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053B1 -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 Google Patents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053B1
KR100217053B1 KR1019960055673A KR19960055673A KR100217053B1 KR 100217053 B1 KR100217053 B1 KR 100217053B1 KR 1019960055673 A KR1019960055673 A KR 1019960055673A KR 19960055673 A KR19960055673 A KR 19960055673A KR 100217053 B1 KR100217053 B1 KR 10021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socket
input termi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36991A (en
Inventor
이문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5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053B1/en
Publication of KR1998003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0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모니터의 입력 선택 절환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BNC 형태 및 D-SUB 형태의 비디오 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 양 입력을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게 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selection switch circuit of a video signal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wo inputs in a video monitor having a video signal input terminal of a BNC type and a D-SUB type.

본 발명의 회로는, D-SUB 형태의 입력단자부의 콘넥터 소케트는 그 외부도체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금속단자(단자1, 단자2)로서, 그 금속단자 중의 일방은 회로의 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방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며, BNC 형태의 입력단자부의 콘넥터의 소케트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금속단자(단자3, 단자4)로서, 그 금속단자 중의 일방은 회로의 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방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성으로서, 상기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단자부에 콘넥터 플러그를 삽입하면, 상기 단자1과 단자2가 또는 상기 단자3과 단자4가, 상기 콘넥터 플러그의 외부 금속부분에 의하여 도통되어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 및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가 자동으로 구동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socket of the D-SUB type input terminal portion is composed of two metal terminals (terminal 1 and terminal 2) whose external conductors are electrically isolated, and one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circuit And the other one of the two terminal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The socket of the connector of the BNC type input terminal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two metal terminals (terminal 3 and terminal 4) When the connector plug is inserted into the input terminal portion of the video monitor,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3 and the terminal 3, and the oth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4 are electrically conducted by the external metal portion of the connector plug to form a circuit so that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synchronizing signal switching logic IC are automatically driven Effect.

Description

분리형 콘넥터 소케트 구조를 채용한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 자동 절환 회로Input automatic switching circuit of video monitor adopting separate connector socket structure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모니터의 입력 선택 절환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BNC 형태 및 D-SUB 형태의 비디오 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 양 입력을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게 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selection switch circuit of a video signal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wo inputs in a video monitor having a video signal input terminal of a BNC type and a D-SUB type.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영상화하기 위한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 비디오 모니터에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는 입력 CABLE의 형태에 따라 BNC 형태 및 D-SUB 형태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In a video monitor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imaging the same, an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to the video monitor is divided into two types, a BNC type and a D-SUB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CABLE.

상기 입력단자는 통상적으로 콘넥터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input terminal is usually constituted by using a connector.

콘넥터라 함은 소케트(암)와 플러그(수)를 합한 것을 말한다.A connector is a combination of a socket (female) and a plug (male).

제1도에서 BNC 형태 및 D-SUB 형태의 콘넥터의 구조를 보인다.Figure 1 shows the structure of the BNC and D-SUB connectors.

통상적으로 상기 소케트와 플러그의 내부에는 핀(PIN)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핀을 둘러싸고 외부도체가 형성되어 있다.Typically, a pin is provided inside the socket and the plug, and an outer conductor is formed to surround the pin.

상기 콘넥터 소케트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의 외부도체와 소케트의 외부도체가 접촉하고, 플러그의 핀과 소케트의 핀이 접촉하여 전기 회로가 형성된다.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ocket, the external conductor of the plug contacts the external conductor of the socket, and the pin of the plug and the pin of the socket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 circuit.

콘넥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핀은 여러 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nector, the pin may include several pins.

비디오 모니터에는 비디오 신호 입력으로서 청색신호(B), 녹색신호(G), 적색신호(R) 및 동기신호 입력으로 수평동기신호(V. Sync), 및 수직동기신호(H. Sync)가 입력되며, 비디오 모니터는 입력된 상기 신호들을 증폭하고 처리하여 영상화한다.The video monitor receives a blue signal B, a green signal G and a red signal R as video signal inputs and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V. Sync and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H. Sync as synchronizing signal inputs , The video monitor amplifies, processes and imaged the input signals.

한편, 상기 두 가지 형태의 입력단자에서 동시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신호간의 충돌 및 혼신이 야기되므로, 입력되는 신호 중 하나만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입력신호 선택회로가 필요하다.Meanwhile, when signals are simultaneously input from the two types of input terminals, a collision or crosstalk between signals occurs. Therefore, a switch or an input signal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only one of input signals is needed.

종래의 비디오 모니터에서는 BNC 및 D-SUB의 두 가지 선택위치를 갖는 절환스위치를 비디오 모니터의 외부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를 BNC 또는 D-SUB 위치로 선택하게 함으로서, 상기 신호간의 충돌 및 혼신을 방지하고 있다.In a conventional video monitor, a switching switch having two selection positions of BNC and D-SUB is installed outside the video monitor, and the user selects the BNC or D-SUB position as a BNC or D-SUB position, have.

종래 기술인 선택 스위치가 사용된 입력 절환회로의 일례로서, 제2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n input switching circuit using a sele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외부 절환 스위치(200)는 입력신호의 선택 절환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BNC 또는 D-SUB의 위치를 선택하도록 되어있다.The external change-over switch 200 is a switch for selecting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position of the BNC or D-SUB.

사용자가 외부 절환 스위치(200)를 D-SUB으로 위치시키면 구동 트랜지스터(Q111)의 베이스가 접지되어 DC 바이어스가 바이패스되므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111)는 TURN OFF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1,Q102,Q103)도 따라서 TURN OFF되어 BNC 입력 단자부(102)로부터의 신호는 차단된다.When the user places the external changeover switch 200 in the D-SUB, the base of the drive transistor Q111 is grounded and the DC bias is bypassed, so that the drive transistor Q111 is turned off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1, Q102 and Q103 The signal from the BNC input terminal unit 102 is cut off.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Q112)의 베이스에는 DC 바이어스가 걸리므로 이 트랜지스터는 TURN ON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4,Q105,Q106)도 각각 TURN ON하여 D-SUB 입력 단자부(101)로부터의 청색신호(B), 녹색신호(G) 및 적색신호(R)가 비디오신호 출력부(103)로 출력되어 VIDEO PREAMP로 절단된다. 또한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의 LOGIC에 따라 BNC 입력 단자부(102)로부터의 동기신호는 차단되고 D-SUB 입력 단자부(101)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V. Sync) 및 수직동기신호(H. Sync)가 동기신호 출력부(104)로 출력되어 SYNC. PROCESSOR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DC bias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2, the transistor TURN is turned on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4, Q105 and Q106 are also turned on respectively to generate a blue signal B from the D- The green signal G and the red signal R are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section 103 and cut to VIDEO PREAMP. The synchronous signal from the BNC input terminal portion 102 is interrupte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and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V. Sync from the D-SUB input terminal portion 101 and the vertical synchronous signal H Sync) is output to the synchronizing signal output unit 104, PROCESSOR.

사용자가 외부 절환 스위치(200)를 BNC로 위치시키면 구동 트랜지스터(Q112)의 베이스가 접지되어 DC 바이어스가 바이패스되므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112)는 TURN OFF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4,Q105,Q106)도 따라서 각각 TURN OFF되어 D-SUB로부터의 신호는 차단된다.When the user places the external changeover switch 200 at the BNC,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2 is grounded and the DC bias is bypassed, so that the driving transistor Q112 is turned off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4, Q105 and Q106 Therefore, TURN turns off and the signal from D-SUB is cut off.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Q111)의 베이스에는 DC 바이어스가 걸리므로 이 트랜지스터는 TURN ON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1,Q102,Q103)도 각각 TURN ON되어 BNC로부터의 청색신호(B), 녹색신호(G) 및 적색신호(R)가 비디오신호 출력부(103)로 출력되어 VIDEO PREAMP로 전달된다. 또한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의 LOGIC에 따라 D-SUB로부터의 동기신호는 차단되고 BNC 입력 단자부(102)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V. Sync) 및 수직동기신호(H. Sync)가 동기신호 출력부(104)로 출력되어 SYNC. PROCESSOR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C bias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1, the transistor turns on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1, Q102 and Q103 also TURN ON, so that the blue signal B, the green signal G, The signal R is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03 and transmitted to the video PREAMP. The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D-SUB is interrupte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V. Sync and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H. Sync from the BNC input terminal portion 102 are synchronized Output to the signal output unit 104 and output to the SYNC. PROCESSOR.

상술한 종래 기술의 입력 절환회로에서는 BNC 또는 D-SUB 형태의 입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모니터 외부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를 사용자가 매번 선택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the above-described input switching circuit of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select the selection switch provided outside the video monitor whenever the input of the BNC or D-SUB type is to be switched.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 분리형 구조를 갖는 콘넥터 소케트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BNC 또는 D-SUB 형태의 플러그를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단자에 삽입하면, 콘넥터의 기구적인 특성에 따라 회로가 구성되어 자동으로 입력상태가 절환됨에 따라, 사용자의 추가적 입력 절환 스위치 작동이 필요없는 비디오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monitor in which a connector socket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is employed so that when a user inserts a plug of a BNC or D-SUB type into an input terminal of a video monitor, And the input state is automatically switched,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additional input switch.

제1도는 종래의 콘넥터의 구조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콘넥터 소케트의 구조를 보인 단면.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nnector and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so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종래 기술인 선택 스위치가 사용된 입력 절환회로의 일례를 보인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put switching circuit using a sele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제3도는 분리형 콘넥터 소케트를 사용하여 구성한 본 발명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 자동 절환회로.FIG. 3 is an input automatic switch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using a detachable connector socke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D-SUB 콘넥터 소케트 20 : BNC 콘넥터 소케트10: D-SUB connector socket 20: BNC connector socket

11,21 : 소케트 외부도체 12,22 : 핀(PIN)11, 21: socket outer conductor 12, 22: pin (PIN)

15 : D-SUB 콘넥터 플러그 25 : BNC 콘넥터 플러그15: D-SUB connector plug 25: BNC connector plug

16,26 : 플러그 외부도체 11A,11B : 금속접점16, 26: plug outer conductor 11A, 11B: metal contact

14,24 : 절연체 단자1, 단자2 : 전기접점14,24: Isolator terminal 1, terminal 2: Electrical contact

100,100-1 : 입력 절환 회로부 101 : D-SUB 입력 단자부100, 100-1: Input switching circuit part 101: D-SUB input terminal part

102 : BNC 입력 단자부 103 : 비디오신호 출력부102: BNC input terminal part 103: Video signal output part

104 : 동기신호 출력부 Q101-Q106 : 트랜지스터 스위치104: Sync signal output unit Q101-Q106: Transistor switch

Q111,Q112 : 구동 트랜지스터 110 :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Q111, Q112: driving transistor 110: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20 : 리트리거러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 Retriggerable stable multivibrator

200 : 외부 절환 스위치 300 : 자동 입력 절환 회로부200: external changeover switch 300: automatic input changeover circuit part

Q301,Q303 : 바이패스 구동 트랜지스터Q301, Q303: Bypass driving transistor

Q302,Q304 :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02, Q304: Bypass transistor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BNC 형태의 비디오 입력단자부(102)와 D-SUB 형태의 비디오 입력단자부(101)를 가지고, 비디오 신호 중의 R, G, B의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상기 양 입력을 절환하기 위한 6개의 트랜지스터 스위치(Q101-Q106)와,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구동 트랜지스터(Q111,Q112)와, 상기 양 입력단자부의 H. Sync 및 V. Sync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를 포함하는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D-SUB 형태의 입력단자부(101)의 콘넥터 소케트(암)는 그 외부도체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금속단자(단자1, 단자2)로 형성되어, 그 금속단자 중의 일방은 회로의 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방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1)의 베이스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며, 상기 BNC 형태의 입력단자부(102)의 콘넥터의 소케트(암)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금속단자(단자3, 단자4)로 형성되어, 그 금속단자 중의 일방은 회로의 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방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2)의 베이스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BNC type video input terminal portion 102 and a D-SUB type video input terminal portion 101, (Q101-Q106) for switching the two inputs, two driving transistors (Q111, Q112) for controlling the transistor switches, and a switch for switching the H. Sync and V. Sync signals of the both input terminal portions (D-SUB) input terminal portion 101 is connected to two metal terminals (not shown) whose external conductors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One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circuit and the other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1 in a circuit manner. The BNC type input terminal portion 102) One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circuit and the other one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2 And connected in a circuit.

본 발명의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단자부의 소케트에 플러그(수)를 삽입하면, 상기 단자1과 단자2가 또는 상기 단자3과 단자4가, 상기 플러그(수)의 외부 금속부분에 의하여 도통되어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1,Q112) 및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를 자동으로 구동하는 작용을 수행한다.When the plug (water)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input terminal portion of the video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or the terminal 3 and the terminal 4 are conducted by the outer metal portion of the plug And performs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driving the driving transistors Q 111 and Q 112 and the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NC 형태 및 D-SUB 형태의 콘넥터의 구조를 제1도에서 보인다.The BNC type and the D-SUB type conne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넥터 소케트의 외부도체는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두 개의 도체(11A,11B)로 분리되어 있다. 전기적으로는 상기 두 개의 금속 도체는 절연되어 있으며 두 개의 단자(단자1, 단자2)의 역할을 한다.The outer conductor of the connector so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structurally divided into two conductors 11A and 11B. Electrically, the two metal conductors are insulated and serve as two terminals (terminal 1, terminal 2).

상기 두 개의 금속도체(11A,11B)는 소케트 본체와 절연체(14,24)를 통하여 절연되어 있다.The two metal conductors 11A and 11B are insulated from the socket body and the insulators 14 and 24.

상기 두 개의 금속도체 중의 하나는 소케트 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재질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One of the two metal conductor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metal material constituting the socket body.

회로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 콘넥터 소케트의 상기 두 단자는 전기 스위치의 양 접점의 역할을 한다.Circuitically, the two terminals of the inventive connector socket serve as both contacts of the electrical switch.

상기 콘넥터 소케트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의 외부도체와 소케트의 상기 두 개의 외부도체가 접촉한다. 따라서, 본 고안 콘넥터 소케트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의 외부도체를 통하여 상기 단자간에 접점이 연결된다.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ocket, the outer conductor of the plug contacts the two outer conductors of the socket. Therefore,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s through the external conductor of the plug.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콘넥터 소케트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BNC 또는 D-SUB 형태의 콘넥터 플러그를 그 전자 장치의 입력단자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그 입력단자의 콘넥터 입력 형태가 자동으로 감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nnector so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serts a connector plug of the BNC or D-SUB type into the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nector input type of the input terminal is automatically detected .

제3도는 본 발명 콘넥터 소케트가 적용된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 자동 절환회로이다.3 is an input automatic switch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to which the connector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사용자가 D-SUB 형태의 콘넥터에 그 플러그를 삽입하면, 본 발명 소케트의 양단자가 도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Q111)의 베이스가 접지되어 DC 바이어스가 바이패스되므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111)는 TURN OFF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1,Q102,Q103)도 따라서 TURN OFF되어 BNC 입력 단자부(102)로부터의 신호는 차단된다.When the user inserts the plug into the D-SUB type connector, both ends of the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 and form a circuit, so that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1 is grounded and the DC bias is bypassed.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1, Q102 and Q103 are also turned off so that the signal from the BNC input terminal portion 102 is cut off.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Q112)의 베이스에는 DC 바이어스가 걸리므로 이 트랜지스터는 TURN ON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4,Q105,Q106)도 각각 TURN ON하여 D-SUB 입력 단자부(101)로부터의 청색신호(B), 녹색신호(G) 및 적색신호(R)가 비디오신호 출력부(103)로 출력되어 VIDEO PREAMP로 전달된다. 또한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의 LOGIC에 따라 BNC 입력 단자부(102)로부터의 동기신호는 차단되고 D-SUB 입력 단자부(101)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V. Sync) 및 수직동기신호(H. Sync)가 동기신호 출력부(104)로 출력되어 SYNC. PROCESSOR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DC bias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2, the transistor TURN is turned on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4, Q105 and Q106 are also turned on respectively to generate a blue signal B from the D- The green signal G and the red signal R are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03 and transmitted to the video PREAMP. The synchronous signal from the BNC input terminal portion 102 is interrupte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and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V. Sync from the D-SUB input terminal portion 101 and the vertical synchronous signal H Sync) is output to the synchronizing signal output unit 104, PROCESSOR.

사용자가 BNC 형태의 콘넥터에 그 플러그를 삽입하면, 본 발명 소케트의 양단자가 도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Q112)의 베이스가 접지되어 DC 바이어스가 바이패스되므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112)는 TURN OFF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4,Q105,Q106)도 따라서 각각 TURN OFF되어 D-SUB로부터의 신호는 차단된다.When the user inserts the plug into the BNC type connector, both ends of the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 and form a circuit, so that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2 is grounded and the DC bias is bypassed, TURN is turned off, and transistor switches (Q104, Q105, Q106) are also turned off TURN respectively, so that the signal from D-SUB is cut off.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Q111)의 베이스에는 DC 바이어스가 걸리므로 이 트랜지스터는 TURN ON되고 트랜지스터 스위치(Q101,Q102,Q103)도 각각 TURN ON되어 BNC로부터의 청색신호(B), 녹색신호(G) 및 적색신호(R)가 비디오신호 출력부(103)로 출력되어 VIDEO PREAMP로 전달된다. 또한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의 LOGIC에 따라 D-SUB로부터의 동기신호는 차단되고 BNC 입력 단자부(102)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V. Sync) 및 수직동기신호(H. Sync)가 동기신호 출력부(104)로 출력되어 SYNC. PROCESSOR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C bias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1, the transistor turns on and the transistor switches Q101, Q102 and Q103 also TURN ON, so that the blue signal B, the green signal G, The signal R is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03 and transmitted to the video PREAMP. The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D-SUB is interrupte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V. Sync and the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H. Sync from the BNC input terminal portion 102 are synchronized Output to the signal output unit 104 and output to the SYNC. PROCESSOR.

본 발명의 콘넥터 소케트를 구비한 비디오 모니터는 사용자가 BNC 또는 D-SUB 형태의 콘넥터 플러그를 모니터 장치의 입력단자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그 입력단자에 연결된 콘넥터의 종류가 자동으로 감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The video monitor having the connector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etect the type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by inserting the connector plug of the BNC or D-SUB type in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onitor apparatus .

본 발명의 콘넥터 구조를 채용한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BNC 또는 D-SUB 형태의 플러그를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단자에 삽입하면, 콘넥터의 기구적인 특성에 따라 회로가 구성되어 자동으로 입력상태가 절환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 video monitor employing the conne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serts a BNC or D-SUB type plug into an input terminal of a video monitor, a circuit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or, Is achieved.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전기 콘넥터의 소케트(10) 구조에 있어서, 그 외부도체(11)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금속도체(11A,11B)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도체(11A11B) 각각이 전기접점(단자1, 단자2)을 구성하여, 상기 콘넥터 소케트(10)에 플러그(15)를 삽입하면, 플러그의 외부도체(16)와 소케트(10)의 상기 두 개의 외부도체(11A,11B)가 접촉함에 따라, 상기 소케트의 외부도체 단자(단자1, 단자2)간에 전기접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소케트 구조.A socket (10) of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onductor (11) is formed by two electrically isolated metal conductors (11A, 11B), each of the metal conductors (11A11B) And the two external conductors 11A and 11B of the socket 10 ar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conductor 16 of the plug when the plug 1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ocket 10 And an electrical contact is connected between the external conductor terminals (terminal 1 and terminal 2) of the s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 소케트는 특히 BNC 형태의 콘넥터 소케트(21)의 외부도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소케트 구조.2. Connector socke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nnector socket is constructed in the outer conductor of a connector socket (21),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BN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 소케트는 특히 D-SUB 형태의 콘넥터 소케트(11)의 외부도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소케트 구조.2. Connector socke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nnector socket is formed in the outer conductor of a connector socket (11) of the D-SUB type. BNC 형태의 비디오 입력단자부(102)와 D-SUB 형태의 비디오 입력단자부(101)를 가지고, 비디오 신호 중의 R, G, B의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상기 양 입력을 절환하기 위한 6개의 트랜지스터 스위치(Q101-Q106)와,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구동 트랜지스터(Q111,Q112)와, 상기 양 입력단자부의 H. Sync 및 V. Sync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를 포함하는 비디오 모니터에 있어서,A video input terminal portion 102 of a BNC type and a video input terminal portion 101 of a D-SUB type and having six transistor switches for switching the two inputs to respective signals of R, G and B in a video signal (Q101-Q106) for controlling the transistor switches, two driving transistors Q111 and Q112 for controlling the transistor switches, a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for switching the H. Sync and V. Sync signals of the both input terminal portions, A video monitor comprising: 상기 D-SUB 형태의 입력단자부(101)의 콘넥터의 소케트는 그 외부도체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금속단자(단자1, 단자2)로서, 그 금속단자 중의 일방은 회로의 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방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1)의 베이스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며, 상기 BNC 형태의 입력단자부(102)의 콘넥터 소케트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금속단자(단자3, 단자4)로서, 그 금속단자 중의 일방은 회로의 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일방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2)의 베이스측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성으로서, 상기 비디오 모니터의 입력단자부에 콘넥터 플러그를 삽입하면, 상기 단자1과 단자2가 또는 상기 단자3과 단자4가, 상기 콘넥터 플러그의 외부 금속부분에 의하여 도통되어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1,Q112) 및 동기신호 절환 로직 IC(110)를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 자동 절환 회로.The socket of the connector of the D-SUB type input terminal portion 101 is composed of two metal terminals (terminal 1 and terminal 2) whose outer conductor is electrically separated, one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circuit, And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1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1 in a circuit manner. The connector socket of the BNC type input terminal portion 102 is composed of two electrically isolated metal terminals (terminal 3 and terminal 4) One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circuit and the other of the metal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transistor Q112 in a circuit manner. When a connector plug is inserted into the input terminal of the video monitor, The terminal 2 or the terminal 3 and the terminal 4 are conducted by the external metal portion of the connector plug to form a circuit so that the driving transistors Q 111 and Q 112 and the synchronous signal switching logic IC (110) is automatically driven.
KR1019960055673A 1996-11-20 1996-11-20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KR100217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673A KR100217053B1 (en) 1996-11-20 1996-11-20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673A KR100217053B1 (en) 1996-11-20 1996-11-20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91A KR19980036991A (en) 1998-08-05
KR100217053B1 true KR100217053B1 (en) 1999-09-01

Family

ID=1948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673A KR100217053B1 (en) 1996-11-20 1996-11-20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05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91A (en)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93197B1 (en) A multi-drop type bus line system
US20020137382A1 (en) Power adapter device
EP1289076A3 (en) Coaxi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AU7736691A (en)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EP0154199A3 (en) A coaxial connector
US5137469A (en) Hybrid connector for standard coaxial cable and other wiring systems
JPS5818886A (en) Terminal unit with switch
ES2178181T3 (en) SWITCHING COAXIAL CONNECTOR WITH SLIDING CENTRAL DRIVER.
US5270505A (en) Remote controlled switch/receptacle
FI79226B (en) EN AUDIO / VIDEOADAPTER FOER AUDIOVISUELLA APPARATER.
KR100217053B1 (en) Automatic input converting circuit of a video monitor having separating connect socket structure
DE60104347D1 (en) Connectors
US5484298A (en) Self-terminating XLR connector device
JPH04123775A (en) Connector device
US6722899B2 (en) Connective apparatus in which a number of contact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ontact groups according to intended use
US5937119A (en) Line branching device for branching a conductor string
US7241158B2 (en)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and adapter for plug
JPH01231275A (en) Video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EP0393670A3 (en) Self terminating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4018941B2 (en) Signal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3088161U (en)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2001176611A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jack
JPH0879636A (en) Signal input terminal with switch
JPS62256066A (en) Terminal equipment
JPH04155874A (en) Optical outpu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