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079B1 -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079B1
KR100216079B1 KR1019970004737A KR19970004737A KR100216079B1 KR 100216079 B1 KR100216079 B1 KR 100216079B1 KR 1019970004737 A KR1019970004737 A KR 1019970004737A KR 19970004737 A KR19970004737 A KR 19970004737A KR 100216079 B1 KR100216079 B1 KR 10021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xf
data
dxf
data forma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226A (ko
Inventor
김성룡
김영만
백송훈
김효실
안병익
한은영
김종록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0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0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0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용 데이타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형급 컴퓨터 환경하에서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환될 DXF 파일명과 생성될 KXF 데이타의 파일명을 입력받아 초기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DXF 파일의 헤더 부분의 매개변수들 값과 테이블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에 올리는 단계; DXF 파일의 블록 부분의 블록 정보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에 올리는 단계; DXF 파일의 도면요소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상에서 요소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면요소의 레이어를 주기억장치에 있는 레이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KXF의 데이타 타입에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면요소의 색상, 글자크기 등의 특성들을 KXF 데이타베이스의 시스템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단계; 추출된 도면요소를 변환함수를 이용하여 KXF 데이타베이스의 동일한 내용 및 특성을 갖는 데이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타를 KXF 데이타 파일에 추가시키는 단계; 및 DXF 파일의 도면요소가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존재하면 상기 도면요소 추출 단계로 분기하여 그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는경우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용 데이타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형급 컴퓨터 환경하에서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DXF(Data eXchange Format) 데이타 포맷이 KXF(Korea standard eXchange Format)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되지 않아 CAD 시스템에서 구축된 지리정보를 국가 표준 GIS 데이타 포맷으로 결정된 KXF를 지원하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XF 데이타 포맷 파일을 읽어서 매개변수 값 및 테이블 등의 정의 내용을 추출하고 블록 파일을 생성하며 DXF 데이타 포맷 파일의 그래픽 요소들을 추출된 값 및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내용을 갖는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DXF 데이타 포맷 구성도.
제3도는 KXF 데이타 포맷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DXF 데이터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 주기억장치
3 : 입출력 제어기 4 : 보조기억장치
5 : 입출력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환될 DXF 파일명과 생성될 KXF 데이타의 파일명을 입력받아 초기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DXF 파일의 헤더 부분의 매개변수들 값과 레이어 테이블, 라인 테이블, 스타일 테이블 등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에 올리는 매개변수와 테이블 추출 단계, DXF 파일의 블록 부분의 블록 정보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에 올리는 블록 추출 단계, DXF 파일의 도면요소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상에서 요소를 분류하는 도면요소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면요소의 레이어를 주기억장치에 있는 레이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KXF의 데이타 타입에 매칭시키는 레이어 처리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면요소의 색상, 글자크기 등의 특성들을 주기억장치에 있는 라인 테이블과 스타일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KXF 데이타베이스의 시스템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테이블 처리 단계, 추출된 도면요소를 변환함수를 이용하여 KXF 데이타베이스의 동일한 내용 및 특성을 갖는 데이타로 변환하는 도면 요소 변환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타를 KXF 데이타 파일에 추가시키는 KXF 데이타 생성과정 단계 및 DXF 파일의 도면요소가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DXF 상기 도면요소 추출 단계로 분기하여 그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형급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 관리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와,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작업수행 중 이용되는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2)와, 대량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4)와, 키보드, 표시장치,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5)와,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에 대한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기(3)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장치(5)는 일반적인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형급 컴퓨터에서 주기억장치(2)에는 본 발명의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어진다.
다음에서, DXF 데이타 포맷과 KXF 데이터 포맷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DXF 데이타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DXF 데이타 포맷은 헤더(Header), 테이블(Table), 블록(Block), 항목(Entities) 등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요소 그룹 코드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의 데이타 요소가 정의된다. 헤더 부분은 도면의 일반적인 정보를 갖는 매개변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이블 부분은 레이어(Layer), 라인 유형(Line Type) 테이블 등이 정의되어 있다. 블록 부분은 도면에서 사용되는 여러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블록은 여러 개의 도면 요소들을 포함한다. 항목 부분은 도면요소에 대한 실제 데이타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DXF에서 사용되는 도면요소는 라인, 폴리라인, 원, 아크(arc), 텍스트, 인서트(INSERT), ATTRIB, 차원(DIMENSION) 등이 있으며, 각각의 도면요소들은 그룹코드로 이루어진 개별적인 포맷을 가지고 있다.
제3도는 KXF 데이타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KXF 데이타 포맷은 미국연방 표준 GIS 포맷으로 정의된 SDTS(Spatial Database Transfer Standard)를 한국적 상황을 가미해 한국형 GIS 표준 포맷으로 만든 것으로, 총 5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은 수치지도 데이타의 적합성 여부, 개념적 모델 등을 정의하고, Part 2는 지리정보에 대한 속성 정보 및 용어 정의를, Part 3는 ISO 8211를 이용한 공간 데이터의 호환을 정의하고 있으며, Part 5, 6는 각각 벡터 및 래스터 프로파일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전환에 사용되는 KXF 데이터 포맷은 기본적으로 Part 4 벡터 프로파일 부분만을 이용하고 있으며 총 25개의 벡터 공간 객체 정의 모듈 중 식별(Identification), 카타로그/디렉토리(Catalog/Directory), 데이타 사전(Data Dictionary) 모듈 등 9개의 모듈을 상호 전환에 이용하고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타의 파일명과 생성되어질 KXF 파일명을 입력받아 새로운 KXF 데이타베이스를 생성하는 초기환경 설정과정(S1)을 수행한다. 초기환경이 설정된 후, DXF 파일의 헤더부분의 매개변수들 값과 테이블 부분의 레이어 테이블, 라인 테이블, 스타일 테이블 등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2)에 올리는 매개변수 및 테이블 추출과정(S2)을 수행한다. 그리고 DXF 파일의 블록부분의 블록 정보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2)에 올리는 블록추출 과정(S3)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의 수행 후, DXF 파일의 도면요소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 상에서 요소를 분류하는 도면요소 추출과정(S4)을 수행하고, 추출된 도면요소의 레이어를 주기억장치(2)에 있는 레이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KXF의 적정한 데이타 유형에 매칭시키는 레이어 처리과정(S5)을 수행하며, 추출된 도면요소의 색상, 글자크기 등 특성들을 주기억장치(2)에 있는 라인 테이블과 스타일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적정한 KXF 데이타베이스의 시스템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테이블 처리과정(S6)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 수행 후, 추출된 도면요소가 블록을 참조하는지 검사(S6-1)하여, 블록이 존재할 경우 주기억장치(2)에 있는 블록 테이블에서 해당 블록을 검색하여 데이타를 변환시키는 블록 처리과정(S6-2)을 수행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블록 처리 과정은 변환된 도면요소로부터 블록이 삽입될 위치와 축척, 레이어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블록 변환 수행시 이들 정보를 적용하여 DXF 데이타 파일과 동일한 내용을 갖는 KXF 데이타를 생성한다. 상기의 과정을 수행한 후, 추출된 도면요소를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KXF 데이타베이스에 동일한 내용 및 특성을 갖는 데이타로 변환하는 도면요소 변환과정(S7)을 수행하며, 변환된 데이타를 보조기억장치(4)에 있는 KXF 데이타베이스 파일에 추가시키는 KXF 데이타 생성과정(S8)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 수행 후, DXF 파일의 도면요소가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존재한다면 DXF 도면 요소 추출과정(S4)으로 분기하여 그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더이상 도면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변환 수행 작업을 종료한다(S9).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CAD 시스템에서 구축된 도면 및 시설정보 데이타를 국가 표준 포맷인 KXF를 지원하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데이타 구축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환될 DXF 파일명과 생성될 KXF 데이타의 파일명을 입력받아 초기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DXF 파일의 헤더 부분의 매개변수들 값과 레이어 테이블, 라인 테이블, 스타일 테이블 등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에 올리는 매개변수와 테이블 추출 단계, DXF 파일의 블록 부분의 블록 정보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에 올리는 블록 추출 단계, DXF 파일의 도면요소들을 추출하여 주기억장치상에서 요소를 분류하는 도면요소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면요소의 레이어를 주기억장치에 있는 레이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KXF의 데이타 타입에 매칭시키는 레이어 처리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면요소의 색상, 글자크기 등의 특성들을 주기억장치에 있는 라인 테이블과 스타일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KXF 데이타베이스의 시스템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테이블 처리 단계, 추출된 도면요소를 변환함수를 이용하여 KXF 데이타베이스의 동일한 내용 및 특성을 갖는 데이타로 변환하는 도면요소 변환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타를 KXF 데이타 파일에 추가시키는 KXF 데이타 생성과정 단계 및 DXF 파일의 도면요소가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존재하면 상기 도면요소 추출 단계로 분기하여 그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처리단계 수행 후 추출된 도면요소에 블록이 존재할 경우 주기억장치에 있는 블록 테이블에서 해당 블록을 검색하여 데이타를 변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 처리 과정은 변환된 도면요소로부터 블록이 삽입될 위치와 축척, 레이어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블록 변환 수행시 이들 정보를 적용하여 DXF 데이타 파일과 동일한 내용을 갖는 KXF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KR1019970004737A 1997-02-17 1997-02-17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KR10021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737A KR100216079B1 (ko) 1997-02-17 1997-02-17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737A KR100216079B1 (ko) 1997-02-17 1997-02-17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26A KR19980068226A (ko) 1998-10-15
KR100216079B1 true KR100216079B1 (ko) 1999-08-16

Family

ID=1949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737A KR100216079B1 (ko) 1997-02-17 1997-02-17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14A (ko) * 2002-08-01 2004-02-11 김창수 이동 컴퓨팅 환경을 위한 지리정보 데이터 용량 축약 방법
CN113642054A (zh) * 2021-07-28 2021-11-12 通号城市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Cad图纸数据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26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27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font substitution of string characters
US20150317413A1 (en) Flexible cad format
US71208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sion of directly-assigned format attributes to styles in a document
JPH0785137A (ja) Cadライブラリモデルの作成装置
CN113051885A (zh) 基于AutoCAD的设计图纸快速排版方法
CN115906360A (zh) 排水系统cad-gis数据转换及标准标注方法和装置
KR20210049498A (ko) 웹브라우저 및 가상/증강현실 기기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변환/추출 방법
CN105528345A (zh) 终端、服务器和补字方法
KR100216079B1 (ko) Dxf 데이타 포맷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US20020089503A1 (en)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216078B1 (ko) Kxf 데이타 포맷을 d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KR20010044367A (ko) 디엑스에프 파일을 지오매니아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KR100216068B1 (ko) 디엑스에프 데이타 포멧을 인포맵 데이타베이스로 변환시키는 방법
KR100223058B1 (ko) KXF 파일을 아크인포(Arc/Info)중간 파일로 변환시키는 방법
CN111079399B (zh) 图文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850979B2 (ja) 文字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236838B1 (ko) 아크인포 중간 파일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KR0175738B1 (ko) 인포맵 데이타베이스를 디엑스에프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KR100237878B1 (ko) Kxf 데이터 포맷을 인포맵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KR100237877B1 (ko) 케이엑스에프 데이터 포맷을 고딕 중간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KR100237879B1 (ko) 고딕 중간 파일을 케이엑스에프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
TW459191B (en) Method for expanding and updating the electronic dictionary
KR100539459B1 (ko) 다국어 화면전환 방법
JP4114812B2 (ja) 記号画像の管理方法
JP2993881B2 (ja) キーワード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