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301B1 -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301B1
KR100206301B1 KR1019960044153A KR19960044153A KR100206301B1 KR 100206301 B1 KR100206301 B1 KR 100206301B1 KR 1019960044153 A KR1019960044153 A KR 1019960044153A KR 19960044153 A KR19960044153 A KR 19960044153A KR 100206301 B1 KR100206301 B1 KR 10020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ing
station
processing
called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861A (ko
Inventor
김천수
라우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3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301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서비스 지연시간을 단축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은 착신 가입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1과정과, 상기 착신 가입자가 휴지상태인 경우 R2시그널링 처리와 착신 가입자의 위치확인 요구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지연시간을 단축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교환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시그널링(Signalling) 방식으로는 기계식(Decadic)방식, R2 MFC(Multiple Frequency Compelled)방식, ISUP/TUP(ISDN User Part)/TUP(Telphony User Part)방식이 있다. 상기 기계식방식은 교환기간의 시그널링(국간 시그널링)이 펄스에 의해 처리되는 방식으로, 발신가자의 발신번호에 대한 전달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상기 ISUP/TUP방식은 1980년 CCITT(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graphy and Telephony)에 의해 권고된 공통선 신호(Common Channel Signalling), 즉 No.7 신호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방식은 구체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있는 방식이다. 즉 현재 대부분의 교환시스템에서는 국간시그널링 방식으로 R2 MFC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되어 유선가입자를 서비스하는 통상의 교환시스템에서의 R2시그널링은 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된 유선가입자로의 착신처리를 수행하게 되므로, 착신가입자의 점유와 동시에 R2시그널링을 종료하여 사용하여 왔다. 한편 현재에는 공중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연결되어 일반 유선가입자 뿐만 아니라 이동가입자도 서비스하는 이동통신 교환시스템 - 초기의 아날로그 셀룰라시스템 및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 - 이 상용화된 추세에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은 통상의 교환시스템과는 달리 착신가입자 점유를 위해 착신가입자의 위치에 대한 확인(paging) 처리를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R2시그널링은 통상의 교환시스템에서와 같이 중계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에서 이동 착신가입자의 번호를 수신한 후 발신 PSTN의 교환기와 국간 시그널링을 수행하면서 이와 동시에 위치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국간시그널링을 종료하고 난 후 위치에 대한 확인처리를 수행하거나, 위치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완전히 수신하고 난 후 국간 시그널링을 종료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된 시그널링 동작은 도1과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수행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은 이동국(MS: Mobile Station) 110과, 기지국(BTS: Base Station System) 120과, 기지국 제어부(BSC: BTS Controller) 130과,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140과,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50과, 음성우편장치(VMS: Voice Mailing System) 160과, 일반 유선전화기 17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교환기 140은 내부에 방문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145를 포함하고 있으며, PSTN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다른 PLMN에도 연결된다.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중 교환기(MSC) 1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교환기(MSC) 140은 크게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Mobile Subscriber)과, ASS-S/T(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Subscriber Lines/Trunks)와, ASS-7(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No. 7 Signalling)과, CCS(Central Control Subsystem)/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와,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2에서 네모형태로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고, 타원형태로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 - - - - 형태의 선은 통화로를 나타내며, ―――― 형태의 선은 제어관계를 나타내며, ─ ─ ─ 형태의 선은 네일드업경로(Nailed-Up Path)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지금, 도1의 PSTN으로부터 PLMN의 교환기(MSC) 140으로 이동가입자 착신요구가 발생하면 중계선 제어부 230을 통한 중계선 장치 225는 해당 중계선을 점유 요구하고, R2중계호 제어부 235는 각종 소프트웨어적인 자원을 할당하고 R2/DTMF제어부 231을 통해 R2/DTMF장치 226을 연결한 후 PSTN과 R2 MFC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이동가입자의 착신번호를 R2/DTMF제어부 231을 통해 수신한다. R2중계호 제어부 235는 수신한 착신 국번호를 이용하여 번호번역 제어부 218로 국번호에 대한 번역요구를 수행하고, 번호번역 제어부 218로부터 이동가입자 국번이라고 통보가 수신되면 착신번호에 대한 요청/수신 처리를 R2/DTMF제어부 231을 통한 PSTN과 R2 MFC신호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나머지 착신번호를 모두 수집한 후에는 홈위치등록기 150으로 해당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질의하여 응답받기 위하여 MAP(Mobile Application Protocol)제어부 204를 통해 규약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No.7신호방식 처리를 수행하는 No.7제어부로 해당 오퍼레이션을 발생시킨다. 홈위치등록기 150과 교환기 140과의 연결은 타임스위치 239와, 스페이스스위치 222와, 타임스위치 224를 연결하는 네일드업(Nailed-Up)경로를 통해 연결되며, 이 경로를 통해 No.7신호 방식의 메시지가 송수신된다. 홈위치등록기 15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R2/MFC제어부 206은 그 결과를 분석한 후 자신의 교환기에 위치한 가입자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방문위치등록기 145를 제어하는 방문등록제어부 217로 착신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 다음에 R2/MFC제어부 206은 착신정보의 결과를 분석하여 착신 이동가입자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R2시그널링 완료 처리하고 이와 동시에 해당 착신가입자로의 착신위치 확인 처리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 즉 시그널링 처리 방법에 관련된 내용이다. 한편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들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동 착신가입자의 착신 호처리를 위해 이동 호제어부 201로 착신호에 대한 처리를 요구하고 이동 호제어부 213은 기지국 중계선제어부 206을 통한 기지국 중계선장치 210과의 설정을 수행하고 착신 이동가입자의 점유처리 통보를 수신하면, 타임스위치 제어부 214를 통한 타임스위치 224와, 스페이스스위치 제어부 221을 통한 스페이스스위치 222와, 착신측의 타임스위치 제어부 214를 통한 타임스위치 215를 연결한 통화로를 설정하고, 착신측의 톤제어부 232를 통한 톤장치 227의 톤을 연결하여 PSTN의 발신가입자로 호출음을 제공한다. 이후 착신 이동가입자가 응답하면 통화설정이 완료된다.
안내방송 제어부 209,233은 호처리를 수행하다가 실패하는 경우 안내방송장치 213, 228을 접속하여 여러 가지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이동가입자가 통화도중 교환기 140이 제어하고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핸드오프제어부 205는 해당 영역을 포함하는 다른 교환기로 통화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가입자 제어부 234와 가입자 호제어부 238은 시험용으로 또는 오퍼레이터(operator)용으로 가입자장치 229를 통한 유선가입자를 제어처리한다. 루팅제어부 219는 타국의 PSTN으로 출중계호 및 타국의 MSC로 출중계호를 처리한다.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제어부 243 및 MTP(Message Transfer Part)제어부 242는 No.7신호 방식을 처리하며, SMHP(Signal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 240은 No.7신호 방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3a 및 도3b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그널링 동작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a를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중계선 점유요구를 수신하고, 302단계에서 PSTN과 상호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R2 MFC신호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R2 MFC 신호 장치를 설정한다. 303단계에서 R2 MFC장치를 통하여 PSTN으로부터 국번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국번호에 대한 번역결과를 처리하여 이 처리결과가 이동가입자 국번인지 아닌지를 304단계에서 판단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처리결과가 이동가입자 국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326단계에서 유선가입자 처리를 행하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 304단계에서 처리결과가 이동가입자 국번인 것으로 판단되면, 305단계에서 계속하여 착신번호를 수신한 후 306단계에서 수신한 이동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그 가입자가 위치한 교환기를 알기 위하여 도1의 홈위치등록기 150로 위치정보에 대한 질의를 하여 그 결과를 수신한다. 위치정보 분석결과 자국내의 기지국에 위치한다는 판단이 되면, 307단계에서 도1의 방문위치등록기 145로 가입자의 착신정보를 질의/응답하여 착신 이동가입자의 휴지상태를 파악한다.
상기 307단계 이후에는 착신위치에 대한 확인처리를 수행한 후 국간 R2시그널링을 종료하는 절차(도3b의 308단계 내지 315단계)를 수행하거나, 국간 R2시그널링을 종료한 후 착신위치에 대한 확인처리를 수행하는 절차(도3b의 316단계 내지 323단계)를 수행한다.
도3b의 308단계에서는 착신 위치확인을 요구하고 309단계에서 그 결과를 수신한다. 이때 만약 착신위치 확인 결과가 1차에서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310단계에서 2차로 착신위치 확인을 요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 착신위치 확인 응답이 통보되는 경우, 즉 착신위치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PSTN과의 상호동작으로 312단계에서 착신번 수신을 완료하고, 313단계에서 발신등급 통보 및 착신상태 요구를 수신하고, 314단계에서 착신상태 통보 처리를 행한 후 315단계에서 R2 MFC에 의한 시그널링 종료처리를 행한다.
316단계 내지 323단계에서는 상기 308단계 내지 315단계의 역동작을 행한다. 즉 상기 308단계 내지 315단계에서는 먼저 착신위치 확인요구를 행한 후 R2 MFC시그널링 처리를 행하였지만, 316단계 내지 323단계에서는 먼저 R2 MFC시그널링 처리를 행한 후 착신위치 확인요구를 행한다.
상기 308단계 내지 315단계 또는 316단계 내지 323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324단계에서 착신 이동가입자에 대한 점유처리를 기지국 제어시스템 130과 기지국 120과 연계하여 수행한다. 착신 이동가입자가 응답을 하면 설정되어 있는 통화로를 통하여 통화중 상태로 천이한 후 종료한다. 이때부터 통화가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그널링 방법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착신가입자의상태(Busy/Free)만을 파악한 후 국간 시그널링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국간 시그널링이 종료될 때까지 착신가입자로 위치 확인 절차와 착신가입자 점유처리를 수행하지 못하고 대기처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최악의 경우 국간 시그널링의 유효시간이 14초의 두배(28초: R2시그널 처리중 두 단계의 추가 절차가 있으므로 하나의 절차당 최대 14초가 수행됨)를 대기 후 처리해야 하므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2) 착신가입자의 위치 확인 후 국간 시그널링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위치 확인을 수행하는 시간과 국간 시그널링 처리시간의 비연계성으로 인해 정상적인 위치확인 절차시간 이내임에도 불구하고 발신 교환국으로부터 국간 시그널링에 대한 시간 초과(14초)로 인해 해당 발신호를 종료시킴으로 서비스 이용자의 오류가 없음에도 호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페이징에 대한 1차 처리 허용시간은 대개 10여초이므로 두 번째 페이징에 대한 처리까지 수행하는 경우 20여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PLMN의 특성상 착신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절차에 대한 소요시간은 많이 소요되므로 이상과 같은 문제의 발생소지는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다.
3) 착신가입자의 점유처리 후 국간 시그널링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PSTN에서의 착신점유 처리후 국간 시그널링을 종료하는 처리와 유사한 개념이나 착신가입자의 위치확인과 점유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상기 2)와 같은 문제점이 더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서비스 지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은 착신가입자의 상태(Busy/Free: 휴지/통화중)를 파악한 후 휴지상태라고 판단되면 R2시그널링처리(착신번 수신완료 후 발신범주 요구)와 가입자위치 확인요구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각의 처리에 대한 응답의 우선순위와 상관없이 두가지 절차에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페이징 응답시간의 초과로 인한 R2 MFC 시그널링 실패 처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결하여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에 대한 고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R2 MFC처리 허용시간과 페이징 처리 응답 허용시간에 대해 별개로 동작되도록 시간관리자를 작동함으로써 R2시그널링에 대한 정확한 프로토콜의 확인이 가능하며, 페이징 처리 응답시간에 대한 규격을 만족할 수 있으므로 각 처리에 대한 시간 허용치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은 두가지 절차(R2시그널링 종료 절차, 페이징 요구절차)를 동시에 수행하더라도 R2 MFC 시그널링의 특성과 이동가입자의 특성으로 인해 R2 MFC 시그널링과 페이징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어야만 정상적인 착신 호처리를 수행하므로, 각 처리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호의 종료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페이징 처리절차는 첫 번째 페이징 요구와 무응답으로 인한 경우에는 두 번째 페이징을 처리하여야 하고, R2 MFC 시그널링 처리도 두단계를 거쳐야 종료처리가 되므로 상호 실패에 대한 상호 연관된 동작의 오류 처리를 방지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SC 1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그널링 처리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링 처리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시그널링 방법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4a에서 401단계의 중계선 점유요구 수신처리 절차부터 407단계의 착신정보 질의 응답처리의 절차는 도3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처리동작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2의 R2중계호 제어부 235가 408단계에서 착신위치 확인요구 뿐만 아니라 R2 MFC시그널링 처리요구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2중계호 제어부 235는 409단계에서 착신위치 확인요구와 R2 MFC시그널링 처리요구에 대한 수신대기를 하여 R2 MFC시그널링 처리 응답이 먼저 수신되는 경우에는 PSTN으로 착신번 수신완료 및 발신등급 요구를 의미하는 R2신호를 대국으로 전달하여 R2신호와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대기한다. 도4b의 411단계에서는 수신한 메시지가 R2신호인지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응답인지 판단하여 발신등급 통보 및 착신상태 요구를 의미하는 R2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412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에는 413단계에서 PSTN으로 착신상태 통보를 의미하는 R2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413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는 414단계에서 R2신호 종료처리를 수행한 후 415단계에서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대기한다. 이때 수신결과가 착신위치 확인 처리 실패인 것으로 416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에는 417단계에서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요구를 하고 그 결과를 수신대기한다.
PSTN으로 착신번 수신완료 및 발신등급 요구를 의미하는 R2신호를 대국으로 전달하여 R2신호와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 대기상태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였다면, 419단계에서 정상적인 착신위치 확인결과인지 착신위치 확인 응답 실패인지를 판단한다. 착신위치 확인 응답 실패인 경우에는 420단계 및 421단계에서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요구를 수행하고 R2신호와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대기한다. 422단계에서 PSTN으로부터 발신등급통보 및 착신상태요구를 의미하는 R2신호를 수신하면, 423단계에서 착신상태통보를 의미하는 R2시그널을 전송하고, 424단계에서 R2시그널 종료 처리를 수행한 후 425단계에서 계속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에 대한 응답결과를 수신대기한다.
상기 417단계 및 425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418단계에서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하고, 430단계 및 431단계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단계의 동작은 도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324단계 및 325단계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한편 411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419단계에서 착신위치 확인결과가 성공인지 실패인지를 판단한다. 착신위치 확인결과가 성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426단계 내지 429단계에서 PSTN과 계속 연동하여 R2시그널링을 처리한다. R2시그널링을 처리한 이후에는 430단계 및 431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430단계 및 431단계의 동작은 도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324단계 및 325단계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한편 도2의 R2중계호 제어부 235는 409단계에서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결과가 R2 MFC시그널링 처리요구에 대한 결과보다 먼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4c의 432단계에서 이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결과가 성공인지 실패인지를 판단한다. 착신위치 확인요구 결과가 성공인 경우에는 R2시그널링 처리를 위해 433단계 및 436단계에서 계속 R2시그널 대기후 수신/송신 처리를 수행한 후 R2시그널링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착신위치 확인요구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는 438단계에서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요구를 한 후 계속 R2시그널 및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에 대한 응답결과를 수신대기한다. 이후에 439단계에서 발신등급 통보 및 착신상태요구를 의미하는 R2시그널 관련메시지가 착신위치 확인 관련메시지보다 먼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R2시그널 관련메시지가 착신위치 확인 관련메시지보다 먼저 수신되는 경우에는 440단계 내지 444단계에서 착신상태를 의미하는 R2시그널을 전송하고, R2시그널 종료처리와 함께 두 번째 착신위치 확인 응답결과를 계속 수신 대기하며, 이후 정상적인 착신위치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 상기 439단계에서 정상적인 착신위치 확인 응답결과가 먼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445단계 내지 449단계에서 계속 R2시그널을 수신대기하여 R2시그널 대기 후 수신/송신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를 통해 정상적인 착신위치 확인 응답과 정상적인 R2시그널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450단계에서 착신 이동가입자에 대한 점유처리를 수행하고 451단계에서 통화중 처리를 수행한 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위치 확인과 R2 MFC시그널링 처리를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발신가입자에게 서비스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신위치 확인요구에 대한 응답시간이 지연되더라도 R2 MFC 시그널링 허용시간 초과로 인한 호 실패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R2 MFC시그널링을 처리하는 허용시간과 착신위치 확인 처리에 대한 허용시간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
    R2시그널링 처리와 착신 이동가입자의 위치확인 요구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2.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1과정과,
    상기 착신 가입자가 휴지상태인 경우 R2시그널링 처리와 착신 가입자의 위치확인 요구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은 상기 R2시그널링 처리와 상기 착신 가입자의 위치확인 요구 처리시 어느 한 처리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호의 종료를 처리하는 제3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착신 가입자의 위치확인 요구 처리시 첫 번째 위치확인 요구와 무응답으로 인한 경우에는 두 번째 위치확인 요구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KR1019960044153A 1996-10-05 1996-10-05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KR10020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153A KR100206301B1 (ko) 1996-10-05 1996-10-05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153A KR100206301B1 (ko) 1996-10-05 1996-10-05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61A KR19980025861A (ko) 1998-07-15
KR100206301B1 true KR100206301B1 (ko) 1999-07-01

Family

ID=1947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153A KR100206301B1 (ko) 1996-10-05 1996-10-05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3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61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6071C1 (ru) Способ завершения телефонного вызова в системе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CA2274528C (en)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data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065870B1 (e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US5711006A (en)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a release resource message
US20060160531A1 (en)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uccess rate in simultaneous call trial between subscrib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57971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remote unit of a feature-originated call
WO1995031076A2 (en) Call forward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mobile terminating call
RU94045925A (ru) Способ завершения телефонного вызова в системе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WO1995001075A1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CN1209901C (zh) 处理电话呼叫的方法和电话系统
USH1941H1 (en) Agent interworking protocol and call processing architecture for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50159160A1 (en) Wireless priority service for intersystem call delivery
KR100206301B1 (ko)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국간 시그널링 처리방법
US6771959B1 (en) Transmitting call-related data between switching centres
GB2300334A (en) Setting up intelligent network calls to a mobile subscriber
KR20020009999A (ko) 멀티 넘버 서비스에서 보조번호에 대한 착신호 전환시스템 및 방법
KR20010028310A (ko)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접속 요청을 알리는 방법
KR101109790B1 (ko) 교환기간의 호 처리 방법
KR100238722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악의호추적제어방법
KR100352426B1 (ko) 이동교환시스템에서의이동가입자간데이터서비스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20050011893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착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 표시 시스템및 그 방법
JPH10336328A (ja) 呼生起情報の通知方式
KR19990051135A (ko) 지능망시스템과 지능형 부가장치간 접속방법
WO2000057655A1 (e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for fixed subscr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