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616B1 -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616B1
KR100210616B1 KR1019970014029A KR19970014029A KR100210616B1 KR 100210616 B1 KR100210616 B1 KR 100210616B1 KR 1019970014029 A KR1019970014029 A KR 1019970014029A KR 19970014029 A KR19970014029 A KR 19970014029A KR 100210616 B1 KR100210616 B1 KR 10021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umidity
detecting
heater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060A (ko
Inventor
김성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1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6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내의 습도가 높을때 히터를 작동시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장마철등 주변환경의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차를 장시간 주차해 놨을때 실내공기가 좋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곰팡이의 번식에 의해 장식재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내 습도에 따라 엔진시동제어와 함께 온풍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차량내 요소요소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2)가 연결됨과 더불어 시동키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시동키감지부(14), 자동차배터리(38)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6)가 연결되는 한편 그 출력단에는 온풍을 발생하는 히터(18)를 비롯하여 상기 히터(18)에서 발생된 더운 공기를 차량내 각 부위로 송출하는 팬모터구동부(20)를 매개로 한 팬모터(32)와 상기 온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2) 및 엔진을 시동하는 시동모터제어부(24)가 연결되는 한편 자동 습기제거기능의 작동여부를 선택하는 작동선택스위치(26)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본 발명은 차량내의 습도가 일정 조건 이상 올라가게 되면 공조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차량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장시간 사용치 않고 방치해 두었을때 눈이나 비가 오는등 주변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차량내에 습기가 많이 차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엔진시동과 함께 난방 모터와 풍향조절모터 및 열선 등의 난방관련 기구들을 작동시켜 차량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자연이 일반 공기중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에 비례하여 차량내의 습도도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차량내의 공기가 처음 사람이 승차했을때 상쾌한 느낌을 주지 못하게 되며, 특히 방치상태가 길어지면 차량내에 각종 곰팡이가 발생하여 내장재를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게 되고 심지어는 호흡기질환까지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지하주차장이 많이 생겨나는 관계로 차량을 지하주차장에 주차시키게 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경우는 지하주차장 자체의 습도가 높아 상기의 경우보다 더빨리 습도가 올라감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빨리 진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차량내의 습도가 어느 정도 올라가게 되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공조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비교적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차량을 사용치 않고 장시간 방치하여도 곰팡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언제나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내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내의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감지수단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 시동키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수단, 자동차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더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온풍발생수단, 상기 온풍을 차량내 골고루 송풍하는 송풍수단,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수단, 엔진시동을 위한 스타터모터제어수단, 차량내 습도를 제거하도록 상기 수단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발생수단의 작동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감지 및 온풍배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장치, 12 - 습도센서,
14 - 시동키감지부, 16 - 전압감지부,
18 - 히터, 20 - 팬모터구동부,
22 - 온도센서, 24 - 시동모터제어부,
26 - 작동선택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내 습도에 따라 엔진시동제어와 함께 온풍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차량내 요소요소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2)가 연결됨과 더불어 시동키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시동키감지부(14), 자동차배터리(38)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6)가 연결되는 한편 그 출력단에는 온풍을 발생하는 히터(18)를 비롯하여 상기 히터(18)에서 발생된 더운 공기를 차량내 각 부위로 송출하는 팬모터구동부(20)를 매개로 한 팬모터(32)와 상기 온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2) 및 엔진을 시동하는 시동모터제어부(24)가 연결되는 한편 자동 습기제거기능의 작동여부를 선택하는 작동선택스위치(26)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제어장치(10)는 그 내부에 입,출력 포트와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메모리등이 구비되어 있는 장치로서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각종 센서들로 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 및 비교 처리되어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액튜에이터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동 습기제거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준습도가 저장되어 있고 또한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고 전압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배터리(38)의 전압이 일정 전압이하로 떨어졌을때 자동으로 엔진을 시동하여 배터리(38)에 전압을 충전하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습도센서(12)는 차량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10)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대시패널(28)의 하단과 루프패널(30)의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실내 곳곳의 습도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10)로 송출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에서는 이들로 부터 송출되는 값에 따라 차량내의 습도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시동키감지부(14)는 엔진시동을 위한 자동차키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수단이 작동될때 배터리(38)의 과방전 예상시 자동으로 엔진시동을 걸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고, 전압감지부(16)는 무인상태에서 습기제거수단이 작동될때 배터리(38)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제어장치(10)가 이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판단하여 기준전압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엔진시동을 걸어 배터리(38)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한편, 히터(18)는 전자제어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38)의 전압이 공급될때 열을 발생하여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로 부터 발생되는 온풍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모터(32)의 구동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좌우측 실사이드 및 리어디프로스트 측에 설치되는 배출구(40)를 통해 실내로 강제 송풍되어진다. 이때 히터(18)에서 발생되어 실내로 송풍되는 온풍의 온도데이터는 온도센서(22)에 의해 감지되어 전자제어장치(10)로 입력되며, 전자제어장치(10)에서는 이 온도데이터를 참고로 히터(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함과 더불어 히터(18)의 과열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발생수단의 작동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자제어장치(10)는 릴레이(34)(36)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배터리(38)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히터(18)와 팬모터(32)로 공급 또는 차단되는 작동을 제어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도 4에 도시한 흐름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으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수단을 작동시킬 기준조건으로서 기준습도를 설정하여 전자제어장치(10)에 저장시켜 놓는다. 기준습도의 설정은 본 발명에서는 제조당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기준온도의 변경설정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선택스위치(26)가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으면 이는 사용자가 습기제거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전자제어장치(10)가 판단하게 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전자제어장치(10)는 시동키감지부(14)로 부터의 입력데이타를 판단하여 시동키가 키셋트로 부터 빠져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습도센서(12)에서 감지되는 습도데이타를 관측한다.
이때 습도센서(12)를 통해 감지되는 내측 습도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기준습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배터리(38)의 전압을 체크하여 배터리(38) 전원의 사용가능여부를 판단한후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시동모터제어부(24)를 동작시켜 배터리(38)에 전원을 충전시키면서 습기제거수단을 작동시키지만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엔진시동없이 즉시 차내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습기제거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는 배터리전압이 충분한 경우 소음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전자제어장치(10)는 릴레이(34,36)를 온상태로 접속시켜 히터(18)와 함께 팬모터(32)를 작동시켜 더운 바람이 실내측으로 송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히터(18)에 의해 가열되는 더운 바람을 배출구(40)로 배출하여 실내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실내의 습기가 제어되어진다.
습기제거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 전자제어장치(10)는 온도센서(22)를 통해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내온도가 기준온도이상 상승된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18)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팬모터(32)만 구동시켜 더운 바람의 송풍과 함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는 히터(18)의 수명연장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히터(18)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다가 습도센서(12)에 의한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차량내의 습기가 모두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팬모터(32)의 작동도 중지시키고 다시 대기 상태에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마철과 같은 우기에, 또는 평상시라도 차량의 실내에 습기가 많아지게 될때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도록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실내공기가 쾌적하지 못하게 된다든가 혹은 차량내에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수명도 연장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내 습도에 따라 엔진시동제어와 함께 온풍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차량내 요소요소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2)가 연결됨과 더불어 시동키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시동키감지부(14), 자동차배터리(38)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6)가 연결되는 한편 그 출력단에는 온풍을 발생하는 히터(18)를 비롯하여 상기 히터(18)에서 발생된 더운 공기를 차량내 각 부위로 송출하는 팬모터구동부(20)를 매개로 한 팬모터(32)와 상기 온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2) 및 엔진을 시동하는 시동모터제어부(24)가 연결되는 한편 자동 습기제거기능의 작동여부를 선택하는 작동선택스위치(26)가 연결된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KR1019970014029A 1997-04-16 1997-04-16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KR10021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029A KR100210616B1 (ko) 1997-04-16 1997-04-16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029A KR100210616B1 (ko) 1997-04-16 1997-04-16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060A KR19980077060A (ko) 1998-11-16
KR100210616B1 true KR100210616B1 (ko) 1999-07-15

Family

ID=1950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029A KR100210616B1 (ko) 1997-04-16 1997-04-16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490B1 (ko) * 2017-02-20 2018-04-05 동양컨설턴트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730B1 (ko) * 2020-11-10 2021-02-02 이형섭 Pwm방식의 차량용 블로워모터가 장착된 전기차량 또는 하이브리드차량의 실내 습기와 냄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490B1 (ko) * 2017-02-20 2018-04-05 동양컨설턴트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060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51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e
CN104271925B (zh) 用于车辆的怠速停止和加热器控制系统以及方法
KR100821777B1 (ko) 윈드실드의 포그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10616B1 (ko) 차량내 자동 습기제거장치
CN110816210B (zh) 空调运行控制方法及装置
JP4393642B2 (ja) 除湿機
KR102131279B1 (ko) 김서림 방지부를 구비한 ptc 히터
KR101194898B1 (ko) 자동차의 실내 조건 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40496Y1 (ko) 자동차 앞유리 자동 성에방지장치
KR0132173B1 (ko) 온,선풍기 겸용 선풍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59026B2 (ja) 衣類乾燥装置
KR100471263B1 (ko) 디젤 엔진에서 히터 제어방법
KR100998782B1 (ko) 차량용 제습 및 윈도우 제어 장치
KR19980035523U (ko) 차량 자동 성애제거장치
KR19990038369U (ko) 차량의 서리 자동 제거 장치
KR980007716U (ko) 자동차의 윈드실드글래스 열선 제어장치
JPS59160645A (ja) 車両窓ガラス外面の結露防止装置
KR0131688B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조절장치
JP2757635B2 (ja) 室内暖房及び除湿機能並びに衣類乾燥機能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217115B1 (ko) 팬히터 제어방법
JPH07257168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20603A (ko) 자동차 원격 시동시 냉.난방 제어장치
JP6056539B2 (ja) 車両用乾燥装置
JPH0343844Y2 (ko)
KR19990070967A (ko) 성에 생성 자동 방지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