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404B1 -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404B1
KR100213404B1 KR1019910016724A KR910016724A KR100213404B1 KR 100213404 B1 KR100213404 B1 KR 100213404B1 KR 1019910016724 A KR1019910016724 A KR 1019910016724A KR 910016724 A KR910016724 A KR 910016724A KR 100213404 B1 KR100213404 B1 KR 10021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ustenitic stainless
hardened layer
nitride
nitride hard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41A (ko
Inventor
요시노아키라
다하라마사아키
센보쿠야하루오
키타노겐조
미나토데루오
Original Assignee
아오키 히로시
다이도 산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키 히로시, 다이도 산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오키 히로시
Priority to KR101991001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404B1/ko
Publication of KR93000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제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표면을 질화경화층으로 형성하여 경질화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에 접촉하는 나사머리등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질화경화층을 제거하고 그들 부분에 내식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바탕을 드러내게 하여 녹슬기 어렵게 하고 있으며. 나사산의 부분등에는 질화경화층을 잔존시키고 있고 그 경도등이 향상되어 나사의 태핑성능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와 같은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질화처리에 앞서서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를 불소계 가스 분위기속에 유지하고 그 표면에 불화막을 생성시켜서 그 상태로 질화하여 생성되는 질화경화층이 균일하고 깊어져서 양호한 표면성능을 갖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 스크류의 정면도.
제 2도는 질화처리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3도는 나사의 소정부분의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는 한 예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머리부 B:목아래부
C : 나사산부 1: 열처리로
2 : 외각 3 : 히터
4 : 내용기 5 : 가스도입관
6 : 배기관 7 : 모터
8 : 팬 11: 컨테이너
13 : 진공펌프 14 : 재해장치
15,16 : 봄베 17 : 유량계
18 : 벨브
본 발명은 내식성에 뛰어난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탄소강에 비하여 산과 염에 대한 부식성이 크다. 그러나 표면경도와 강도에 있어서는 탄소강보다 뒤떨어진다. 따라서, 이것을 나사중, 특히 철계판에 자력으로 태핑하여 체결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곳의 태핑나사와 셀프드릴링스크류 및 드라이 월 등의 나사에 사용되는데에는 불합리하다.
이들 목적을 위해서는 오로지 철계침탄품인 도금품과 13Cr계 스테인레스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철계침탄품인 도금품과 13Cr계 스테인레스품은 내산화성(녹 방지성)에 대해서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품에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근래 문제로 되고 있는 산성비에 의하여 기재 그 자체도 침범되어 체결기능이 취약화하는 결함이 지적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품은 내산성이 훨씬 우수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질화경화함에 따라 철계침탄품 못지않은 태핑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신기술을 이미 제공하고 있다.( 일본 특원평 1-177660호,특원평 2-267729호).
이 기술에 따르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표면전체에 두꺼운 철판에 대해서도 자력으로 드릴링하여 탭할 수 있는질화경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질화경화층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갖는 내식성을 잃어버리는 것이며, 이것이 상기 신기술의 커다란 결점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체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외부에 드러나는 나사머리부에 녹이 생기기 쉽다. 즉, 일반적으로는 나사류는 사용되고 있는 상태( 체결상태)에서 머리부 및 그 근처가 외부에 드러나 사람눈에 접하는 곳으로 되지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에서는 머리부의 약간의 녹변색도 상품가치를 줄이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질화경화층 표면의 발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금이나 칼라 도장을 실시하는 방법도 있지만 일시적인 표과는 있어도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다.
또, 상기 나사머리부 등의 질화를 막기 위해 질화에 앞서서 동도금이나 용사마스킹 등을 부분적으로 실시하는 안도 있지만 완전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계 소지표면의 질화를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철계품 못지않은 태핑성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사용상태로 외부에 드러나는 나사머리부 등의 사람눈에 접하는 부분의 내식성을 향상시켜서 발청 등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표면에 질화경화층이 형성되고,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상기 나사의 소정부분의 질화경화층이 제거되어 있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제 1 요지로 하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질화분위기하에서 가열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표면에 질화경화층을 형성하고,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의 소정부분의 질화경화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제조방법을 제 2 요지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머리부분 등의 발청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질화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머리부 등의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는 것을 착상하여 일련의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기 나사머리부 등의 질화경화층을 제거해도 상기 나사의 질화에 의해 향상하고 있는 태핑성과 드릴링기능이 전혀 손상되지 않고 또한 상기 나사머리부등은 내식성이 향상하는 것을 규명했다. 즉,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에 있어서 태핑과 드릴링 기능의 향상에 필요한 질화경화층은 일반적으로 30~200㎛, 가장 적절하게는 40~80㎛인데, 통상 그 질화경화층의 전체 두께의 60~70%가 Crn, FexNy의 금속간 화합물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합금층(표면층)이며, 나머지부는 N,C를 고용한 확산층(내부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중, 질화경화층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합금층은 고용 Cr의 농도가 현저히 저하하고 있기 때문에 내식성의 악화가 심하다. 이에 대하여, 내부 확산층의 내식성은 상기 합금층보다 뛰어나 있지만 가장 내부의 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에 비교하면 충분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질화에 의하여 질화경화층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염수분문시험에 의한 발청까지의 시간은 질화경화층 표면이 4~8시간인 것에 대하여 질화경화층의 합금층을 제거하여 확산층을 남긴 경우에는 500~700시간, 질화경화층을 모두 제거하여 가장 내부의 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 자체로 했을 때에는 2000시간을 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체결상태로 외부에 드러나는 나사머리부 등에 대해서는 그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질화에 의해 향상하고 있는 태핑기능과 드릴링기능을 손상하는 일 없이 상기 나사머리부 등의 내식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표면전체에 형성된 질화경화층중 나사의 체결상태 등에 있어서, 외부에 드러나는 나사머리부 또는 머리부에 계속된 목아래 부분 등의 질화경화층을 부분적으로 박리제거하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를 드러나게 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 자체가 갖는 내식성에 의해 발청방지를 달성한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펴면전체에 형성된 질화경화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층의 합금층과 내부층의 확산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합금층은 일반적으로 15~50㎛의 두께이고, 표면경도(Hv)=750~1400이다. 또, 아랫쪽의 확산층은 두께가 일반적으로 20~100㎛이며, 표면경도(Hv)=320~650이다.
본 발명은 나사머리부 등에 대하여 합금층과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는 질화경화층을 부분적으로 박리제거한다.
상기 박리제거는, 예를 들어 HCI+HNO3나 HF+HNO3와 같은 혼산이나 , 또는 60℃정도로 가열한 HNO3의 단독용액으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머리부 등을 침지처리하는 등의 화학적방법이나, 연마 등의 기계적방법이 실시된다.
상기 화학적 방법으로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질화경화층중 남겨두고 싶은 부분을 산에 침범되지 않는 코팅제로 미리 마스킹해 두고 산침지를 실시하거나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역방향으로 하여 머리부 및 목아래부분만을 산침지하는 것이 실시된다. 이경우, 산 및 산 농도, 온도, 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제거하여야 하는 질화경화층에 대응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질화경화층의 제거하고 싶은 부분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질화경화층이 제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부분, 예를 들어 머리부, 목아래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서 제거해야 하는 질화경화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미리 나사머리부와 그에 계속되는 목 아래부의 직경을 조금 크게 설계해두는 것이 통상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나사체결기능의 감소와 머리부, 목아래부의 직경감소에 의한 파단토오크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제조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미리 불소계 가스분위기속에 유지하여 나사표면에 불화막을 형성한 후, 질화분위기속에서 가열하여 상기 불화막을 제거하는 동시에 그 제거부분(나사표면층)을 질화경화층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질화경화층중 나사의 소정 부분의 질화경화층을 제거하여 상기 나사의 소정부분의 발청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상기 질화처리의 전처리에 사용하는 불소계가스는 NF3,BF3, CF4, HF, SF6, F2, CH2F2, CH3F , C2F6, WF6, CHF3, SiF4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불소원성분을 N2등의 불활성 가스속에 함유시킨 것을 말한다. 이들 불소원성분 중에서 반응성, 취급성 등의 면에서 NF3가 가장 뛰어나 있으며 실용적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불소계 가스 분위기하에서 상기 나사를 예를 들어 NF3인 경우, 예를 들어 250~400℃의 온도로 가열 유지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표면을 처리한 후 공지의 질화용가스, 예를 들어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질화처리 (또는 침탄질화처리)를 실시한다. 또, 특수한 케이스로 불소계가스로써, 예를 들어 F2가스 단독 내지는 F2가스와 불활성 가스와의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지온도는 예를 들어 100~250℃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불소계가스에 있어서의 NF3등의 불소원성분 농도는 예를 들어 1000~10000ppm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0~70000ppm, 보다 바람직한 것은 30000~50000ppm이다. 이와 같이 불소계 가스분위기 속에서의 유지 시간은 강종류, 나사의 형상치수, 가열온도 등에 따라서 적당한 시간을 선택하면 좋고 통상은 십수분 내지 수십분이다.
상기 불소계 가스의 전처리 및 질화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와 목 아래부(B)와 나사산부(C)를 구비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X)를 예를 들어 탈지세정하고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열처리로 (1)에 넣는다. 이로 (1)는 외각(2)내에 설치한 히터(3)안쪽에 내용기(4)를 넣은 피트로로부터 가스 도입관(5)과 배기관(6)이 삽입되어 있다. 가스도입관(5)에는 봄베(15,16)로 부터 유량계(17), 벨브(18)등을 경유하여 가스가 공급된다. 내부의 분위기는 모터(7)로 회전하는 팬(8)에 의하여 교반된다. 상기 나사(X)는 금속제의 컨테이너(11)에 넣어서 로내에 넣어진다.
도면중 13은 진공펌프, 14는 제해장치이다. 이 로속에 불소를 포함하는 반응가스, 예를 들어 NF3와N2의 혼합가스를 도입하고 소정 반응온도로 가열한다. NF3는 250~400℃의 온도에서 활성기의 불소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나사표면의 유기, 무기계의 오염을을 제거하는 동시에 이 불소가 나사표면의 Fe, 크롬기지 내지는 , FeO, Fe3O4, Cr2O3등의 산화물과 신속히 반응하여, 예를 들어 다음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에 FeF2, FeF3,CrF2,CrF4등의 혼합물을 금속조직속에 포함하는 매우 얇은 불화막이 형성된다.
FeO + 2F → FeF2+ 1/2O2
Cr2O3+4F →2CrF2+ 3/202
이 반응에 의해 상기 나사(X)표면의 산화피막은 불화막으로 변화되고 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O2도 제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불화막은 O2, H2, H2O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600℃이하의 온도에서 안정되고 후속하는 질화처리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금속소지로의 산화피막의 형성과 O2의 흡착을 방지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안정된 불화막의 형성은 로재 표면에 대해서도 불화막이 형성되는 것에서 그 막에 의하여 로재 표면에 대한 손상이 최소한으로 된다.
이와 같이 불소를 함유하는 방응가스로 처리한 상기 나사(X)는 계속해서 480~700℃의 질화온도로 가열되고, NH3또는 NH3와 탄소원을 갖는 가스(예를 들어 RX가스)와의 홉합가스를 상기 가열상태로 첨가하면 불화막은 H2또는 미량의 수분에 의하여, 예를 들어 다음식과 같이 환원 또는 파괴되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활성인 금속소지가 형성된다.
CrF4+ 2H2→ Cr +4HF
2FeF3+3H2→ 2Fe + 6HF
이와 같이 활성인 금속소지가 형성되는 동시에 활성인 N원자가 흡착되어 금속내에 침입, 확산해가서 그 결과 표면에 CrN, Fe2N, Fe3N, Fe4N 등의 질화물을 함유하는 화합물층(질화경화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질화경화층은 합금층과 확산층으로 이루어지고 제 1도에 나타내는 나사(X)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 1도에 나타내는 나사(X) 머리부(A) 전체와 목 아래부(B) 일부의 질화경화층을 제거하여 목아래부(B)의 나머지부와 나사산부(C)에 질화경화층을 잔존시킨다.
상기 질화경화층의 제거는 , 예를 들어 HNO3+HF 용액을 50℃정도로 가열하고, 이것에 상기 나사머리부(A) 전체, 목아래부(B)의 일부를 10~120분정도 침지하여 질화경화층을 용해 제거함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학적으로 질화경화층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연마부재 등으로 연마제거해도 지장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질화경화층의 제거처리가 이루어진 나사(X)는 머리부(A) 전체 및 목 아래부(B) 일부에 대해서 질화경화층이 제거되어 있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가 드러나 있는 것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자체가 갖는 내식성에 의해 양호한 내식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목아래부(B) 일부 및 나사산부(C)에 대해서는 질화경화층이 잔존하고 있음에 따라 그 경도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경도보다도 큰 폭으로 향상해 있으며, 태핑과 체결기능에 있어서 철계품과 동등한 뛰어난 성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나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나사에는 볼트도 포함된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NH3내지는 NH3와 탄소원을 갖는 가스를 이용하여 질화하고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글로우 방전에 의한 질화나 염욕질화를 실시하도록 해도 지장은 없다.
[실시예 1]
SUS 305(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계 십자형 홈 태핑나사(4.2㎜X 19㎜)에 대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세정한 후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로(1)에 넣고 NF3를 5000ppm 함유하는 N2가스분위기속에서 380℃로 15분간 유지하여 불화처리했다. 그 후, 530℃로 가열하고 50%NH3+50%N2(용량%, 이하 같음)의 홉합가스를 로내에 도입하여 3시간 질화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공랭하여 꺼냈다. 얻어진 태핑나사는 전체에 두께 40㎛의 질화경화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태핑나사에 대하여 그 머리부 전체 및 목 아래부분 4㎜까지의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염화비닐수지 코팅액을 도포하여 건조하여 코팅막으로 피복했다. 그 다음에 이것을 농도 10%의 HNO3용액에 63℃로 15분 침지했다. 그 후 꺼내어 수세건조한 결과 상기 코팅막으로 마스킹을 실시한 태핑 나사부분(주로 나사산 부분)의 표면 경도는 Hv=1000~1100이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산처리에 의하여 질화경화층이 제거된 태핑나사 머리부의 표면경도는 Hv=340~380이었다.
다음으로, 이 태핑나사에 대하여 염수분무시험(부식가속시험)을 실시한 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가 드러나 있는 태핑나사 머리부 및 목아래부에서는 2000시간을 경과해도 녹의 발생을 볼수가 없었다. 이에 대해서 질화경화층이 제거되어 있지 않은 나사부분(주로 나사산부)에 대해서는 6시간에서 녹이 발생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나사의 나사조임시험을 실시한 바 종래의 태핑나사(철계침탄품)와 동등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SUS 305계 셀프드릴링스크류(6각머리, 4.8㎜X 25㎜)를 실시예 1과 똑같이 하여 질화했다. 이 경우, 질화경화층은 셀프드릴링스크류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두께는 55㎛였다. 다음으로 , 상기 셀프드릴링스크류에 대하여 머리부 및 목아래 5㎜까지의 부분 이외의 부분을 염화비닐수지 코팅액에 침지한 후 건조코팅막으로 피복했다. 다음으로 , 상기 셀프드릴링스크류를 두께 30㎜의 폴리스치롤 수지판(Y)에 여러개 제 3 도와 같이 나사고정했다. 그리고, 이 수지판을 상하 역방방향으로 한 상태로 강산용액(HNO3: HCI = 3 : 1)에 띄워서 5분 경과한 후 꺼내고, 또한 농도 10%의 HNO3용액속에 (온도 60℃)에 10분간 상기와 똑같은 상태로 띄워서 처리햇다. 그 후, 폴리스치롤 수지판으로 부터 셀프드릴링스크류를 꺼내어 수세건조햇다. 다음으로, 이 셀프드릴링스크류에 대하여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아연도금을 실시하고 두께 3.2㎜의 강판(SPCC)에 대한 나사고정테스트(드릴링테스트)를 실시했다. 이 경우에 나사고정 평균시간은 3.1초이며 , 종래의 셀프드릴링스크류(철계 침탄품)에 비하여 나사고정시간을 평균 20% 단축할 수 있었다. 또, 염수분무시험의 결과는 실시예 1과 똑같았다.
[실시예 3]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스크류(6각머리, 6.3㎜X 150㎜)를 실시예 1과 똑같이 하여 질화했다. 얻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스크류는 전체가 질화경화층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질화경화층의 두께는 75㎛였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머리부 및 목아래부 100㎜까지의 부분 이외의 부분을 염화비닐수지 코팅액에 침지하여 건조해서 코팅막으로 피복했다. 이 코팅후 상기 스크류를 온도 45℃의 강산용액(HNO3: HCI = 3 : 1) 에 5분간 침지하고, 또한 이것을 농도 10%의 HNO3용액(온도 60℃)에 5분간 침지하여 꺼냈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된 상기 스크류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똑같이 하여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한 바 실시예 1과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나사고정 테스트의 결과도 실시예 2와 똑같이 양호했다.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스크류에 대하여 나사의 파단 토오크값을 조사한 바 상기와 같은 산침지처리를 하지 않고 전체가 질화경화층으로 덮혀져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스크류에 비하여 7% 파단토오크값이 뒤떨어져 있었다. 그래서, 상기 산침지처리에 의하여 질화경화층이 제거되어 질화경화층의 두께만큼 직경이 작아지는 분량, 나사머리부 및 목아래부의 직경을 미리 크게 (약 150㎛)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스크류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상기와 똑같이 질화처리한 후 산침지처리하여 나사머리부 및 목아래부의 질화경화층 제거후에 있어서 나사머리부 및 목아래부가 설계대로의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그 파단토오크값은 전체가 질화경화층으로 피복되고 전체가 설계대로의 직경으로 되어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셀프드릴링스크류와 동등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는 체결사용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 드러나 산성비 등의 영향을 받는 나사 머리부 내지 외부에서 침입하는 빗물 등에 접촉하는 나사의 목아래부분 등의 질화경화층이 제거되고 그들 부분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지가 나타나 있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자체가 갖는 내식성에 의하여 질화경화층이 제거된 부분의 내식성은 양호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한편, 나사산 부분은 질화경화층에 의하여 그 경도등이 큰 폭으로 향상하고 있는 것에서 표면경도 및 강도가 탄소강제품과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자력으로 태핑, 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질화처리함에 앞서서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를 불소계 가스분위기속에 유지하여 그 표면에 불화막을 생성시키고, 그 상태로 질화하는 것에서 생성하는 질화경화층이 균일하고 깊어져서 양호한 표면 성능을 갖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4)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표면에 질화경화층이 형성되고,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상기 나사의 소정부분의 질화경화층이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질화분위기하에서 가열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표면에 질화경화층을 형성하고, 질화경화층이 형성된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의 소정부분의 질화경화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를 불소계 가스 분위기하에서 유지하여 그 표면에 불화막을 형성한 후, 질화분위기하에서 가열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나사표면에 질화경화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질화경호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강산침지에 의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의 제조방법.
KR1019910016724A 1991-09-25 1991-09-25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21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724A KR100213404B1 (ko) 1991-09-25 1991-09-25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724A KR100213404B1 (ko) 1991-09-25 1991-09-25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41A KR930006341A (ko) 1993-04-21
KR100213404B1 true KR100213404B1 (ko) 1999-08-02

Family

ID=1932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724A KR100213404B1 (ko) 1991-09-25 1991-09-25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67B1 (ko) * 2007-06-05 2007-10-29 이정걸 너트 나사부 표면처리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67B1 (ko) * 2007-06-05 2007-10-29 이정걸 너트 나사부 표면처리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41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1925B2 (ja) 金属材の前処理方法
JPH089766B2 (ja) 鋼の窒化方法
EP0408168B1 (en) Method of pretreating metallic works and method of nitriding steel
US5593510A (en) Method of carburizing austenitic metal
US5417776A (en) Har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crew
JP3161644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製品の窒化方法
JP3023222B2 (ja) 硬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ねじおよびその製法
KR20110104631A (ko) 고내식성 및 고경도 컬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504975A (zh) 不锈铁质锅耐酸性材料及其制备方法、不锈铁质容器
US20140216423A1 (en) Exhaust system part, egr cooler, and method of nitriding exhaust system part
US5254181A (en) Method of nitriding steel utilizing fluoriding
KR950000307B1 (ko)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US5460875A (en) Har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crew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419948A (en) Har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crew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13404B1 (ko) 경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나사 및 그 제조방법
EP0744471B1 (en) Method of nitriding steel
KR101652969B1 (ko) 용융알루미늄 도금된 액체화물 운반선용 히팅코일의 제조방법
JP2881111B2 (ja) 鋼の窒化方法
US5382318A (en) Har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crew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686001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製硬質ねじ
JPH1129848A (ja) CrN被膜およびその形成方法
EP0532806B1 (en) A har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crew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1117C (zh) 硬化的奥氏体不锈钢螺钉及其制造方法
US3647572A (en) Nitriding process
JP2862689B2 (ja) カラー金属板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