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928B1 -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928B1
KR100214928B1 KR1019940009831A KR19940009831A KR100214928B1 KR 100214928 B1 KR100214928 B1 KR 100214928B1 KR 1019940009831 A KR1019940009831 A KR 1019940009831A KR 19940009831 A KR19940009831 A KR 19940009831A KR 100214928 B1 KR100214928 B1 KR 10021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deposit
wall
generally
spaced apa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엘세서 존
앤터니 네로 레이몬
제임스 로즐로스닉 앨런
Original Assignee
워프 앨밴 더블류.
다이볼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프 앨밴 더블류., 다이볼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프 앨밴 더블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6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having provision for multiple compartments
    • E05G1/08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having provision for multiple compartments secured individually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대여금고 보관구조는 연속적인 금속박판으로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은 측벽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진 후벽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돌출한 융기부는 각 측벽의 내부표면을 따라 확장한다. 상부벽과 하부벽은 개방전단부를 가진 박스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직격벽이 측벽사이에 배치되고 측벽에 대해 평행하다. 수직격벽은 일반적으로 평평하며,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를 가진다.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슬롯은 융기부안에서 형성된다. 슬롯은 일반적으로 상부벽과 하부벽에 대해 평행하다. 다수의 수평선반은 대여금고를 수용하기 위하여 박스구조안에 칸막이를 한정한는 슬롯, 수직격벽 및 수평선반에서 수용되어지는 크기이다. 도어프레임은 하우징의 개방전 단부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은 하우징안에 한정된 칸막이의 수와 같은 수의 다수의 잠김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다수의 같은 크기의 개별적인 구성부품을 가진 대여금고시스템의 사시도.
제2도는 시스템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도어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제1도에 도시된 대여금고시스템의 분해사시도.
제3a도는 시스템하우징을 형성할 때 사용된 기본 구성부품의 분해도.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대여금고시스템을 형성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선반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6-6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선반장착표면을 도시하는 시스템하우징의 한 측벽을 관통하는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장착표면의 확대입면도.
제9도는 내부에 형성된 선반장착표면을 도시하는 수직부분의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선반장착표면의 측입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적인 장착표면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12a-12f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구성부품의 크기를 도시한 상이한 대여금고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제13a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수한 힌지/래치 포스트를 예시한 대여금고시스템의 부분적인 정입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13A-13A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14도는 금전출납 서랍(teller trays)을 저장하기 위한 크기인 구성부품을 포함하는데 사용된 도어를 도시한 도어프레임어셈블리의 사시도.
제15a-15c도는 특수형태의 도어프레임에 사용될 수 있는 세가지 형태의 도어프레임판의 상부평면도.
제16a-16e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대여금고시스템과 그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상이한 구성부품크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제17a도 및 제17b도는 어셈블리가 더욱 단단한 구성을 제공한 뒤 변형될 수 있는 어떤 대여금고시스템의 구성부품을 도시하는 한 측벽을 관통하는 확대단면도.
제17c도는 제17a도 및 제17b도에 도시한 선반와 측벽의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여금고어셈블리 14 : 도어어셈블리
20 : 프레임 34 : 융기부
60 : 상부벽 64 : 플랜지
70 : 하부벽 80, 82 : 수직격벽
100, 102, 104 : 수평선반 108 : 측면플랜지
110 : 후부플래지 112 : 전부플랜지
124, 126 : 버팀기둥 130, 132, 134 : 도어플레이트
140 : 힌지포스트 142 : 래치포스트
144 : 힌지/래치 조합포스트
본 발명은 대여금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여금고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모듈라형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여금고시스템은 잘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금융기관의 금고실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여금고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칸막이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안에 각각의 칸막이는 보관박스를 수용한다. 그 각각의 칸막이안에 각 보관박스를 잠그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대부분의 금융기관은 다양한 크기로 된 대여금고를 서로 다른 비용으로 고객에게 빌려주기를 희망한다. 따라서, 대여금고시스템은 다양한 서로 다른 박스크기 혹은 박스크기의 조합 예를 들면, 3×5박스, 3×10박스, 5×5박스, 5×10박스 혹은 10×10박스등으로 이용가능하다.
특수한 크기의 대여금고 혹은 상이한 크기로 그룹을 진 대여금고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금융기관의 요구를 조화시키기 위하여, 모듈라 대여금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제한된 수의 표준화된 구성부품 즉, 선반와 분할기는 표준 하우징안에 상이한 크기의 칸막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러한 많은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다른 구성부품에서의 보충슬롯 혹은 노치안으로 확장하는 구성부품상의 탭을 통해 어셈블리된다. 다른 시스템은 여전히 적절한곳에 표준화된 구성부품을 용접함으로써 어셈블리된다. 앞선 형태의 어셈블리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부품이 기본적으로 서로 고정되어있지 않으므로, 구성부품은 느슨한 고정구성부품을 통해 흐트러진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당히 단단한 물질로 제조된다. 서로 용접된 용기어셈블리의 경우, 더 얇아진 물질이 구성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대여금고시스템을 어셈블리하기 위한 제작비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을 극복하며 비교적 얇은 금속박판으로 제조된 구성부품을 사용하는 모듈라 대여금고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성부품은 접착물질 혹은 단단하고 강한 대여금고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폿용접을 함으로써 서로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연속적인 금속박판으로 형성된 주조로 이루어진 대여금고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주조는 측벽에서 떨어져 공간을 둔 후벽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안으로 돌출한 융기부는 각측벽의 내부표면을 따라 확장한다. 상부벽 및 하부벽은 개방된 전단부를 가진 박스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조에 단단히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할기는 측벽사이에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 수직분할기는 일반적으로 평평하며 그 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를 가진다. 주름부는 분할기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융기부를 가진다. 다수의 공간을 두고 분리된 슬롯은 융기부안에서 형성되고, 이 슬롯은 일반적으로 상부와 하부벽에 대해 평행하다. 다수의 수평분할기는 슬롯안에 수용되어지는 크기로 된 측면단부를 가지고 제공된다. 수직분할기와 수평분할기는 대여금고를 수용하기 위하여 박스구조안에 칸막이를 한정한다. 도어프레임은 주조의 개방된 전단부에 단단히 연결된다. 도어프레임은 칸막이수와 같은 수의 다수의 잠김도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목적은 쉽게 어셈블리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크기의 칸막이는 가장 작은 수의 같은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 대여금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금속재료의 평박판에서 틀로 찍어내진 부분으로 된 앞서 공지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재료 혹은 스폿용접에 의해 서로 단단히 고정된 부분으로 된 앞서 공지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앞서 공지한 대여금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모듈라 하우징구조가 사용되며 그러한 하우징에 어셈블리된 상이한 크기의 칸막이는 수직분할기 및 수평선반에 의해 하우징안에서 형성될 수 있는 모듈라 대여금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펴쇄칸막이에 필요한 안전도어가 하우징에 부착한 도어프레임 어셈블리위에 제공되는 앞서 공지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셈블리가 표준칸막이로 형성되며 도어크기는 그러한 칸막이를 사용하여 변형될 수 있는 앞서 공지한 바와 같은 도어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과 그밖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부분 및 배열부분으로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자세히 공지되고 이하 첨부된 도면에서 예시된 실시예는 물리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목적이며, 본 실시예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대여금고구조(10)를 도시한 것이다. 대여금고구조(10)는 기본적으로 도어어셈블리(14)에 부착된 개방된 전단부를 가진 박스모양의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제3도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기본적으로 U-자형프레임(20)과 U-자형프레임에 부작되는 상부벽(60) 및 하부벽(70)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20)은 단일박판의 재료로 형성되며 후벽(22)과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인 반대측벽(24,26)을 한정하기 위한 모양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프레임(20)은 제3도에 도시한 모양으로 미리 어셈블리된 세부분의 구조(즉, 후벽(22)과 측벽(24,26))이다. 후벽(22)과 측벽(24,26)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프레임(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립(lip)(28)을 한정하기 위하여 안으로 휘어져 있다.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개구부(32)는 각 측벽의 전단부로 확장한다. 개구부(32)는 측벽(24,26)의 전단부를 따라 예정된 위치에 위치되어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여금고구조(10)의 어셈블리를 조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측벽(24,26)은 측벽(24,26)의 상부에서 하부로 확장하는 한쌍의 나란히 연장된 융기부(34)룰 포함한다. 융기부(34)는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후벽(22)에 평행하다. 제7도 및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각각의 융기부(34)는 횡단면이 V-자모양이며, 반대측벽을 향해 돌출한 꼭대기부(36)를 가진다. 각 융기부(34)는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노치(40)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치(40)는 제8도에 상세히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개방된 단부에 면한 나팔꽃모양으로 벌어진 개방단부(40a)를 가지도록 형성되었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치(40)는 각 융기부(34)를 따라 예정된 위치에 제공되며, 각 융기부(34)안에 노치(40)는 측벽(24,26)에 형성된 각각의 다른 융기부(34)안에 노치(40)에 대한 위치와 동일한 수이다. 제7도와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4,26)안에 융기부(34)에서 형성된 각각의 노치(40)는 일반적으로 V-자모양 지지표면(42)인 상승단면을 한정한다.
측벽(24,26)과 후벽(22)은 또한 제11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열로 배열된 다수의 요(凹)부(indentation)(50)를 포함한다.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요부(50)는 열로 배열되고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이며, 측벽(24,26)에 형성된 융기부(34)에 평행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24,26)과 후벽(22)은 또한 제3도와 제11도에 상세히 도시된 다수의 요부(5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스탬핑(stamping)공정에 위해 형성될 수 있는 각각의 요부(50)는 일반적으로 둥글게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요부 지지표면(52)인 상승단면을 한정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요부(50)는 각기 3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요부(50)를 포함하는 수직열로 배열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요부(50)의 각열은 각 측벽위에 융기부(34)에 대해 평행하게 융기부사이에 제공된다. 2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요부(50)는 후벽(22)을 따라 제공된다. 융기부(50)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벽(24,26)과 후벽(22)을 따라 특정위치에 제공된다.
앞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상부벽(60)과 하부벽(70)을 참고로 하면, 상부벽(60)과 하부벽(70)을 프레임(20)의 상부벽 및 하부벽에 부착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단지 프레임(20)에 부착을 위하여 반대방향으로 대향되어 있는 동일구성부품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일반적으로 상부벽과 하부벽에 형성된 3개의 상승판넬(62)을 가진 평평한 박판으로 구성된다. 상승판넬(62)은 상부벽(60)과 하부벽(70)의 주변에 대하여 비연속적인 플랜지(64)를 한정한다. 상승판넬(64)사이에 일반적으로 한쌍의 U-자모양 채널(66)이 형성되며, 채널(66)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그루브(68)를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열된 직사각형 개구부(72)는 예정된 위치에 있는 각각의 판널에 형성된다. 특히, 직사각형슬롯(72)은 일반적으로 각 판널의 중심라인을 따라 배열된다.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개구부(74)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질 바와 같이 박스와 같은 하우징(12)에 대하여 도어어셈블리(14)의 어셈블리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상부벽(60)과 하부벽(70)의 한 에지를 따라 형성된다.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박스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U-자형프레임(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된다. 박스구조는 개방전단부를 가진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중간-챔버(inter-chamber)를 한정한다. 이점에서,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프레임(20)과 맞추기 위한 크기이다. 여기서, 상부벽(60)과 하부벽(70)의 주변에 플랜지(64)는 제6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립(28)과 인접한다.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라서,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접착본드물질에 의해 프레임(2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접착본드물질은 상부벽(60)과 하부벽(70)위의 플랜지(64)와 프레임(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위에 형성된 립(28)사이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접착본드물질은 빠른 경화조성 접착제이거나 양면접착 테이프임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펜실바니아, 에리에, 로드 인더스트리얼 어드히시브에서 제조된 제품명 VERSILOK 201의 아크릴조성 접착제가 충분한 접착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또한 통상적으로 알려진 스폿용접기술에 위해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된다.
동시에, 프레임(20) 및 상부벽(60)과 하부벽(70)은 개방단부를 가지며 일반적인 직사각형 중공을 한정하는 박스형태의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박스형태구조에 의해 형성된 중공은 수직격벽(80,82)과 수평선반(100,102,104)에 의해 다수의 칸막이로 나뉘어진다. 중요하게, 박스형태의 구조안에서 형성된 칸막이의 수와 크기는 이하 더욱 상세히 공지하는 바와 같이, 사용한 격벽(80,82)과 선반(90,92,94)의 위치, 형태 및 수를 근거로 변화할 수 있다.
제3도와 수직격벽(80,82)을 참고로 하면, 수직격벽(80)은 하우징(12)에 의해 한정된 중공안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직사각형공간안으로 중공을 분할하도록 제공된다. 도면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다른 해석으로부터 더욱 상세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수의 수직격벽은 일반적으로 동일하며 바꿀 수 있다. 이 점에서, 각 형태의 단지 하나의 수직격벽(80,82)이 상세히 공지될 것이며, 그러한 설명으로 나머지 같은 수의 수직격벽에 동일하게 적용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수직격벽(80)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있는 플랜지(84)를 옆으로 확장하도록 평평한 박판형태이다. 한쌍의 나란한,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인 Z-모양주름부는 수직격벽(80)의 표면을 따라 확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9도에 횡단면으로 도시된 각각의 주름부(86)는 수직격벽(80)의 반대측면으로 확장하는 반대 돌출융기부(88)를 포함한다. 융기부(88)는 수직격벽(80)의 표면으로부터 예정된 거리를 돌출된다.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노치(90)는 예정된 위치에 각 주름부(86)에서 형성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하우징의 개방단부에 가장 근접한 노치(90)의 상승단부 즉, 노치(90)의 단부는 박스형태 하우징(12)의 개방단부를 향하여 확장된 개구부(90a)를 제공하기 위하여 확대된다. 노치(90), 각각은 상부대향 노치 지지표면(92)을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직격벽(80)은 박스형태 하우징(12)에 의해 한정된 중공안에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동일단면안으로 그러한 중공을 분할하도록 하는 크기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격벽(80)의 상단부와 하단부위에 플랜지(84)는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서의 채널(66)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안에 수용되어지고, 접착본드물질에 의해 바람직하게 고정되도록 적용된다. 수직격벽(80)은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스폿용접기술에 의해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 또한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격벽(80)은 일반적으로 하우징(12)의 어셈블리동안 삽입된다. 이 점에서, 수직격벽(8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거 하우징(12)에 의해 3개의 일반적인 동일단면으로 한정된 챔버를 분할하기 위하여 측벽(24,26)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수직격벽(82)을 참고로 하면, 이러한 격벽은 일반적으로 이전에 논의된 수직격벽(80)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대부분 유사하다. 더욱 특히, 각각의 수직격벽(82)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Z-모양 주름부(86)를 가진 평평한 박판으로 형성된다. Z-모양 주름부는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격벽(82)의 표면을 따라 확장한다.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노치(90)는 각 주름부(86)에서 형성되고, 노치(90)는 수직격벽(80)에서 제공된 노치(90)에 대한 모양 및 위치에 대응한다. 더욱이, 수직격벽(82)은 또한 다수의 요부(50)를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부(50)는 나란한 평행의 3열로 배치되며, 여기서, 한 열에서의 요부(50)는 수직판넬(82)의 한 측면에 돌출하고, 나머지 열에서의 요부(50)는 수직판넬(82)의 나머지 측면에 돌출한다. 수직격벽(82)은 이전에 언급된 수직격벽(80)사이에 위치하고 측벽(24,26)은 챔버를 더욱 작아진 단면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점에서, 격벽(82)은 챔버안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크기이며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 각각 형성된 슬롯(72)안에 수용된 상부 및 하단부위에 탭(94)을 포함한다. 특히,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72)은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 위치됨이 바람직함으로써 수직격벽(82)이 하우징안에 장착될 때, 박스구조안의 챔버를 6개의 일반적으로 동일한 단면으로 분할한다. 이 점에서, 수직격벽(82)은 하우징(12)안에 장소안에 잠그기위한 크기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12)은 제3b도에 나타내고 도시한 3가지 형태의 선반(100,102,104)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선반(100,102,104)은 기본적으로 구조상 유사하고 그 폭에서만 상이하다. 각 선반은 일반적으로, 상승된, 직사각형 중심판넬(106) 및 선반의 측면에지를 따라 중심판넬(106)에서 확장한 측면플랜지(108)를 가지도록 형성된 평평한 박판이다.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08)는 일반적으로 평행하며 상승판넬(106)의 표면으로부터 벗어나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선반(100,102,104)은 한 단부에서 아래로 회전하는 후부플랜지(110)와 다른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한 전부플랜지(112)를 포함한다.
가장 좁은 선반인 선반(100)은 수직격벽(80)과 수직격벽(82)사이에 한정된 개구부안에 혹은 수직격벽(82)과 측벽(24,26)사이에서 한정된 개구부사이에 위치시키시 위한 크기이다. 이 점에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의 플랜지(108)는 주름부(34,86)안에 각각 형성된 노치(40,90)안으로 미끌어지게 하기 위한 크기이다. 제2도는 대여금고를 도시한다. 여기서, 두 개의 수직격벽(80,82)이 사용되며, 좁은 선반(100)이 그 사이에 위치된다. 선반(100)의 전체폭(즉, 측면플랜지(108)의 에지를 가로지르는 크기)은 측벽(24,26)사이에 한정된 개구부의 크기에 대략 1/6이다. 바꾸어 말하면, 6개의 선반(100)은 그러한 개구부에서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6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선반(100)의 7열은 측벽(24,26)사이에 위치된다. 이 점에서, 도면에서 C로 표시된 42개의 칸막이는 하우징(12)안으로 한정된다.
중간크기 선반(102)은 수직격벽(80)사이에서 한정된 개구부에 그리고 수직격벽(80)과 측벽(24,26)사이에서 한정된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크기이다. 이 점에서, 3개의 선반(102)은 측벽(24,26)사이에 한정된 간격에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간크기 선반(102)의 전체폭(즉, 측면플랜지(108)의 에지로 부터)은 측벽(24,26)사이에 한정된 개구부 크기의 대략 1/3과 같다.
넓은 선반(104)은 중심에 위치한 수직격벽(82)과 측벽(24,26)사이에서 한정된 개구부안에 꼭 맞는 크기이다. 이 점에서, 넓은 선반(104)의 전체폭(즉, 측면플랜지(108)의 에지사이)은 측벽(24,26)사이에서 한정된 개구부 크기의 대략 1/2이다. 따라서, 2개의 선반(104)은 그러한 간격내에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더욱 상세히 공지되는 바와 같이, 특수 대여금고 어셈블리(10)에서 사용된 선반의 특수한 크기와 수는 그 안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칸막이의 크기를 기본으로 할 것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어셈블리(14)를 참고로 하면, 어셈블리(14)는 그 전단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하우징(12)과 사용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도어어셈블리(114)는 기본적으로 헤더(120), 문턱(122) 및 직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나사죔쇠에 의해 바람직하게 서로 고정된 대향버팀기둥(124,126)으로 구성된다. 직사각형 프레임에 더하여, 즉, 헤더(120), 문턱(122) 및 버팀기둥(124,126)에 더하여, 도어어셈블리(14)는 또한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에 도시된 다수의 도어플레이트(130 혹은 132 혹은 134)와 제4도와 제13a도에 도시한 다수의 도어포스트(140 혹은 142 혹은 144)를 포함한다. 특별한 도어어셈블리(14)에서 사용된 포스트(140,142,144)의 수와 형태뿐만 아니라 플레이트(130,132,134)의 수와 형태는 부착될 하우징(12)의 주름부에 의거한다(즉, 하우징(12)안에 칸막이의 크기와 수에 의거한다). 헤더(120), 문턱(122), 버팀기둥(124,126), 플레이트(130,132,134) 및 포스트(140, 142, 144)는 알루미늄 사출성형제품이 바람직하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120)와 문턱(122)은 각기 일반적으로 횡단면에서 직각인 본체부(152)와 후부에지를 따르는 소재지 즉, 요부를 한정하는 후방으로 확장하는 얇은 선반부(154)를 포함한다. 간격을 두고 떨어진 개구부(156)의 제1세트(제2도 참조)는 헤더(120)와 문턱(122)의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그 본체부(152)를 통해 확장한다. 개구부(156)는 헤더(120)와 문턱(122)을 따라 예정된 지점에 위치되어 포스트(140 혹은 142 혹은 144)에 필요한 위치를 설정한다. 이 점에서, 이들 예정된 위치사이에 간격은 하우징(12)에 있는 수직격벽(80,82)사이에서 설정된 간격과 일치한다. 간격을 두고 떨어진 개구부(158)의 제2세트는 헤더(120)와 문턱(122)의 선반부(154)를 통해 제공된다(제2도 참조). 개구부(158)는 도어프레임 어셈블리(14)를 하우징(12)에 대해 어셈블리할 목적으로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서 형성된 개구부(74)와 함께 등록부에 위치된다.
헤더(120)의 단부를 문턱(122)의 단부에 연결하는 버팀기둥(124,126)은 일반적으로 본래 같은 모양이며 따라서, 하나의 버팀기둥(124)만을 상세히 공지하였다. 이러한 설명이 버팀기둥(124)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제4도에서 횡단면으로 도시한 버팀기둥(124)은 일반적으로 횡단면에서 직각이며, 두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립(162,164)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립(162,164)은 일반적으로 버팀기둥(124)의 길이를 따라 확장하고 서로 평행하다. 플랜지(166)는 버팀기둥(124)의 후부에지를 따라 제공되며 립(164)와 함께 후부대향 요부의 인접한 립(164)을 형성한다.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열된 개구부(172)의 제1세트는 버팀기둥(124)의 본체부의 세로와 길이를 따라 제공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72)는 도어플레이트(130 혹은 132 혹은 134)를 버팀기둥(126)에 장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점에서, 개구부(172)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음으로써 하우징(12)안에 선반에 대하여 도어플레이트(130 혹은 132 혹은 134)를 위치시킨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열된 개구부(174)의 제2세트는 버팀기둥(124)의 플랜지(166)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74)는 도어프레임 어셈블리(14)를 하우징(12)에 부착할 목적으로 하우징(12)의 측벽(24,26)에 있는 개구부(32)와 함께 등록부에 위치된다.
도어포스트(140,142,144)를 참고로 하면, 세개의 다른 형태의 포스트 즉, 힌지포스트(140), 래치포스트(142) 및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수한 대여금고 어셈블리(10)에서 사용된 이러한 형태와 수의 포스트는 어셈블리(10)의 주름부 즉, 그 안에서 형성될 개별적인 칸막이의 수와 형태에 의존적일 것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포스트(140)와 래치포스트(142)가 이용된다.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여금고 어셈블리(10)의 다른 주름부에서 이용된다.
제4도에 횡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포스트(140)는 일반적으로 횡단면에서 직각이며 힌지포스트(140)의 전단부에서 밖으로 돌출하고 그 전체길이를 따라 확장하는 평면도어 힌지장착부재(182)를 포함한다. 힌지장착부(182)는 도어위에 힌지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다수의 장착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후부대향 그루브(184)는 힌지포스트(140)의 길이를 따라 확장한다. 그루브(184)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격벽(80,82)의 에지를 수용하기위한 크기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포스트(142)는 일반적으로 그 한 에지를 따라 확장된 부분(192)을 가지는 평평한 봉이다. 확장부(192)는 확장부안에 형성된 그루브(194)를 가짐으로써 수직격벽(80,82)의 에지를 수용한다. 직사각형립(196)는 래치포스트(14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그 길이를 따라 확장한다. 이러한 립(196)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잠금표면을 한정한다.
제13b도를 참고로 하면,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를 횡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래치포스트(142) 및 힌지포스트(144)와 같이,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는 그 후부에지를 따라 확장하는 후부대향 그루브(202)를 가지기 위하여 형성되어 수직격벽(80)의 에지를 수용하는 사출성형제품이 바람직하다. 반대에지는 평평한 플레이트(204)와 같이 형성된다. 직사각형립(206)(잠금표면을 제공하는)는 힌지/래치포스트(144)의 한 측면에서 확장하며 그 길이를 따라 확장한다.
특수한 대여금고 어셈블리(10)에서 사용된 포스트 혹은 복수개 포스트의 수, 형태 및 위치는 그 안에서 형성되어질 칸막이의 바람직한 수와 형태에 의거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달리 간격을 두고 떨어진 힌지포스트(140)와 래치포스트(142)는 도어어셈블리(14)안에 제공된다.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를 참고로 하면, 3가지 형태의 도어플레이트(130,132,134)는 본 발명에 따라 대여금고 구조(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도어플레이트는 평면도로 도시되어있다.
도어플레이트(130,132,134)는 버팀기둥(124,126)에 걸치게 하기 위하여 버팀기둥에 부착될 크기이다. 이 점에서, 도어플레이트(130,132,134)는 연장된 부재이다. 각각의 연장된 부재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횡단면에서 각기 유사하고 제5도에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각각의 도어플레이트(130 혹은 132 혹은 134)의 말단부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탭(208)을 포함한다. 탬(208)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팀기둥(124,126)의 립(162,164)사이에서 한정된 슬롯에 수용되어지는 크기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플레이트(130)가 이용된다. 도어플레이트(130)는 일반적으로 문턱(122)과 헤더(120)에 평행하게 대향되어있다. 제5도에 횡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플레이트(130)는 일반적으로 각이진 모양이며 일반적으로 하우징(12)안에 선반(100)에 대하여 확장하도록 형성된다. 이 점에서, 플레이트(130)의 후부에지는 제15b도에 도시한 확장된 슬롯(212)을 포함한다. 이는 플레이트(130)의 길이를 따라 확장한다. 슬롯(212)은 선반(100)의 전부에지상에서 전부플랜지(112)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임으로써 플레이트(130)의 상부표면과 선반(100)의 대응하는 상부표면은 동일평면상에 배열된다. 도어플레이트(130)가 힌지포스트(140) 및 래치포스트(142)와 함께 횡단하고 잠겨지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노치(214,216)는 도어플레이트(130)의 후부에지를 따르는 예정된 위치에서 형성되며, 노치(214)는 힌지포스트(140)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이고, 노치(216)는 래치포스트(142)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이다. 이 점에서, 도어플레이트(130)는 3개의 힌지포스트(140)와 2개의 래치포스트(142)를 수용하기 위하여 노치된다. 제15b도와 제15c도는 주름부 즉, 대여금고(10)에서 칸막이C의 크기와 수를 변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도어플레이트(132,134)를 도시한다. 제1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플레이트(132)는 힌지포스트(140)와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룰 각기 수용하기 위한 크기인 2개의 노치(214,216)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5c도는 힌지포스트(140)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 안에 형성된 중심노치(214)를 가지는 도어플레이트(134)를 도시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어플레이트(132,134)는 그 안에서 형성된 노치(214,216)의 위치, 수 및 형태를 제외하고는 이전에 공지한 도어플레이트(130)와 유사하다. 이 점에서, 도어플레이트(130,132,134)의 일반적인 횡단면, 전체길이 및 모양은 유사하며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다.
대여금고 도어(220)는 힌지포스트(140)이거나 혹은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대여금고 어셈블리(10)안에서 형성된 각 칸막이C를 밀봉한다. 이해된 바와 같이, 도어(220)는 칸막이 C에 의해 한정된 개구부안에 수용되기 위한 크기이다. 각각의 도어(220)는 잠금하우징(222)과 도어(220)를 통해 잠금하우징(222)으로 확장하는 2개의 키패드(224)를 포함한다. 이동성래치(226)는 잠금하우징(222)에서 확장하며,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버팀기둥(124), 힌지포스트(140)이거나 혹은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위에 각기 립(162,196,206)을 맞물리도록 작동한다. 제4도는 버팀기둥(124)과 힌지포스트(140)를 사용하는 대여금고를 도시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는, 42개의 칸막이 C를 가진 대여금고(10) 어셈블리가 도시되어있다. 따라서, 도어어셈블리(14)는 대여금고 어셈블리(10)에서 한정된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크기인 42개의 도어(220)를 가진다. 이전에 공지된 대여금고 어셈블리(10)의 일반적인 구성은 서로 다른 크기의 칸막이 C를 가진 대여금고 어셈블리의 구조에 적합하다. 예컨대, 제12a도 내지 제12f도는 이전에 공지된 기본구성부품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는 대여금고 어셈블리(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점에서, 제12a도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대여금고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모양인 반면에 제12b도 내지 제12f도는 다른 대여금고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제12b도 내지 제12e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격벽(82)은 더욱 넓은 칸막이 C를 생산하기 위하여 제거되었다. 특정한 위치에 선반(102)을 위치시킴으로써, 각 칸막이C의 높이는 변화가능하다. 이 점에서, 측벽(24,26)과 수직격벽(80)에서 형성된 노치(40)는 제12b도, 제12c도, 제12d도 및 제12e도에 각기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102)이 7, 4, 3, 혹은 2개의 쌓여진 칸막이로 한정하기 위하여 위치시키도록 배치된다. 제12b도 내지 제12e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포스트(140)와 힌지/래치 조합포스트(144)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제12c도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배열은 제13a도와 제13b도에 예시하였다.
제12f도는 금전출납 서랍(은행의 금전 출납원이 사용하는 서랍)의 보관에 필요한 넓고, 짧은 칸막이를 한정하는 대여금고 어셈블리(1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수직벽격(80)은 하우징(12)의 구조동안에 제거되고 단일수직격벽(82)이 하우징(12)안에 중심에 위치된다. 선반(104)은 하우징(12)안에 위치되어 8개의 짧고, 넓은 칸막이 C를 한정한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러한 금고어셈블리에 필요한 도어어셈블리(14)는 중심 힌지포스트(140)와 도어플레이트를 포함한다.이러한 칸막이 C는 은행의 금전 출납원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금전출납 서랍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요부(50)는 그러한 금전출납 서랍을 지지하는데 사용된 선반(104)에 필요한 추가 지지부를 제rhd하기 위하여 원래 제공되어진다. 이 점에서, 그러한 금전출납 서랍은 일반적으로, 선반(104)위에 영향을 미치는 상당한 무게를 가져오는 많은 양의 동전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선반(104)의 무게와 폭은 선반을 내려앉게 한다. 요부(50)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요부(50)는 요부 지지표면(52)이 대응노치(40,90)의 대응노치 지지표면(42,92) 약간 아래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요부(50)는 노치(40,90)에 대하여 특정한 높이에 위치된다. 이 요부는 제12f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여금고 어셈블리에서 선반을 지지한다. 노치(90)에 대한 일반적인 요부(50)의 위치는 제5도에 자세히 도시된다. 도시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부(50)는 요부 지지표면(52)이 노치 지지표면(42,92)보다 대략 0.030인치 아래에 있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설계와 다수의 서로 다른 대여금고 구조안에 쉽고 빠르게 구성될 수 있는 기본칸막이의 특정수를 제공한다. 여기서, 각각의 대여금고 구조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저장칸막이를 가질 수 있다. 더욱 중요하게, 본 발명은 빠르고 쉬운 구조의 그러한 대여금고에 적합하다. 이 점에서, 상부벽(60)과 하부벽(70)을 프레임(20)에 단단히 고정하고, 수직격벽(80)을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 혹은 스폿용접을 사용하는 것은 기계적으로 동일하게 고정시키는 것의 비용과 경비를 제거한다. 기본 하우징(12)이 어셈블리되자마자, 수직격벽(82)의 추가와 선반(100 혹은 102 혹은 104)의 위치는 상부벽(60)과 하부벽(70)에 있는 슬롯(72)의 위치안에 격벽(82)위에 있는 탭(94)을 단순히 조이고 특정한 크기의 칸막이 개구부를 한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는 노치(40,90)안에 적당한 선반(100,102)의 플랜지(108)를 미끌어지게함으로써 쉽게 성취된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표준크기 대여금고 칸막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이 점에서, 측벽(24,26)과 수직격벽(80,82)안에 노치(40,90)는 하우징(12)안에 한정된 개구부를 7, 4, 3이거나 혹은 2개의 수평공간으로 분할시키도록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수직격벽(80,82)은 2, 3이거나 혹은 6개의 동일한 크기의 나란한 수직격벽으로 하우징(12)의 개구부를 수직으로 분할하기 위한 크기이다. 따라서, 제12a도 내지 제12f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서로 다른 크기의 칸막이는 앞서 공지된 칸막이를 사용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이 쉽게 제조되고 빨리 어셈블리되는 대여금고 구조를 제공하면서 또한, 그 결과적인 구조는 구성부품의 잠김성질로 인하여 아주 단단하다. 이 점에서, 선반(100,102,104)위의 측면 플랜지(108)는 융기부(34, 88)의 높이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한 크기임으로써 각각의 선반(100 혹은 102 혹은 104)이 하우징(12)안에 위치될 때, 선반(100 혹은 102 혹은 104)의 측면변화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34, 88)를 버팀으로써 선반(100,102,104)의 측면운동을 방지하는 상승격벽(106)에 의해 최소화된다. 마찬가지로, 포스트(140,142,144)와 도어플레이트(130,132, 134)의 구성.
더욱이, 어셈블리된 구조는 측벽(24,26)과 수직격벽(80,82)안에 적절한 장소에 선반을 잠금으로써 또한 강화될 수 있다. 선반은 측벽(24,26)안에 융기부(34)를 통해 확장하는 플랜지(108)의 부분을 변형시켜 적소에서 잠글수 있다. 제17a도 내지 제17c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선반의 플랜지(108)는 측벽(24)에 있는 노치(34)안에 위치된다. 노치(34)를 통해 확장하는 플랜지(108)의 일부는 측벽(24)에 대한 위치안에 선반을 잠그는 변형부(300)를 생성하기 위하여 망치와 펀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선반을 측벽(24,26)에 잠금하는 것에 더하여, 그러한 선반은 마찬가지로, 유사한 형태로 수직격벽(80,82)에 잠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쉽고 빨리 어셈블리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칸막이를 가지는 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변형된 대여금고 구조(10)를 제공한다. 여기에 공지된 대여금고 구조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은 본 출원의 해석과 이해에 따라 다른 것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6a도 내지 제16d도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대응칸막이의 높이에 3/4 혹은 1/2인 크기인 측벽(24',26',24,26)과 수직격벽(80',82',80,82)을 가진 대여금고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 점에서, 앞서 공지된 많은 수의 기본 칸막이와 그 특징을 사용하는 더욱 작아진(즉, 더욱 짧아진) 대여금고 구조를 또한 제조할 수 있다. 모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청구된 특허의 범위 혹은 그 등가물안에 속하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대여금고 보관구조로서, 연속적인 금속박판으로 형성되고,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진 후벽을 가진 케이스, 상기 측벽의 내부표면을 따라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으로 돌출한 융기부, 개방전단부를 가진 박스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단단히 고정된 상부벽과 하부벽, 상기 측벽 사이에 다른 개수의 균등한 공간 개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수직 분할기를 한정하는,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상의 위치 수단, 상기 측벽 사이에 측벽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벽 및 하부벽상의 상기 위치 수단에 각각 부착하기 위한 상단 및 하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판인 일반적으로 편평한 수직 분할기, 상기 수직분할기안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분할기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할기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융기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주름부, 상기 융기부내에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상부벽과 하부벽에 평행하고 상기 상부벽과 상기 하부벽 사이에 다른 개수의 개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수평 분할기 위치를 한정하는,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슬롯,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크기의 측면 에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분할기와 함께 대여금고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 구조안에 칸막이를 한정하는 다수의 수평 분할기,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 전단부에 확고하게 연결 가능하고, 칸막이의 수와 같은 다수의 잠김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헤더, 문턱 및 대향버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버팀기둥을 각기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과 함께 상기 측벽 및 상기 헤더와 문턱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헤더와 문턱사이에서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포스트는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할기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과 상기 하부벽은 접착제에 위해 상기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헤더, 문턱 및 대향버팀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더, 문턱 및 대향버팀기둥은 구조적으로 단단한 프레임구성으로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포스트는 상기 헤더와 상기 문턱사이에서 확장하며 상기 헤더와 상기 문턱에 단단히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는 상기 버팀기둥사이에서 확장하며 상기 버팀기둥에 단단히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기 상부벽과 상기 하부벽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중공을 한정하며, 상기 융기부안에 상기 슬롯은 상기 수평분할기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다수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상기 중공을 분할하기 위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안에 상기 슬롯은 상기 수평분할기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2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상기 중공을 분할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안에 상기 슬롯은 상기 수펑분할기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3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상기 중공을 분할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안에 상기 슬롯은 상기 수평분할기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4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상기 중공을 분할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안에 상기 슬롯은 상기 수평분할기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7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상기 중공을 분할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기 상부벽과 상기 하부벽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중공을 한정하며, 상기 대여금고 구조는 2개의 수직분할기를 포함하는 바, 그 수직분할기의 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상부벽과 상기 하부벽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2개의 수직분할기는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3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중공을 분할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조는 상기 상부벽에서 상기 하부벽까지 확장하는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를 포함하며, 상기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6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중공을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조는 상기 상부벽에서 상기 하부벽까지 확장하는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를 포함하며, 상기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7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중공을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조는 상기 상부벽에서 상기 하부벽까지 확장하는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를 포함하며, 상기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8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중공을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조는 상기 상부벽에서 상기 하부벽까지 확장하는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를 포함하며, 상기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9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중공을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조는 상기 상부벽에서 상기 하부벽까지 확장하는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를 포함하며, 상기 5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수직분할기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10개의 직사각형단면으로 중공을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안에 상기 슬롯은 상기 박스구조의 상기 개방전단부를 향하는 나팔꽃 모양의 개방된 단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문턱, 버팀기둥, 포스트 및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성형사출제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기계적인 잠금쇠에 의해 상기 대여금고 구조에 단단히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과 상기 하부벽은 스폿용접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KR1019940009831A 1993-05-14 1994-05-04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KR10021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915 1987-06-15
US08/062,915 US5435255A (en) 1993-05-14 1993-05-14 Modular safe deposit box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4928B1 true KR100214928B1 (ko) 1999-08-02

Family

ID=2204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831A KR100214928B1 (ko) 1993-05-14 1994-05-04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435255A (ko)
KR (1) KR100214928B1 (ko)
CN (1) CN1077200C (ko)
DE (1) DE4415914C2 (ko)
ES (1) ES2115437B1 (ko)
FR (1) FR2705394B1 (ko)
GB (1) GB2278153B (ko)
MX (1) MX9402972A (ko)
PH (1) PH30516A (ko)
SG (1) SG50362A1 (ko)
TW (1) TW3042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737B1 (ko) 2005-01-03 2006-10-16 주식회사 신진금고 대여금고의 조립구조
KR101410879B1 (ko) 2009-04-09 2014-06-23 래피드블록 리미티드 구조 변경이 가능한 수로관용 장애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332A (en) * 1994-12-27 1996-10-08 Hss Industries, Inc. Lobby table for lockable boxes with handicapped shelf
CZ280987B6 (cs) * 1995-04-20 1996-05-15 Pulec Holding A.S. Zařízení pro přechovávání cenných předmětů
GB2302911B (en) * 1995-06-29 1999-02-24 Fox Thomas Co Ltd Apparatus for holding cash boxes
DE19541951A1 (de) * 1995-11-10 1997-05-15 Hartmann Tresore Ag & Cie Panzerschrank
US5951131A (en) * 1998-05-11 1999-09-14 Stefan; Alexander Enclosure assembly for the equipment of a gaming device or the like
US6418863B1 (en) 1999-08-16 2002-07-16 Vault Structures, Inc. Modular security vault pane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GB0009484D0 (en) * 2000-04-17 2000-06-07 Secure Options Ltd A security system
US7740142B2 (en) * 2001-11-20 2010-06-22 Concorde Battery Corporation Battery construction for mounting a shelved rack
KR20040000707A (ko) * 2002-06-25 2004-01-07 김용호 금고용 계단틀 제조방법
US7082783B2 (en) * 2003-09-19 2006-08-01 U-Line Corporation Stacked drawer refrigerator
US20060232381A1 (en) * 2005-04-14 2006-10-19 Gauthier Peter K Multiple enclosure securit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storing valuable items
JP4709779B2 (ja) * 2007-01-30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収納物の防護装置、その防護方法、その防護プログラム、その防護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及びライブラリ装置
US8210622B2 (en) * 2009-03-13 2012-07-03 Liberty Hardware Mfg. Corp. Adjustable product display assembly
WO2012078952A2 (en) * 2010-12-09 2012-06-14 Apex Industrial Technologies Llc Door assembly for storage and dispensing unit
CN102287117A (zh) * 2011-09-06 2011-12-21 莱阳市百盛科技有限公司 一种银行专用权限卡锁箱
CN106446975A (zh) * 2016-11-11 2017-02-22 中电长城(长沙)信息技术有限公司 金融自助网银key盒类物件发放模块用key盒类物件存储箱
CN107175952A (zh) * 2017-07-05 2017-09-19 李龙娟 一种方便携带的金融票据智能存放盒
US11172797B1 (en) * 2019-04-18 2021-11-16 James H. Olmsted Space-saving device and method for bathrooms
US10995541B1 (en) * 2020-03-05 2021-05-04 The Valet Vault, LLC Secured valet vault
DE102021113830A1 (de) 2021-05-28 2022-12-01 Hartmann Tresore AG Tresor mit innenliegendem Reg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08A (en) * 1887-04-19 Heney geoss
US809497A (en) * 1905-02-07 1906-01-09 Willis V Dick Fire-resisting cabinet.
US1421770A (en) * 1919-08-08 1922-07-04 J Baum Safe & Lock Company Safety-deposit construction
US1491786A (en) * 1922-02-07 1924-04-29 Chatwood Safe Company Ltd Safe
US3837299A (en) * 1973-01-22 1974-09-24 Meilink Steel Safe Co Modular safe deposit box assembly
US3970010A (en) * 1974-03-20 1976-07-20 Cantley Ross H Safe deposit box system
US4073554A (en) * 1976-10-18 1978-02-14 The Mosler Safe Company Modular safety deposit box system
US4194453A (en) * 1977-12-08 1980-03-25 Walter Kidde & Company, Inc. Safe deposit box nests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4423687A (en) * 1980-11-18 1984-01-03 Hermann Associates, Inc. Safe deposit box anchoring system
US4528916A (en) * 1983-04-18 1985-07-16 Safe Deposit Box Construction Plural box construction
US4608932A (en) * 1984-05-25 1986-09-02 Diebold, Incorporated Safety deposit box system
US4592601A (en) * 1984-08-03 1986-06-03 Maclean-Fogg Company Expandable modular storage system
US4557416A (en) * 1984-10-15 1985-12-10 Benedict J. Stahl Multiple-unit mail box
US4728158A (en) * 1985-05-09 1988-03-01 Delco Associates, Inc. Modular rack storage system and its method of assembly
US4962710A (en) * 1986-07-23 1990-10-16 Schuco International Gmbh & Co. Impact-impeding pane/frame structure
US4947766A (en) * 1989-06-16 1990-08-14 Collier Jr William S Safe deposit box construction
DE3934983A1 (de) * 1989-10-20 1991-04-25 Saelzer Sicherheitstechnik Tuerblatt
US5048902A (en) * 1990-10-15 1991-09-17 Triad Technologies, Inc. Deck storage cabi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737B1 (ko) 2005-01-03 2006-10-16 주식회사 신진금고 대여금고의 조립구조
KR101410879B1 (ko) 2009-04-09 2014-06-23 래피드블록 리미티드 구조 변경이 가능한 수로관용 장애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5437A1 (es) 1998-06-16
GB9407047D0 (en) 1994-06-01
ES2115437B1 (es) 1999-02-16
MX9402972A (es) 1995-01-31
US5435255A (en) 1995-07-25
GB2278153A (en) 1994-11-23
DE4415914C2 (de) 2003-10-30
SG50362A1 (en) 1998-07-20
TW304217B (ko) 1997-05-01
PH30516A (en) 1997-06-13
CN1077200C (zh) 2002-01-02
FR2705394B1 (fr) 1997-03-28
DE4415914A1 (de) 1994-11-17
CN1105094A (zh) 1995-07-12
FR2705394A1 (fr) 1994-11-25
GB2278153B (en) 199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928B1 (ko) 모듈라 대여금고 어셈블리
US2907471A (en) Metal cabinet structures
US5452812A (en) Shelving system
US4401222A (en) Support rail
US4460147A (en) Mounting brackets for shelves and panels
US5630302A (en) Fitting room
US4295693A (en) Knocked-down cabinet
US4073554A (en) Modular safety deposit box system
CA2537848A1 (en) Modular storage shed system
CA2179489A1 (en) Filing cabinets
US3837299A (en) Modular safe deposit box assembly
US4448292A (en) Knockdown suitcase
US4172623A (en) Picture frame cabinet
US4102089A (en) Partition structure
US571364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ox container or cabinet
US6321918B1 (en) Modular shelving system
US3042473A (en) Metal furnitures adapted to be disassembled
GB1585947A (en) Collapsible shelf
US3516216A (en) Multisection hollow post construction
EP0399595A1 (en) Sectional container for electrical boards assembled with joints
EP0029738B1 (en) Metallic cabinet assembled from planar elements
US4938367A (en) Weldment-free document holder
US4947766A (en) Safe deposit box construction
JP2790088B2 (ja) 収納装置
US4534146A (en) Parti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