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464B1 -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464B1
KR100210464B1 KR1019970004741A KR19970004741A KR100210464B1 KR 100210464 B1 KR100210464 B1 KR 100210464B1 KR 1019970004741 A KR1019970004741 A KR 1019970004741A KR 19970004741 A KR19970004741 A KR 19970004741A KR 100210464 B1 KR100210464 B1 KR 10021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lower
container
side wall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230A (ko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101997000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4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수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 찌꺼기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쓰레기 수거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임. 건조 장치는 용기(1)와 용기에 밀봉 결합되는 덮개(2)를 포함하며, 덮개(2)의 측벽(11)은 길게 연장되었고, 측벽(11)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배기공(14)이 형성되었으며, 덮개(2)의 상면(12) 중앙부에는 공기 유입공(13)이 형성되었고, 공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면(12)의 하방에는 송풍기(15)가 설치되었으며, 송풍기 외측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용기내의 음식물 찌꺼기위로 유도하도록 덮개의 측벽 하단부까지 연장된 공기 유도관(17)이 설치된 구조로 되었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에서 음식물 찌꺼기에 함유된 수분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건조할 수 있음.

Description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본 발명은 가정 폐기물, 특히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찌꺼기를 폐기하기 용이하도록 건조하는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공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산업 폐기물은 물론이고 가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의 처리도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들은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폐기물과 재활용 할 수 없는 폐기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 나오는 폐기물들은 폐기물의 수거비용과 처리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과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들은 비닐봉지에 넣어서 수거하고 소각장에서 소각 처리하거나 또는 땅속에 매립하고 있다. 전술한 가정에서 나오는 재활용할 수 없는 폐기물들은 대부분이 음식물 찌꺼기로서 이들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수용하고 있는 비닐봉지가 파손되면 폐기물 중에 함유된 액체가 유출되게 되므로 수거 시 주위를 오염시킴은 물론이고 소각 처리 시에도 에너지의 소모가 많으며 또한 땅속에 매립하는 경우에는 오염된 액체가 주위로 흘러나오거나 땅속으로 스며들어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최근에는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찌꺼기를 용기 속에 넣고 발효시켜 비료를 생산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음식물 찌꺼기를 비료로 재활용한다는 점에서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설치장소에서 문제점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장치는 실내에 설치하면 음식물 찌꺼기가 발효되는 동안 음식물 찌꺼기를 실내에 갖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파트와 같이 설치장소에 따라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를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찌꺼기를 압착기 속에 넣고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므로 전술한 발효방법보다 단시간 안에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실내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물리적인 압착방법을 이용하므로 압착하는데 힘이 들뿐만 아니라 찌꺼기를 압착하여 제거한 후 압착기를 세척하지 않으면 압착기 내부에 묻어 있는 찌꺼기가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매번 사용할 때마다 압착기를 세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압착기는 용기 내에 압착판 등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세척하기 위하여는 압착판 등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다. 따라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찌꺼기서 간단하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 중간처리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장치나 방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단하게 음식물 찌꺼기 중에 함유된 수분만을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찌꺼기가 수용되는 용기와 덮개를 포함하고 덮개에 송풍기와 송풍 유도간 및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서 된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찌꺼기 수용용기는 통상의 원통형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덮개는 측벽이 길게 연장되었고 하단부에서 전술한 용기와 밀봉 결합되게 되었다. 전술한 용기는 상면 중앙부에 공기 유입공을 갖고 있고, 측벽 상단부에 다수의 배기공을 갖고 있는 바, 전술한 배기공의 합계 면적은 공기 유입공의 합계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전량 배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었다. 전술한 공기 유입공이 형성된 용기의 상면 내측에는 송풍기가 보울트 등으로 부착되었으며, 이 송풍기는 덮개에 부착된 콘센트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가동되게 되었다. 또한 전술한 송풍기의 외측에는 공기 유도관이 전술한 송풍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었는데, 이 공기 유도관은 그 하단부가 덮개의 하단부와 거의 같은 평면으로 되게 연장되어 있어서 송풍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덮개 내에서 분산되지 않고 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 상면으로 분사되도록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송풍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덮개의 상단부 내측에서 외주벽쪽으로 분산되지 않고 직접 용기 내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 상면으로 분사되게 되므로 건조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전술한 공기 유도관은 송풍기와 일체로 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송풍기보다 직경이 큰 별도의 관을 형성하여 덮개의 상면에 보울트 등으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송풍기의 하방에 전열기를 부착하여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전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송풍기에 의하여 공기 유입공으로 유입되어지는 공기가 전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음식물 찌꺼기 위로 분사되므로 건조 효과가 보다 더 향상되게 된다. 전술한 전열기는 전술한 송풍기 하방에서의 공기 유도관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전열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공기 유도관의 내주면에 원륜상으로 설치한 전열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전열기는 송풍기가 연결된 콘센트에 연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전열기에 온도 감지기나 타이머 등을 부착하여 전열기에 대한 전류의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전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덮개
3,4 : 손잡이 11 : 덮개 측벽
12 : 덮개 상면 13 : 공기 유입공
14 : 배기공 15 : 송풍기
16 : 콘센트 17 : 공기 유도관
18 : 공기 유도관 하단 19 : 덮개 측벽 하단
20 : 전열선 21 : 전선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는 음식물 찌꺼기가 수용되는 손잡이(3)를 갖고 있는 용기(1)와 손잡이(4)를 갖고 있는 덮개(2)를 포함한다. 용기(1)는 측벽이 비교적 높은 통상의 원통형 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2)는 측벽(11)이 길게 연장되었으며, 그 하단부는 용기의 상단부에 밀봉 결합되게 되었다. 전술한 덮개(2)는 상면(12)에 원륜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 유입공(13)을 갖고 있으며, 측벽(11) 상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14)을 갖고 있다. 전술한 덮개(2)의 상면(12) 내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로 분출시키는 송풍기(15)가 보울트(21)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송풍기(15)는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통상적인 송풍기로서 보울트(22)에 의하여 덮개(2)의 상면(12)에 부착되었다. 전술한 송풍기(15)는 덮개의 상면(12)에 형성된 콘센트(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송풍기의 외주 하방에는 공기 유도관(17)이 송풍기와 일체로 되게 형성되었으며, 이 공기 유도관(17)의 하단부(18)는 덮개(2)의 측벽(11) 하단부(19)와 거의 같은 평면으로 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송풍기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덮개(2)내에서는 측벽쪽으로 분사되지 않고 바로 용기내의 찌꺼기 표면위로 분사되게 된다. 전술한 공기 유도관은 별도의 튜우브를 덮개 상면(12)에 보울트 등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건조장치가 송풍기 하방에 전열기(20)를 갖고 있다. 이 전열기(20)는 원륜상으로 되게 전술한 공기 유도관(17)의 내주면에 설치된 전열선으로 구성되며 전선(21)으로 콘센트(16)에 연결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전열기에서 가열된 다음 음식물 찌꺼기 위로 분사되므로 건조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전술한 전열기(20)는 송풍기의 바로 밑에 공기 유도관을 가로지르도록 전열선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찌꺼기를 용기(1)내에 집어넣고 덮개(2)를 덮은 다음 송풍기(15)를 전원에 연결하면 자동적으로 수분이 제거되어 찌꺼기가 건조되므로 종래 압착하는 방법보다 수분 제거 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를 수시로 세척할 필요가 없게되고 또한 용기를 세척한다 하여도 세척 작업이 간편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또한 발효 방법과는 달리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하는 방법이므로 가정의 실내에서 사용하여도 혐오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기(15)의 외측에 공기 유도관(17)이 그 하단부(18)가 덮개 측벽의 하단부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되어 있어서 송풍기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덮개의 상방에서 분산되지 않고 직접 음식물 찌꺼기위로 분사되게 되므로 건조 효과가 크게 향상되게 된다.

Claims (3)

  1. 음식물 찌꺼기가 수용되는 용기(1) 및 전술한 용기와 밀봉 결합되는 덮개(2)를 포함하고, 덮개(2)의 측벽(11)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었으며, 덮개(2)의 측벽(11) 상단부에는 다수의 배기공(14)이 형성되고 덮개의 상면(12) 중앙부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13)이 형성되었으며, 전술한 덮개(2)의 상면(12) 내측에는 전술한 공기 유입공(13)에 연결되는 송풍기(15)가 설치되고, 송풍기(15)의 외측에는 하단(18)이 측벽(11)의 하단부(19)와 거의 같은 높이까지 연장된 공기 유도관(17)이 설치된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2. 제1항에서, 이 장치가 송풍기(15)의 하방에 전열기(3)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서, 공기 유도관(15)이 덮개(2)의 상면(12) 하방에 부착된 별도의 원통형 튜우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04741A 1997-02-17 1997-02-17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KR10021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741A KR100210464B1 (ko) 1997-02-17 1997-02-17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741A KR100210464B1 (ko) 1997-02-17 1997-02-17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30A KR19980068230A (ko) 1998-10-15
KR100210464B1 true KR100210464B1 (ko) 1999-07-15

Family

ID=1949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741A KR100210464B1 (ko) 1997-02-17 1997-02-17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4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3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8727A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6494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20490A (ko) 음식물 찌꺼기의 탈취/탈수기
CN103882922A (zh) 具有自动洗衣功能的洗脸池
KR100210464B1 (ko)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KR100292430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35839A (ko) 나선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200345258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37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273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99421B1 (ko) 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22231Y1 (ko) 수동식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100225389B1 (ko)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26595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28060A (ko) 조리대용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건조장치
KR200222009Y1 (ko) 음식물 찌꺼기의 탈취/탈수기
CN215337349U (zh) 化工用包装桶清洗后吸干残留水滴装置
CN215665197U (zh) 一种速干的智能垃圾桶
KR20039274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5032Y1 (ko) 폐비닐 풍건 장치
KR980008324A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건조장치
KR1004341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580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6794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9135Y1 (ko)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