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391B1 -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391B1
KR100210391B1 KR1019960024730A KR19960024730A KR100210391B1 KR 100210391 B1 KR100210391 B1 KR 100210391B1 KR 1019960024730 A KR1019960024730 A KR 1019960024730A KR 19960024730 A KR19960024730 A KR 19960024730A KR 100210391 B1 KR100210391 B1 KR 10021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quester
list
respond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406A (ko
Inventor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2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391B1/ko
Publication of KR98000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 응답자 ID를 서버로 입력하는 단계(S1)와; 상기 서버는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서버의 가입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영상전화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는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를 전달하는 단계(S2);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응답자가 상기 요청자의 ID에 상관없이 통화를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 상기 제 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버의 통화리스트에상기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가 응답 여부 확인 메시지를 서버에게로 전달하고, 서버가 상기 응답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라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요청자에게로 전달하는 단계(S4); 상기 연결 여부에 따라 통화를 개시하고, 소정의 메시지 교환이 끝나면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S5); 및 응답자가 상기 통화리스트의 갱신 여부를 판단한 후 영상 전화 서비스를 종료하는 단계(S6)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 중 서버의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에 통화리스트를 미리 작성해두고, 통화 요청자의 ID가 상기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하므로써, 통화 요청을 받은 사용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상대방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제1도는 DAVIC(Digital Audio Visual Council)에서 권고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통화 진행과정을 도시한 구성 흐름도.
제3도는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가 결정되는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망접속 장치 410 : 튜너
420 : 복조부 430 : 암호 해독부
440 : 대화형 통신부 500 : 셋탑장치
505 : 역다중화부 510 : 오디오 복호부
515 : 비디오 복호부 520 : 비디오 메모리
525 : 중앙 처리 장치 530 : 메모리
535 :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부 540 : 그래픽 생성부
541 : 그래픽 정보 제어부 542 : 그래픽 메모리
543 : NTSC 부호부 545 : 암호 해독부
550 : 고주파 변환부 555 : 전송부
560 : 전원부 565 : 리모콘
600 : 오디오 입출력장치 650 : 비디오 입출력장치
본 발명은 영상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요청자의 식별자(Identifier : 이하 ID 라 함)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하므로써 통화 요청을 받은 응답자의 실제 모습이나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영상전화 서비스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초고속 정보고속도로(Information Super Highway)가 개통되면 통신분야에 있어서도 기존의 음성 통신서비스 이외에 영상과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새로운 서비스 중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가 영상 전화 서비스이다.
상기 영상 전화 서비스는 음성신호와 더불어 방대한 양의 영상신호 및 기타 데이터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데이터 압축기술뿐만 아니라 전화 서비스 자체가 단방향 통신이 아닌 양방향 통신이므로 양방향(Interactivity)통신기술 즉 대화형 통신기술도 필요한 서비스이다.
이에, 영상전화 서비스는 고도한 데이터 압축기술과 대화형 통신기술을 포함하는 영상 전화 기능을 가진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Interactive service system)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화형 서비스는 기존의 TV나 유선방송 시스템(Cable Television : 이하 CATV 라 함)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이므로, 가입자의 선택조절 신호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되어 가입가가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때에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의 조합이다.
이러한 대화형 서비스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대화형 유선 방송 시스템(Interactive Cable Television : 이하 I-CATV이라 함)을 기술적 기반으로 하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 이하 VOD라 함)서비스이다.
상기와 같은 대화형 서비스는 민간 기구인 DAVIC( Digital Audio Visual Council : 이하 DAVIC 라 함)에서 표준화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Audio-Visual : 이하 AV 라 함) 서비스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구현되고 있다.
제1도는 상기 DAVIC에서 권고하는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공급 시스템(20 : Service Provider System : SPS)과 전송 시스템(40 : Delivery System : DS) 및 가입자 단말기(60 : Set Top Unit : STU)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공급 시스템(20)는 내용 서비스부(21)와 응용 서비스부(22), 스트림 서비스부(23), 서비스 게이트에이부(24), 세션제어부(25), 망제어부(26) 및 망접속부(2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송 시스템(40)은 서비스관련 제어부(41)와 망관련 제어부(42), 중심망(43 : Core Network), 접근망(44 : Access Network), 가내망(45 : In house Network)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관련 제어부(41)는 상기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의 세션 제어부(25)와 가입자 단말기(60)를 연결하고, 상기 망관련 제어부(42)는 상기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의 망제어부(26)와 가입자 단말기(60)를 연결시킨다.
또한, 전송 시스템(40)는 서비스관련 제어부(41)와 망관련 제어부(42), 중심망(43 : Core Network), 접근망(44 : Access Network), 가내망(45 : In house Network)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관련 제어부(41)는 상기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의 세션 제어부(25)와 가입자 단말기(60)을 연결하고, 상기 망관련 제어부(42)는 상기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의 망제어부(26)와 가입자 단말기(60)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중심망(43)은 서비스 공급 시스템(20)과 가입자 단말기(60) 사이의 연결 설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접근망 (44)는 상기 중심망(43)과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이외의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기(60)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의 서비스 정보를 다중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내망(45)은 접근망(44)의 종단점과 가입자 단말기(6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60)는 실물 처리부(61 : Product Entity)와 응용서비스 처리부(62 : Application Entity), 동작환경 처리부(63 : Environment Entity), 망연결 처리부(64 : Connectivity Entity) 및 망접속장치(65 : Network Interface Unit : NIU)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물 처리부(61)는 실제 가입자 요구 서비스 정보를 받아 이를 가입자가 사용하는 가입자 단말기(60)에 적합하게 나타내 주고, 상기 응용서비스 처리부(62)는 응용 서비스를 수용하거나 요구하는 역할을 하며 모든 응용 서비스의 제어정보를 다룬다.
상기 동작환경 처리부(63)는 상기 응용 서비스 프로그램들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망연결 처리부(64)는 가입자 단말기(60)과 망접송 장치(65)를 통해 오류없는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망접속 장치(65)는 전송 시스템(40)으로부터 전달되는 망의 특정한 내용 정보를 받아들여 가입자 단말기(6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켜서 망연결 처리부(64)로 전달한다. 이 망접속 장치(65)는 망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장치(Unit)의 교체로 전송 시스템(40)와 가입자 단말기(60)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장치로서 구현된다. 즉, 외장이나 Plug Play 장치이다.
제2도는 상기의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과 같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통화 진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통화 진행과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S10)에서 임의의 영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는 영상 전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와 가입자 자신(이하 요청자)의 ID 및 전화를 받을 상대방(이하 응답자)의 전화번호를 전송망(ISDN(11)나 전달 시스템(40))을 이용하여 ISDN 중계국(도시되지 않음)이나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의 ID는 특정 식별자나 자신의 이름, 전화번호등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어서, 제2단계(S20)에서 상기 ISDN 중계국이나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은 입력된 영상 전화 서비스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입력받아, 상기 요청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에, 제3단계(S30)에서 상기 제2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통화가 개시되기도 하고 통화가 거부되기도 한다.
즉, 제3-1단계(S31)에서, 가입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요청자와 응답자간의 통화가 개시된다.
반면에, 제3-2(S32)에서, 가입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S32), 요청자는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 받을수가 없어 응답자와 통화를 하지 못한다.
이어서, 제4단계(S40)에서 요청자가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통화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영상 전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적법한 가입자가 통화를 요청해 왔을 때, 통화 요청을 받은 응답자가 고의로 전화를 받지않는 경우나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통화가 개시되고, 일단 통화가 개시되면 개인의 의사에 관계없이 응답자 자신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통화를 요청한 가입자에게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 통화를 요청한 가입자의 ID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메시지 교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 응답자 ID를 서버로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서버는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서버의 가입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영상전화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는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를 전달하는 제2단계;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응답자가 상기 요청자의 ID에 상관없이 통화를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는 응답 여부 확인 메시지를 서버에게로 전달하고, 서버는 상기 응답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라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요청자에게로 전달하는 제4단계; 상기 연결 여부에 따라 통화를 개시하고, 소정의 메시지 교환이 끝나면 통화를 종료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통화가 종료된 후, 응답자가 상기 통화리스트의 갱신 여부를 판단한 후 영상 전화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6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 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통화리스트에 요청자의 ID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하므로써, 통화 요청을 받은 사용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상대방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블록도이다.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측과(200)와 전송망(220)은 내용 공급 시스템(Content Provider System : 205)과, 서버(Server : 2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240)는 망접속 장치(242 : Network Interface Unit), 셋탑 장치(244 : Set-Top Unit) 및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장치(24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내용 공급 시스템(205)은 주소화된 정보 내용을 상기 서버(210)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서버(210)는 상기 내용 공급 시스템(205)으로부터 정보 내용을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구성한 후 부호화, 다중화, 암호화, 전진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ng : 이하 FEC라 함) 및 고주파 변환한 다음 전송망(220)으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전송망(220)은 상기 서버(210)나 가입자 단말기(240)에서 보내지는 정보의 내용이 에러없이 지정된 목적지까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망접속 장치(242)는 전송망(220)에서 특정한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을 받아들여 셋탑장치(244)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킨 후, 상기 셋탑장치(244)에 전달한다. 이 망접속장치(242)는 망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장치(Unit)의 교체로 상기 전송망(220)와 상기 셋탑장치(244)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유닛으로 구현된다. 즉, 외장이나 'Plug Play장치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셋탑 장치(244)는 상기 망접속 장치(242)로부터 입력받은 트랜스포트 스트림를 역다중화와 복호화, 암호 해독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246)로 출력한다.
이에,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246)는 상기 셋탑 장치(244)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가입자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의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 중 가입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는 크게 망접속 장치(400)와 셋탑 장치(500), 오디오 입출력장치(600) 및 비디오 입출력장치(6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망접속 장치(400)는 튜너(410)와 복조부(420), 암호 해독부(430) 및 대화형 통신부(440)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셋탑 장치(500)는 역다중화부(505); 오디오 복호부(510); 비디오 복호부(515); 비디오 메모리(520); 중앙처리장치(525 : Central processing unit : 이하 CPU라 함); 메모리(530);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부(535 :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 이하 DMAC라 함); 그래픽 생성부(540); 암호 해독부(545); 고주파 변환부(550); 전송부(555); 전원부(560); 및 리모콘(56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생성부(540)는 그래픽 정보 제어부(541)과 그래픽 메모리(542) 및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부호부(54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튜너(410)는 전송망(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정보 스트림을 담고 있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전송망의 고주파 트랜스포트 스트림를 중간주파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상기 복조부(420)는 상기 튜너(410)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를 디지털 형태로 복조(Demodulation)시키고 FEC 복호화시켜서 암호 해독부(430)로 출력하고, 상기 암호 해독부(430)는 상기 복조된 디지털 정보 스트림의 암호를 해독한다.
그리고, 상기 대화형 통신부(44)는 상기 암호 해독된 디지털 정보 스트림를 셋탑 장치(500)의 역다중화부(505)로 출력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모뎀이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부(505)는 상기 대화형 통신부(440)로부터 입력받은 다중화된 디지털 정보 스트림을 역다중화시켜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복호부(510)는 상기 역다중화된 디지털 정보 스트림 중 부호화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복호화시켜서 두가지 방법으로 출력한다. 그 하나는 오디오 좌/우(Audio - Right / Left) 스트레오 형태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600)로 출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주파 변조부(550)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복호부(515)는 상기 역다중화된 디지털 정보스트림 중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복호화시키고, 상기 비디오 메모리(520)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과정에 필요한 저장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다른 메모리의 기능과 공유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CPU(525)는 서버와 가입자 단말기 간의 양방향 통신과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시스템에서 필요한 논리 및 연산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530)는 상기 CPU(525)의 동작에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하고, 가입자 단말기를 초기화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전원을 끈 뒤에도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DMAC(535)는 상기 CPU(525)의 제어없이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래픽 생성부(540)의 그래픽 정보 제어부(541)는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와 상기 CPU(525)로부터 만들어진 그래픽 정보를 각각 8비트(Bit)의 YCbCr포맷(Format)으로 받아 들인 후 오버레이(Overlay)하여 역시 8 비트의 YCbCr포맷으로 출력한다.
또, 그래픽 메모리(542)는 상기 그래픽 정보 제어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다른 메모리와 공유해서는 안되며 상기 CPU(525)에 의해 직접 제어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NTSC 부호부(543)는 상기 그래픽 정보 제어부(542)로부터 입력되는 8 비트의 YCbCr신호를 아날로그적 신호인 NTSC 복합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암호 해독부(545)는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신호의 암호를 해독해서 출력하는데, 그 출력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상기 암호 해독된 비디오 신호를 기저 대역 (Base Band) 비디오 신호 형태로 비디오 입출력장치(650)로 출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주파 변환부(550)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변환부(550)는 상기 암호 해독부(545)로부터 입력되는 중간주파 비디오신호를 비디오 입출력장치(650)가 잘 수신할 수 있도록 고주파로 변환시켜 비디오 입출력부(650)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북호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중간주파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입출력장치(600)가 잘 수신할 수 있도록 고주파로 변환시켜 오디오 입출력부(60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입출력부(650)는 상기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나 상기 고주파 변조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가입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가입자의 모습이나 기타 비디오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600)는 상기 오디오 좌/우 스트레오 신호나 상기 고주파로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에게 출력시켜 주고, 가입자의 목소리나 기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전송부(555)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신호를 상기 망접속장치(400)으로 출력하고, 전원부(560)는 가입자 단말기 전체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리모콘(565)은 가입자가 직접 가입자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외부 기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동작 및 효과와 더불어 통화 여부 결정방법에 대해서 제4, 5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여부 결정 방법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메시지 교환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6단계로 구성된다.
즉, 제1단계(S1)에서 요청자가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 응답자 ID를 서버로 입력한다.
이에, 제2단계(S2)에서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서버가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서버의 가입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영상전화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는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를 전달한다.
이어서, 제3단계(S3)에서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응답자가 상기 요청자의 ID에 상관없이 통화를 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제4단계(S4)에서 상기 제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버의 통화리스트에 상기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는 응답 여부 확인메시지를 서버에게로 전달하고, 서버는 상기 응답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라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요청자에게로 전달한다.
이에, 제5단계(S5)에서 상기 연결 여부에 따라 통화를 개시하고, 소정의 메시지 교환이 끝나면 통화를 종료한다.
마지막으로, 제6단계(S6)에서 상기 통화가 종료된 후, 응답자가 상기 통화리스트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 전화 서비스를 종료한다.
영상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사용자는 우선 영상 전화 서비스를 공급하는 서버(도시되지 않음)의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1) 상기 제1단계(S1)에서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 및 응답자의 ID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자는 통화를 요청한 사람을 말하고 상기 응답자는 통화 요청을 받을 사람을 말한다.
상기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 및 응답자 ID는 전송부(565)를 거친다음 망접속 장치(400)를 통해 전송망(도시되지 않음)으로 송출된다. 여기서, ID는 특정한 개인 식별자나 이름, 전화번호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2) 이에, 제2단계(S2)에서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서버가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서버의 가입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영상전화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는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리스트는 서버의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일종의 룩-업 테이블을 말하고, 상기 적법한 영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란 서버에게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겠다고 신청한 가입자를 말한다.
먼저, 서버는 상기 전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 및 응답자의 ID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제2-1단계(S2-1)에서 서버는 상기 입력된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에, 제2-2단계(S2-2)에서 상기 제2-1단계(S2-1)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는 요청자에게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린다. 즉, 통화가 개시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제2-3단계(S2-3)에서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는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제2-4단계(S2-4)에서 상기 제2-3단계(S2-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가 응답자에게 상기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전달하고, 요청자에게는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음을 알린다.
한편, 상기 제2-5단계(S2-5)에서 상기 제2-3단계(S2-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요청자의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린다. 즉, 통화가 개시되지 않는다.
3) 이어서, 제3단계(S3)에서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 받은 응답자가 요청자의 ID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할 것인가 아니면 요청자가 누구이든 상관없이 전화를 받아볼 것인가를 판단한다.
4) 이에, 제4단계(S4)에서 상기 제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버의 통화리스트에 상기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응답자는 응답 여부 확인 메시지를 서버에게로 전달하고, 서버는 상기 응답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라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요청자에게로 전달한다.
즉, 제4-1단계(S4-1)에서 상기 제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가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해 줄 것을 서버에게 요청한다.
제4-2단계(S4-2)에서 상기 요청을 받은 서버가 상기 통화리스트에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에, 제4-3단계(S4-3)에서 상기 제4-2단계(S4-2)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서버가 응답자에게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없음을 알린다.
이어서, 제4-4단계(S4-4)에서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없음을 안 응답자가 서버에게 통화 거부 메시지를 전달한다.
반면에, 제4-5단계(S4-5)에서 상기 제 4-2단계(S4-2)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가 응답자에게 요청자 ID가 통화 있음을 알린다.
이어서, 제4-6단계(S4-6)에서 상기 제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가 요청자의 ID에 상관없이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또는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있음을 안 경우, 응답자가 서버에게 통화 수락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제4-7단계(S4-7)에서 상기 제4-6단계(S4-5)에서 통화 수락 메시지를 전달 받은 서버가 응답자에게 대기 메시지를 전달하고, 요청자에게는 통화 연결여부 확인메시지를 전달한다.
5) 제5단계(S5)에서 상기 연결 여부에 따라 통화가 개시되고 소정의 메시지 교환이 끝나면 통화를 종료시킨다.
6) 제6단계(S6)에서는 상기와 같이 통화가 종료된 후 통화리스트의 갱신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6-1단계(S6-1)에서 상기 통화를 종료한 요청자의 ID를 통화리스트에 등록시킬 것인 가를 응답자가 판단한다.
이에, 제6-2단계(S6-2)에서 응답자가 요청자의 ID를 통화리스트에 등록시킨 경우, 통화리스트를 갱신한다.
반면에, 제6-3단계(S6-3)에서는, 응답자가 요청자의 ID를 통화리스트에 등록시킨 경우, 또는 상기 제6-2단계(S6-2)에서 통화리스트를 갱신한 경우, 모든 영상 전화 서비스를 종료한다.
제6도는 상기와 같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 여부가 결정되는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에 도시된 통화여부 결정 방법은 먼저 통화 요청자가 영상전화 서비스 요청신호와 요청자 자신의 ID 및 응답자의 ID를 서버로 보낸다.
이에,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자와 응답자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요청자에게는 가입여부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자에게는 서비스 요청신호(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보낸다.
상기 서비스 요청신호를 받은 응답자는 요청자의 ID가 서버측의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해 줄 것을 서버에게 요청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서버는 요청자의 ID가 서버측의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 후 응답자에게 등록 여부 확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응답자는 상기 등록 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른 응답 확인 메시지를 서버에게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서버는 응답 확인 메시지에 따른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라 통화가 개시되기도 하고 거부되기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르면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 중 서버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통화리스트를 미리 작성해두고, 통화 요청자의 ID가 상기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하므로써, 통화 요청을 받은 사용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상대방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접속된 한 가입자와 타 가입자간의 메시지 교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 응답자 ID를 서버로 입력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서버는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서버의 가입자 리스트와 비교하여 영상전화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판단한 후, 그 판단 결과를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는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 ID를 전달하는 제2단계(S2);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응답자가 상기 요청자의 ID에 상관없이 통화를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버의 통화리스트에 상기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응답자는 응답 여부 확인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달하고, 서버는 상기 응답여부 확인 메시지에 따라 연결 여부 확인 메시지를 요청자에게로 전달하는 제4단계(S4); 상기 연결 여부에 따라 통화를 개시하고, 소정의 메시지 교환이 끝나면 통화를 종료하는 제5단계(S5); 및 상기 통화가 종료된 후, 응답자가 상기 통화리스트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6단계(S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가 상기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1단계(S2-1)와; 상기 제2-1단계(S2-1)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요청자에게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제2-2단계(S2-2); 상기 제2-1단계(S2-1)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3단계(S2-3); 상기 제2-3단계(S2-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응답자에게 상기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전달하는 제2-4단계(S2-4); 및 상기 제2-3단계(S2-3)에서의 판단결과,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요청자에게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제2-5단계(S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4단계(S4)가 상기 제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가 요청자의 ID에 따라 통화 여부를 결정할 것을 원하는 경우, 서버의 통화리스트에 상기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해 줄 것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제4-1단계(S4-1)와; 상기 통화리스트에 요청자의 ID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4-2단계(S4-2); 상기 제4-2단계(S4-2)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서버가 응답자에게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없음을 알리는 제4-3단계(S4-3);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없음을 안 응답자가 서버에게 통화 거부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4-4단계(S4-4); 상기 제4-2단계(S4-2)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가 응답자에게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있음을 알리는 제4-5단계(S4-5); 상기 3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 응답자가 요청자의 ID에 상관없이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또는 요청자 ID가 통화리스트에 있음을 안 경우, 응답자가 서버에게 통화 수락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4-6단계(S4-6); 및 상기 제4-6단계(S4-6)에서 통화 수락 메시지를 전달 받은 서버가 응답자에게 대기 메시지를 전달하고, 요청자에게는 통화 연결여부 확인메시지를 전달하는 제4-7단계(S4-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S6)가 통화리스트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는 제6-1단계(S6-1)와; 상기 제6-1단계(S6-1)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를 통화리스트에 등록시킬 경우, 통화리스트를 갱신하는 제6-2단계(S6-2); 및 상기 제6-1단계(S6-1)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를 통화리스트에 등록시키지 않을 경우, 또는 상기 제6-2단계(S6-2)에서 통화리스트를 갱신한 경우, 모든 영상 전화 서비스를 종료하는 제6-3단계(S6-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제2-4단계(S2-4)가 응답자에게 상기 통화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전달함과 동시에 요청자에게 응답자의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여부 결정방법.
KR1019960024730A 1996-06-27 1996-06-27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KR10021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730A KR100210391B1 (ko) 1996-06-27 1996-06-27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730A KR100210391B1 (ko) 1996-06-27 1996-06-27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406A KR980007406A (ko) 1998-03-30
KR100210391B1 true KR100210391B1 (ko) 1999-07-15

Family

ID=1946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4730A KR100210391B1 (ko) 1996-06-27 1996-06-27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735A (ko) * 2002-06-14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화상 통화 방법
KR100899442B1 (ko) * 2007-12-04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99443B1 (ko) * 2007-12-04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40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5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video conferencing through a streaming device
US90324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ferencing through a television forwarding device
US9819989B2 (en) Remote control device signal distribution
US6772436B1 (en) Interactive audio conferencing system
CN102696224B (zh) 将视频通信连接到其它装置的方法、视频通信设备及其显示设备
JP4014281B2 (ja) Catvにおける番組予約方式
JP5122102B2 (ja) テレビ電話機能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及び移動通信端末機のテレビ電話制御方法
US20040031063A1 (en) Method of looking at and listening to broadcast, broadcast-transmitting server, mobile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for looking at and listening to broadcast and making commuication in multi-point
US20060020993A1 (en) Advanced set top terminal having a call management feature
US20100162331A1 (en) Multimedia processing resource with interactive voice response
CN104703029B (zh) 一种数字电视节目流分享方法、装置、终端及系统
US6621514B1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US20090055878A1 (en) Accessing interactive services over internet
EP1557999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over a network
CN100562091C (zh) 利用h.323系统开展交互式多媒体服务的系统和方法
KR100210391B1 (ko)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여부 결정방법
US2012028933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mplementing interactive game based on visual telephone
TW493349B (en) Session oriented settop communication using dynamic, synchronized routing
CN101677396B (zh) 一种预览频道媒体流协商的方法、系统和装置
KR100210393B1 (ko)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
KR20100121216A (ko) Iptv에서의 채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74859B1 (ko) 양방향 방송용 자동전화 연결 서비스 방법
CN101018316A (zh) 一种基于iptv的视频会议系统及其实现方法
WO2000074381A9 (en) Multi-level broadband multimedia delivery system
KR102564659B1 (ko) 셋탑박스를 위한 서버기반 동적 모드셋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