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708B1 -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708B1
KR100216708B1 KR1019960077635A KR19960077635A KR100216708B1 KR 100216708 B1 KR100216708 B1 KR 100216708B1 KR 1019960077635 A KR1019960077635 A KR 1019960077635A KR 19960077635 A KR19960077635 A KR 19960077635A KR 100216708 B1 KR100216708 B1 KR 10021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quid
gas
valve
containmen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312A (ko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이 원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원,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 원
Priority to KR101996007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70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체의 배관설비와 액체의 배관설비를 하나의 장비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측정매체의 공급부와, 기체의 배관설비에 결합되어 그 기체의 국부누설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누설율측정부와, 액체의 배관설비에 결합되어 그 액체의 국부누설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물 누설율측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공기 누설율측정시 바이패스밸브(58)를 이용하여 신속히 배관설비(10) 내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고, 공기 누설율측정과 물 누설율측정을 단 하나의 장치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에 관한 개략도로서,
제1(a)도는 공기 또는 가스의 누설율 측정방법이고,
제1(b)도는 물 또는 액체의 누설율 측정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 누설율 측정장치의 실제적인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3(a)도는 공기 또는 가스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을 나타내고,
제3(b)도는 물 또는 액체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에 의한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32 : 공기충전관 34 : 레규레이터
36 : 기압게이지 38 : 공기개폐밸브
40 : 물충전관 42 : 물개폐밸브
44 : 수압게이지 46 : 연결관
48 : 공기유도관 50 : 모니터인입관
52 : 모니터인출관 54 : 공기방출관
56 : 제1차단밸브 58 : 바이패스밸브
60 : 제2차단밸브 62 : 제1유도관
64 : 누수측정통 66 : 제2유도관
68 : 물방출관 70 : 투명튜브
72 : 제3차단밸브 74 : 제4차단밸브
76 : 제5차단밸브 80 : 관연결수단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체의 배관설비와 액체의 배관설비를 하나의 장비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원료의 이송이나 냉각제의 이송 또는 최종제품의 이송 등에 다양한 형태의 배관설비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설비는 그의 용도에 따라 그 규격이 정해지고 그 재질이 결정되어지며, 그 내부를 흐르는 유동체도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설비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그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내부를 흐르는 유동체가 그 외부로 누설되어서는 안되고, 그 밀폐된 내부공간을 따라 목표 지점으로 손실없이 유동되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내부를 흐르는 물질은 그 배관설비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공기 및 가스와 같은 기체상의 유동체와, 물 및 기름과 같은 액체상의 유동체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동체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 내부에서만 유동되어져야 하고 밖으로 누설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그 배관설비 내부의 유동체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경우, 그 유동체가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 밖으로 유출되어지면 각종의 산업재해를 일으키는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배관설비의 제작시 뿐만아니라 배관설비의 가동시에도 그 유동체의 누설여부를 정밀하게 측정해야 한다.
종래의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누설율 시험방법으로서는 측정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방법(Local Air Leak Test)과, 측정매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방법(Local Water Leak Test)이 있었다.
측정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방법(Local Air Leak Test)은 제1(a)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누설율 측정대상이 되는 배관설비(10)의 양쪽 밸브(12)(13)를 잠그고, 공기누설 측정모니터(14)를 상기 배관설비(10)의 측면밸브(15)에 연결시킨 다음, 그 모니터(14)를 통하여 상기 배관설비(10)의 내부에 공기를 일정압까지 가압시키며, 그 후 배관설비(10) 내의 공기의 안정화를 위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의 모니터(14)를 이용해 상기 배관설비(10) 내부의 공기가 어느 정도 누설되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이때, 미설명부호 25는 작업장 내의 벽체 또는 작업설비의 외벽이다.
한편, 측정매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방법(Local Water Leak Test)은 제1(b)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누설율 측정 대상이 되는 배관설비(10)의 양쪽 밸브(12)(13)을 잠그고, 액체누설 측정탱크(16)를 상기 배관설비(10)의 측면밸브(15)에 연결시킨 다음, 그 액체 누설측정탱크(16)를 통하여 상기 배관설비(10)의 내부에 물을 채워 넣고, 충전된 물을 일정압으로 가압시킨 후 배관설비(10) 내부의 물이 누설된 양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바께스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 누설측정탱크(16)의 깔대기(18)에 물을 부어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내에 충수시킨 후, 그 깔대기(18) 아래의 밸브(20)와 방수밸브(22)를 닫고, 외부에서 일정압의 공기로 가압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상기 액체 누설측정탱크(16)의 측면에 부착된 투명튜브(24)의 길이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배관설비(10)내의 물이 누설된 양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제1(a)도와 같이 측정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방법(Local Air Leak Test)은 모니터(14)를 통해서 공기를 충전시켜야 하였으므로, 배관설비(10) 내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예컨대, 10인치 이상의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경우, 통상 4-5시간이 걸림), 이로 인하여 인력 및 시간의 낭비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작업장소에 대한 타인의 출입이 장시간 통제되어 전체적인 작업 공정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또한, 측정매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방법(Local Water Leak Test)은 작업자가 바께스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직접 깔대기(18)에 일일이 물을 부어서 작업해야 하였으므로, 작업노동이 많이 드는 반면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도중 물을 주위에 흘림으로 인하여 작업장 주위를 불결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종료후, 배관설비(10)내의 물을 완전 배수시키고 다시 재충전 시키거나, 다른 작업장소에서 동일한 작업을 되풀이 할 경우에는 이러한 불편한 상태가 계속 반복되는 것이었다.
더구나, 종래의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시험방법은 배관설비(10) 내의 유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개로 진행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타인의 도움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단독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관설비내의 유동유체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측정매체의 공급부와, 기체의 배관설비에 결합되어 그 기체의 국부누설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누설율측정부와, 액체의 배관설비에 결합되어 그 액체의 국부누설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물 누설율측정부로 구성되어 있고, (a) 상기의 측정매체 공급부는 공기를 충전하는 공기충전관(32)과, 그 공기충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레규레이터(34)와, 그 공기충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을 측정하는 기압게이지(36)와, 그 공기충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공기개폐밸브(38)와; 물을 공급하는 물충전관(40)과, 그 물충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물개폐밸브(42)와, 그 물측정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게이지(44)와; 상기의 공기충전관(32) 및 물충전관(40)이 결합된 후 상기의 공기 누설율측정부와 물 누설율측정부로 각각 연결되어지는 연결관(46)으로 구성되어 있고; (b) 상기의 공기 누설율측정부는 상기의 연결관(4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최종 배관설비(10)까지 안내하는 공기유도관(48)과, 그 공기유도관에서 모니터(14)의 인입부로 연결되는 모니터인입관(50)과, 그 공기유도관에서 모니터(14)의 인출부에 연결되는 모니터인출관(50)과, 상기의 공기유도관(48)에서 최종 배관설비(10)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공기방출관(54)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유도관(48)의 전반부에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차단밸브(56)와, 그 다음 위치인 모니터인입관(50)과 모니터인출관(50)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바이패스밸브(58)와, 상기 공기방출관(54)에서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2차단밸브(60)로 구성되며; (c) 상기의 물 누설율측정부는 상기의 연결관(46)내의 물 또는 공기를 누수측정통(64)까지 안내하는 제1유도관(62)과, 그 누수측정통(64)에서 최종배관설비(10)까지 연결되어 물을 안내하는 제2유도관(66)과, 상기 누수측정통(64)에서 외부로 연결된 물방출관(68)과, 상기 누수측정통(64)의 측면에 설치된 투명튜브(70)로 구성되고; 상기의 제2유도관(66)에 설치된 제4차단밸브(74)와, 상기의 물방출관(68)에 설치된 제5차단밸브(76)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내의 유동유체가 액체이든 기체이든 상관없이 단 하나의 장치로써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한정시키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측정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측정장치는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측정매체의 공급부와, 기체의 배관설비에 결합되어 그 기체의 국부누설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누설율측정부와, 액체의 배관설비에 결합되어 그 액체의 국부누설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물 누설율측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측정매체 공급부는 공기를 충전하는 공기충전관(32)과, 그 공기충전관에 설치된 레규레이터(34)와 기압게이지(36) 및 공기개폐밸브(38)를 포함한다. 레규레이터(34)는 공기충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이 공기압은 기압게이지(36)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의 공기개폐밸브(38)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통제되어진다. 상기의 측정매체 공급부는 물을 공급하는 물충전관(40)과, 그 물충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물개폐밸브(42)와, 그 물측정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게이지(44)를 포함하며, 연결관(46)을 통하여 상기의 공기 누설율측정부와 물 누설율측정부로 각각 연결되어진다.
상기의 공기 누설율측정부는 상기의 연결관(4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최종 배관설비(10)까지 안내하는 공기유도관(48)과, 그 공기유도관(48)에서 최종 배관설비(10)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공기방출관(54)을 포함한다. 상기의 공기유도관(48)에는 모니터(14)의 인입부로 연결되는 모니터인입관(50)과, 모니터(14)의 인출부에 연결되는 모니터인출관(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공기유도관(48)에는 그의 전반부에 제1차단밸브(56)와, 모니터인입관(50)과 모니터인출관(50) 사이에 바이패스밸브(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제1차단밸브(56)는 공기누설율측정부를 흐르는 공기를 전체적으로 통제한다. 이에 반해, 바이패스밸브(58)는 공기유도관(48) 내의 공기가 모니터(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배관설비(10)로 통하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의 공기방출관(54)에는 제2차단밸브(6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차단밸브(60)는 공기방출관(54) 내의 공기흐름을 통제한다.
상기의 물 누설율측정부는 상기의 연결관(46)내의 물 또는 공기를 누수측정통(64)까지 안내하는 제1유도관(62)과, 그에 결합된 누수측정통(64)을 포함한다. 이 누수측정통(64)에는 최종 배관설비(10)까지 연결되어 물을 안내하는 제2유도관(66)과, 작업 종료후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물방출관(6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제1유도관(62)에는 제3차단밸브(72)가 설치되어 있고, 제2유도관(66)에는 제4차단밸브(74)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 내부를 흐르는 물 또는 공기의 유동을 통제할 수 있고, 물방출관(68)에도 제5차단밸브(76)가 설치되어 그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동을 통제할 수 있다. 한편, 누수측정통(64)의 측면에는 투명튜브(70)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이 투명튜브(70)를 통하여 누수측정통(64)내의 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고, 처음상태와 나중상태를 비교함으로써 배관설비(10)에서 누설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종의 구성요소 내지 구성부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들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공기충전관(32), 물충전관(40), 모니터인입관(50), 모니터인출관(50), 공기유도관(48), 공기방출관(54), 물방출관(68), 그리고 제2유도관(66) 등의 말단부에는 각각 관연결수단(80)을 형성할 수 있다. 관연결수단(80)은 외부 구성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볼트, 너트 체결이 가능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작용(측정방법) ]
본 발명은 배관설비(10) 내의 유동체에 따라 공기 누설율측정부 또는 물 누설율측정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3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제3(a)도는 배관설비(10) 내의 유동체가 공기, 질소, 암모니아 기체, 수증기와 같이 각종의 기체일 경우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엔, 먼저 모니터인입관(50)과 모니터인출관(50)에 모니터(14)를 결합시키고, 공기충전관(32)을 외부의 공기공급수단(예컨대, 콤프레서 또는 급기배관)에 연결시키고, 공기유도관(48)을 배관설비(10)에 연결시킨다. 그후 공기개폐밸브(38)를 열고, 물개폐밸브(42)와 제3차단밸브(72) 및 제2차단밸브(60)를 잠근다. 이때, 제1차단밸브(56)와 바이패스밸브(58)는 열려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외부의 공기공급수단을 통해서 공기를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주입시키면, 공기는 공기충전관(32), 레규레이터(34), 연결관(46), 공기유도관(48)을 차례로 거쳐 배관설비(10)에 충전된다. 이때 공기는 바이패스밸브(58)를 직접 통과하고, 모니터(14)를 거치지 아니한다. 필요한 경우엔 모니터인입관(50)의 전·후부에 별도의 차단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 있다. 배관설비(10)내의 공기압이 일정수준(예컨대, 4.2Bar)에 이르면, 공기의 주입을 멈추고 제1차단밸브(56)와 바이패스밸브(58)를 잠근다. 이때, 배관설비(10) 내에 충진된 공기는 상기의 제1차단밸브(56)와 바이패스밸브(58) 및 제2차단밸브(60)에 의해 그 통로가 막혀 있으므로, 상기의 모니터(14)에 공기압이 측정되어지게 된다. 이 공기압은 배관설비(10)내의 공기가 그 밖으로 누설되지 않는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일정한 압력을 계속 유지할 것이지만, 배관설비(10)내에서 공기가 누설된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낮아지게 될 것이다. 좀더 세밀한 측정을 위해서는 10 내지 20분 정도 기다려 공기의 안정화를 기한 다음, 모니터(14)의 변화량을 기준으로 하여 누설여부 및 누설강도를 측정한다. 측정작업이 끝나면, 제2차단밸브(60)를 열어줌으로써 배관설비(10)내의 공기를 신속히 외부로 방출시킨다.
제3(b)도는 배관설비(10) 내의 유동체가 물, 오일, 유기용제와 같이 각종의 액체일 경우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엔, 물충전관(40)을 외부의 물공급수단(예컨대, 펌프 또는 급수배관)에 연결시키고, 이어서 제2유도관(66)을 배관설비(10)에 연결시킨다. 그 후, 공기충전관(32)의 공기개폐밸브(38)와 공기유도관의 제1차단밸브(56) 및 물방출관의 제5차단밸브(76)를 닫는 반면에, 제3차단밸브(72)와 제4차단밸브(74)를 개방시켜서, 물의 진행통로를 형성한다. 그 다음, 외부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을 일정압 이상으로 주입시키면, 물을 물충전관(40), 연결관(46), 제3차단밸브(72), 누수측정통(64), 그리고 제2유도관(66)을 통하여 배관설비(10)에 충전되어지고, 이어서 누수측정통(64)안에 가득차게 된다. 누수측정통(64) 안에 채워진 물은 투명튜브(70)를 통하여 작업자가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배관설비(10)에 물이 가득차고 누수측정통(64)안에 물이 기준점 이상으로 차게 되면, 물개폐밸브(42)를 닫아 급수를 중단하고, 공기충전관(32)의 공기개폐밸브(38)를 열어 공기를 공급한다. 공급된 공기가 일정압(예컨대, 4.2Bar)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누수측정통(64)의 물의 수위차를 측정한다. 이때, 배관설비(10) 내에서 누수현상이 일어난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의 수위차가 나타나겠지만, 배관설비(10)내에서 누수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수위차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누수측정작업이 끝나면, 물방출관(68)의 제5차단밸브(76)를 열어 배관설비(10)내의 물을 간단히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종래와는 달리, 공기 누설율측정시 바이패스밸브(58)를 이용하여 신속히 배관설비(10) 내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현전하게 단축된다. 이는 10인치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종전 방법에 의할 경우, 공기충전시간이 4-5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경우 10-20분 정도 소요되는 점으로도 충분히 입증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대형의 누수측정탱크(16)를 사용하지 않고 더구나 깔대기(18)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단지 물충전관(40)을 외부의 물공급수단에 연결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장 주위에 물을 흘릴 염려도 없어서 청결하게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누설율측정과 물 누설율측정을 단 하나의 장치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방 및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기체 또는 액체를 측정매체로 하여 격납용기의 배관의 누설을 측정하는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에 있어서, 기체와 액체를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외부공급배관에 체결되는 기체이송배관(32)과 액체이송배관(40)이 하나의 통합배관(46)으로 합쳐지며, 상기기체이송배관932)과 액체이송배관(40)에는 밸브(38, 42)가 형성되어 기체 또는 액체를 선택적으로 상기 통합배관(46)을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통합배관(46)에 선단이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격납용기배관(10)의 측면밸브에 체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14)와, 상기 압력측정부(14)를 우회하여 설치되는 공기유도관(48)과, 상기 공기유도관(48)에 설치되는 바이패스밸브(58)를 구비하는 기체누설측정부와; 상기 통합배관(46)에 선단이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격납용기배관(10)의 측면밸브에 체결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누수측정부(64)를 구비하는 액체누설측정부와; 상기 공급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기체누설측정부에는 기체만을 이송하고 상기 액체누설측정부에는 액체만을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선택밸브(56, 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기체이송배관(32)에는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레규레이터(34)와, 상기 레규레이터(34)에 의해 유지되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압측정기(36)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의 액체이송배관(40)에는 액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측정기(4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누설측정부의 공기유도관(48)에는 기체방출관(54)이 연결되며, 상기 기체방출관(54)에는 개폐밸브(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측정부에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체배출관(68)과, 상기 액체배출관(68)에 배치되는 배출밸브(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5. 기체를 측정매체로 하여 격납용기의 배관의 누설을 측정하는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격납용기배관(10) 내에 채워지도록 기체이송배관(32)을 외부공급배관에 체결하고, 상기 기체이송배관(32)의 후단에 기체누설측정부를 체결하며, 상기 기체누설측정부의 후단을 상기 격납용기배관(10)의 측면밸브에 체결하는 체결단계와; 액체이송배관(40)의 개폐밸브(42)와 액체누설측정부로 액체를 이송하는 선택밸브(72) 및 기체를 배출하는 기체방출관(54)의 개폐밸브(60)를 닫고, 상기 기체이송배관(32)의 개폐밸브(38)와 상기 기체누설측정부로 기체를 이송하는 선택밸브(56)와 압력측정부(14)를 우회한 공기유도관(48)의 바이패스밸브(58)와 상기 격납용기배관(10)의 측면밸브를 열어 기체가 상기 격납용기배관(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작동단계와; 기체를 일정 압력이상으로 주입시켜, 기체가 상기 기체이송배관(32)과 레규레이터(34) 및 공기유도관(48)을 거쳐 상기 격납용기배관(10)으로 충전되는 기체충전단계와; 상기 격납용기배관(10) 내에 기압이 일정하게 되면 상기 기체를 이송하는 선택밸브(56)와 상기 바이패스밸브(58)를 닫은 후, 상기 압력측정부(14)에서 나타내는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 및; 상기 기체방출관(54)의 개폐밸브(60)를 개방하여 상기 격납용기배관(10) 내의 기체의 압력을 제거하는 압력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
  6. 액체를 측정매체로 하여 격납용기의 배관의 누설을 측정하는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체가 상기 격납용기배관(10) 내에 채워지도록 액체이송배관(40)을 외부공급배관에 체결하고, 상기 액체이송배관(40)의 후단에 액체누설측정부를 체결하며, 상기 액체누설측정부의 후단을 상기 격납용기배관(10)의 측면밸브에 체결하는 체결단계와; 기체이송배관(32)의 개폐밸브(38)와 액체를 배출하는 액체배출관(68)의 배출밸브(76) 및 기체누설측정부로 기체를 이송하는 선택밸브(56)를 닫고, 상기 액체이송배관(40)의 개폐밸브(42)와 액체누설측정부로 액체를 이송하는 선택밸브(72) 및 측면밸브를 열어 액체가 상기 격납용기배관(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작동단계와; 액체를 일정 압력이상으로 주입시켜, 액체가 상기 액체이송배관(40)과 수압측정기(44) 및 상기 누수측정부(64)를 거쳐 상기 격납용기배관(10)으로 충전되는 액체충전단계; 상기 격납용기배관(10) 내의 수압이 일정하게 되면 상기 액체를 이송하는 선택밸브(72)를 닫은 후, 상기 누수측정부(64) 내의 액체수위의 변화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 및; 상기 액체방출관(68)의 배출밸브(76)를 열어 상기 액체이송배관(40)과 상기격납용기 배관(10) 내에 충전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방법.
KR1019960077635A 1996-12-30 1996-12-30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0216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635A KR100216708B1 (ko) 1996-12-30 1996-12-30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635A KR100216708B1 (ko) 1996-12-30 1996-12-30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12A KR19980058312A (ko) 1998-09-25
KR100216708B1 true KR100216708B1 (ko) 1999-09-01

Family

ID=1949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635A KR100216708B1 (ko) 1996-12-30 1996-12-30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7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790A (ko)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에네스지 위상배열초음파와 레이저를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134709B1 (ko) 2019-11-29 2020-07-16 주식회사 에네스지 링크 구조를 갖는 원격조종차량을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134712B1 (ko) 2019-11-29 2020-07-16 주식회사 에네스지 횡방향 구동력에 의해 탐촉자 상승이 가능한 원격조종차량을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176126B1 (ko) 2019-11-28 2020-11-09 주식회사 에네스지 레이저 트래커와 리플렉터의 회전이 가능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790A (ko)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에네스지 위상배열초음파와 레이저를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176126B1 (ko) 2019-11-28 2020-11-09 주식회사 에네스지 레이저 트래커와 리플렉터의 회전이 가능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134709B1 (ko) 2019-11-29 2020-07-16 주식회사 에네스지 링크 구조를 갖는 원격조종차량을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KR102134712B1 (ko) 2019-11-29 2020-07-16 주식회사 에네스지 횡방향 구동력에 의해 탐촉자 상승이 가능한 원격조종차량을 이용한 원전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측정용 원격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12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385Y1 (ko) 볼밸브의 누설시험장치
CN108088749A (zh) 管道压力试验装置及管道压力试验系统
KR100216708B1 (ko)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445751B1 (ko) 열교환을 이용한 극저온 밸브의 유체 누설량 측정장치
CN106371470B (zh) 腐蚀评价性试验溶解氧含量控制装置及方法
CN110260166A (zh) 一种地下管道气密性检查装置及其使用方法
US4282062A (en) Procedure and equipment for injecting gas into liquids
KR200494817Y1 (ko) 온도센서 보호관용 누출 시험장치
KR101840677B1 (ko)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리밸브 누설률 시험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CN212301092U (zh) 用于核电站氢气储罐进行离线水压试验的装置
KR20180000181U (ko) 볼 밸브의 차압식 누설 검사 장치
CN206787933U (zh) 油气管道压力综合教学实验装置
CN109883685A (zh) 一种电磁阀的检测装置及使用方法
CN109489776A (zh) 一种核电站ptr水池液位计校验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RU222129U1 (ru) Мобильный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я ручных гидронасосов
KR200454348Y1 (ko) 밸브의 가스누설량 측정장치
RU210069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лива, дегазации и наполнения газовых баллонов сжиженным газом
GB2264563A (en) A fitting for use in testing a fluid pipeline.
CN220248229U (zh) 一种基于不锈钢可回收运载火箭低温推进剂加注撬装置
JP2639692B2 (ja) 管内面のライニング補修工法
CN211697282U (zh) 一种管道试压装置
JPS6244993B2 (ko)
RU1795327C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герметичности элементов топливной систем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диоактивных индикаторов
Grebner Results of a bench mark test on the crack opening and leak rate calculation
RU1092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из напор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