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501B1 - 자동차용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501B1
KR100213501B1 KR1019960061830A KR19960061830A KR100213501B1 KR 100213501 B1 KR100213501 B1 KR 100213501B1 KR 1019960061830 A KR1019960061830 A KR 1019960061830A KR 19960061830 A KR19960061830 A KR 19960061830A KR 100213501 B1 KR100213501 B1 KR 10021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ehicle
angle
camber
camb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851A (ko
Inventor
신태학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5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캠버값을 조절할 수 있는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회 시 또는 범프 시 캠버값이 변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현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캠버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현가 장치에 있어서,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쇽 업소버 로드(54)에 각도 변환 수단으로 연결되어 로드(54)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솔레노이드(1)와, 상기한 솔레노이드(1)에 연결됨과 아울러 차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2)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을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1)를 동작시키는 ECU(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현가 장치
본 발명은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캠버값을 조절할 수 있는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고속 주행하는 장치일 뿐만 아니라 전륜을 조향시켜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장치인 바, 주행 시 우수한 직진 안정성 및 조종 성능이 요구된다. 그래서, 자동차의 전륜은 상기한 직진 안정성 및 조종성을 만족하기 위해 휠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게 되는 바, 이는 캠버, 토우 인, 킹핀 경사각, 캐스터 등을 자동차의 성능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한 캠버와 토우 인은 자동차의 주행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상기한 캠버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50)의 휠 및 허브(미 도시)에 결합된 너클(51)과, 상기한 너클(51)에 결합됨과 아울러 바디(52)에 결합된 스트러트 어셈블리(53)로 구성된 현가 장치에서 상기한 타이어(50)가 지면에 대한 연직선과 이루는 각도θ를 지칭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캠버값은 타이어(50)의 상면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정 캠버,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부 캠버로 지칭하게 된다.
상기한 캠버는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조절 가능하게 되느 바, 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쇽 업소버 로드(54)과 결합됨과 아울러 바디(52)의 하우징(55)에 볼트(56) 및 너트(57)로 고정되는 인슐레이터(58)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캠버값은 승용차의 경우 통상적으로 정 캠버 값을 갖게 되는 바, 주행중 범프 또는 선회 등에 의해 타이어(50)의 위치가 가변되면 캠버값이 변화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조종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한 값의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캠버값을 조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캠버값은 차종에 따라 적합한 정 또는 부 캠버값을 갖도록 조정하게 된 상태에서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차종에 적합하게 조정된 캠버값을 고정시키게 되면 선회 시 또는 범프 시 캠버값이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것에 의해 차량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됨과 아울러 승객의 승차감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회 시 또는 범프 시 캠버값이 변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현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캠버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현가 장치에 있어서,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쇽 업소버 로드에 각도 변환 수단으로 연결되어 인슐레이터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한 솔레노이드에 연결됨과 아울러 차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을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는 EC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범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현가 장치의 범프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맥퍼슨형 현가 장치의 인슐레이터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솔레노이드 2 : 센서
3 : ECU 4 : 볼
5 : 링크 6 : 결합홈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쇽 업소버 로드(54)에 각도 변환 수단으로 연결되어 각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와, 상기한 솔레노이드(1)에 연결됨과 아울러 차속 센서, 롤 센서 및 스티어링 각도 센서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2)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ECU(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도 변환 수단은 로드(54)에 형성된 볼(4)과, 상기한 볼(4)에 결합되어 미끄럼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의 링크(5)에 형성된 결합홈(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다수의 센서(2)에 의해 롤링 크기, 차속, 스티어링각등과 같은 신호가 ECU(3)에 인가되면 이를 토대로 ECU(3)가 소정의 전류 신호를 솔레노이드(1)에 인가함으로써 쇽 업소버 로드(54)의 위치를 변경시켜 캠버값을 변경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주행중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에 의해 일측 타이어(50)가 상승하게 되면 차체가 롤링하게 되는 바, 이를 소정의 센서(2)가 감지하여 ECU(3)에 전달하게 된다.
ECU(3)에 상기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한 롤링 즉, 범프에 의해 변화되는 캠버값을 계산한 후 이를 보정할 수 있는 행정만큼 솔레노이드(1)를 동작시키게 된다.
솔레노이드(1)가 동작되면 쇽 업소버의 로드(54)가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는 바, 상기한 양만큼 캠버값이 변화되면서 지면과의 제로 캠버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캠버값이 제로값을 유지하지 않아도 범프 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면 된다.
여기서, 상기한 자동차가 선회하게 되면 외측의 타이어(50)는 부 캠버값을 갖게 되고, 내측의 타이어(50)는 정 캠버값을 갖게 되는 바, 상기한 외측의 타이어(50)가 부 캠버값을 갖게 되면 선회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ECU(3)가 스티어링 각도 센서 등을 통해 회전을 감지한 후 솔레노이드(1)를 동작시켜 외측의 타이어(50)가 제로 캠버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범프 및 선회 시 타이어(50)의 캠버값이 변화된 만큼 솔레노이드(1)가 동작함으로써 지면과 제로 캠버를 유지하게 되어 주행 및 선회 안정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솔레노이드(1)의 동작 시, 쇽 업소버 로드(54)와 링크(5)가 맞물려 있는 부분인 볼(4)과 결합홈(6)의 사이에서는 각도가 변경되는 바, 상기한 각도 변환은 상기한 볼(4)과 결합홈(6)이 구(球) 형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한 회전에 의해 적절한 각도가 유지된다.
즉, 솔레노이드(1)에 의해 쇽 업소버 로드(54)가 당겨지면 쇽 업소버 로드(54)의 각도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 이와 맞물려 있는 결합홈(6)이 볼(4)과 닿는 부분에서 회전 운동하면서 솔레노이드(1)의 링크(5)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각도를 솔레노이드와 ECU로 차량의 상태에 적합하게 변경시킴으로써 타이어가 항상 제로 캠버를 유지하도록 하여 주행 및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캠버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쇽 업소버 로드에 각도 변환 수단으로 연결되어 로드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바디에 고정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상기한 솔레노이드에 연결됨과 아울러 차량의 범프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센서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는 EC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도 변환 수단은 로드에 형성된 볼과, 상기한 볼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링크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19960061830A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021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30A KR100213501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현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30A KR100213501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현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51A KR19980043851A (ko) 1998-09-05
KR100213501B1 true KR100213501B1 (ko) 1999-08-02

Family

ID=1948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830A KR100213501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용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5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51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0025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WO2010093029A1 (ja) スタビライザリンクの取り付け構造
KR100335952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JP2001055034A (ja) カーブにおける車輪のキャンバを制御するシステムを備えた自動車
US20020070509A1 (en) Camber control suspension
US4911466A (en) Constant camber suspension
WO1981003472A1 (en) Programmable steering control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KR100213501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2224004B1 (ko) 지오메트리 가변 능동 현가장치
JPS60197413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KR100774721B1 (ko) 자동차용 토우특성 가변장치
KR19980031517U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90023379U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910007985Y1 (ko) 토우 콘트롤(Toe Control)에 의한 리어(Rear)서스펜션 메카니즘
JP3178227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461427B1 (ko) 차량용 맥퍼슨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절장치
KR100192379B1 (ko)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제어장치
KR100440113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47905Y1 (ko)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캠버 심
KR20040003282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192353B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19980061237A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장치
KR19990059837A (ko) 자동차의 토션빔 축형 리어 현가장치
KR100649964B1 (ko) 지오메트리 컨트롤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