 부착하여, 기류가 송풍구획의 종방향의 긴 범위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면(5)이 부분적 혹은 전면적으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개구로부터 외부공기나 공기조화된 공기, 혹은 인접하는 송풍구획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쉽게 흡기하는 위치에 관류 송풍기(6)를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공기를 반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attachment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provided in the blowing section, the airflow and agitation efficiency and the range of airflow reaching the blowing section adjacent to the open boundary are appropriately considered. Choose. For example, in the blowing section 1 shown in FIG. 1, when the boundary surface 5 opposite to the blowing direction is formed on the wall blocked entirely, the perfusion blower 6 i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boundary surfac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flow is blown in a long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In the case where the boundary surface 5 is partially or entirely open, the perfusion blower 6 is provided at a position to easily intake external air, air-conditioned air, or air blown from an adjacent blowing sec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convey air efficiently.

본 발명에서 송풍구획에 설치하는 관류 송풍기의 부착높이(Hl)(제1도 참조)에 대해서는 공기의 반송 및 교반효울이라는 점에서 통상은 건물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높이로 하지만, 송풍목적이나 송풍구획의 형태에 맞춰 부착높이를 낮추는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단식 주차장과 같이 기류의 장해가 되는 상하 이단 차량의 중간위치에 해당하는 높이에 관류 송풍기를 설치하면 기류의 반송 및 교반 효율이 좋아지는 경우에는 그 상하 차량의 중간위치에 해당하는 높이에 관류 송풍기를 설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height Hl (see FIG. 1) of the perfusion blower installed in the blowing section is generally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in terms of air conveyance and stirring effect.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appropriately, such as lowering the attachment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ompartment. For example, if a permeation blower is installed at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sition of the up-and-down two-stage vehicle, such as a two-stage parking lot, when the efficiency of conveying and agitating the airflow is improved, Install a perfusion blower.

본 발명에서의 송풍구획내의 풍속은 송풍목적이나 송풍구획의 설정위치에 맞춰 적절하게 설정한다. 예를 들면 주로 공기조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쾌적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송풍구획내의 평균풍속을 0.2m∼l0m정도로 한다. 또한 주로 환기를 행하는 경우는 송풍구획의 내부 공기의 교체횟수를 늘리도록 송풍구획내의 평균풍속을 0.2m∼1.5m정도로 한다. 또한, 그 풍속은 예를 들면 통로나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과 같이 기류의 방해가 되는 사물이 적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기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풍속구획에서는 기류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주변의 송풍구획으로부티의 기류를 쉽게 흡입하는 등, 건물내부의 형태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wind speed in the blowing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blowing and the setting position of the blowing s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inly air conditioning, the average wind speed in the blowing section is set to about 0.2 m to 10 m so as to maintain comfort. In addition, in the case of mainly ventilating, the average wind speed in the blowing section is about 0.2m to 1.5m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replacement of the air inside the blowing section. In addition, since the wind speed is such that there are few objects that obstruct the airflow, such as the air flow passage set in the passage and the lane, in the air flow passage that can continuously flow the air flow, the air flow velocity is increased to the surrounding air flow passage. It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o easily inhale airflow.

본 발명에서의 관류 송풍기의 배출각도(θ1)(제1도 참조)는, 송풍구획내에서 공기의 교반과 반송을 동시에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관류 송풍기의 배출각도(θ1)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하여 송풍하는 기류의 중심선이 수평방향에 대해 하향 0°∼90。의 각도범위내에서 바람직하게는 하향 5°∼60。의 각도벋위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 5°∼60。각도 범위외에서는 공기의 교반과 반송을 동시에 또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The discharge angle (theta) 1 (refer FIG. 1) of a perfusion blower in this invention is set so that agitation and conveyance of air can be simultaneously and efficiently performed in a blower compartment.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angle of the airflow blown with the discharge angle θ1 of the perfusion blower at an oblique downward direction is preferably within an angle of 5 ° to 60 ° downward in the angle range of 0 ° to 90 °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Set to be within the range. It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stirring and conveyance of air simultaneously and efficiently outside this angle range of 5 degrees-60 degrees.

또한, 관류 송풍기의 배출각도(θ1)는 관류 송풍기의 부착높이(Hl)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한다. 예를 들면 H1이 3.0m인 경우에는 배출각도(θ1)를 하향 10°∼30°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기체의 반송 및 교반 효과와 설치하는 관류 송풍기의 대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angle (theta) 1 of a perfusion blower is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height H1 of a perfusion blower. For example, when H1 is 3.0 m, it is preferable to set discharge angle (theta) 1 to the angle of 10 degrees-30 degrees downward from a viewpoint of a gas conveyance and stirring effect, and the number of perfusion blowers installed.

이러한 관류 송풍기의 배출각도(θ1)의 조절은 관류 송풍기 그 자체의 설정각도 또는 브로가이드의 부착각도 조절, 혹은 그들 조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관류 송풍기 그 자체나 브로가이드의 각도를 모터 등을 가지는 구동장치에 의한 가변식으로 하여, 냉난방의 절환시 등에 소요에 따라 배출각도를 수시로 빈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adjustment of the discharge angle θ1 of the perfusion blower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set angle of the perfusion blower itself or the attachment angle of the broguid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perfusion blower itself or the broguide can be changed by a drive device having a motor or the like, so that the discharge angle can be chang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need when 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이어서,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한 건물내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건물내에 설치할 때의 일실시형태로서 주차장내의 공기 환기를 위해 본 발명의 송풍구획을 복수개 조합하여 주차장내에 설치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제10도에 도시하는 주차장(41)에 설치된 환기 시스템은 외부공기 흡기장치(43)와 강제배기장치(44)와 각각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5,46,47), 송풍구획(48,49) 및 송풍구획(50)과, 각각 차실에 설정한 송풍구획(51,52,53,54,55,56,57,58,59), 송풍구획(60,61,62,63,64,65,66,67,68) 및 송풍구획(69)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5,46,47), 송풍구획(48,49) 및 송풍구획(50)과, 각각 차실에 설정한 송풍구획(51,52,53,54,55,56,57,58,59), 송풍구획(60,61,62,63,64,65,66,67,68) 및 송풍구휙(69)이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렘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송풍구획(68)은 그 영역내에 차실 뿐 아니라 차로도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그곳으르부터의 기류가 송풍구획(50)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Next, the flow of air in the building in which the ductless ventilation system of this invention was installed is demonstrated.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lower compart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ir ventilation in the parking lot. The ventil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41 shown in FIG. 10 is provided with the outside air intake apparatus 43 and the forced exhaust apparatus 44, and the air blowing sections 45, 46, 47 set in the lanes, and the air blowing sections 48, 49) and air blowing compartments 50, the air blowing compartments 51, 52, 53, 54, 55, 56, 57, 58, 59, and the air blowing compartments 60, 61, 62, 63, 64, 65, 66, 67, 68, and a blowing section 69, wherein blowing sections 45, 46, 47, blowing sections 48, 49, and blowing sections 50 are set in the lanes, respectively. Air blowing compartments (51,52,53,54,55,56,57,58,59), air blowing compartments (60,61,62,63,64,65,66,67,68) The ventilation openings 69 constitute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blowing section 68 is set to include not only a vehicle but also a lane in the area so that the airflow therefrom reaches the blowing section 50.

이 환기시스템에서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5,46,47), 송풍구획(48,49) 및 송풍구획(50)과, 차실에 설정함과 동시에 차로도 포함한 송풍구획(68)에 발생시키는기류는 차실에 설정된 송풍구획(51,52,53,54,55,56,57,58,59), 송풍구획(60,61,62,63,64,65,66,67) 및 송풍구획(69)로부터 배출된 기류를 쉽게 유인하도록 유속을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ntilation section 45, 46, 47, the blowing section 48, 49, and the blowing section 50 set in the lane in this ventilation system, and the blowing section 68 set in the vehicle compartment and also including the lane Air flow is set in the air blowing section (51, 52, 53, 54, 55, 56, 57, 58, 59), blowing section (60, 61, 62, 63, 64, 65, 66, 67) and blowing section ( It is desirable to speed up the flow rate so as to easily attract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air.

제10도에 도시하는 주차장(41) 내에서의 기류의 흐름을 설명하면, 차량출입구(42) 및 외부공기 흡기장치(43)로부터 주차장(41)내로 도입된 외부공기(70,7l)는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5,48)의 관류 송풍기에 의해 강제배기장치(44)측으로 송풍된다.Referring to the flow of airflow in the parking lot 41 shown in FIG. 10, the outside air 70, 7l introduced into the parking lot 41 from the vehicle entrance 42 and the outside air intake apparatus 43 is driven by a car. It blows to the forced exhaust apparatus 44 side by the perfusion blower of the blowing compartments 45 and 48 set at.

그리고 상기 송풍구획(45)에 의해 제10도에서는 우반부의 범위로 도입된 외부공기(70)는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5,46,47)에 의해 반송되면서 차실에 설정한 각 송풍구획(51,52,53,54,55,56,57,58,59)내에서 배기가스를 많이 함유하는 공기와 교반된 후, 다시 차로측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기류는 송풍구획(45, 46,47)의 기류로 유인되고 강제배기장치(44)측으로 송풍되어, 그 강제배기장치(4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in the air blowing compartment 45, the outside air 70 introduced into the right half portion in FIG. 10 is conveyed by the blowing compartments 45, 46, 47 set in the lane, and each blowing compartment set in the vehicle compartment ( 51, 52, 53, 54, 55, 56, 57, 58, and 59 are agitated with a lot of exhaust gas, and then discharged to the lane side again. The discharged airflow is attracted to the airflow of the blowing section 45, 46, 47, blown to the forced exhaust device 44,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orced exhaust device 44.

마찬가지로, 상기 송풍구획(48)에 의해 제10도에서는 좌반부의 범위로 도입된외부공기(71)는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8,49)에 의해 반송되면서 차실에 설정한 각 송풍구획(60,61,62,63,64,65,66,67)내로 공급되고 교반되어 다시 차로측으로 배출된다. 차로측으로 배출된 기류는 송풍구획(48,49)의 기류에 유인되어, 차실에 설정함과 동시에 차로도 포함한 송풍구획(68)측으로 송풍된다.Similarly, the outside air 71 introduced into the range of the left half portion in FIG. 10 by the blowing section 48 is conveyed by the blowing sections 48 and 49 set in the lane while being set in each blowing section ( 60, 61, 62, 63, 64, 65, 66, 67, and stirred and discharged back to the lane. The airflow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lane is attracted to the airflow of the blowing section 48 and 49, and is set in the vehicle compartment and blown to the blowing section 68 including the lane.

송풍구획(68)측으로 송풍된 기류는 그 송풍구획(68) 및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50)으로 유인되고 차로에 설정한 송풍구획(47)측으로 송풍되어 그 송풍구획(47)에 의해 강제배기장치(44)측으로 송풍되고, 강제배기장치(4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송풍구획(69)은 송풍구획(68,50)측으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고, 그것을 강제배기장치(44)측으로 송풍한다.The airflow blown to the blowing section 68 side is attracted to the blowing section 68 and the blowing section 50 set in the lane, and is blown to the blowing section 47 set in the lane and forced by the blowing section 47. It blows to the exhaust apparatus 44 side, and is discharged | emitted to the exterior by the forced exhaust apparatus 44. FIG. The blowing section 69 introduces air from the blowing section 68, 50 side, and blows it to the forced exhaust device 44 side.

주차장의 환기용으로 송풍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주차장내로 도입한 외부공기와, 주차장내의 배기가스를 많이 함유한 공기를 효울적으로 환기 교반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송풍구획에 발생시킨 기류가 한 번에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거의 균일하게 송풍되고, 또한 다른 송풍구획과의 사이에서 주고 받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의하면 주차장(41)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교반하고 송풍하여 환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ventilation system for the ventilation of the parking lot, it is required to efficiently ventilate and efficiently discharge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parking lot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xhaust gas in the parking lot and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efficiently.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flow generated in each blowing section is blown almost uniformly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at one time, and is exchanged with other blowing sectio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 the parking lot 41 can be efficiently stirred, blown and ventilated.

또한,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건물의 형태나 강제배기장치 등의 위치에 맞추어 적절하게 송풍구획을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주차장의 환기설비에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추가하여 주차장의 환기시스템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can install and install a blowing section suitably according to the form of a building, the position of a forced exhaust apparatus, etc. In addition,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arking lot can be reconfigured by adding the ductless air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ventilation facility of the existing parking lot.

제11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건물내에 설치할 때의 다른 일실시형태로서 공기조화의 효율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송풍구획을 복수개 조합하여 홀 또는 공장 등의 건물(81)내에 설치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제10도에 도시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기조화기(82,83,84) 및 (85)와 송풍구획(86,87,88,89,90,91,92,9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송풍구획(86,87,88,89,90,91,92,93)이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FIG. 11 i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uctless air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n order to improve air conditioning, a plurality of air blowing compart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and installed in a building 81 such as a hall or a factory. The state is shown in plan view. The air conditioning system shown in FIG. 10 is constituted by air conditioners 82, 83, 84 and 85, and air blowing compartments 86, 87, 88, 89, 90, 91, 92 and 93. The blowing sections 86,87,88,89,90,91,92,93 constitute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건물(81)내에서 각 송풍구획을 넓게 설정할 목적으로 송풍구획(86,87,88,89,90,91)의 각각에, 같은 방향의 3대의 관류 송풍기를 서로 이간시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건물(81)내에서 기류를 순환시킬 목적으로 송풍구획의 방향 나아가서는 관류 송풍기의 방향을 상기 송풍구획(86,87,88,89,90,91)에 대해 횡 방향으로 향한 두 개의 송풍구획(92,93)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송풍구획(92,93)에 발생시키는 기류는 송풍구획(86,87,88) 및 송풍구획(89,90,91)의 기류를 쉽게 유인하도록 유속을 약간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의 기류의 속도는 쾌적감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ree through-flow blowers of the same direction are provided to each of the blowing sections 86,87,88,89,90,91 for the purpose of setting each blowing section wide in the building 81. It is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for the purpose of circulating the air flow in the building 81, and the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is transverse to the blowing section (86,87,88,89,90,91). Two blowing sections 92 and 93 facing in the direction are set. In addition,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blowing sections 92 and 93 is preferably slightly increased in flow velocity so as to easily attract the air flows in the blowing sections 86, 87 and 88 and the blowing sections 89, 90 and 91.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ed of the airflow in this case is made high so as not to impair comfort.

제11도에 보이는 건물(81) 내에서의 기류의 흐름을 설명하면, 공기조화기(82,83)로부터 발생한 공기조화 공기는 송풍구획(86)의 관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고, 송풍구획(86,87,88)을 순차적 으로 거쳐 송풍구획(92)으로 반송된다. 송풍구획(92)은 송풍구획(89)측으로 송풍된다. 마찬가지로, 공기조화기(걱,85)에서 발생한 공기조화 공기는 송풍구획(89)의 관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고, 송풍구획(89,90,91)을 순차적으로 거처 송풍구획(93)으로 송풍된다. 송풍구획(93)은 송풍구획(86)측으로 송풍된다. 이 때문에 공기조화기(82,83) 및 공기조화기(읽,85)에서 발생한 공기조화 공기는 건물(81)내를 순환하여 넓은 범위로 송풍된다.Referring to the flow of airflow in the building 81 shown in FIG. 11,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s 82 and 83 is blown by the perfusion blower of the blowing section 86, and the blowing section 86 And 87,88 are sequentially conveyed to the blowing section 92. The blowing section 92 is blown to the blowing section 89 side. Similarly,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by the air conditioner (spoiler) 85 is blown by the perfusion blower of the blowing section 89, and is blown through the blowing sections 89, 90, and 91 sequentially to the blowing section 93. . The blowing section 93 is blown to the blowing section 86 side. For this reason,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by the air conditioners 82 and 83 and the air conditioners (read and 85) is circulated in the building 81 and blown to a wide range.

건물내의 공기조화의 흐율화를 목적으로 하여 송풍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조화기로부터 발생한 공기조화 공기를 건물내의 공기와 효율적으로 교반하면서 건물내 전체에 또는 소요로 하는 부분으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송풍구획에 발생시킨 기류가 한 번에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거의 균일하게 송풍되고, 또한 다른 송풍구획과의 사이에서 주고 받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의하면 건물(81)내의 공기를 교반하면서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blow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ing in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convey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to the whole building or to the required part while stirring efficiently with the air in the building. Although required,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flow generated in each blowing section is blown almost uniformly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at once, and is exchanged with other blowing sectio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is invention, it can convey efficiently, stirring the air in the building 81. FIG.

또한,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건믈의 형태나 공기조화기 등의 설치위치에 맞추어, 예를 들면 하나의 벽면만에 인접하여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일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송풍구획을 설정하고, 대향하는 두 개의 벽면에 각각 인접하여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류가 대향하도록 송풍구획을 설정하는 등,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송풍구획을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공기조화 설비에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추가하여 건물의 공기조학시스템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uctless ventilation system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form of a gun, an air conditioner, etc.,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adjacent to only one wall surfa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tting the blowing section to blow in one direction, and i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f the two opposing walls, the blowing section is set so that the blowing section can be efficiently blown. You can set up and install it.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building can be reconfigured by adding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이어서,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송풍제어장치를 추가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하는 송풍제어장치는 타이머식 등, 송풍목적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추가하는 송풍제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송풍제어장치(201)는 건물내를 치밀하게 제어하여 송풍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는 송풍구획이(211, 212, 213)의 3개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송풍제어장치(2l0)는 제어반(202) 및 센서(221,222,2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Next, the control method in the case of adding a blowing control apparatus to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blowing control apparatus to be adde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blowing purpose, such as a timer type. FIG. 12 shows an embodiment of the blowing control device added to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 control device 201 shown in FIG. 12 can be used in the case where the inside of a building is tightly controlled and blown. Here, three cases of blow sections 211, 212 and 213 are shown. The blowing control apparatus 210 is comprised by the control panel 202 and the sensors 221,222,223.

센서(221,222,223)은 각 송풍구획 또는 검지위치로서 적절한 송풍구획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도시예에서는 송풍구획(211,212) 및 (213)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202)은 환기목적의 경우는 오염가스 농도, 공기조화인 경우는 온도 등, 건물내의 환경설정을 행하는 설정기(203)와, 센서(221,222,223)로부터 신호를 받는 걷출기(204)와, 설정기(203) 및 검출기(204)의 출력치로부터 제어치를 산출하여 송풍량(관류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관류 송풍기 그 자체나 그 브로가이드가 구동장치에 의한 각도가변식인 경우, 컨트롤러(205)는 관류 송풍기 그 자체나 브로가이드의 각도도 제어한다.The sensors 221, 222, and 223 are provided at the appropriate blowing sections as the blowing sections or detection positions, and are installed in the blowing sections 211, 212, and 213,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trol panel 202 includes a setter 203 for setting the environment in the building, such as a pollutant gas concentration for ventilation purposes, and a temperature for air conditioning, and an extractor 204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sensors 221, 222, and 223; It is comprised by the controller 205 which calculates a control valu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setter 203 and the detector 204, and controls the air flow amount (the impeller rotation speed of a perfusion blower). When the perfusion blower itself or its broguide is angularly variable by the drive device, the controller 205 also controls the angle of the perfusion blower itself or the broguide.

검출기(204)는 센서(221,222,223)로부터의 송풍구획의 오염농도 또는 온도등을 도시하는 신호를 받아 환경치를 출력한다. 컨트롤러(205)는 그 환경치와 설정치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근거하여 각 송풍구획의 관류 송풍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각 송풍구획(2l1,212,213)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The detector 204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e pollution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of the blowing section from the sensors 221, 222, and 223 and outputs an environmental value. The controller 205 compares the environmental value and the set valu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erfusion blower of each blowing section based on the difference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blowing section 211, 212, 213.

이러한 송풍제어장치를 본 발명의 덕트레스 송풍 시스템에 이용하면, 송풍구획마다 세세히 송풍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특정의 송풍구획에서 집중적으로 송풍하는 등, 건물내의 송풍상태를 세세한 부분까지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양호한 효율로 송풍할 수 있다.When such a blow control device is used in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blowing can be controlled for each blowing section, and thus, the blowing state in the building can be controlled to a specific part, such as intensive blowing at a specific blowing section. Blowing can be performed with better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 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y the specific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예 1은, 공기조화기만을 이용하여 공기조화를 하고 있는 공장의 건물내에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하여 은도변화의 측정을 행한 것이고, 제13도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한 상기 공장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비교예는 공기조화기만을 이용하여 공기조화를 행하는 경우로 하고, 실시예의 송풍기를 정지시켜 측정을 한 것이다.In Example 1 described below, the ductless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of a factory where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using only an air conditioner, and the change of the silver gradient is measured. FIG. 13 shows the ductl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inside of the said factory which installed the ventilation system. In the comparative example,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using only the air conditioner, and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by stopping the blower of the example.

설치장소, 사용기기, 설치조건, 온도조건의 각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The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equipment used, installation conditions, and temperature conditions are shown below.

(1)설치장소(1) Installation place

·바닥면적 1750m2(길이 50m×폭 35m)×바닥면에서 천정면까지의 높이 4.0m의 공장(제13도에서는 참조부호(301)로 표시함)내Floor area 1750m 2 (length 50m x width 35m) x factory height 4.0m from floor to ceiling surfac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01 in Fig. 13)

(2)사용기기(2) Equipment used

①공기조화기① Air Conditioner

·실내기 RP-l5HL3형(히다치제작소(주)제) 4대(제13도에서는 참조부호 311,312,313,314로 표시함)4 indoor RP-l5HL3 types (manufactured by Hitachi Co., Ltd.)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311, 312, 313, 314 in FIG. 13)

·실외기 RCR-15HL3형(히다치제작소(주)제) 4대(제13도에서는 도시하지않음)4 outdoor units RCR-15HL3 (made by Hitachi Co., Ltd.) (not shown in Fig. 13)

·공기조화능력Air conditioning capacity

·난방 최대 40,000kca1/h(1대)×4대 = 160,000kcal/hHeating up to 40,000kca1 / h (1 unit) × 4 units = 160,000kcal / h

·냉방 최대 31,500kca1/h(1대)×4대 = 126,000kca/hCooling up to 31,500kca1 / h (1 unit) × 4 units = 126,000kca / h

②관류 송풍기 LFSS-4형(닛신방적(주)제) 16대(제13도에서는 참조부호Fl, F2,F3, F4, F5, F6, F7, F8, F9, Fl0, Fl1, F12, F13, F14, F15, F16으로 나타냄)(2) 16 LFSS-4 type perfusion blowers (manufactured by Nisshin Spinning Co., Ltd.) (Fig. 13, reference numerals Fl, F2, F3, F4, F5, F6, F7, F8, F9, Fl0, Fl1, F12, F13). , Represented by F14, F15, F16)

·크기(송풍기 본체:종×횡×길이) = 160mm×160mm×2530mm(1대)Size (blower body: vertical × horizontal × length) = 160 mm × 160 mm × 2530 mm (1 unit)

·기류배출구의 길이 2210mm(1대)2222mm length (1 unit)

·송풍능력 최대 28㎥/h(1대)Blowing capacity up to 28㎥ / h (1 unit)

(3)설치조건(3) Installation conditions

공기조화기(실내기)는 벽(302)측에 공기조화기(311,312)가설치되고, 또한 벽(304)측에 공기조화기(313,314)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room), air conditioners 311 and 312 are provided on the wall 302 side, and air conditioners 313 and 314 are provided on the wall 304 side.

표 1은, 건물(공장)(301)의 바닥면에서 관류 송풍기 기류배출구의 중심선까지의 높이가 3.0m의 경우의, 관류 송풍기(LFSS-4형)의 송풍특성을 나타내고 있다.Table 1 has shown the blowing characteristic of the perfusion blower (LFSS-4 type | mold) when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factory) 301 to the center line of a perfusion blower airflow outlet is 3.0 m.

기류송풍기 Fl, F2, F3, F4, F5, F6, F7, F8, F9, Fl0, F11, F12, F13, F14,Air blower Fl, F2, F3, F4, F5, F6, F7, F8, F9, Fl0, F11, F12, F13, F14,

F15, F16의 부착높이(바닥면에서 기류배출구(중심선) 위치까지)는 3.0m로 하였다. 또한, 기류배출각도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향 30°(고정)로 하고 있다.The attachment height of F15 and F16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airflow outlet (center line) position) was 3.0 m. In addition, the airflow discharge angle is set downward 30 ° (fix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표 2는 각 송풍구획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Table 2 has shown the structure of each blowing section.

건물(공장)(301)내에는, 송풍구획(321,322,323,324,325,326)가 설정되어 있다. 송풍구획(321,322,323)은, 벽(304)측을 송풍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환언하면 벽 (304)를 향하는 방향을 송풍방향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구획(321)은 공기조화기(311)의 전면에, 또한 송풍구획(322)은 공기조화기(312)의 전면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공기조화기(311)에서 송풍구획(321)의 관류 송풍기 Fl, F2까지(임펠러의 축선위치까지, 이하 동일)의 거리는 3m, 공기조화기(312)에서 송풍구획(322)의 관류 송풍기F3, F4까지의 거리는 6m로 하고 있다.In the building (factory) 301, blowing sections 321, 322, 323, 324, 325 and 326 are set. The blowing sections 321, 322 and 323 have the wall 304 side in the blow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toward the wall 304 is the blowing direction. And the air blowing compartment 321 is set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311, and the air blowing compartment 322 is set i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312, respectively. The distance from the air conditioner 311 to the perfusion blowers Fl and F2 of the blower compartment 321 (up to the axial position of the impeller, hereinafter the same) is 3 m, and the blower blower F3 of the blower compartment 322 from the air conditioner 312. The distance to F4 is 6m.

송풍구획(324,325,326)은, 벽(302)측을 송퐁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환언하면 벽(302)를 향하는 방향을 송풍방향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구획(324)은 공기조화기(313)의 전면에, 또한 송풍구획(325)은 공기조화기(314)의 전면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공기조화기(313)에서 송풍구획(324)의 관류 송풍기 F8, F9까지의 거리는3m, 공기조화기(314)에서 송풍구획(325)의 관류 송풍기 Fl0, F11까지의 거리는 6mThe blowing sections 324, 325 and 326 have the wall 302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ong pong.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toward the wall 302 is made into the blowing direction. And the blowing section 324 is set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313, and the blowing section 325 is set i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314, respectively, The blowing section 324 in the air conditioner 313 is carried out. ), The distance from the air conditioner 314 to the through-flow blowers Fl0 and F11 of the blower section 325 is 6m.

로 하고 있다. 또한, 관류 송풍기 F15, F16은, 송풍보조를 위하여 설치하고 있다.I am doing it. In addition, perfusion blowers F15 and F16 are provided for ventilation assistance.

(4)온도조건(4) Temperature condition

·난방 외부공기온도 : 섭씨10 도Heating outside air temperature: 10 degrees Celsius

설정온도 : 섭씨25 도Set temperature: 25 degrees Celsius

·냉방 외부공기은도 : 섭씨33 도Cooling air outside: 33 degrees Celsius

설정온도 : 섭씨25 도Set temperature: 25 degrees Celsius

온도조건은 실시예, 비교예 모두 동일조건이다.The temperature conditions are the same as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5)측정결과(5) Measurement result

건물내의 온도변화의 측정은, 처음에 공기조화기만을 운전시켜 비교예를 측정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 관류 송풍기를 운전시켜 실시예를 측정하였다. 측정위치는 송풍구획(322)내(벽면(302)에서의 거리 15m, 벽면(303)에서의 거리 11m)의 측정점 P1과, 건물내의 대략 중앙부(벽면(302)에서의 거리 25m, 벽면(303)에서의 거리 l7.5m)의 측정점 P2로 설정하였다 제14도에 난방시의 측정점 P1에서의 측정결과, 제15도에 난방시의 측정점 P2에서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16도에 냉방시의 측정점 P1에서의 측정결과, 제17도에 냉방시의 측정점 P2에서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이들 측정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렘이 공기의 뛰어난 반송·교반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In the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change in a building, a comparative example was measured by first operating only an air conditioner, and the Example was measured by operating a perfusion blow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measurement position is the measurement point P1 in the blowing section 322 (15 m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302 and 11 m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303), and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building (25 m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302, wall surface 303). In Fig. 14, the measurement result at the measurement point P1 during heating is shown in FIG. 14, and the measurement result at the measurement point P2 during heating is shown in FIG. 16 shows measurement results at the measurement point P1 at the time of cooling, and FIG. 17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at the measurement point P2 at the time of cooling. From these measurement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conveying and stirring effect of air.

[실시예 2]Example 2

다음에 서술하는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한 주차장내에서 풍속측정을 행한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설치한 상기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설치장소, 사용기기, 설치조건의 각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Example 2 described next is a wind speed measurement in the parking lot provided with the ductless ventilation system of this invention, and FIG. 18 is a top view of the said parking lot provided with the ductless ventilation system of this invention. The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place, the equipment used, and the installation conditions are shown below.

(6)설치장소(6) Installation place

·바닥면적 7920m2(길ㅇl 90m×폭 88m)×바닥면에서 천정까지의 높이 4.5m의 주차장(제18도에서는 참조부호(401)로 나타낸다)내Floor area 7920m 2 (length 90m x width 88m) x 4.5m height from floor to ceiling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01 in Fig. 18)

(7)사용기기(7) Equipment used

·관류 송풍기 LFSS-4형(닛신방적(주)제) l02대(제18도에서는 막대형상으로 도시하고 있고, 참조부호는 없음)Perfusion blower LFSS-4 type (manufactured by Nisshin Spinning Co., Ltd.) l02 (shown in the shape of a rod in Fig. 18, without reference numerals)

·크기(송풍기 본체 : 종×횡×길이)는, 실시예 l과 동일Size (blower body: length × width × length) is the same as in Example l

(8)설치조건(8) Installation condition

주차장(401)은 벽면(403)측에 외 부공기 흡기 구(406,407,408,409)가 설 치 되어, 벽면(405)측에 강제배기장치(410)가 설치되어 있다. 차로 및 차실에 설치된 송풍구획은, 외부공기흡기구(406,407,408,409)측에서 강제배기장치(4l0)측에 기류를 반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다.In the parking lot 401, the external air intake openings 406, 407, 408, and 409 ar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403, and a forced exhaust device 410 i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405 side. The blowing section provided in the lane and the vehicle compartment is set so as to convey the airflow from the external air intake port 406, 407, 408, 409 side to the forced exhaust device 410 side.

송풍구획은,Blowing air compartment,

·차로의 송풍구획A (관류 송풍기의 풍속(배출구) 5.0m/s) 30구획Blowing section A by car (30m / s of wind speed (outlet) of perfusion blower)

(도 l8중 범위A 내에 위치한다)(Located within range A in Fig. 8)

·차실의 송풍구휙B (관류 송풍기의 풍속(배출구) 3.0m/s) 18구획Ventilation opening 휙 B of vehicle compartment (wind speed (outlet) 3.0m / s) of perfusion blower 18 compartments

(도 18중 범위B 내에 위치한다)(Located within range B in FIG. 18)

·차실의 송풍구획C (관류 송풍기의 풍속(배출구) 3.0m/s) 27구획Ventilation compartment C of the cabin (wind velocity of the perfusion blower (outlet) 3.0m / s) 27 compartments

(도 18중 범위C 내에 위치한다)(Located within range C of FIG. 18)

로 하였다. 그리고, 송풍구획의 관류 송풍기의 부착높이(바닥면에서 배출구It was set as. And, the attachment height of the perfusion blower in the blowing section (outlet at the bottom

(중심선)의 위치까지)는 3.0m으로 하고, 또한 배출각도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향(To the position of the center line) is 3.0m, and the discharge angle i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30。(고정)로 하였다.It was set as 30 degrees (fixed).

표3은, 각 송풍구획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Tabl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each blowing section.

(9)측정 결과(9) Measurement result

풍속의 측정은,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로의 송풍구획A내에 적당히 측정점 P11, P14, P15 및 P18을 설정함과 동시에 차실의 송풍구획B, C내에 적당히 측정점 P12, P13, P16 및 P17을 설정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행하였다.As shown in FIG. 18, the measurement of the wind speed is performed by setting the measuring points P11, P14, P15 and P18 in the blowing section A of the vehicle as appropriate and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measuring points P12, P13, P16 and P17 in the blowing sections B and C of the vehicle compartment. It set and performed in each position.

표 4는, 각 측정점에서의 풍속의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있다.Table 4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wind speed at each measurement point.

이 측정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이, 차로 및 차실에 설치한 송풍구획에 의하여 주차장내의 넓은 범위로 기류를 송풍하여, 공기의 뛰어난반송·교반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ductless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lows airflow in a wide range within the parking lot by the blowing section provided in the lanes and the car compartment, thereby bringing excellent conveying and stirring effect of the air.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류송풍기와 비교하여 넓은 범위에서 기류를 송풍하는 관류 송풍기를 건물내로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에서의 기류가, 그 관류 송풍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다른 하나 또는 서로 동일방향에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 또는 위치하는 그관류 송풍기에서의 기류에 도달하도록 복수개 설치하고 있으므로, 바닥면적이 넓은 건물서도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또한, 건물내에 복수의 송풍구획을 설정하고, 이들 송풍구획에 관류 송풍기를 각각 설치하여, 송풍구획내에서 발생한 기류가 전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송풍되어, 송풍방향의 개구한 경계면에 인접한 다른 송풍구획내로 도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기류를 발생시켜 송풍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through blower that blows airflow in a wider range in comparison with an axial blower in a building or in a plurality of the flow-through blowers that blow in the same direction. Since a plurality of airflow blowers are provided so as to reach the air flows from the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blowers blowed in the same direction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blow efficiently even in a building having a large floor area. A plurality of blowing sections are set, and through-flow blowers are provided in these blowing sections, respectively, and the airflows generated in the blowing sections are blown over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blowing section adjacent to the open boundary in the blowing direction is provided. Since it reaches inside, airflow can be generated and blown more efficiently. .

또한, 송풍구획에 설치되는 관류 송풍기의 기류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 송풍구획의 폭 방향 길이의 15%이상이고 또한 75%이하인 길이로 하면, 관류 송풍기가 이 범위의 전체에서 기류를 송풍하는 것에서, 송풍구획의 폭 방향의 넓은 범위를 개략적으로 균일하게 송풍할 수 있으므로, 송풍이 균일하지 못한 것을 억제하고, 송풍 및 공기의 교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flow outlet of the perfusion blower installed in the blowing section and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is 15% or more and 75% or less, the perfusion blower blows the air flow in the entire range. Since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section can be blown roughly and uniformly, the blowing is not uniform and the blowing and the agitation of the air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또한, 다른 송풍구획내에 도달하는 기류 범위를 관류 송풍기에서의 기류 도달길이의 15%이상으로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반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ir flow range reaching the other blowing section is 15% or more of the air flow reaching length in the permeation blower, the air can be conveyed more efficiently.

상기와 같이, 넓은 바닥면적을 갖는 건물내를 긴 송풍용 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할 수 있으므로, 송풍 시스템의 시공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필요로 하는 송풍기의 폭을 좌우측 벽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하는 송풍기의 대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설비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building having a large floor area can be blown without using a long blower duct,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lower system can be reduced, and the width of the blower required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s. Since the number of blowers to be installed can be shortened and the number of blowers to be installed can be reduced, equipment cost can be reduced.

관류 송풍기를 이용함으로서, 충분한 송풍량을 전력이 절약되는 구동장치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러닝 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By using a perfusion blower, a sufficient blowing amount can be generated by a driving device that saves power, thereby reducing the running cost.

송풍구획에 설치되는 관류 송풍기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요부품이 일체화된 관류 송풍기로 하면, 전체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으므로, 설비비를 경감시킬 수 있다.If the flow-through blower provided in the blowing section is a flow-through blower in which main parts are integrated as shown in Fig. 9, the total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so that the equipment cost can be reduced.

기류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를, 송풍구획의 폭 방향 길이의 15%이상으로, 또한 75%이하의 길이로 하면, 송풍기의 전장(폭 방향 길이)을 짧게 할 수 있어, 송풍기의 구성부품을 한 번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천정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를 가볍고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서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When the widthwise length of the airflow outlet is 15% or more of the widthwise length of the blower section and the length of 75% or less, the overall length (widthwise length) of the blower can be shortened, and the components of the blower are once Since it can be attached to, it can be attached easily to a ceiling etc. In addition, since the blower can be light and thin, it can be easily attached in this respect.

건물내에 복수의 관류 송풍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인해, 송풍 시스템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건물의 형태나 송풍목적에 합당하게 상당히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Since only a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it is easy to install the blower system, so that the blower system can be installed fairly easi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ilding and the purpose of the blower.

또한, 필요로 하는 송풍기의 폭을 좌우측 벽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송풍기의 임팰러의 전장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발생하는 소음을 경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quired width of the blower can be mad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s, the overall length of the impeller of the blower can be shortened, so that noise generated can be reduced.

또한, 송풍제어장치에 의한 송풍제어를 행한 경우에는, 송풍구획마다 송풍을 제어할 수 있고, 특정의 송풍구획에서 집중적으로 송풍하는 등, 건믈내의 송풍을 세세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owing control is performed by the blowing control device, the blowing can be controlled for each blowing section, and the blowing in the gun can be finely controlled, such as intensively blowing in a specific blowing section. have.

다음으로, 송풍 목적별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을 주차장의 환기에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차실에 송풍구획을 설정한 경우에는, 차실의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균일하게 송풍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차상태에 관계없이 차실내를 환기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균일하게 송풍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탁해지는 것을 막고, 배기가스를 포함한 차실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환기하여 차실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Next, the effect by blowing purpose is demonstrated. First, the case where the ductless air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ventilation of a parking lot will be described. When the air blowing compartment is set in the vehicle compartment, the vehicle can be uniformly blow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e cabin regardless. In addition, since the air can be uniformly blow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air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cloudy, and the air in the cabin including exhaust gas can be efficiently ventilated and discharged out of the cabin.

또한, 차로에 송풍구획을 설정한 경우에는,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내로 흡기된 외부공기를 차로를 따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차실의 송풍구획에서 배출된 공기도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owing section is set in the lane, the blowing section can be efficiently blow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outside air taken into the parking lot can be efficiently transported along the lane and discharged from the blowing section of the cabin. The used air can also be efficiently conveyed.

또한,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송풍되므로, 차실의 송풍구획에 외부공기를 쉽게 공급함과 동시에 차실의 송풍구획에서 배출된 공기를 쉽게 유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실의 송풍구획내의 기류와 차로의 송풍구획내의 기류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내 전체를 효율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is blow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the outside air to the blowing compartment of the vehicle compartment and at the same time to attrac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compartment of the vehicle compartment. For this reason, since the balance of the airflow in the blowing compartment of a vehicle compartment and the airflow in the blowing compartment of a lane can be maintained, the whole inside of a parking lot can be ventilated efficiently.

설치된 관류 송풍기는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천정면과 천정부 대들보의 하면과의 사이에 송풍기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 건물의 층 높이를 낮게할 수 있어, 건물의 건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기를 천정면과 천정부 대들보의 하면과의 사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차의 높이가 높은 차량의 통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installed perfusion blower can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blower can be stor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girders, thereby lowering the floor height of the parking lot building. Can reduce construction cost. In addition, since the blower can be stor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girder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assability of the vehicle having a high vehicle height.

천정부 등에 송풍용 덕트를 둘러쌀 필요가 없으므로 신규 혹은 이미 설치된 주차장에서도 송풍 시스템의 설치가 상당히 용이하다.Since there is no need to surround the ventilation duct for the ceiling or the like, the instal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is quite easy even in a newly or already installed parking lot.

홀 또는 공장 등과 같은 넓은 건물내에서 공기조화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한 공기조화공기를, 폭 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건물내의 공기와 교반함과 동시에, 송풍구획간의 기류의 도달에 의하여 기류를 혼합하면서 종방향의 길이범위로 송풍반송할 수 있으므로, 바닥면적이 넓은 건물에서도 효율적으로 공기조화를 행할 수 있다.When used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air conditioning in a large building such as a hall or a factory,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by the air conditioner is stirred with the air in the building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airflow between the blowing sections is reached. The air can be conveyed and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length range while mixing the airflow, so that air conditio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even in a building having a large floor area.

송풍구획의 폭 방향의 넓은 범위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축류식 송풍기와 같이 기류가 스폿식이 되어 집중적으로 바람이 들이치는 일이 없고, 쾌적한 공기조화를 행할 수 있다.Since the air can be blown in a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blowing section, the airflow becomes a spot type like the axial blower, so that the air is not intensively blown, and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can be performed.

또한, 넓은 범위로 송풍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공기조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러닝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by blowing in a wide rang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operating tim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o reduce the running cost.

또한 천정부 등에 송풍용 덕트의 송풍배관을 둘러쌀 필요가 없으므로, 신규 혹은 이미 설치된 건물에서도 송풍 시스템의 설치가 상당히 용이하다. 또한, 송풍구획의 설정이 용이하므로, 건물내의 형태나 공기조화기의 설치위치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송풍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송풍구획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surround the blower pipe of the blower duct for the ceiling or the like, the installation of the blower system is quite easy even in a newly or already installed building. In addition, since the setting of the blowing section is easy,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blowing section so as to efficiently generate the blowing air flow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uilding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conditioner.

Claims (6)

공기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흡입하거나, 공기를 건물내에서 배출하거나, 건물외로 흡입된 동기나 건물내의 공기를 공조하는 외부 장치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리스 시스템은 상기 건물내에 설치된 복수의 관류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관류 송풍기는 상기 복수의 관류 송풍기중의 서로 동일 방향으로 송풍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의 전방이나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관류 송풍기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와는 서로 동일 방향으로 송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관류 송풍기에 도달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의 전방이나 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관류 송풍기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와는 서로 동일 방향으로 송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에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A ductless blower system suitable for inhal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a building, releasing air in a building, or combining it with an inhalation motive or an external device for air conditioning the building. A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provided in the building, wherein the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the air flow from the at least one perfusion blower that blows in the sam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erfusion blowers, the front or side of the at least one perfusion blower The plurality of flow-throughs that reach at least one other flow-through blower that is blow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t least one flow-through blower among the plurality of flow-through blowers, or located in front or side of the at least one flow-through blower. The at least one perfusion blower in the blower Ductless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position to reach the air flow from at least one other perfusion blower for blowing air in one direction. 건물내에 송풍방향에 있는 경계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는 복수개의 송풍 구획, 및 상기 복수개의 송풍 구획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류 송풍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 구획은 하나의 상기 송풍구획에서 발생한 기류가 상기하나의 송풍구획의 관류 송풍기의 송풍방향의 개구되어 있는 경계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송풍구획내에 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And a plurality of blower compartments having at least partly opened boundary surfaces in a blowing direction in the building, and at least one perfusion blower installed inside the plurality of blower compartments, wherein the plurality of blower compartments are generated in one of the blower compartments. A ductless blow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ir flow is set so as to reach the other blowing section adjacent to the open boundary i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perfusion blower of the one blowing s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획내에 도달하는 기류의 범위는 상기 관류 송풍기로부터의 기류 도달길이의 5%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송풍시스템.The ductless air blow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ange of the air flow reaching the air blowing section is 5% or more of the length of air flow reaching from the perfusion blower. 제 2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송풍구획에 설치되는 하나의 상기 관류 송풍기의 기류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 또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상기 관류 송풍기의 기류배출구의 폭 방향 길이의 합계를 그 송풍구획의 폭 방향 길이의 15%이상으로 또한 75%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The airflow outlet of one perfusion blower provided in one blower section or the sum of the widthwise lengths of the airflow outlets of the plurality of throughflow blowers blown in the same direction. A ductless blow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15%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artment and at most 7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풍구획을 주차장의 의부공기 흡기장치 및 외부공기를 쉽게 흡기하는 개구부증 적어도 하나로부터 그 주차장의 강제배기장치로 기류를 순차적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주차장의 차로 멎 차실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The parking lot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blowing sections are conveyed sequentially from the at least one opening air inlet of the parking lot and at least one opening for easily inhaling outside air to the forced exhaust of the parking lot. Ductless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the excre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풍구획을 건물의 공기조화 장치에서 발생한 공기조화 공기를 그 건물내에서 순차적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건물내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송풍 시스템.The ductless blow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blowing sections are disposed in the building so as to sequentially convey the air conditioning air generated in the building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 the building.
KR1019960065195A 1995-12-14 1996-12-13 Ductless blowing system KR1002189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702195 1995-12-14
JP95-347021 1995-12-14
JP95-347,021 1995-12-14
JP96-068939 1996-03-01
JP96-068,939 1996-03-01
JP6893996 1996-03-01
JP8329687A JP2923256B2 (en) 1995-12-14 1996-12-10 Ductless ventilation system
JP96-329,687 1996-12-10
JP96-329687 1996-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254A KR970047254A (en) 1997-07-26
KR100218918B1 true KR100218918B1 (en) 1999-09-01

Family

ID=2729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195A KR100218918B1 (en) 1995-12-14 1996-12-13 Ductless blow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23256B2 (en)
KR (1) KR1002189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4329B2 (en) * 2008-09-01 2012-11-14 ニッシン・トーア株式会社 Blower
JP5791389B2 (en) * 2011-06-27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23256B2 (en) 1999-07-26
KR970047254A (en) 1997-07-26
JPH09292136A (en) 199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5827B1 (en) Air conditioner
JP7436556B2 (en) clean room equipment
FI94800C (e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method
JP2006525180A (en) Evaporator air system for bus rooftop air conditioner
KR100218918B1 (en) Ductless blowing system
JPH08200758A (en) Ventilating method and parking place ventilating system
CN109477647A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air-conditioning system and the design method of air-conditioning system
JPH11132496A (en) Air conditioner
JP2006525182A (en) Evaporator section for modular bath air conditioners
JP7412149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room
JP3171710B2 (en) Ventilation method and device
EP1693626B1 (en)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KR100321113B1 (en) Air cleaner
KR200217672Y1 (en) ventilating device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JPH0535326B2 (en)
JP4463383B2 (en) Ventilation method for large spaces
JPH0719525A (en) Underfloor flowing air conditioner
FI91802C (en) Ventilation system for a multi-storey building
JPH0754736Y2 (en) Temperature distribution relaxation device for office space
JP2515684B2 (en) Cassette type ventilation unit for ceiling installation
KR102098872B1 (en) Outdoor clean area build up system utilizing low velocity ventilation system
JPH0522738Y2 (en)
JPH11325508A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23109219A (en) Air supply grille
KR200194195Y1 (en) Ar airmixer attached heater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