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015B1 - 장력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장력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015B1
KR100217015B1 KR1019970015451A KR19970015451A KR100217015B1 KR 100217015 B1 KR100217015 B1 KR 100217015B1 KR 1019970015451 A KR1019970015451 A KR 1019970015451A KR 19970015451 A KR19970015451 A KR 19970015451A KR 100217015 B1 KR100217015 B1 KR 10021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light
tension
detection device
tens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406A (ko
Inventor
최대선
Original Assignee
남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기 filed Critical 남궁기
Priority to KR101997001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015B1/ko
Publication of KR97004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로울러를 통하여 이동되는 대상물에 후크를 이용하여 걸려 있음으로써 대상물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며 빛의 투과율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박막과, 상기한 박막의 상하운동이 원상회복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박막을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막을 향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 수단과, 상기한 발광 수단으로부터 상기한 박막을 거쳐서 전달되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박막소자와 광결합기를 이용하여 실의 장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므로서 대상물의 장력을 세밀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력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력 검출장치
이 발명은 장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박막소자와 광결합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장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대상물의 장력을 세밀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력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직조산업 현장에서는 직물직조나 기타 다른 산업에서 대상물의 장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대상물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서 불량품이 생산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미세한 전선의 장력의 정밀도와 응답성을 고려한 저 관성의 센서에 대응되는 제품이 없이 실제적용의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이고 적절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와 같은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막소자와 광결합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장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대상물의 장력을 세밀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력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따른 장력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로울러 13 : 대상물
21 : 박막 22 : 스프링
23 : 발광소자 24 : 수광소자
30 : 증폭기 VR30 : 가변저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로울러를 통하여 이동되는 대상물에 후크를 이용하여 걸려 있음으로써 대상물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며 빛의 투과율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박막과, 상기한 박막의 상하 운동이 원상회복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박막을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막을 향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 수단과, 상기한 발광 수단으로부터 상기한 박막을 거쳐서 전달하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 검출장치의 구성은, 로울러(11,12)를 통하여 이동되는 대상물(13)에 후크를 이용하여 걸려 있음으로써 대상물(13)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며 빛의 투과율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박막(21)과, 상기한 박막(21)의 상하운동이 원상회복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과, 상기한 박막(21)을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막(21)을 향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 소자(23)와, 상기한 발광 소자(23)로부터 상기한 박막(21)을 거쳐서 전달되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소자(24)와, 상기한 수광소자(2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3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증폭기(30)의 구성은, 입력 신호선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1)과, 상기한 저항(R31)의 다른 한쪽단자에 비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연산 증폭기(OP30)와, 상기한 연산 증폭기(OP30)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32)과, 상기한 연산 증폭기(OP30)의 반전 입력단자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가변저항(VR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 검출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실(13)이 로울러(11,12)를 통하여 이동됨과 동시에 발광소자(23)로부터 빛이 발광됨으로써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 검출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대상물(13)이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장력의 변화와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박막(21)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박막(21)은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면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부분과 빛을 통과시킬 수 없는 부분(빗금친 부분)이 대각선을 기준으로 둘로 양분되어 있기 때문에, 박막(21)의 상하운동에 따라 발광소자(23)로부터 방출되어 수광소자(24)로 전달되는 빛의 양이 가변된다.
수광소자(24)는 발광소자(23)로부터 박막(21)을 거쳐서 수광되는 빛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기(30)로 출력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박막(21)의 형태가 사각형과 대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예로서 들고 있으나,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길이방향으로 투과율이 가변되는 다양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윗끝단에서부터 아랫끝단까지 투과율이 그레이 스케일 형태로 변화되는 형태로 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증폭기(30)는 수광소자(24)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이때 사용자는 가변저항(VR30)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신호의 증폭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증폭기(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대상물(13)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로 입력되어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신호로서 사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박막소자와 광결합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장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대상물의 장력을 세밀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장력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직물 제조장치 분야에서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4)

  1. 로울러를 통하여 이동되는 대상물에 후크를 이용하여 걸려 있음으로써 대상물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며 빛의 투과율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는 박막과, 상기한 박막의 상하운동이 원상회복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박막을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막을 향해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한 발광 수단으로부터 상기한 박막을 거쳐서 전달되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수광소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증폭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검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박막은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면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부분과 빛을 통과시킬 수 없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둘로 양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검출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박막은 윗끝단에서부터 아랫끝단까지 투과율이 그레이 스케일 형태로 변화되는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검출장치.
KR1019970015451A 1997-04-24 1997-04-24 장력 검출장치 KR10021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451A KR100217015B1 (ko) 1997-04-24 1997-04-24 장력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451A KR100217015B1 (ko) 1997-04-24 1997-04-24 장력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406A KR970048406A (ko) 1997-07-29
KR100217015B1 true KR100217015B1 (ko) 1999-09-01

Family

ID=1950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451A KR100217015B1 (ko) 1997-04-24 1997-04-24 장력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96B1 (ko) 2021-08-17 2022-02-28 김용준 바삭함과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 소보로 타입의 호두빵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96B1 (ko) 2021-08-17 2022-02-28 김용준 바삭함과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 소보로 타입의 호두빵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406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1753A (en) Transducer for converting acoustic energy directly into optical energy
CA1196706A (en) Fiber optic sensor
ES2116281T3 (es) Aparato de control de aparato electrico.
KR970056072A (ko) 광통신 시스템 및 원격 감지기 질문 방법
US3919546A (en) Apparatus for obtain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mechanical motion
KR100217015B1 (ko) 장력 검출장치
ITMI911658A1 (it) METODO PER LO STATO DI UN FILO ALIMENTATO AD UNA MACCHINA TESSILE ATTRAVERSO IL RILEVAMENTO DEL SUO SPOSTAMENTO DI FRONTE AD UN SENSORE OTTICO E DISPOSITIVO COSIy OTTENUTO.
KR950015226A (ko) 제2고조파발생방법 및 장치
ATE220199T1 (de)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nsorvorrichtung
US3732443A (en) On-off detection device
KR960011084A (ko) 센서 및 엑츄에이터의 구동장치
KR20160141503A (ko) 조명 구동 장치 및 방법
SE9102806L (sv) Optisk oevervakningsanordning foer att detektera om en traad aer i roerelse
JP5139049B2 (ja) 光電センサ
EP1293764A3 (de) Optische Druckmessanordnung
SU140587A1 (ru)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 размеров движущихс изделий
KR920010366A (ko) 물체검출장치
JPS61267018A (ja) 走査角検出器
KR101049943B1 (ko) 발광소자의 구동회로
JP5429897B2 (ja) 光点位置検出装置
SU1047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бнаружени дефектов в движущейс ткани
SE9704313L (sv) Övervakningsanordning
JPH05149786A (ja) 光学センサ装置
KR950029762A (ko) 빛을 이용한 변위 센서
JPH1062130A (ja) 細線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