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866B1 - Vibratory drum - Google Patents
Vibratory dr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8866B1 KR100208866B1 KR1019920012180A KR920012180A KR100208866B1 KR 100208866 B1 KR100208866 B1 KR 100208866B1 KR 1019920012180 A KR1019920012180 A KR 1019920012180A KR 920012180 A KR920012180 A KR 920012180A KR 100208866 B1 KR100208866 B1 KR 1002088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vibration
- drum body
- excitation force
- cas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2—Vibratory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haking out fl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에 부착된 모래제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진동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드럼은 언밸런스 웨이트(30a)(30b), (136a)(136b)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형가진력의 중심(中心)과 드럼본체(2)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약 25도가 되도록 하고, 또한 가진력이 재료투입구측쪽이 보다 커지도록 원형가진기(130)를 드럼본체(2)의 주벽부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y drum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sand removal attached to castings. Vibrating dr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ular vibra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unbalanced weight (30a, 30b), (136a) (136b) and the axis of the drum body (2) and the horizontal line The circular oscillator 130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rum body 2 so that the angle formed is about 25 degrees, and the excitation force becomes larger on the material inlet side.
이 진동드럼은 부하상태로 하더라도 각부의 진폭의 감소가 작고, 전체로서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의 순환운동을 촉진시켜서, 재료, 예컨데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의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is vibration drum has a small decrease in the amplitude of each part even under load, and promotes the circulation of the casting to be sand-depleted as a whole, thereby increasing the throughput of the material, for example, the casting to be sand-depleted.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진동드럼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vibration dru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진동드럼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vibration dr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진동드럼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 vibration drum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진동드럼의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vibration drum proposed by the applicant.
제5도는 동(同)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same.
제6도는 동 정면도.6 is the same front view.
제7도는 동 요부의 부분확대 정면도.7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of the recess.
제8도는 동 제안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진동드럼의 간략 정면도.8 is a simplified front view of a vibration dru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example.
제9도는 종래의 진동드럼과 동 제안예의 진동드럼의 초저주파 소음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9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ultra-low frequency noise of the conventional vibration drum and the vibration drum of the proposed example.
제10도는 종래의 진동드럼의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vibration drum.
제11도는 제10도에서의 [10]-[10]선방향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in FIG.
제12도는 다른 종래의 진동드럼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vibration drum.
제13도는 동 종래예의 요부의 확대 부분파단측면도.Fig. 13 is an enlarged partial cutaway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nventional example.
제14도는 동 종래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example.
제15도는 상기 제안예의 진동드럼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FIG.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ibration drum of the proposed example. FIG.
제16도는 동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c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드럼 본체 30a, 30b : 언밸런스 웨이트(unbalance weight)2: drum body 30a, 30b: unbalance weight
73, 130 : 가진기(加振器) 136a, 136b : 언밸런스 웨이트73, 130: excitation 136a, 136b: unbalanced weight
M1, M2, M3: 진동 전동기M 1 , M 2 , M 3 :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흩어진 형태의 재료의 혼합, 건조, 냉각등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그중에서도 주물에 부착된 모래제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진동드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for example, to vibration drums, which are most suitable for use in mixing, drying, cooling, etc. of materials in a scattered form, and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sand removal on castings.
제10도 및 제11도는, 종래예의 주물에 붙은 모래제거에 사용되는 진동드럼을 나타낸 것인데, 이 도에서 진동드럼은 전체가 참고부호 70으로 표시되며, 그 거의 원통모양의 드럼본체(71)의 측방에는 구동부부착 프레임(72)이 공진용(共振用) 구동 스프링(74)을 통해서 지지대(75)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 이지지대(75)는 복수의 부착 리브(rib)(86)를 통해서 드럼본체(71)에 고정되어 있다.10 and 11 show a vibrating drum used for removing sand adhered to a casting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vibrating drum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70 in its entirety, and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drum body 71 is formed. On the side, the drive attachment frame 72 is fixed to the support 75 through a resonating drive spring 74, and the support 75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attachment ribs 86. It is fixed to the drum body 71.
제10도에서 드럼본체(71)의 좌단부에는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85)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이 우단부에는 모래가 제거된 주물을 배출하는 배출구(84)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10, a supply port 85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drum body 71 to supply a casting to be sand-depleted, and an outlet 84 for discharging the sand-deleted casting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Formed.
드럼본체(71)의 양측은 단벽(端壁)(82a), (82b)으로 폐쇄되어 있다.Both sides of the drum body 71 are closed by end walls 82a and 82b.
드럼본체(71)전체는 진동방지 스프링(76a), (76b) 및 (77a), (77b)에 의해 지상 E위에 진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whole drum body 71 is vibrated on the ground E by vibration damping springs 76a, 76b and 77a, 77b.
프레임(72)에는 구동부로서 1쌍의 진동 전동기(79a), (79b)로 되는 가진원(加振源)(73)이 고정되어 있다.An excitation source 73, which is a pair of vibration motors 79a and 79b, is fixed to the frame 72 as a drive unit.
진동전동기(79a), (79b)는 공지와 같이 구성되나, 그 회전축(81a), (81b)에 거의 반원형상의 언밸런스 웨이트(80a), (80b)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은 보강격벽(83)에 대해 대칭적으로 프레임(72)에 고정되어 있으나, 언밸런스 웨이트(80a), (80b)는 같은 회전위상으로 회전축(81a), (81b)에 고정되어 있다.The vibratory motors 79a and 79b are configured as known, but almost semi-circular unbalanced weights 80a and 80b are fixed to the rotary shafts 81a and 81b, and these are fixed to the reinforcing partition 83. Although symmetrically fixed to the frame 72, the unbalanced weights 80a and 80b are fixed to the rotation shafts 81a and 81b in the same rotational phase.
드럼본체(71)의 상벽부에는 집진용(集塵用)의 덕트(78)가 고정되어 있어, 내부공간(87)과 연통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드럼본체(71)내의 주물의 모래제거로 인해서 생기는 먼지를 외부로 유도해 내도록 하고 있다.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drum body 71 is fixed with a duct 78 for dust coll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87 to remove sand in the drum body 71 as described later. It is trying to guide the dust to the outside.
진동드럼(70) 전체는 배출구(84)를 향해 하향으로 몇도 경사되어 있다.The entire vibrating drum 70 is inclined several degrees downward toward the outlet 84.
종래예의 진동 드럼(7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가진부(73)를 구동하면 진동전동기(79a), (79b)는 동기하여 회전하는 것인데, 이것은 구동 스프링(74)의 스프링 정수 및 드럼본체(71)전체의 질량 및 가진부(73)의 질량등에 의해서 정해지는 공진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서 1쌍의 진동전동기(79a), (79b)가 회전 구동된다.The vibrating drum 70 of the prior art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citation unit 73 is driven, the vibrating motors 79a and 79b rotate synchronously, which is the spring constant of the driving spring 74 and the drum. The pair of vibration motors 79a, 79b are rotationally driven as a frequency close to the resonance frequency determined by the mass of the entire body 71, the mass of the excitation portion 73, and the like.
이 회전에 의해 스프링(74)의 연재방향으로 직선진동력이 발생하며, 이것이 이 스프링(74) 및 지지대(86)를 통해서 드럼 본체(71)에 전달된다.This rotation generates a linear vibration for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pring 74, which is transmitted to the drum body 71 through the spring 74 and the support 86.
드럼 본체(71)는 방진 스프링 (76a), (76b) 및 (77a), (77b)에 의해 진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경사된 방향으로 진동하며, 이로써 드럼 본체(71)의 내부공간(87)에서의 주물 M 및 모래 S는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순환운동을 한다.The drum main body 71 is vibrated by the anti-vibration springs 76a, 76b and 77a, 77b so that it vibrates in a direction inclin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whereby the drum main body 71 is The casting M and the sand S in the inner space 87 undergo a circular mo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그리고, 드럼 본체(71)는 배출구(84)를 향해서 몇도 하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제11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은 순환 운동과 함께 배출구(84)를 향해서 모래 S와 주물 M은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모래제거가 행해지며, 배출구(84)에서는 모래가 제거된 주물 M과 모래 S는 분리되어서 배출된다.And since the drum main body 71 inclines several degrees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84, sand S and the casting M move toward the discharge port 84 with the circular motion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Sand removal is performed in this process, and the casting M and sand S from which sand was removed are discharged separately from the discharge port 84.
종래예의 진동 드럼(70)은 이상과 같은 구성되고, 또한 작용을 행하는 것인데, 다른 형식의 주물의 모래제거기, 예컨데 발모양의 바닥면에 모래를 제거할 주물을 공급하고 이것을 직선진동 시키므로서 분리한 모래를 아랫쪽으로 배출시키고, 직선진동에 의해 발 위를 이송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이런 형식의 주물의 모래제거기에서는 주물에 대해 충격을 주무로 상처를 입힐때가 많으며, 또 주물의 자세변화(반전 등)가 거의 없기 때문에 주물의 형상에 따라서는 모래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는데 대해, 상기의 종래예의 진동 드럼(70)에서는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하는 것인데, 1쌍의 진동전동기(79a), (79b)가 동기한다고 할 수가 없으며, 동기가 빗나갈때는 드럼본체(71)에 대해 불규칙한 진동을 주어, 이것에 의해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을 행하지 못해서 충분한 모래제거를 행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다른 형태의 모래제거기와 같은 결점을 가지게 된다.The vibrating drum 70 of the prior art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also serves to perform the operation. The sand eliminator of another type of casting, for example, is provided by supplying a casting for removing sa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shape and linearly vibrating it. The sand is discharged downward and the feet are transported by linear vibration. In the sand remover of this type of casting, the impact on the casting is often hurt by casting, and the posture of the casting is changed (inverted, etc.). There is a drawback that sand does not fall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asting because there is almost no. However,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drum 70 of the conventional example removes such a drawback. However, a pair of vibration motors 79a and 79b It cannot be said to be synchronized, and when the synchronization is out of order, an irregular vibration is given to the drum body 71, and thus,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cannot be performed. Not only does not allow sufficient sand removal, but also has the same drawbacks as the other types of sand removers described above.
예를들면, 주물 M에 상처를 준다는 등의 일이 있다. 대처하기 위해, 진동전동기(79a), (79b)가 동기해서 회전 하도록 이 진동전동기(79a), (79b)의 드럼 본체(71)에 대한 부착위치 및 스프링(74)의 배설(配設)등에 엄밀한 설정기준이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it may cause damage to the casting M. In order to cope, the vibration motors 79a and 79b rotate in synchronism with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vibration motors 79a and 79b to the drum body 71 and the excretion of the spring 74, and the like. Strict setting criteria are needed.
그래서,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진동 드럼(70)은 고가가 될 뿐만 아니라, 드럼 본체(71)내의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과 모래 S의 전체 중량 및 그 질량분포에 따라서는 공진상태를 얻을 수 없을뿐만 아니라, 동기 회전을 행하지 못할때도 있다.Thus, the vibrating drum 70 shown in FIGS. 10 and 11 becomes expensive and resonates depending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sting M and sand S to be removed in the drum body 71 and the mass distribution thereof. Not only can't get the state, but also it can't perform synchronous rotation.
또다른 형식의 주물의 모래제거기로서 드럼을 일정방향으로 소정속도로서 회전시키는, 소위 회전식 드럼이 있는데, 이것으로 모래제거를 하였을때는 주물이 걸림으로 인해 들어올려졌을때, 어느 높이까지 가서는 낙하하므로, 이 충격에 의해서 상처를 입을때가 있다.Another type of sand remover for castings is a so-called rotary drum which rotates the drum at a predetermined spe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sand is removed, it falls to a certain height when the casting is lifted due to a jam. In some cases, you may be injured by this shock.
또, 주물과의 접촉시간이 길므로 모래를 노화시킨다던가 첨가제를 노화시키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time with the casting is long, the aged or the additive is aged.
또, 상술한 것처럼 걸림등에서의 낙하가 주기적으로 생기므로 소음이 발생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drop occurs at a latch or the like periodically, so noise is generated.
이와같은 난점에 대해서는 이 종래예는 훌륭한 것이나, 아직도 상술한 것 같은 개량해야 할 점을 가지고 있다.This conventional example is excellent in such a difficulty, but still has the point which should be improved as mentioned above.
제12도 및 제13도는 다른 종래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종래예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2 and 13 show other conventional examples,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이 종래예는 드럼 본체(71)의 주벽부에 상술한 것과 같이 직선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진기구(73)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1쌍의 진동전동기(82A) 및 (82B)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설치대(95)에 고정되어 있는나, 각 회전축(83a), (83b)의 일단부에는 같은 지름과 수의 기어(89a),(89b)가 고정되어 있으며, 다시 이들에 맞물리는 작은 지름이기는 하나 같은 지름과 수의 기어(90a),(90b)가 베어링 하우징(88')에 그 축이 회전구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각 진동전동기(82A) 및 (82B)는 각각의 전원코드(85),(85)에 교류전원이 접속되므로서, 각각 상반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데, 이들은 기어(90a), (90b)의 맞물림 및 큰 지름의 기어(89a), (89b)와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축(83a), (83b)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반원형의 언밸런스 웨이트(84a), (84b)가 상반하는 방향으로 동일속도로서 동기해서 회전한다.That is,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the excitation mechanism 73 for generating the linear vibration force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drum main body 71 as a pair of vibration motors 82A and 82B. They are fixed to the mounting table 95, but one end of each of the rotating shafts 83a and 83b has the same diameter and number of gears 89a and 89b fixed thereto, Although small in diameter, the same diameter and number of gears 90a and 90b are attached to the bearing housing 88 'in such a way that the shaft is rotatably driven, and each of the vibration motors 82A and 82B has its own power supply. As the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cords 85 and 85, they are driven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which are engaged with the gears 90a and 90b and with the large diameter gears 89a and 89b. The same spe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mi-circular unbalanced weights 84a and 84b fixed to one end of the rotary shafts 83a and 83b are opposed to each other. Rotate synchronously as
이로써, 제12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X방향으로 직선진동력을 발생한다.This generates a linear vibration force in the X direction as shown in FIG.
다른 종래예는 상기의 종래예보다 구성은 간단하나, 아래와 같은 결점을 가지 있다.The other conventional example is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example, but has the following drawbacks.
이 종래예에서도 드럼 본체(71)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축심 C에 따라서 모래제거를 하는 주물을 이송하는데, 드럼 본체(71)는 방진 스프링(77a), (77b)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또 이 실시예에서도 역시 2개의 진동전동기(82A) 및 (82B)로 되는 가진기(73)가 드럼본체(71)의 주벽부에 설치되어 있다.Also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the drum body 7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ransfers the casting for sand removal according to the axis C of the drum body. The drum body 71 is supported by anti-vibration springs 77a and 77b. Also in this embodiment, an exciter 73 consisting of two vibration motors 82A and 82B is also provided i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drum body 71.
이 종래예에서도 각 진동전동기(82A), (82B)의 구동축(83a), (83b)에 반원형의 언밸런스 웨이트(84a), (84b)가 고정되어 있으나, 구동축(83a), (83b)의 일단부에는 동형, 동치수(同齒數)의 기어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이 서로 맞물려 있으며, 따라서 2개의 진동전동기(82A), (82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기해서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Also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semicircular unbalanced weights 84a and 84b are fixed to the drive shafts 83a and 83b of the vibration motors 82A and 82B, but one end of the drive shafts 83a and 83b is fixed. The gears of the same type and the same size are fixed to the part, and these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wo vibration motors 82A and 82B rotate at the same speed in synchronism with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이로써, 제14도에 나타낸 것처럼 화살표 P방향으로 직선진동력을 발생하며, 이것은 축심 C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이다.This generates a linear vibration force in the direction of arrow P as shown in FIG. 14, which crosse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C. As shown in FIG.
이로써, 드럼본체(71)내에 아직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부하가 없을 경우에는 드럼본체(71)의 주벽부의 각 점은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직선 진동을 행하는 것인데, 그 방향은 직선진동력 P의 방향에 거의 평행하며, 이 가진기구(73)가 설치되어 있는 수평선에 대한 각도 α에 거의 같다.Thus, when the casting to be sand-deleted has not yet been put into the drum body 71, that is, when there is no load, each poin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drum body 71 vibrates linearly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direction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inear vibration force P, and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on which the excitation mechanism 73 is provided.
즉, 무부하에서는 드럼본체(71)의 주벽부의 각 점에서 거의 균일한 진폭 및 진동각으로 진동하나, 도시하는 것처럼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을 투입했을 때는, 상기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화살표 R로 나타낸것과 같은 순환운동을 행할것으로 생각되나, 무부하시의 진폭보다 큰폭으로 감소한다.That is, at no load, the vibration vibrates at a substantially uniform amplitude and vibration angle at each point of the main wall portion of the drum body 71. However, when the casting M to be removed from sand is introduc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rrow R is indicated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It is thought to perform the same circular motion, but it is greatly reduced than the amplitude at no load.
따라서, 실제로는 도시한 것과 같은 순환운동을 행하기가 어렵고, 진폭이 작아지도록 하기위해 순환속도가 작으며, 그 유동성은 상기 종래예보다 뒤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perform the circular motion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circulation speed is small in order to make the amplitude small, and the fluidity is inferior to the conventional example.
이것은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 M이 무부하에서의 진동방향 P의 방향으로 드럼본체(71)와 함께 진동구동되기는 하나, 드럼 본체(71)의 저벽부에서는 a1으로 나타낸 것처럼 그 진동방향은 P의 방향에 거의 같으나, 이것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45도의 각도위치 a2에서는, 무부하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P의 방향에 거의 평행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의 드럼본체(71)의 내주벽면에 대한 이 진동의 각도는 거의 평행하며, 따라서 진동이론에서 명백한것 처럼, 이 면의 수직방향에서는 1g이하의 가속도이며, 도약 운동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진동에 의한 이송작용은 없다.This means that the casting M to be removed is vibrated together with the drum body 71 in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direction P at no load, but the vibration direction is indicated as a 1 at the bottom wall of the drum body 71. Although almost the same as, at the angular position a 2 of 45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ince it is almost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P as mentioned above at no load, this vibra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wall surface of the drum main body 71 at this point. The angle of is nearly parallel, and therefore, as is evident in the theory of vibration, the acceleration is less than 1 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is plane, and no hopping motion, thus no conveying action by vibration.
더우기, 이것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보다 큰 각도위치에서, 예컨데, 점 a3에서는 드럼본체(71)의 내벽면에 대한 진동에 의한 이송작용은 드럼본체(71)의 내벽면에 대해, 반시계방향의 이송이 바람직한데, 시계방향이 되어, 이로서는 최하점 a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향하는 이송력과 대향해서, 이로 인해 드럼본체내의 주물 M 및 틀을 벗긴 모래 S가 드럼 본체(71)의 내주벽면을 압압해서 마치 일체적인 강체(剛體)인양 일체화해서 진동한다.Moreover, at a greater angular position counterclockwise from this, for example, at point a 3 , the transfer action by vibration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um body 71 is anticlockwi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um body 71. The feed in the direction is preferable, and it becomes clockwise, so that the casting force M in the drum body and the sand S which are released from the drum body are opposed to the feed force that goes counterclockwise at the lowest point a 1 . The wall is pressed and vibrated as if it were an integral rigid body.
따라서, 일정의 가진기(73)에 의한 각 점에서의 진폭은 당연히 작아지고,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유동화가 방해받는다.Therefore, the amplitude at each point by the constant exciter 73 naturally becomes small, and thus fluidization is hindered as described above.
더우기, 이 종래예에서는, 예컨데 60Hz 전원으로 894 r.p.m.으로 구동되는것인데, 894 r.p.m.은 소위 진동의 기술분야에서는 초저주파에 속하며, 이로인해 이 진동드럼을 배설한 근방의 건물에는 이 초저주파에 의해 진동과 공진상태가 되어 건물의 일부, 예컨데 창문이나 출입문등을 뒤흔들어 진동시키고 있다.Furthermore,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for example, it is driven at 894 rpm with a 60 Hz power source, and 894 rpm belongs to ultra low frequency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so-called vibration, and this causes vibration in the building near the excavation drum by this ultra low frequency. It is in an over-resonant state and shakes a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window or a door, by shaking it.
따라서, 이 진동드럼을 배설하고 있는 공장 가까이에 사는 주민들이 진동공해를 받는다.Therefore, residents living near the factory that excavates this vibration drum are subject to vibration pollution.
더욱이, 제12도의 종래예에서는, 구동축(83a), (83b)의 일단에 기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맞물려서 회전하는데, 이 맞물림은 아무리 정밀하게 설계했다고 해도, 그 맞물리는 소리를 0으로 할 수는 없으며, 또 이 소리는 고음에 속해서 이 소리가 가해져서 근방주민에는 소음공해가 되는 것이다.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example of FIG. 12, since the gears are fixed to one ends of the drive shafts 83a and 83b, they are meshed and rotated. However, even if the meshing is precisely designed, the meshing sound can be zero. It is a high-pitched sound, which is applied to it, which is a noise pollution in the neighborhood.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우선, 같은 회전구동력이라 할지라도 무부하에서 부하상태로 했을때의 진폭의 차가 작고, 따라서 처리해야 할 재료를, 예컨데 모래를 제거하여야 할 주물을 투입했을 때, 이에 대한 유동화를 촉진하며, 또한 근방의 건물에 대한 초저주파공해를 방지하며, 또 소음공해도 방지할 수가 있는 진동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방진 스프링으로 지상에 지지된 드럼본체의 주벽부에, 불평형중추의 회전에 의해 원형의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원형 가진력발생기를, 상기 원형의 가진력의 중심과 상기 드럼본체의 축심과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직선이 수평선과 만드는 각도가 상기 축심보다 상방위치에서 0도 내지 90도를 만들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드럼을 제안했다.(일본특원평 3-126576호)In light of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a small difference in amplitude when a load is applied under no load even with the same rotational driving force. Therefore, when a casting material is to be removed, for example, sand is removed. The main wall of the drum body supported on the ground with a vibration-proof spring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fluidization of the building, and providing a vibration drum capable of preventing ultra low frequency pollution of nearby buildings and preventing noise pollution. A circular excitation generator which generates a circular excitation force by rotation of an unbalanced center,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ular excitation force and the axis of the drum body vertically with a horizontal line makes the angle zero above the axis. A vibrating drum has been proposed, which is attached to make degrees from 90 to 90 degree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26576)
이하, 상기 제안에 의한 진동 드럼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vibrating drum by the said proposal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4도~제8도는 본 제안예를 나타내는데, 도면에서 진동 드럼은 전체가 참고번호 1로 표시하며, 드럼 본체(2)의 주벽부의 일 측방에 본 발명의 가진기(3)가 설치되어 있다.4 to 8 show an example of the present proposal, in which the entire vibrating drum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 and the excit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rum body 2. .
또, 드럼 본체(2)는 지주(4a), (4b), (5a), (5b)위에 배설된 진동방지스프링(6a), (6b), (7a), (7b)에 의해 도면에서 하향으로 몇도 경사해서 진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Moreover, the drum main body 2 is downward in the figure by the anti-vibration springs 6a, 6b, 7a, and 7b disposed on the support posts 4a, 4b, 5a, and 5b. It is inclined a few degrees and is vibrated and supported.
드럼 본체(2)의 제4도에서 좌단부에는 모래를 제거하여야 할 주물이 공급되는 공급구(8)가 형성되며, 또 우단부에는 이 모래가 제거된 주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9)가 설치되어 있다.In FIG. 4 of the drum body 2, a supply port 8 is formed at the left end to supply the casting to be sand-depleted, and an outlet 9 for discharging the casting from which the sand is removed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It is installed.
드럼 본체(2)는 그 주벽부에서 리브(10)로 보강되어 있고, 또 우단부는 뚜껑(11; 제6도에 도시)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다.The drum body 2 is reinforced with ribs 10 at its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right end is partially closed by a lid 11 (shown in FIG. 6).
다음에, 가진기(3)의 상세에 대해 특히 제5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detail of the exciter 3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7 especially.
본 제안예에 의한 가진기(3)는, 원형의 진동력을 발생하는 원형가진기로서, 드럼 본체(2)의 측방에 배설된 가대(23)위에 전동기(24)가 고정되어 있고, 이것이 구동원이다.The excit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s a circular oscillator for generating a circular vibration force, and the electric motor 24 is fixed on the mount 23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rum body 2, which is a driving source. to be.
전동기(24)의 회전축(24a)에는 그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기구에 결합된 제1링크(25)가 접속되어 있다. 즉, 전동기(24)의 회전축(24a)은 유니버셜 조인트(26a)를 통해서 제1링크(25)에 결합되어 있으며, 또 그 좌단부는 유니버셜 조인트(26b)를 통해서 제1지축(29)에 결합되어 있다.A first link 25 coupled to a universal joint mechanism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4a of the electric motor 24. That is, the rotary shaft 24a of the electric motor 24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25 through the universal joint 26a, and the left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29 through the universal joint 26b. have.
이 제1지축(29)은 드럼본체(2)에 부착된 부착판(27)의 양측에 고정된 1쌍의 베어링(28a), (28b)의 이너레이스(inner race)에 끼워져 있으며, 그 일단부에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거의 반원형상의 언밸런스 웨이트(30a)가 고정되어 있고, 제1지축(29)의 타단부는 언밸런스 웨이트(30a)와 같은 형상의 언밸런스 웨이트(30b)가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support shaft 29 is fitted to an inner race of a pair of bearings 28a and 28b fixed to both sides of the attachment plate 27 attached to the drum body 2, one end of which is fixed. As shown in Fig. 7, the semi-unbalanced unbalanced weight 30a is fixed to the part, and the unbalanced weight 30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nbalanced weight 30a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xis 29.
제1지축(29)은, 다시 유니버셜 조인트(32a), (32b)를 통해서 제2링크(31) 및 제2지축(35)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이것은 드럼본체(2)의 주벽부에 부착된 부착판(33)의 양측에 설치된 1쌍의 베어링(34a), (34b)의 이너 레이스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으며, 그 양단부에는 상술한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와 같은 형상의 언밸런스 웨이트(36a)(36b)가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axis 29 is again coupled to the second link 31 and the second axis axis 35 through the universal joint 32a, 32b, which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rum body 2; It is fitted through the inner race of the pair of bearings 34a and 34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ttachment plate 33, and the unbalanced weight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bove-described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are inserted at both ends thereof. 36a and 36b are fixed.
또, 제안예에 의하면, 원형가진력의 중심, 즉 구동측(25)과 드럼 본체(2)의 축심 C에 대해서 이것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직선 L-L은 수평선 H-H에 대한 각도 β가 25로 설정되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oposed example, the straight line LL which is perpendicular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ircular vibration force, that is, the axis C of the driving side 25 and the drum body 2, has an angle β of 25 horizontal lines HH. Is set to.
이 각도 25를 유지하도록 상술한 가대(架臺)(23)의 높이위치 및 부착판(27)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This angle 25 The height position of the mount 23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of the mounting plate 27 are set so as to maintain the shape.
더구나, 본 예에 의하면 구동축(25)를 구동하는 전동기(24)의 회전방향은 제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24 driving the drive shaft 25 is driven to rotate clockwise in FIG.
본 예의 가진기(3)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데, 드럼 본체(2)의 상벽부에는 다시 1쌍의 점검창(21a), (21b)이 설치되어 있고, 또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드럼 본체(2)의 배출구(9)의 근방의 내벽의 일부에는 원호모양의 격벽판(22)이 고정되어 있다.The exciter 3 of this example is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and a pair of inspection windows 21a and 21b are again provided on the upper wall of the drum main body 2, and the drum as shown in FIG. An arc-shaped partition plate 22 is fixed to a part of the inner wall near the outlet 9 of the main body 2.
이 예에 의한 진동드럼본체(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데,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Although the vibration drum main body 1 by this example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operation | movement is demonstrated next.
도시하지 않았지만, 재료공급구(8)에서 모래를 제거해야 하려는 주물이 투입되는 것으로 한다.Although not shown, the casting to be removed from the material supply port (8) is to be put.
전동기(24)를 구동시키면 이 회전축(24a)의 회전력은 유니버셜 조인트(26a), (26b), 제1링크(25)를 통해서 1쌍의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를 회전구동시키고, 다시 이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를 고정시키고 있는 제1지축(29), 유니버셜 조인트(32a), (32b), 제2링크(31)를 통해서 결합되는 제2지축(35)의 양단부에 고정된 언밸런스 웨이트(36a), (36b)는 마찬가지로 회전 구동한다.When the electric motor 24 is driven, the rotational force of this rotating shaft 24a rotates a pair of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through the universal joints 26a, 26b and the first link 25,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35 coupled through the first axis 29, the universal joint 32a, 32b, and the second link 31 which hold the unbalance weights 30a and 30b again. The unbalanced weights 36a and 36b fixed to the shaft are similarly driven to rotate.
그리고,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 (34a), (34b)의 회전에 의해서, 그 회전축, 즉 지축(29), (35)의 축심의 둘레에 원심력, 즉 원형의 가진력이 발생하는 데, 후술하는 것과 같은 모드로서 가진력에 의해 드럼본체(2)는 진동한다.The centrifugal force, i.e., circular excitation force, is generated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xis of rotation, that is, the axis 29, 35 by the rotation of the unbalanced weights 30a, 30b, 34a, and 34b. However, the drum body 2 vibrates due to the excitation force as a mode described later.
전동기(24)의 회전축(24a)은 유니버셜 조인트(26a), (26b)를 통해서 언밸런스 웨이트(30a)(30b)에 결합되어 있으며, 또 제1지축(29)은 유니버셜 조인트(32a), (32b)를 통해서 언밸런스 웨이트(36a), (36b)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동기(24)쪽에는 드럼 본체(2)의 진동이 거의 전달됨이 없으며, 안정하게 회전구동을 계속 할 수가 있다.The rotary shaft 24a of the electric motor 24 is coupled to the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through the universal joints 26a and 26b, and the first shaft 29 is the universal joint 32a and 32b. Since it is coupled to the unbalanced weights 36a and 36b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drum main body 2 is hardly transmitted to the electric motor 24 side, and rotational drive can be continued stably.
제8도는 드럼 본체(2)의 축심 C와 전체의 중심(重心) G와 상술한 가진기(3)의 원가진력의 중심(中心) P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인데, 가진기(3)의 구동에 의해 제8도에서와 같은 원형의 가진력 F가 발생하는데, 이것과 중심 G과의 둘레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또 가진력 F의 중심 P로 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드럼본체(2)를 선으로서의 원으로서 나타내는데, 이 둘레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진동 모드를 행한다. 즉, 가진기(3)에 가장 가까운 드럼본체(2)의 주벽부 위에서는 a1, a2, a3, a4로 나타낸 것과 같은 타원진동을 행하는데, 그 긴축 및 짧은축은 다른 주벽부분보다도 크며, 또 그 긴축은 거의 수직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순차로 경사되어 있다.FIG.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ft center C of the drum body 2 and the center G of the whole body and the center P of the cost vibration force of the exciter 3 described above. As a result, a circular excitation force F as shown in FIG. 8 is generated, and a rotation moment is generated around this and the center G, and the drum body 2 is formed as a lin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 of the excitation force F. The vibration mode as shown on the circumference is performed. That is, o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drum body 2 closest to the exciter 3 , an elliptic vibration as shown by a 1 , a 2 , a 3 , a 4 is performed. It is large and its long axis is inclined sequentially from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o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 드럼 본체(2)의 저벽부에서는 b1, b2, b3및 b4로 나타낸 것처럼 직선 진동 및 타원진동을 행하고 있는데, 그 긴축의 방향은 드럼 내벽면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진동이송력을 가지도록 경사하여 있다.In the bottom wall of the drum body 2 , linear vibration and elliptic vibration are performed as shown by b 1 , b 2 , b 3, and b 4 , and the direction of its long axis is counterclockwise in a direction tangential to the drum inner wall surface. It is inclined to have a vibrating feed force.
또, 진동 드럼 본체 2의 정부(頂部) 가까운 점에서는 d1, d2, d3--- 로 나타낸 것 처럼 타원 진동을 행하는데, 그 긴축 및 짧은축은 순차로 작아지며, 또 상술한 진동 b2, b3, b4, c1, c2--- 는 제8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타원진동이다.In addition, the elliptical vibration is performed at the point near the top of the vibrating drum body 2 as indicated by d 1 , d 2 , d 3 ---, and the long axis and the short axis are sequentially reduced, and the vibration b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2 , b 3 , b 4 , c 1 , c 2 --- are elliptic vibrations that rotate clockwise in FIG.
진동 d1, d2, d3도 타원진동으로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진동인데, 그 긴축의 방향은 드럼 본체(2)의 주벽면의 각 점의 접선에 대해서 거의 평행하게 되고, 따라서 그 진동에 의한 이송력은 이 점까지 재료는 상승하지 않으나, 거의 없는 것이다.The vibrations d 1 , d 2 , and d 3 are also oscillations which rotate clockwise as elliptic vibrations, the direction of which is almost parallel to the tangents of the points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rum body 2. The feed force of the material does not rise up to this point, but little.
그리고, 제8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에서 축심 C에 관해 진동 a1에서 보아 약 170도의 각도위치에서는 진동 e로 나타낸 것과 같이 직선운동을 행한다.In FIG. 8, linear movement is performed as shown by the vibration e at the angular position of about 170 degrees as seen from the vibration a 1 with respect to the axis C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 각도위치에서 타원진동 f1, f2, f3, f4가, 그 긴 축 및 짧은축은 순차적으로 증대하는 것인데, 반시계방향의 회전이라서 진동 드럼 본체(2)의 최저부에서 다시 직선진동 b1이 되어, 이 각도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다시 상술한 것처럼 타원진동을 행하는 것인데, 그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이 된다.At this angular position, the elliptic vibrations f 1 , f 2 , f 3 , and f 4 , whose long and short axes increase sequentially, are counterclockwise rotations, so that they are linearly vibrated again at the lowest part of the vibrating drum body 2. b is 1, geotinde performing elliptical vibration as the above-described back towar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is angular positio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the clockwise direction.
그리고, 이상의 진동모드는 X-Y 직각좌표의 원점이 드럼 단면원의 중심 C'(축심 C)과 같다고 하고, 각 디멘젼을 하기와 같이 한 경우에 컴퓨터로 계산한 결과이다.The vibration mode described above is a result calculated by a computer when the origin of the X-Y rectangular coordinate is equal to the center C '(axial center C) of the drum cross-section circle, and each dimension is as follows.
재료의 공급구(8)에서 공급된 주물 M은 상술한 것과 같은 진동을 드럼 본체(2)의 내벽부로 부터 받으면서 제4도에 있어서 약 2~3도 하향으로 경사해있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송 도중에 제8도에서와 같이 주물 M은 드럼 본체(2)의 내주벽면을 따라서 제8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상승하는 힘을 받아 어느 레벨까지 상승하면 중력쪽이 켜져서 아래쪽으로 주물 M의 상층의 윗표면을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떨어져서는, 다시 내주벽면을 따라서 상승력을 받는 궤적 Q로 나타낸 것과 같은 운동을 하면서 제4도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송되어 충분한 교반력을 받아, 본 예에서는 모래제거, 냉각작용을 받아 배출구(9)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데,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구(9)의 근방에는 내주벽면에 따라서 원호상의 격벽판(2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것과 같은 교반력을 충분히 받아서 모래가 제거되어 배출구(9)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가 있다.The casting M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 8 of the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right side because it is inclined downward by about 2 to 3 degrees in FIG. 4 while receiving the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from the inner wall of the drum body 2.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as shown in FIG. 8, the casting M receives the force rising counterclockwise in FIG. 8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drum body 2, and when it rises to a certain level, the gravity side turns on and the casting M moves downward. Sliding and fall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he same movement as shown by the trajectory Q shown in the lifting force is transferred to the right in FIG.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port (9) by the cooling action, as shown in Figure 6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ort (9)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partition plate 22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Since, is receiving sufficiently removed is sand the stirring force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9 to the outside.
만약, 격벽판(22)이 없고, 또 드럼 본체(2)로의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 M의 충전율이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교반력을 받음이 없이 배출구(9)에서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If there is no partition plate 22 and the filling rate of the casting M to remove the sand to the drum body 2 is small, it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outlet 9 without receiving sufficient agitation force.
따라서, 격벽판(22)의 효과는 드럼 본체(2)내의 주물의 충전율이 적어지는 경우에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Therefore, the effect of the partition plate 22 shows a big effect when the filling rate of the casting in the drum main body 2 becomes small.
이상과 같이, 진동드럼본체내에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이 투입되고, 교반작용을 받게 되는데, 진동 b1, b2, b3, b4, c1, c2--- 는, 이 드럼 본체(2) 내에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무부하상태에서의 진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인데, 도시한 것과같은 충전율로서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 M이 투입되어서 도시한 것과 같이 순환운동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보다는 그 진폭의 격차는 거의 작아서 상술한 b1, b2, b3, ……의 진동모드의 변화는 거의 없고, 그 진폭도 약간 작아질 뿐이다. 따라서 주물 M은 후술하는 것 같은 이송력을 받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asting M to be sand-exposed in the vibration drum body is put into the stirring operation, the vibrations b 1 , b 2 , b 3 , b 4 , c 1 , c 2 --- It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asting M to be removed sand is not injected into the main body 2, that is, the vibration state under no load state. Even in the case of exercise, the difference in amplitude is almost smaller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b 1 , b 2 , b 3 ,. …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vibration mode, and the amplitude is only slightly smaller. Therefore, the casting M receives a conveying force as described later.
드럼 본체(2)의 최저부에서는 직선 진동 b1을 행하는데, 이 점에서는 본체(2)의 주벽면의 점에서의 접선에 대해서 우상향의 직선으로 되어 있는며, 공지된 바와 같이, 이와같은 직선진동에서는 큰 이송력을 받는다.At the lowest part of the drum main body 2, a linear vibration b 1 is performed, in which a straight line of rightward upward is made with respect to the tangent at the point of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as is known, such a straight line In vibration, it receives a large feed force.
따라서, 이 위의 모래를 제거하여야 할 주물 M은 큰 이송력을 받아서,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이송된다.Therefore, the casting M to remove the sand above is subjected to a large feed force, and is transpor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더우기, 반시계방향을 향해서 b2, b3, b4에서는 긴 축 및 짧은축에서의 진폭이 증대한다. 그 긴 축의 방향은 드럼 본체의 주벽면의 한 점에서의 접선 방향에 대해 진동에 의한 이송력을 받는 진동각을 가지므로, 이들 점에서도 주물 M, 모래 S는 큰 이송력을 받으며, 반시계 방향으로 이송되는 힘을 받아서 상승한다.Furthermor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 2 , b 3 , and b 4 increase in amplitude on the long and short axes. Since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has an oscillation angle which receives the conveying force by vibration with respect to the tangential direction at one point of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drum body, the casting M and the sand S also receive a large conveying force and counterclockwise in these points. It rises under the power of
다시, c1, c2, c3에서는 긴 축의 방향은 주벽면의 각 점에서의 접선에 대해 약간의 진동각을 가질 뿐이므로, 그 면에 따른 진동력에 의한 이송 속도는 대단히 작은 것인데, 역시 종래예와는 달리 약간이기는 하나 드럼 본체(2)의 주벽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이송력을 주게 되는 것이다.Again, in c 1 , c 2 , and c 3 ,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has only a slight oscill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tangent at each point of the main wall surface, so that the feed speed due to the vibration force along that surface is very small. Unlike the conventional example, a slight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drum body 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리고, 최저부에서 약 90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서는 a1에서 진동하는데, 이 점에서는, 긴 축은 주벽면의 한 점에서의 접선과 거의 평행하며, 아무런 진동에 의한 이송력을 받지 않는다.And at the lowest rotational position about 90 degrees counterclockwise, it vibrates at a 1 , in which the long axis is almost parallel to the tangent at one point of the main wall and does not receive any transfer force due to any vibration. .
더우기,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한 각도위치에서의 진동 a2, a3, a4에서는 긴 축의 방향이 주벽면의 각 점에 대한 접선에 대한 진동각이 역전하여, 상술한 진동 c1, c2, c3---와는 이송방향이 역전한다. 즉, 시계방향으로 이송하므로, 만약 이와같은 진동력으로 주물이 이송되는 경우에는(실제로는 중력 낙하해 버린다), 상술의 c1, c2, c3의 진동에 의한 이송속도를 감소시켜 버리게 된다.Further, the vibration a 2, in which angular position proceed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3, a 4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vibration angle is reverse to the tangent of each point of the main wall,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c 1, c 2 , c 3 --- reverses the feed direction. That is, since it is transferr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f the casting is conveyed by the vibration force (actually, the gravity falls), the conveying speed due to the vibration of c 1 , c 2 , and c 3 described above is reduced. .
이상과 같이 해서 제8도에서와 같은 충전율로서 공급된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이 화살표 Q로 나타낸 것과 같은 교반력을 받으면서 진동 드럼 본체(2)의 축심 C을 따라서 제4도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송되는데, 3차원적으로는 나선상의 교반력을 받으면서 충분히 모래제거가 이루어지며, 또한 주물로부터의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서, 그 잠열이 빼앗기므로 좋은 효율로 냉각되어 드럼 본체의 배출구에서 바깥쪽으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sting M to be removed at the filling rate as shown in FIG. 8 receives the stirring force as indicated by arrow Q, and moves to the right in FIG. 4 along the axis C of the vibrating drum body 2. It is transported in three dimensions, and the sand is sufficiently removed while being subjected to a spiral stirring force, and as the moisture from the casting evaporates, the latent heat is taken away, so it is cooled with good efficiency and discharged outward from the outlet of the drum body. .
또, 이 예에서는 드럼 본체의 최저부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하는 위치까지의 타원진동의 모드는 상술한 것 같은 변화를 하게 되는데, 타원의 긴 축의 방향이 진동이송력을 받는 방향이며, 또한 그 타원진동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므로 보다 큰 이송력을 받고, 따라서 좋은 효율로서 순환작용을 받는다.In this example, the mode of elliptic vibration from the lowest part of the drum body to the position where it rotates 90 degrees counterclockwise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long axis of the ellipse is the direction in which vibration feed force is applied.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lliptic vibration is clockwise, it receives a larger conveying force, and thus a circulation action with good efficiency.
더우기,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예에 의하면, 무부하상태에서의 진동 드럼 본체(2)의 주벽부의 각 점에서의 진동은, 부하상태로 하는, 즉,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을 공급했을 경우에서의 상태에서도, 그 진폭, 즉 타원진동의 긴 축 및 짧은축의 진폭은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8도에서와 같은 진동 모드로써 모래를 제거를 해야 할 주물에 진동력을 준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진폭의 격차가 적은 것은 타원진동 c1, c2, c3, a4에서는 그 긴 축의 진동각은 대단히 작은 것이나, 짧은축 방향의 진폭이 충분히 커지므로, 이 방향으로 큰 가속도를 받아서, 이것이 1G 이상이면 당연한 것이지만 내주벽면의 각 점에서의 접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도약력을 받으므로서, 보다 좋은 효율로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 M은 드럼 본체내에서 교반력을 받는다. 제12도의 종래예에서는, 드럼 본체(71)에는 직선진동력이 주어지기는 하나, 이 주벽부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모드의 직선진동이 행해지며, 최저부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의 각도위치에서는 진동각이 주물을 이송하는 방향에 있어서 작을 뿐만 아니라, 최저부로부터 약 45도의 반시계방향의 각도 위치에서는 직선의 진동각은 역전되며, 따라서 이점에서는 주물을 시계방향으로 이송하는 힘을 준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vibration at each poin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vibrating drum body 2 in the no-load state is in a load state, that is, when the casting M to be sand-depleted is supplied. Even in the state of, the amplitude, i.e., the amplitude of the long and short axes of the elliptic vibration, hardly changes, and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vibr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casting to which sand is to be removed in the vibration mode as shown in FIG. The smaller the difference in amplitude is, the elliptic vibrations c 1 , c 2 , c 3 , and a 4 have very small vibration angles on the long axis, but the amplitude in the short axis direction is sufficiently large, and thus receives a large acceleration in this direction. If this is 1G or more, it is natural, but casting M, which is to be removed with better efficiency, receives the stirring force in the drum body, because it receives a jump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angent at each poin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In the conventional example of FIG. 12, although the linear vibration force is given to the drum main body 71, linear vibration of the same mod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n this circumferential wall part, and at the angular position of 90 degrees counterclockwise from the lowest part. Not only is the oscillation angle small in the direction of conveying the casting, but also at a counterclockwise angular position of about 45 degrees from the lowest part, the oscillation angle of the straight line is reversed, thus giving a force for transferring the casting clockwise in this respect.
따라서, 최저부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이송하는 힘을 주고 있는 것인데, 이점에서의 주물과 약 45도에서의 주물과는 서로 밀어 붙이는 힘이 되어, 결국에는 드럼본체의 주벽면에 대한 압압력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드럼본체의 정미질량(正味質量)에 대해 이것이 강체로서 일체적으로 진동하는것 같이 되어 이 유효질량이 증대하며, 같은 직선진동력의 크기라 할지라도 무부하와 부하에서는 진폭이 크게 변하게 된다.Therefore, at the lowest part, the force is appli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casting at this point and the casting at about 45 degrees become a pushing force against each other, and eventually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main wall of the drum body. .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net mass of the drum body vibrates integrally as a rigid body, and this effective mass increases, and even at the same linear vibration force, the amplitude changes significantly at no load and load. do.
따라서, 제1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진동을 부하상태에서 얻기 위해서는 직선가진력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해야 했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vibration as shown in FIG. 12 under load, the magnitude of the linear vibration force must be further increased.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진폭이 거의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동력을 작게 할 수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 amplitude hardly changes, and the driving force can be reduced.
또, 본 예에 의하면 진동 드럼(1)에서 발하는 초저주파(900 r.p.m.) 소음의 음 레벨과 종래 기술의 제12도에 나타낸 직선가진력이 가해지는 진동 드럼과 비교해보면, 제9도에서와 같은 실험결과가 얻어지고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is example, when compared with the vibration drum to which the sound level of the ultra low frequency (900 rpm) noise emitted from the vibration drum 1 is applied and the linear vibration force shown in FIG. The result is being obtained.
즉, 진동 드럼(1)의 중심에서의 거리가 100m까지의 각 점과, 그 점에서의 초저주파 소음 레벨 dB과의 관계는 제10도에서와 같이 변화한다.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int at the center of the vibrating drum 1 up to 100 m and the ultra low frequency noise level dB at that point changes as shown in FIG.
어느것이나 직선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종래 기술쪽이 약 6dB 높은 소음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dB 단위로 이 정도이므로 100m 에서의 각 건물이 미치는 초저주파 소음의 영향은 훨씬 작게 할 수가 있다.Both are decreasing linearly, with the prior art being about 6 dB higher noise. Therefore, in dB units, the effect of ultra-low frequency noise on each building at 100m can be much smaller.
분명히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진동 드럼은 직선진동을 하며, 이것을 먼 곳에서 투영면으로 해서 본 경우, 이 직선진동의 진폭은 크며, 이로인해 초저주파 소음으로 여러 피해를 주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8도에서와 같이 진동드럼 본체(2)의 각 주벽부는 타원운동을 행하며, 이 짧은 축방향의 진폭이 이 축심 C에서 어느 떨어진 점에 대한 소음원이 되므로, 명백히 소음 레벨은 작아지리라고 예상된다.Obviously,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vibrating drum vibrates linearly, and when viewed as a projection plane from a distance, the amplitude of the linear vibrating is large, thereby causing various damages by ultra-low frequency noise. As shown in Fig. 8, each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vibrating drum body 2 performs an elliptic motion, and since this short axial amplitude becomes a noise source for a point away from this axis center C, it is expected that the noise level will be obviously small. .
이것은 제9도에 의해서 명백하게 된다.This is evident by FIG.
이상,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진동드럼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종래예와 비교하면 상술한것 처럼 큰 효과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하기와 같은 어려운 점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The vibration drum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effect as described abov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but still has the following difficulties.
즉, 제15도에서는 이상의 진동드럼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나, 원통형상의 드럼본체 D의 좌단벽부에는 재료투입구 E가 형성되고, 또 우단벽부에는 재료배출구 H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Fig. 15,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drum is schematically shown, but the material inlet E is formed in the left end wall portion of the cylindrical drum body D, and the material outlet H is formed in the right end wall portion.
제15도에서는, 상술의 제안예와 비교하면 대단히 간략화하여 진동드럼본체 D를 나타냈는데, 이 중심을 통하는 축심 C-C위에 전체의 중심(重心) G가 있다고 생각된다.In Fig. 15, the vibration drum main body D is shown to be very simplified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proposal example, and it is thought that the whole center G is located on the axis C-C through this center.
이와같은 진동드럼 D에 상술한것과 같은 가진기를 부착해서 이 진동드럼본체 D를 진동시키면(F가 가진기에 의한 작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것과 같은 모드의 진동을 행하는 것인데, 축심 C-C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힘의 작용선을 가지도록 가진기가 부착되어 있다.When the vibration drum body D is vibrated by vibrating the vibration drum body D as described above (F acts on the excitation force), vibration in the same mod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e vibrator is attached to have a line of action of force that crosses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다시, 이것은 거의 중심 G를 통과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재료투입구 E에서 상술한것 처럼 모래 제거를 해야할 주물 M이 투입되었을때, 이것이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교반작용을 받아서 주물 M은 냉각되고 또한 그 수분은 제거되면서 제16도에 있어 오른쪽으로 반송되어 가는데, 배출구 H의 근방에서는 건조가 투입구 E의 바로 밑과 비교하면 훨씬 진행되어 있으며, 이로써 제8도에 나타낸것과 같은 순환운동의 순환속도가 크며, 따라서 재료배출구 H로의 이송속도는 커진다.Again, it is attached so as to pass through almost the center G, and when the casting M to be removed with sand is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in the material inlet E, the casting M is cooled by being subjected to the stirring action as shown in FIG. The water is removed and returned to the right side in FIG. 16, where drying is much more advanced in the vicinity of outlet H, compared to just below the inlet E, whereby the circulation velocity of the circulation as shown in FIG. It is large, and therefore the feed speed to the material outlet H becomes large.
이로써, 진동드럼본체 D내에서 재료투입구 E의 바로밑에서는 주물 M 및 모래로 되는 층 Q의 층의 두께가 크고, 반대로 배출구 H근방에서는 q로서 표시한것 처럼 층의 두께가 작아진다. 이로인해, 재료투입구 E측의 주물 및 모래로 되는 층 Q로 인해, 이 드럼 본체 D의 이 부분에서의 진폭의 격차는 크며 점점 그 층의 두께를 크게 한다. 즉, 악순환이다.As a result, in the vibrating drum body D, the thickness of the layer M of the casting M and the sand Q is large directly below the material inlet E, and on the contrary, the thickness of the layer decreases as indicated by q near the outlet H. Due to this, due to the casting on the material inlet E side and the layer Q made of sand, the difference in amplitude in this portion of the drum body D is large and gradually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layer. That is a vicious cycle.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진동 드럼은 종래예에 비하면 큰 효과를 나타내기는 하나 아직도 상술한 것과 같은 난점을 가지고 있다.The vibrating drum proposed by the applicant has a great effec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ample, but still has the same difficulty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진동드럼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거기에 다시 예컨데, 주물의 모래제거의 처리능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진동 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while providing the effect of the vibration drum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for example, a vibration drum which can further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of sand removal of castings. The purpose.
이상의 목적은, 진동방지용 스프링으로 지상에 지지된 드럼 본체의 주벽부에 가진력 발생기를 그 가진력의 작용방향이 거의 이 드럼본체 축심으로 향하도록 부착한 진동드럼에 있어서, 상기 가진력의 작용점이 상기 드럼본체의 재료투입구측에 편의(偏倚)해 있도록 상기 발생기를 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드럼에 의해서 달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object, in the vibration drum in which the excitation force generator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drum main body supported by the spring for vibration preven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xcitation force is almost toward the drum body axis, the action point of the excitation force is the drum body. It is achieved by a vibration drum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or is attached so as to be convenient on the material inlet side.
또는, 방진 스프링으로 지상에 지지된 드럼본체의 주벽부에 가진력 발생기를 그 가진력의 작용방향이 거의 이 드럼본체의 축심을 향하도록 부착한 진동드럼에서, 상기 가진력발생기는 복수의 가진력발생부로서 되며, 이들 가진력발생부를 상기 드럼본체의 중심(重心)보다 이 드럼본체의 재료투입구측에 편재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드럼에 의해서 달성된다.Alternatively, in the vibration drum attached to the main wall of the drum body supported on the ground by the anti-vibration spring so that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xcitation force is almost toward the axial center of the drum body, the excitation force generator is a plurality of excita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And an excita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attached to the material inlet side of the drum body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drum body.
또는, 방진 스프링으로 지상에 지지된 드럼본체의 주벽부에 가진력 발생기를 그 가진력의 작용방향이 거의 이 드럼본체의 축심으로 향하도록 부착한 진동드럼에 있어서, 상기 가진력발생기는 복수의 가진력발생부로서 되며, 상기 드럼본체의 중심(重心)보다 이 드럼본체의 재료투입구측에 부착되어져 있는 상기 가진력발생부의 합성력은 상기 드럼본체의 중심(重心)보다 이 드럼본체의 재료배출구측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가진력발생부의 가진력의 합성력보다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드럼에 의해서 달성된다.Alternatively, in a vibration drum having a vibration force spring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rum body supported on the ground by the vibration spring so that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vibration force is almost toward the axis of the drum body, the vibration force generator is a plurality of vibration force generators. And the synthetic force of the excita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attached to the material inlet side of the drum body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drum body is the excitation force attached to the material outlet side of the drum body than the center of the drum body. It is achieved by a vibration drum characterized by greater than the combined force of the excitation force of the generator.
드럼본체에 가해지는 가진력은 재료투입구쪽이 재료배출구보다 크므로, 드럼본체내에서의 주물과 모래의 순환속도는 보다 크게 할 수가 있어서, 따라서 드럼본체내에서 재료투입구측과 재료 배출구측에서, 층의 두께는 앞에서 제안한 진동드럼보다 균일화되고, 재료투입구측에서의 드럼본체의 부분에서의 진폭의 격차도 작으며, 따라서 악순환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으며, 거의 균일한 층의 두께로서 재료, 예컨데 주물과 모래의 유동화 및 축심에 따른 이동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Since the excitation force exerted on the drum body is larger than the material outlet,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casting and sand in the drum body can be made larger, and thus, at the material inlet side and the material outlet side in the drum body, The thickness of is more uniform than the vibration drum proposed above, and the amplitude difference in the part of the drum body at the material inlet side is also small, and thus does not cause a vicious cycl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for example, the casting and the sand, is almost uniform.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moving speed according to fluidization and shaft cent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ach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진동드럼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이것은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진동드럼의 제5도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이제5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 is a plan view of a vibration dru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rresponds to FIG. 5 of the vibration drum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corresponding to FIG. 5.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제1의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는 앞서 제안한 예에서의 것과 동일한데, 이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보다도 질량 m X 그 중심(重心)부터 회전축까지의 거리 R이 보다 큰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를 제2링크(131) 및 유니버셜 조인트(132a)를 통해서 제2지축(135)에 고정시키고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previously proposed example, but the mass m X center of the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is the same as that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unbalanced weights 136a and 136b having a larger distance R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rotation axis ar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shaft 135 via the second link 131 and the universal joint 132a.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는 앞의 제안예에서의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보다도 m x R이 크므로 강도상 더욱 큰 제2지축(135)에 고정되어 있다.The unbalanced weights 136a and 136b are fixed to the second axis 135 which is larger in strength since m x R is larger than the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in the previous example.
따라서, 이 제2지축(135)를 지지하는 축받이 구조(軸受構造)(134a), (134b)도 앞서 제안한 예에서의 축받이 구조(34a), (34b)보다도 큰 부하에 견디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refore, the bearing structures 134a and 134b supporting this second shaft 135 also have a structure that withstands a load larger than the bearing structures 34a and 34b in the example proposed above.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진기(130)가 앞의 제안예와 같은 관계로서 드럼본체(2)의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데, 제1도에서와 같이 거의 드럼본체(2)의 축심 C-C상에 중심 G가 있으며, 또 드럼본체(2)의 긴쪽 방향에서의 길이의 거의 중심(中心)에 중심 G가 있으나, 이 중심 G보다 재료투입구(8)측에 편기해서 큰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가 부착부재(133)를 통해서 드럼본체(2)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 중심 G보다 배출구(9)측에 편기해서 m x R은 보다 작은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가 축받이(28a), (28b)에 지지 받침된 축에 고정되어 있다.The exciter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at the same position as shown in FIG. 6 of the drum body 2 in the same relationship as the above-described proposal, and as in FIG. The center G is located on the axial center CC of the center, and the center G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drum body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 unbalanced weight is larger than the center G by biasing the material inlet 8 side. 136a, 136b are fixed to the drum body 2 via the attachment member 133, and unbalanced weights 30a, 30b are smaller than the center G in the side of the outlet port 9, where mx R is smaller. ) Is fixed to the shaft supported by the bearings 28a and 28b.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G에서 재료투입구(8) 및 재료배출구(9)를 향해서 거의 동거리에 제2의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에 의한 가진력의 작용점, 즉 부착부재(133)의 드럼본체(2)에 대한 결합점까지의 거리와 중심 G에서 제1의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의 가진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27)의 드럼본체(2)에 대한 결합점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고 있는데, 상술한 것과 같이 재료투입구(8)측 쪽의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에 의한 가진력쪽이 재료배출구측에 편기해 있는 제1의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의 가진력보다는 크다.In this embodiment, the point of action of the excitation force by the second unbalanced weights 136a, 136b at abou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G toward the material inlet 8 and the material outlet 9, i.e., the drum of the attachment member 133. The distance to the coupling point with respect to the body 2 and the distance of the coupling point with respect to the drum body 2 of the attachment member 27 for exer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first unbalanced weights 30a, 30b at the center G.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in which the excitation force by the unbalanced weights 136a and 136b on the material inlet 8 side are biased to the material outlet side as described above. Is greater than the excitation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데,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but the effect | action is demonstrated next.
모터(24)를 구동시키면 먼저의 제안예와 마찬가지로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 (136a), (136b)에 의해 원형의 가진력을 발생하는데, 이것은 드럼본체(2)의 축심 C-C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단면에서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벽면에서 각 타원진동모드 a1, a2, a3, a4, b1, b2, b3, ---로 나타낸 모드의 진동을 행하는 것인데, 이 긴 축, 짧은 축의 크기는 제2의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의 가진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133)의 작용점에서의 단면형상으로 나타낸 경우에는 제8도에서의 타원진동모드의 모드와는 상사적으로 거의 동일하나, 그 긴축 및 짧은축의 크기가 보다 커진다.(무부하에 있어서)When the motor 24 is driven, circular excita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unbalance weights 30a, 30b, 136a, and 136b as in the above-described proposal, which is related to the axial center CC of the drum body 2. In the vertical section, as shown in FIG. 8, the oscillation of the modes shown in the elliptic vibration modes a 1 , a 2 , a 3 , a 4 , b 1 , b 2 , b 3 , and The length of this long axis and short axis is the elliptic vibration in FIG. 8 when it is represent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at the working point of the supporting member 133 for exer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second unbalanced weights 136a, 136b.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mode of the mode, but the size of the long axis and the short axis becomes larger (at no load).
따라서, 재료투입구에서 투입된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은 앞서의 제안예와 유사한 작용을 받는 것이나, 더욱 재료투입구(8)측의 타원진동의 긴 축 및 짧은 축쪽이 크므로,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주물 M 및 모래 S의 순환운동은 종래보다 커지며, 따라서 재료투입구(8)에서 투입된 모래 제거를 해야할 주물은 종래보다 큰 순환속도로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순환 운동을 행한다.Therefore, the casting to be removed from the material inlet is subjected to a similar action as in the previous example, but the longer and shorter axis of the elliptic vibration on the material inlet 8 side is larger, such as shown in FIG. The circulation movement of the casting M and the sand S becomes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us the casting to be removed from the material inlet 8 performs the circulation movement as shown in FIG. 8 at a larger circulation speed than the conventional one.
투입직후에서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나, 제안예에서는 순환속도가 작기때문에 여기에 정체하여 진폭의 격차도 컷으나, 순환속도가 커지고, 따라서 건조작용을 보다 강하게 받는다.Immediately after the injection, it contains a lot of water. However, in the proposed example, since the circulation speed is small, it is stagnant and the gap of the amplitude is also reduced, but the circulation speed is increased, thus receiving the drying action more strongly.
따라서, 재료투입구 근방에서의 모래 제거를 해야할 주물 및 모래의 수분은 종래보다 빨리 적어지며, 이로써 유동화 상태는 앞서의 제안예보다 양호해지며, 이로 인해 재료배출구로 향하는 이송속도는 보다 커진다.Therefore, the casting and sand moisture to be removed in the vicinity of the material inlet is less faster than the prior art, thereby the fluidization state is better than the above-described proposal, the transfer speed toward the material outlet is larger.
결국, 드럼본체(2)의 축심 C-C에 따라서 재료배출구까지의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의 층의 두께는 거의 동일해진다.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casting to be removed to the material discharge port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according to the axis C-C of the drum body 2.
그래서, 모래 제거를 해야할 주물의 처리량은 보다 커진다.Thus, the throughput of the casting to be removed is greater.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진동드럼의 측면도인데, 이것은 종래예의 제10도에 나타낸 진동드럼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2 is a side view of the vibration dru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vibration drum shown in FIG. 10 of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corresponding par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진기(73)는 제2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투입구(85)측에 편재하여 부착부재(72)에 고정된다.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xciter 73 is fixed to the attachment member 72 ubiquitous on the inlet port 85 side as is apparent from FIG.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얻는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종래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구조가 앞서의 제안예에 비하면 복잡하다는 등의 결점을 가지나, 드럼본체(71)의 축심에 따라서 종래는 재료투입구(85)의 근방에서의 모래제거를 해야 할 주물의 층의 두께는 배출구(84)의 근방에서의 모래 제거를 해야 할 주물의 층두께 보다는 훨씬 컷으나, 본 발명에 의해 거의 균일화하고, 그 처리능력은 크게할 수가 있다.It is clear that the same effect as in Example 1 can be obtained also by such a configuration. And, as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structure has a drawback that it is more complicated than the above-described proposed example, but according to the axis of the drum body 71, in the past, the casting to be removed in the vicinity of the material inlet 85 The thickness of the layer is much smaller than the layer thickness of the casting to be sand-depleted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84, but can be made almost uniform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ing capacity thereof can be increased.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진동드럼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이 진동드럼은 드럼본체(2)의 주벽부에 전체의 중심 G에 관해, 도시하는 것과 같은 위치에 3대의 진동 전동기 M1, M2, M3가 고정되어 있다.FIG. 3 shows a side view of the vibration dru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drum has three vibration motors M at the positions as sh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G of the entire wall portion of the drum body 2. 1 , M 2 and M 3 are fixed.
각 진동전동기 M1, M2, M3는 공지의 구조를 가지나, 도면에서 분명한것 처럼 재료투입구(8)측에 그 가진력이 편재해서 가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Each of the vibration motors M 1 , M 2 , and M 3 has a known structure, but as is apparent from the drawing, the vibration motors are provided on the material inlet 8 side so that their excitation force is ubiquitous.
즉, 재료투입구(8)측의 드럼본체 주벽부쪽이 배출구의 주벽부에 대한것 보다는, 보다 큰 가진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drum body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n the material inlet 8 side exerts a greater excitation force than that o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진동전동기 M1, M2, M3는 본 출원인의 앞서의 제안에서의 가진기(3) 대신에 동일한 부착관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해, 이것에 의해서도 앞서의 제안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명백하다.It is clear that such a configuration also exhibits the same eff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vibrating motors M 1 , M 2 , and M 3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fixed in the same attachment relationship instead of the exciter 3 in the applicant's previous proposal, this also has the same effect as the previous example. It is obvious to indicate.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ach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of cours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for i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예를들면,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진동드럼본체는 배출방향을 향해서 몇도 하향으로 경사되어 있으나 이것은 수평이라도 상관없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vibrating drum body is inclined several degrees downward in the discharge direction, but this may be horizontal.
경우에 따라서는 1도~0.5도 이하이면 배출구를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해서 있어도 좋다.In some cases, it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if it is 1 degree to 0.5 degrees or less.
혹은 하향경사는 불과 0.5도 라도 충분히 큰 이송속도가 얻어진다.Or a downhill slope, even at just 0.5 degrees, will give a sufficiently large feedrate.
또, 이상의 실시예 1에서는 모터(24)의 회전축에 제1링크(25) 및 제2링크(31)를 유니버셜 조인트(26a), (26b), (32a), (32b)를 통해서 각각 제1지축 및 제2지축에 각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 및 (136a), (136b)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지상에 지지한 모터(24)의 회전축에 상술한 것과 같이 언밸런스 웨이트를 결합시키는 구성이나, 예컨데 모터(24)의 축에 정렬해서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투입구(8)측에 같은 구성의 가진기(130)를 설치해도 좋다. 이런 구성으로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명백하다. 이때, 한쪽의 언밸런스 웨이트(136a), (136b)는 제1의 언밸런스 웨이트(30a), (30b)와 같은 형태, 같은 크기라도 좋고, 또 본 변형예에서의 다른쪽의 언밸런스 웨이트만이 같은 형상이라도 상관없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link 25 and the second link 31 ar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24 via the universal joints 26a, 26b, 32a, and 32b, respectively. The unbalanced weights 30a, 30b, 136a, and 136b are fixed to the support shaft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and the unbalanced weights ar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24 supported on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in alignment with the axis of the motor 24, the exciter 13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let 8 side. It is clear that such a constitution also has the same effect as the above embodiment. At this time, one of the unbalanced weights 136a and 136b may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ame size as the first unbalanced weights 30a and 30b, and only the other unbalanced weight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the same shape. It doesn't matter.
이와같은 구조는 재료투입구(8)측에 있어서도, 부하시에도 보다 큰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명백하므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Such a structure is apparent to generate a larger excitation force even on the material inlet 8 side, even under load, so that the same effect as in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 제3도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진동전동기 M1, M2, M3를 도시한것과 같은 위치에 부착했으나, 이 대신에 2개의 진동전동기만을 부착하고, 중심 G보다 재료투입구(8)측에는 보다 큰 가진력을 발생하는 진동전동기를 부착하고, 재료배출구측에는 보다 작은 가진력을 발생하는 진동전동기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Incidentally, in the embodiment in FIG. 3, the vibration motors M 1 , M 2 , and M 3 are attached at the same positions as shown, but instead, only two vibration motors are attached, and the material inlet 8 side of the center G is attached.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a vibrating motor for generating a larger excitation force, and attach a vibrating motor for generating a smaller excitation force on the material discharge port side.
더우기, 본 명세서에서불평형 중추(언밸런스 웨이트)란, 도시한것 처럼 거의 반원형상을 가지는것 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이라도 좋으며, 더우기 다른 구조, 예컨대 단면이 원형의 환상체에 강철구를 배설하고, 관체의 일부에서 압축공기를 도입하므로서 고속으로 이 강철구를 회전운동시켜 이로서 원형가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구성도 본불평형 중추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Moreover, in this specification An unbalanced backbone (Unbalanced weight) is not only having a nearly semicircular shape as shown, but may also be of other shapes, and furthermore, by disposing steel spheres in annular bodies of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circular sections, and introducing compressed air from a part of the tube. This configuration is designed to generate the circular vibration force by rotating the steel sphere at high speed. An unbalanced backbone It shall belong to.
그외에, 질량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발생시키고 이것을 원형가진력으로 하는 공지의 구조는 모두 본 발명에 적용가능 하다.In addition, all known structures that generate centrifugal force by rotation of mass and make it a circular vibration force are al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혹은,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드럼본체의 축심에 따라서 이송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아, 축심보다 윗쪽에 오른쪽으로 원형가진기구를 부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했으나, 회전축을 구동하는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수시로 변환가능하게 하고 또, 진동드럼(1)의 공급구보다 상류측에서 형틀로부터 꺼낸 주물을 예컨데 예비적으로 쉐이크 아웃 머쉰(shake-out machine)으로 쉐이크 아웃 시킨후, 본 실시예의 진동드럼에 공급하는데, 이 쉐이크 아웃 머쉰의 공급능력이 대소 2개로 나뉘어져 있을 경우, 혹은 하나의 쉐이크 아웃 머쉰으로 시간적으로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의 공급속도가 크고 작게 되는 경우에는 이들에 따라서 변환하도록 하고, 공급속도가 작은 경우에는 전동기의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클때는 시계방향으로 바꾸도록 해서 원활한 연속적 주물의 모래제거를 하도록 해도 좋다.Alternatively,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axis of the drum body, a circular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right above the axis to rotate clockwise, bu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driving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The castings taken out of the mold upstream from the supply port of the vibrating drum 1 may be preliminarily shaken out, for example, by a shake-out machine and then supplied to the vibrating drum of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supply capacity of this shake-out machine is divided into two cases, or if the feed rate of sand to be removed with a single shake-out machine becomes large and small, it should be convert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motor, chang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counterclockwise, and when it is large, clockwise It may rock to a sand removal of the seamless continuous casting.
이상에서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진동 드럼에 의하면, 종래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전체로서 진폭의 격차도 작고, 재료, 예컨데 모래제거를 해야할 주물의 처리량을 보다 크게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ibration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r than in the prior art, and the amplitude difference as a whole is smaller, and the throughput of the material to be removed, such as sand, can be increased.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196977 | 1991-07-11 | ||
JP3196977A JP2959213B2 (en) | 1991-07-11 | 1991-07-11 | Vibrating dru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2022A KR930002022A (en) | 1993-02-22 |
KR100208866B1 true KR100208866B1 (en) | 1999-07-15 |
Family
ID=1636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12180A KR100208866B1 (en) | 1991-07-11 | 1992-07-09 | Vibratory drum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959213B2 (en) |
KR (1) | KR100208866B1 (en) |
TW (1) | TW197394B (en) |
-
1991
- 1991-07-11 JP JP3196977A patent/JP29592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
- 1992-03-05 TW TW081101671A patent/TW197394B/zh active
- 1992-07-09 KR KR1019920012180A patent/KR10020886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959213B2 (en) | 1999-10-06 |
KR930002022A (en) | 1993-02-22 |
TW197394B (en) | 1993-01-01 |
JPH0515965A (en) | 1993-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053379A (en) | Material handling vibrating machine | |
US4255254A (en) | Delayed counterweight vibrator apparatus | |
EP0490593B1 (en) | Vibratory drum machine for treating articles | |
RU2501608C2 (en) | Vibratory mill | |
US3078015A (en) | Vibrated hopper or storage bin | |
KR100208865B1 (en) | Vibratory drum | |
KR100208866B1 (en) | Vibratory drum | |
RU2532235C2 (en) | Vibration transporting machine | |
US3213568A (en) | Corrugated bowl lining for vibrators | |
US3233474A (en) | Vibrating devices | |
US5123292A (en) | Motivational generator | |
JPS6115003B2 (en) | ||
US5301814A (en) | Increasing the relative motion of a screen deck | |
JP2959204B2 (en) | Vibrating drum | |
KR100208864B1 (en) | Vibratory drum | |
JP2929718B2 (en) | Vibrating drum | |
CN107583851A (en) | A kind of vibrating screen device | |
RU2073596C1 (en) | Device for vibration treatment | |
RU2152345C1 (en) | Vibrating feeder | |
SU1097430A1 (en) | Vibrating device for rebonding moulding sand | |
SU1507435A1 (en) | Vibrating mixer | |
RU2040966C1 (en) | Vibrating conical crusher | |
JPS5849442B2 (en) | vibrating conveyor | |
SU1682251A1 (en) | Vibration bunker device | |
US20060231653A1 (en) | Vertical symmetrical vibrating mi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