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081B1 -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081B1
KR100212081B1 KR1019960020509A KR19960020509A KR100212081B1 KR 100212081 B1 KR100212081 B1 KR 100212081B1 KR 1019960020509 A KR1019960020509 A KR 1019960020509A KR 19960020509 A KR19960020509 A KR 19960020509A KR 100212081 B1 KR100212081 B1 KR 10021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ideo
output
j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535A (ko
Inventor
현상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081B1/ko
Publication of KR98000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녹화재생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입출력모드를 절환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비디오 입출력 잭, 오디오 입출력 잭 및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의 비디오신호 케이블과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상태를 갖는 잭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잭입력판단부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입력모드로 동작하거나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모드로 동작하는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잭입력신호의 상태를 체크하여 제1상태일 시 상기 내부 및 외부간 비디오/오디오신호의 전달경로를 차단한 후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비디오신호가 있으면 상기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잭입력신호가 제1상태일 시 상기 출력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하나의 잭을 비디오 혹은 오디오 입출력에 공용시 그 입

Description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 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중 수직동기분리부에서 검출되는 수직동기신호의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SC : 비디오신호 케이블 VJ : 비디오 입출력 잭
ASC : 오디오신호 케이블 AJ : 오디오 입출력 잭
TR1-TR4 : 트랜지스터 BUF : 버퍼
SW : 스위치 R1, R2 : 저항
100 : 마이컴 200 : 수직동기분리부
본 발명은 녹화재생기에 있어서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잭의 입출력모드 절환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입출력모드를 절환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녹화재생기로는 캠코더를 예로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캠코더에는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잭을 구비하고 있는데, 대개 하나의 잭을 입력용과 출력용으로 함께 사용한다. 이는 소형화 등의 문제를 고려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해당 잭을 입력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출력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일일이 조작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수동조작이라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용이란 외부에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녹화하는 입력모드의 입장에서 본 잭의 용도이고, 출력용은 내부적으로 재생한 비디오/오디오신호(예 :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모드의 입장에서 본 잭의 용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입출력모드를 절환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디오 입출력 잭, 오디오 입출력 잭 및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의 비디오신호 케이블과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상태를 갖는 잭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잭입력판단부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입력모드로 동작하거나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모드로 동작하는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잭입력신호의 상태를 체크하여 제1상태일 시 상기 내부 및 외부간 비디오/오디오신호의 전달경로를 차단한 후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비디오신호가 있으면 상기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잭입력신호가 제1상태일 시 상기 출력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 회로의 구성도 이다.
비디오 입출력 잭(VJ)은 비디오신호 케이블(VSC)의 플러그와 요철 구조로 결합한다. 또한 오디오 입출력 잭(AJ)도 오디오신호 케이블(ASC)의 플러그와 요철 구조로 결합한다. 스위치(SW)는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VSC)과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VJ)의 결합시 잭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잭입력판단부 이다.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VSC)과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VJ)의 결합시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VJ)에 의해 눌리어진다. 그 결과 공급전원(Vcc)이 저항(R1, R2)과 상기 스위치(SW)를 거쳐 바이패스 된다.
수직동기분리부(200)는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VJ)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서 수직 동기를 검출한다.
제1트랜지스터(TR1)는 상기 비디오처리부(도시하지 않음.)의 입력단자와 비디오 입출력 잭(VJ)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VSC)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비디오처리부에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전달부 이다.
제2트랜지스터(TR2)는 상기 비디오저리부의 출력단자와 비디오 입출력 잭(VJ)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VSC)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전달부 이다.
제3트랜지스터(TR3)는 상기 오디오처리부(도시하지 않음.)의 입력단자와 오디오 입출력 잭(AJ)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오디오신호 케이블(ASC)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처리부에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전달부 이다. 제4트랜지스터(TR3)는 상기 오디오처리부의 출력단자와 오디오 입출력 잭(AJ)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오디오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 케이블(ASC)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4전달부 이다.
마이크로컴퓨터(100)는 본 회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이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잭입력신호 체크단자(I1)는 두 저항(R1, R2)의 접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두 접점에서 접지 레벨의 잭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는 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2입력단자(I2)는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1-제4제어단자(C1-C4)는 상기 제1-제4트랜지스터(TR1-TR4)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제1 혹은 제2논리상태신호, 즉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로직 레벨의 하이 혹은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제4제어단자(C1-C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잭입력신호 혹은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각각 상기 제1-제4트랜지스터(TR1-TR4)의 동작을 온 혹은 오프시켜 입력모드 혹은 출력모드를 절환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수직동기분리부(200)에서 검출되는 수직동기신호의 파형도로서, 마이크로컴퓨터(100)는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주기가 15~19msec이면 비디오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인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3a)단계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0)는 잭입력신호의 상태를 체크한다. 만일 상기 잭입력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비디오신호 케이블과 오디오신호케이블(VSC, ASC)이 각각 비디오 입출력 잭(VJ)과 오디오 입출력 잭(AJ)에 접속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3b)단계에서 제1-제4제어단자(C1-C4)를 로우 레벨로 만들어 제1-제4트랜지스터(TR1-TR4)를 오프시킨다. 이로써 일단 녹화재생기 내부와 케이블을 통한 외부와의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전달 경로를 차단한다. 이어 (3c)단계에서 제2입력단자(12)에서 수직동기분리부(200)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가 감지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수직동기신호가 있으면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VSC)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3d)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입력모드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0)는 상기 제2 및 제4제어단자(C2, C4)만 하이 레벨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VSC)과 오디오신호 케이블(ASC)을 통해 외부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가 내부의 비디오처리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전술한 (3a)단계에서 제1입력단자(I1)가 하이 레벨로 판단되면 비디오신호 케이블과 오디오신호케이블(VSC, ASC)이 각각 비디오 입출력 잭(VJ)과 오디오 입출력 잭(AJ)에 접속되지 않아 잭입력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인 바, (3e)단계로 진행하여 출력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전술한 (3c)단계에서 수직동기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잭과 케이블의 연결만 되어 있고 실제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3e)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출력모드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0)는 상기 제1 및 제3제어단자(C1, C3)만 하이 레벨로 전환함으로써 내부의 비디오처리부와 오디오처리부에서 재생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가 각각 비디오신호 케이블(VSC)과 오디오신호 케이블(ASC)을 통해 외부(TV, VTR 등)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입??출력모드를 절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비디오 입출력 잭, 오디오 입출력 잭, 비디오처리부와 오디오처리부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입력모드로 동작하거나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모드로 동작하는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에 비디오신호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잭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잭입력판단부와,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서 수직동기를 검출하는 수직동기분리부와, 상기 비디오처리부의 입력단자외 비디오 입출력 잭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비디오처리부에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전달부와, 상기 비디오처리부의 출력단자와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전달부와, 상기 오디오처리부의 입력단자와 오디오 입출력 잭 사이에 접속되며, 오디오신호 케이블의 플러그가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잭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신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처리부에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3전달부와, 상기 오디오처리부의 출력단자와 오디오 입출력 잭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오디오신호 케이블의 플러그가 상기 오디오 입출력 잭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 케이블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4전달부와, 상기 잭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4전달부로 제1논리상태신호를 발생하여 그 동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동기분리부에서의 수직동기신호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제2전달부중 하나를 온 시키는 제2논리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입력모드 혹은 출력모드를 절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컴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4전달부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논리상태는 각각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로직 레벨의 하이 및 로우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입력판단부는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과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이 결합될 때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에 의해 눌리워져 접지레벨의 잭입력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잭입력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및 제4전달부를 온시켜 출력모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처리부의 출력단자 혹은 상기 비디오입출력 잭으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수직동기분리부로 전달하는 버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회로.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재생기가 캠코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8. 비디오 입출력 잭, 오디오 입출력 잭 및 상기 비디오 입출력 잭의 비디오신호 케이블과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상태를 갖는 잭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잭입력판단부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입력모드로 동작하거나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모드로 동작하는 녹화재생기의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잭입력신호의 상태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잭입력신호가 제1상태일 시 상기 내부 및 외부간 비디오/오디오신호의 전달경로를 차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수행후 상기 비디오신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비디오신호가 있으면 상기 입력모드로 설정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잭입력신호가 제1상태일 시 상기 출력모드로 설정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20509A 1996-06-04 1996-06-04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KR10021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509A KR100212081B1 (ko) 1996-06-04 1996-06-04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509A KR100212081B1 (ko) 1996-06-04 1996-06-04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35A KR980004535A (ko) 1998-03-30
KR100212081B1 true KR100212081B1 (ko) 1999-08-02

Family

ID=1946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509A KR100212081B1 (ko) 1996-06-04 1996-06-04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866B1 (ko) * 1998-05-06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회로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35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0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witch closures
KR100212081B1 (ko)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자동 인식회로 및 방법
CN111586549A (zh) 一种耳机插入检测电路
WO200410000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by remapping keys on a user input device
KR0151474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입력 라인 자동 선택 장치
KR970011229B1 (ko) Vcr의 프로그램 체크장치
KR0170673B1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캠코더의 자동 절전 장치 및 그 방법
KR940000243Y1 (ko) 무신호시 녹화방지 및 표시회로
KR100202450B1 (ko) 비스신호를 이용한 브이시알의 취침 예약 제어방법
KR930008489Y1 (ko) 카운터 자동리세트 및 메모리제어회로
KR100220100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외부 연결단자 입/출력 절환방법
KR880001819Y1 (ko) 비디오 카메라 결합회로
KR100202879B1 (ko) 브이 씨 알의 출력제어장치 및 방법
EP1081968A3 (en) Video switcher
KR20020076598A (ko) 영상기기의 기록/재생 동작 제어장치
KR950007723Y1 (ko) 전원 자동 오프 장치
JPH06214893A (ja) メモリカード装置
KR960027927A (ko)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인식에 의한 각부제어방법
KR970024938A (ko) 오디오/비데오 신호의 자동출력 절환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8733A (ko) 브이시알의 출력신호에 따른 출력모드 자동 선택방법
JPH09102751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KR200252656Y1 (ko) 모니터음성과 가변음성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KR0159648B1 (ko)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서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
KR19980028189A (ko) 텔레비젼에서 자기 진단 회로 및 방법
JP2007049403A (ja) ディジタル信号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