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991B1 -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991B1
KR100209991B1 KR1019920003665A KR920003665A KR100209991B1 KR 100209991 B1 KR100209991 B1 KR 100209991B1 KR 1019920003665 A KR1019920003665 A KR 1019920003665A KR 920003665 A KR920003665 A KR 920003665A KR 100209991 B1 KR100209991 B1 KR 10020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ttle
closure device
colla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938A (ko
Inventor
베테가조레 삐에로
Original Assignee
피에르기아코모구알라
구알라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르기아코모구알라, 구알라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피에르기아코모구알라
Publication of KR92001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65D49/06Weighted valves with additional loading 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8Annular elements encircling container necks
    • B65D55/0818Destructible or permanently removable bands, e.g. adhesive
    • B65D55/0836Metallic strips, e.g. soldered on container and lid
    • B65D55/0845Metallic strips or cap-like collars having their edges crimped over part of the container and closure or other element, e.g. with C-shap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8Annular elements encircling container necks
    • B65D55/0863Plastic snap-on cap-like collars having frangi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될 수 있도록 된 병에대한 패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병(11)의 목(12)부분에 안전하도록 된 토출몸체(21)와 상기 토출몸체(21)와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되는 캡(32)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캡(32)은 상기 토출몸체(21)와 고정된 칼라(25)의 환형외측 부위(27)에 대해 인접하는 관형외부덮개(37)와 고정되며; 상기 덮개(37)와 환형외측 부위(27)는 적은 비용으로 보강하기가 힘든 밀봉을 제공하는 취약한 외부링(42)에 의해 밀착하게 된다 .

Description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병에대한 폐쇄장치의 제2도인 Ⅰ-Ⅰ선에 따른 부분단면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폐쇄장치의 화살표 F 방향에서의 부분발췌 상세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폐쇄장치가 어떻게 개봉되는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텀퍼-프르프(tamper-proof)요소가 보완된 폐쇄장치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도의 Ⅵ-Ⅵ선에 따른 부분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도의 개봉된 상태의 페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폐쇄장치 11 : 병(bottle)
12 : 목(neck) 21 : 토출몸체
25, 25a : 칼라(collar) 27, 27a : 환형부
32 : 캡 37, 37a : 관형덮개
41 : 환형부 42, 42a : 외부링
43, 44 : 대향측면 45, 46 : 대향스탭
47 : 티어-오프(tear-off)부 48, 49 : 취약부
50, 51 : 브리지(bridge) 52 : 밴드
53 : 오목부(depression) 54 : 태브(tab)
61, 62 : 컷아우트(cutout) 63 : 링
64 : 브리지 66 : 림(rim)
67 : 벽(wall) 68 : 창문
본 발명은 병의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도주와 같은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의 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
공지된 병의 폐쇄장치는 병목에 대해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적용된 토출몸체와 상기 토출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캡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토출몸체에 고정된 칼라의 환형 외측 부위와 인접하는 관형 외부 덮개와 함께 고정된다.
상기 관형외부 덮개와 상기 덮개와 인접하는 환형외측 부위는 홈 또는 찌그러짐이 없고 적당한 장식을 수용할 수 있는 노출된 표면을 가지는 폐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쇄장치는 또한 상기 덮개와 칼라의 환형측 부위 사이의 결합내에 형성된 스탭에 대하여 작용된 왁스로 간단하게 제공된 밀봉수단을 포함한다. 밀봉조정에 대한 고유의 결점은 매우 단순하다는 이유에 의하여 적은비용으로 즉시 복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폐쇄장치가 개봉된 비워진 병에 조악한 음료와 조금은 유사한 것으로 용이하게 보충되어진 후 상기병의 폐쇄장치가 제적용되어 밀봉이 복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병의 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병목에 대해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적용된 토출몸체와, 상기 토출몸체 및 상기 토출몸체와 고정된 칼라의 환형외측 부위와 인접하는 고정된 관형외부 덮개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캡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덮개와 환형외측 부위는 상기 덮개와 칼라의 환형외측 부위를 결합시키는 취약한 외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수단에 의해 상호연결되어지는 특히,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의 폐쇄장치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의 분명한 이해의 관심에 대한 설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해 예시된 아래의 제한하지 않는 두 실시예에 의해 주어질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폐쇄장치는 오직 상부만을 나타낸 병(11)내에 10으로서 표시된다. 상기병(11)은 일반적인 것이고, 세로축 X-X, 입(13)과 원통형 목(12) 및, 상기 X-X 측에 위치하는 환형부(15)를 통하는 목(12)에 표면상 일체로 되는 병몸체(14)를 구비한다.
상기 폐쇄장치(10)는 상기 병(11)에 원치않는 채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된 밸브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조립체는 상기 입(13)내부에 맞물려서 결합되어지며 상기 X-X축을 따라 안내된 형식의 두 유리구(18)를 보유하기 위하여 목(12)내부에 수용된 일부(17)와, 상기 입(13)과 인접하는 플랜지(20)가 형성되어지는 탄성체로 만들어진 관형부재(16)를 포함한다. 토출몸체(21)는 상기 관형부재(16)의 연장부(22)에 걸쳐 체결된다. 나사부(24)는 상기 토출몸체(21)의 외주면에 완곡하게 형성된다.
상기 폐쇄장치(10)는 ABS 수지와 같은 적당한 강성의 합성수지물질의 칼라(25)를 더 포함하게 되며, 이 칼라(25)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병(11)의 목(12)에 걸쳐 결합하게 되며 사이 토출몸체(21)에 대해 상부단(26)이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칼라(25)의 맞은편 바닥단 주위에 완곡하게 형성된 높여진 환형부(27)는 상기 병의 각진부분(15)의 옆에 배치되어진다.
상기 칼라(25)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태브(28)는 내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칼라(25)의 상부단(26)을 향하게 되며 상기 병(11)의 목(12)내에 형성된 오목부(29) 내측으로 인접하여 맞물리게 된다.
더우기, 상기 칼라(25)의 내부와 상기 목(12)은 서로 맞물리게 된 각각의 세로방향의 리브(30)(31)로서 형성된다.
상기 폐쇄장치(10)는 상기 토출몸체(21)상에 장착된 캡(32)을 더 포함하게 되며; 상기 캡(32)은 바닥(33)과, 상기 토출몸체(21)상의 나사부(24)와 맞물리게 되는 나사부(35)가 내측으로 형성된 관형벽(34)으로 설명되어진다. 상기 캡(32)은 엄밀한 밀봉방식으로 상기 토출몸체(21)를 폐쇄한다.
상기 캡(32)의 강체는 엄밀하게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캡(32)과 함께 동축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관형덮개(37)와 동일하다. 상기 덮개(37)는 상기 캡(32)을 보유하는데 효과적인 환형돌출부(40)를 가진다. 더우기, 세로방향의 리브(38, 39)는 상호결함을 위해 상기 캡(32)의 외부와 상기 덮개(37)의 내부상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37)는 ABS 수지와 같은 어느정도 강성의 합성수지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37)의 바닥단은 환형부(27)가 상기 덮개(37)의 연장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칼라(25)상에 상기 높여진 환형부(27)에 대하여 인접하는 높여진 환형부(41)를 가진다. 상기 외측으로 높여진 두 환형부(27, 41)는 밀봉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진다.
외부링(42)을 포함하는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높여진 두 환형부(27, 41)를 감싸준다. 특히, 상기 링은 각각 환형부(27, 41)에 의해 형성된 스탭(45, 46)과 이와 대향되게 배치된 반대쪽 측면(43, 44)을 결합하는 C-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링(42)은 티어-오프부(47)의 대향하는 측면상의 두 취약부(48, 49)를 통하는 링(42)의 잔류부분에 연결되는 아아치형의 티어-오프부(47)(제2도)를 포함하도록 취약한 것으로 만들어진다.
취약부(48)내의 상기 티어-오프부(47)은 상기 링의 완전한 높이에 미치는 일련의 브리지(50)를 통하는 링(42)의 잔류부분에 연결시키기 위해 배열되어진다. 취약부(49)내의 상기 티어-오프부(47)는 상기 링(42)에 거의 중간에까지 연장되는 브리지(51)에 의해 링(42)의 잔류 부분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티어-오프부는 필수적으로 상기 링높이의 중간에 걸친 상기 링의 잔류부분과 함께 만들어진다. 태브(54)는 상기 티어-오프부(47)로부터 상향으로 상기 덮개(37)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상기 링(42)은 폴리프러필렌과 같은 플라스틱물질로 부터 몰딩 되어진다.
상기 밀봉수단은 또한 상기 링(42)주위에 폐쇄접촉으로 맞물리게 되는 얇은 외부밴드(52)를 포함한다. 아마도, 상기 밴드(52)는 알루미늄등과 같은 금속물질이며 자기형성 공정에 의해 상기링(42)주위에 꽉 맞춤된다.
상기 자기형성 공정은 빠른 수정, 고에너지 자기장의 발생 즉, 상기 밴드를 통하는 전류를 도입하기 위해 배열된 적당한 리드를 통하는 고전류 펄스의 공급에 의해 성취되어지며; 상기 도입된 전류와 자기장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밴드에 전달된 에너지는 상기 밴드가 방사형으로 수축되며 상기 링(42)의 외부표면 주위에 꽉 맞춤되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가 요구된다.
상기 외부밴드(52)는 상기 링(42)과 동일하게 C-형 횡단면을 가진다. 아마도, 사기 링(42)은 상기 밴드(52)가 삽입되는 내부가 오목한 것으로서 형성된다. 이 오목부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글자의 형태로서 형성되어지며, 상기 글자 E는 예에 의하여 예시되어지며 상기 오목부는 53(E의 수평바에 관한 오른쪽의 횡단면에 도시된 오목부)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상기 밴드(52)는 오목한 E-형방식(55)을 나타낼 것이다.
상기 글자는 예를들어, 병용량의 상표 및/또는 상표명을 표시하게 된다. 물론, 특징, 숫자, 로그스등과 같은 다른종류의 도안이 대안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폐쇄장치(10)는 상기 토출몸체(21)에 상기 칼라(25)를 용접시키는 것과, 상기 토출몸체(21)상에 상기 캡(32)을 체결시키는 것과, 상기 관형부재(16)의 연장부(22)에 걸쳐 상기 토출몸체(21)를 결합시키는 힘과, 상기 관형부재(16)내에 구(18)를 도입시키는 것과, 상기 캡(32)상에 상기 덮개(37)를 결합시키는 힘과, 마지막으로 상기 높혀진 황형부(27, 41)에 걸쳐 그 위에 상기 밴드(52)가 결합하게 되는 상기 링(42)을 결합시키는 힘으로서 조립된다.
상기 조립된 폐쇄장치(10)는 상기 입(13)의 위치에 포개져서 구비되도록 병(11)의 목(12)내부에 상기 관형부재(16)의 구동에 의해 병(11)상에 설치된다.
상기 칼라(25)는 오목부(29)내에 태브(28)의 인접하는 맞물림에 의해 상기 목(12)상에 축방향으로 확실히 유지되며; 또한 상기 칼라(25)는 각각 상기 칼라(25) 및 목(12)부분에 세로방향의 리브(30, 31)의 상호접촉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캡(32)은 환형돌출부(40)에 의해 상기 덮개(37)에 축방향으로 유지되며; 더우기, 상기 덮개(37)와 캡(32)의 회전은 상호 결합하는 세로방향의 리브(38, 39)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폐쇄장치(10)는 평탄하고 미적가치의 외부표면에 흠이 없으며 장식을 이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된 판을 제공하는 상기 덮개(37)에 의하여 알리아 내부의 포도주등과 같은 음료를 함유할 수 있도록 된 병에 특히 유용하게 된다 .
상기 폐쇄장치(10)를 개봉하기 위하여 하나의 고정이 제3도 및 제4도(명확함을 위해, E-형의 오목진 방식은 이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도시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상기 태브(54)를 움켜잡아 상기 병(11)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비르지(50, 51)가 열개(裂開)되고 상기 링(42)이 열려지게 된다.
상기 병(1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상기 태브(54)를 계속적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링(42)은 높여진 환형부(27, 41)로부터 느슨하게 된다. 링(42)와 함께 상기 밴드(52)도 또한 단면(48, 49)을 따라 열개 되어진다.
상기 링(42)은 이미 개봉된 상태의 열개를 펼치게 되므로 한번 파되된 것을 복귀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는 템퍼-프르프(tamper-proof)밀봉을 자연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물론, 이는 어떤변경을 시도하는데 실망하게 되는 상기 폐쇄장치에 대해 상기 링의 생산과 조립의 많은 비용을 필요로하게 되는 새로운 링으로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42)은 이미 전문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한 해결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밴드(52)의 공급은 상기 밴드 또한 개봉된 상태의 열개를 펼침에 따라 밀봉조정의 복귀를 더욱 어렵게 한다. 또한, 이 실시에에서 금속구조로 되어지는 상기 밴드가 원래의 C-형 횡단면 형상에 대해 개봉된 후 복귀되기가 힘들정도로 찌그러지게 된다.
새로운 밴드의 적용은 다시 자기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게된다.
상기 링(42)과 밴드(52)에 있어서 글자형태의 오목한 패턴과 일치하는 오목부의 공급은 개봉과 현저함을 요구하는 손해를 보게되는 많은 요소를 도입하게 되는 밀봉조정이 보강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이는 상기 폐쇄장치가 미적인 감각을 가지도록 밑에 위치하는 높여진 환형부(27, 41)의 품질을 떨어뜨리는게 결코아닌 상기 링(42)과 밴드(52)의 제거를 더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환형부(27, 41)는 다양한 서술의 도안을 가지도록 즉, 상기 밴드(52)상에 펼쳐진 도안과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변형은 상기 링, 밴드, 밑에 있는 높여진 환형부의 각각의 형상에 적용되어진다. 이 폐쇄장치의 구조에 적용된 물질은 상기에서 언급한 것이 아닌 다른 물질이다. 상기 밴드는 자기가 아닌 다른 형성공정을 이용하여 링주위에 클램프 되어진다.
상기 링은 오목부 대신에 상기 밴드에 에워싸여진 높임으로서 제공됨에 따라 상기 글자는 엘리베이션에 대응하는 패턴의 외측으로의 변형을 나타낸다.
상기 엘리베이션은 또한 일반적인 도표의 형태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태브는 일부가 나타난 형상과 배치가 주어진다.
제5, 6, 7도에 일반적으로 60으로서 나타낸 폐쇄장치는 추가의 템퍼-프르프 요소가 제공된 상기 언급한 폐쇄장치(10)와 유사하다.
폐쇄장치(10)의 것과 유사한 폐쇄장치(60)의 구성부품은 동일번호에 a를 추가하여서 표기된다.
상기 취약부(48a, 49a)는 상기 링(42a)내에 각각 형성된 컷아우트(cutout)(61, 62)에 의하여 달성되며, 컷아우트(62)는 상기 링(42a)의 전 높이에 대하여 배열되어지며 다른 컷아우트(62)는 링(42a)높이의 거의 중간높이에 걸쳐 배열되어진다. 폐쇄장치(10)에 대해 예시되어온 것에 대해 추가하여, 폐쇄장치(60)는 링(42a)과 동축이며 일련의 브라지(64)에 의해 연결된 바닥링(63)을 포함한다.
상기 링(63)은 상기 칼라(25a)의 높여진 환형부(27a)상에 오목하게 된 링(66)과 결합하도록 적용된 내측으로의 엘리베이션(65)를 구비한다. 폐쇄장치(10)에 대해 예시되어온 것에 대해 더 추가하여, 상기 폐쇄장치(60)내에 제공되는 환형벽(67)은 상기 링(42a)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덮개(37a)내에 환형적으로 형성된 일련의 창문(68)을 덮는다. 이 환형벽(67)은 커버링의 기능을 가지는 불연속부에 상기 창문(68)뒤에 이동하는 태브(54a)의 적어도 일부분에 불연속된다.
상기 창문(68)에 배치된 상기 칼라(25a)의 환형밴드는 제7도에 나타난 개봉됨을 새긴것과 같은 개봉되어짐을 구비하게 되는 상기 폐쇄장치(60)의 표시를 사용하게 되고; 물론, 어떤 동등한 도안심볼이 개봉된 상태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폐쇄장치(60)는 상이 태브(54a)를 움켜잡아 상기 병으로부터 잡아 당기고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완만하게 잡아당기게 되는 폐쇄장치(10)의 방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작동은 결과적으로 폐쇄장치(10)와 유사하게 상기 링(42a), 밴드(52a)가 열게되고 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링(42a)이 풀어지게 되며, 상기 브리지(64)가 링(63)이 링(42a)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때까지 차츰 떨어지게 되며, 상기 링(63)은 칼라(25a)의 일부(27a)의 링(66)에 대해 인접하고 있는 환형의 엘리베이션(65)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상기 폐쇄장치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링(42a)의 제거에 있어서, 상기 벽(67)도 또한 분리되며 상기 창문(68)이 열리게 된다. 폐쇄장치(10)와 관련해서 이미 언금된 바와같은 이점은 링(42a)가 밴드(52a)의 템퍼프르핑에 의해 제공되어진다.
상시 템퍼프르프 특징은 상기 폐쇄장치 밀봉의 신뢰할 수 없는 복원과 모든 브리지를 상기 상부링에 연결시키는 복귀의 경우에 상기 폐새장치(60)를 단단히 지지시키고 체결시키는 링(42a)으로부터 한번 분리된 상기 링(63)에 의해 증대되어진다. 링(42a)의 제거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64)의 계속적인 열개는 상기 밀봉이 중단되어짐을 나타내는데 음의 효과를 초래하며; 상기 폐쇄장치(60)가 개봉되어진 후 링(63)의 보유는 후자의 개봉된 상태를 펼칠 때 유지된다.
상기 폐쇄장치를 변경시키는 것은 상기 폐쇄장치가 재밀봉되어지기 전에 복귀되도록 요구되는 다른요소를 구성하는 상기 환형의 벽(67)에 의해 더 견디게 되어진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링(42a)이 상기 폐쇄장치(60)로부터 상기 벽(67)과 함께 제거되는 동시에 상기 창문(68)이 열려지게 되며, 개봉되어짐을 구비하는 상기 폐쇄장치의 표시는 변경하는 행위의 증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완전하게 노출된다.
링(63)에 관하여, 상기 컷아우트(61)의 배치는 링(63)을 링(42a)에 연결시키기 위한 강한 브리지를 대안적으로 제공하게 되고, 링(63)의 취약부에 의해 링(63)은 상기 링(42a)의 완전함을 열개시키게 되며 링(42a)과 함께 이의 제거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런방식에 있어서, 상기 폐쇄장치로부터 미적으로 흥미가 없으나 개봉되어지는 상기 폐쇄장치의 시각적인 증거손실에 따른 비용이 드는 링(63)을 떼어내는 것의 이점이며 확실하게 된다.
상기 브리지(64)의 대안으로, 연속적으로 취약한 연결부분이 상기 효과가 개봉시키는 것에 의해 손실되더라도 제공되어진다. 단순화를 목적으로하는 경우, 상기 제5도의 실시예는 상기 링(63)또는, 대안적으로 상기벽(67), 창문(68), 칼라(25a)상에 관계된 도표적인 지시없이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링(42a)은 오목부가 아니거나, 자기형성공정 또는 다른것의 어느하나를 이용하는 상기 밴드(52a)에 의해 관통되거나 에워쌓게 된 도표형상내의 엘리베이션에 제공되어진다.

Claims (17)

  1.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는 상기병(11)의 목(12)에 안전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토출몸체(21)와, 상기 토출몸체(21)와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되며 상기 토출몸체(21)에 고정된 칼라(25)의 환형외측 부위(27)와 인접하는 관형외부덮개(37)에 고정되는 캡(32)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37)와 환형외측 부위(27)는 상기 덮개(37)와 상기 칼라(25)의 환형외측 부위(27)를 결합시키는 취약한 외부링(42)으로 구성되는 밀봉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42)은 실질적으로 상기 덮개(37)의 높여진 환형부(41)와 상기 칼라(25)의 높여진 환형부(27)에 의해 각각 형성된 대향스탭(45, 46)과 맞물리게 된 대향측면(43, 44)의 C-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42)은 티어-오프부(47)로부터 연장되는 태브(54)로서 상기 링(42)의 취약부(48, 49)를 통하여 링의 잔류부분에 연결된 티어-오프부(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오프부(47)는 상기 링(42)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브리지(50, 51)를 통하는 상기 링의 잔류부분에 대향하는 측면상에 연결된 상기링(42)의 아아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50, 51)는 상기 링(42)의 전높이를 따르는 상기 아아치부(47)의 한측면과 상기 링(42)높이의 약절반 높이를 따르는 아아치부의 대향하는 측면상에 연장됨을 특징으로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밴드(52)는 폐쇄접촉으로서 상기 링(42) 주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링(42) 주위의 C-형 형상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52)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며 자기 형성 공정에 의해 상기 링(42)주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42)은 상기밴드(52)가 유입되는 오목부(53)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밴드(52)는 상기 오목부(53)의 패턴과 대응하는 내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53)는 일반적인 도표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1.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밴드에 의해 둘러쌓인 엘리베이션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밴드는 상기 엘리베이션의 패턴과 대응하는 외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션은 일반적인 도표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3.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63)은 상기 덮개(37a)와 상기칼라(25a)의 환형외측부위(27a)를 결합시키는 상기 링(42a)에 열개연결되며, 상기 칼라(25a)의 링(66)과 인접하는 맞물림에 의해 상기 칼라(25a)상에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개연결은 상기 링(63)과 결합링(42a)의 사이에 브리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5.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7a)와 사이 칼라(25a)의 환형외측부위(27a)를 결합시키는 상기 링(42a)으로부터 상기 창문(68)의 구역내에 배치된 칼라(25a)의 환형밴드에 적용되어지는 폐쇄장치의 개봉되어지는 것의 도표표시로서 상기 덮개(37a)내에 형성된 일련의 창문(68)을 가지는 환형벽(67)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7a)와 상기 칼라(25a)의 환형외측부위(27a)를 결합시키는 상기 링(42a)으로부터 상기 창문(68)의 구역내에 배치된 칼라(25a)의 환형밴드에 적용되어지는 폐쇄장치의 개봉되어지는 것의 도표표시로서 상기 덮개(37a)내에 형성된 일련의 창문(68)을 가지는 환형벽(67)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오프부(47a)는 상기 링(42a)의 전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컷아우트(61)를 통하는 한측면과 상기 링(42a)높이으 약 절반에 걸쳐 연장되는 컷아우트(62)를 통하는 대향하는 측면상의 링(42a)의 잔류부분에 연결된 상기 링(42a)의 아아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에 대한 폐쇄장치.
KR1019920003665A 1991-03-05 1992-03-05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 KR100209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10565A IT1247132B (it) 1991-03-05 1991-03-05 Dispositivo di chiusura per bottiglie, destinato in particolare a bottiglie per bevande di pregio.
ITMI91A000565 1991-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938A KR920017938A (ko) 1992-10-21
KR100209991B1 true KR100209991B1 (ko) 1999-07-15

Family

ID=1135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665A KR100209991B1 (ko) 1991-03-05 1992-03-05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246124A (ko)
EP (1) EP0502379B1 (ko)
KR (1) KR100209991B1 (ko)
AR (1) AR248375A1 (ko)
AT (1) ATE131792T1 (ko)
BR (1) BR9200745A (ko)
DE (1) DE69206844D1 (ko)
ES (1) ES2083604T3 (ko)
GR (1) GR3018533T3 (ko)
HK (1) HK1003989A1 (ko)
IT (1) IT1247132B (ko)
MX (1) MX9200906A (ko)
MY (1) MY1108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6657B1 (it) * 1993-11-03 1997-01-09 Guala Spa Chiusura di garanzia per bottiglie e simili
IT1273362B (it) * 1994-03-02 1997-07-08 Alucapvit Spa Dispositivo di chiusura di bottiglie con sigillo di garanzia e valvola antiriempimento
IT1270079B (it) * 1994-07-08 1997-04-28 Guala Spa Chiusura di garanzia per bottiglie per liquori di pregio
EP0706952A1 (en) * 1994-09-13 1996-04-17 Grupo Stevi S.A. de C.V. Tamper-evident/non-refillable closure for containers
FR2741863B1 (fr) * 1995-12-01 1998-02-06 Perret Christophe Systeme de bouchage a ouverture facile adapte aux bocaux ou recipients en verre avec couvercle en verre
FR2743552B1 (fr) * 1996-01-15 1998-02-13 Perret Christophe Machine de pose de colliers metalliques de bouchage places lateralement sur les bords des recipients et de leur couvercle
JP3161977B2 (ja) * 1996-08-23 2001-04-2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NL1004376C2 (nl) * 1996-10-29 1998-05-06 Guala Patents Bv Veiligheidssluiting voor een fles voor waardevolle dranken.
IT1295928B1 (it) * 1997-10-28 1999-05-28 Guala Closures Spa Chiusura perfezionata con sigillatura di garanzia per bottiglie, particolarmente per bottiglie contenenti bevande di pregio
US5996833A (en) * 1997-11-05 1999-12-07 Sonoco Development, Inc. Tamper evident dust cover for a drum bung
GB9809810D0 (en) * 1998-05-07 1998-07-08 Redcliffe Magtronics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tamper proof closures
DE60009445T2 (de) * 2000-02-28 2005-03-24 Guala Closures S.P.A. Sicherheitsverschluss für Flaschen für Likör oder dergleichen
GB2366287B (en) * 2000-08-31 2003-04-23 Montgomery Daniel & Son Ltd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FR2820123B1 (fr) * 2001-01-30 2003-05-02 Valois Sa Dispositif de fixation d'organe de distribution sur un col de recipient
WO2004020301A1 (es) * 2002-08-29 2004-03-11 Cia. De Tapones Irrellenables, S.A. Precinto de seguridad para tapón
ES2220191B2 (es) * 2002-08-29 2005-04-16 Cia. De Tapones Irrellenables, S.A. Precinto de seguridad para tapon.
RU2238893C2 (ru) * 2002-10-10 2004-10-27 Зуев Игорь Афанасьевич Колпачок полимерный с выдвижным клапаном
BG65696B1 (bg) * 2004-05-18 2009-07-31 "Винпром Пещера" Ад Капачка
EP1855955A1 (en) * 2005-01-20 2007-11-21 Obsh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yu "Gletcher Invest" Closure with tamper-evident means
EP1717160B1 (en) * 2005-04-26 2008-03-12 Guala Closures S.p.A. Bottle closure with warranty seal
FR2901775B1 (fr) * 2006-05-31 2008-08-22 Mbf Plastiques Sa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bouteille
US20080218362A1 (en) * 2007-03-06 2008-09-11 Weiss Sanford B Remote water shut-off device
GB2451493B (en) * 2007-07-31 2011-12-14 Magicup Marketing Ltd Closure device for a fluid vessel
GB201401682D0 (en) * 2014-01-31 2014-03-19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tamper-evident closure
USD784072S1 (en) 2015-01-30 2017-04-18 Magecup Limited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EP3184188B1 (en) * 2015-12-23 2024-04-24 Guala Closures S.p.A. Method of forming a closure member
GB201608251D0 (en) 2016-05-11 2016-06-22 Obrist Closures Switzerland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53338A (fr) * 1912-05-10 1913-06-05 American Perfect Package Comp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couvercles ou capsules de bouchage
US2218040A (en) * 1938-02-03 1940-10-15 Jr George H Hutaff Bottle cap
US2201791A (en) * 1939-01-05 1940-05-21 Samburg Maurice Bottle closure
US3332564A (en) * 1966-03-14 1967-07-25 Abbott Lab Quick opening device for sealed container
US3511402A (en) * 1968-01-29 1970-05-12 Reynolds Metals Co Pilfer-proof container closure
GB1304454A (ko) * 1970-03-05 1973-01-24
FR2176497B3 (ko) * 1972-03-21 1975-04-25 Unicler
IT1000576B (it) * 1974-01-08 1976-04-10 Fiscem Spa Chiusura per contenitori in parti colare per bottiglie e flaconi
US4595123A (en) * 1983-06-17 1986-06-17 Owens-Illinois, Inc. Tamper evident closure cap
IT8421612V0 (it) * 1984-04-20 1984-04-20 Angelo Quala Spa Chiusura di garanzia per bottiglie avente tappo a cappuccio.
US5121852A (en) * 1990-05-23 1992-06-16 Essef Corporation Dynamic pressure relief seal for pressure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6844D1 (de) 1996-02-01
MX9200906A (es) 1992-09-01
ES2083604T3 (es) 1996-04-16
EP0502379A3 (en) 1993-08-18
IT1247132B (it) 1994-12-12
EP0502379A2 (en) 1992-09-09
US5246124A (en) 1993-09-21
ITMI910565A1 (it) 1992-09-05
MY110881A (en) 1999-06-30
EP0502379B1 (en) 1995-12-20
BR9200745A (pt) 1992-11-10
ATE131792T1 (de) 1996-01-15
ITMI910565A0 (it) 1991-03-05
HK1003989A1 (en) 1998-11-13
GR3018533T3 (en) 1996-03-31
KR920017938A (ko) 1992-10-21
AR248375A1 (es)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991B1 (ko)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병에 대한 폐쇄장치
US5104008A (en) Resealable bottle cap with push-pull closure
US5603422A (en) Plastic safety closure for bottles simulating the appearance of a traditional cork-type wine bottle closure
US5370270A (en) Non-spill bottle cap used with water dispensers
US6908013B2 (en) Tamper-evident device
AU561982B2 (en) Tamper evident closures and packages
US4401227A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cap
US5875908A (en) Bottle cap
WO1997011004A1 (en) Tamper-evident hinged closure cap construction
CA2037728E (en) Resealable bottle cap with push-pull closure
US4506797A (en) Wine bottle cover
KR100582329B1 (ko) 병용 안전 밀봉장치
KR20010034041A (ko) 음료용 개봉 표시 마개
US5667086A (en) Sealing top for bottles and the like
CA2065636A1 (en) Container cap having external bead
US5325976A (en)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5996849A (en) Tamper evident dispensing closure
GB2418910A (e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tear off band
KR100985326B1 (ko) 개봉 흔적이 남는 밀봉장치를 구비한 액체용기용 클로저
US5829638A (en) Contact opening cap for bottle containers
GB2086361A (en) An improved container closure
NO310105B1 (no) Kork med forseglingsbånd
JP2005529808A (ja) 液体容器用の閉鎖エレメント
JP2001002105A (ja) 液体容器の注入具
EP0829429B1 (en) Cap for oil bottl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